인데버 (크레이터)

Endeavour (crater)
인데버
PIA14506 Opportunity's View Approaching Rim of Endeavour.jpg
행성화성
지역메리디안 플라눔
좌표2°17˚S 5°14°W / 2.28°S 5.23°W / -2.28; -5.23좌표: 2°17′S 5°14′W / 2.28°S 5.23°W / -2.28; -5.23
쿼드랑글마가리티퍼 사인 쿼드랑글
지름22km(13.7마일)[1]
깊이300미터 (1000피트)[2]
에포니임캐나다 서스캐처원 인데버(공식명)[3]
HM Bark Endever(초기 비공식 별명용)[4]
화성 궤도에서 본 인데버
이 별의 오른쪽 아래 끝은 화성에 있는 엔데버호의 대략적인 위치다.
기회(Opportunity)는 엔데버(Endeadour) 바닥에 화성의 회오리바람(2016년 4월)을 상상한다.

엔데버호화성마르가리티퍼 사인 쿼드랑글(MC-19) 지역 내 메르미디안 플랑움 외계 평원에 위치한 충격 분화구다. 인데버호는 지름 22km(14mi) 정도 된다.[1] 화성 정찰궤도선 데이터를 이용해 테두리를 따라 필로실리케이트가 함유된 아웃크롭이 검출됐다. 이러한 광물들은 화성의 초기 역사 동안 저산소 환경에서 습한 조건에서 형성되었을 수 있다.[5] 북쪽, 동쪽, 남서쪽으로 상승된 림 세그먼트가 있다. 테두리는 빅토리아 분화구와 유사한 방식으로 평원 자재를 주입하여 마모, 원형 및 퇴화되었다.[6]

주변 평야와 비교했을 때 분화구 바닥은 현무암과 적혈구의 강화된 스펙트럼 시그니처를 보여준다.[7] 내부에는 두 그룹의 모래언덕 밭이 있다. 2008년 이후 촬영된 이미지들은 관련 형성의 일부 변화에 대한 증거를 보여주는데, 이는 2~3년의 기간에 걸쳐 화성 바람에 의한 활성 침식의 증거가 될 수 있다.[6] 테두리를 둘러싸고 있는 평야는 다수소 황산염의 증거를 보여준다.[7]

화성탐사로버-B 오퍼튜니티는 2008년 8월 이 분화구를 향해 여행을 시작했으며 [1]테두리는 2009년 3월 7일,[8] 테두리는 2011년 8월 9일, 가장자리에 도착했다.[9]

2011년 12월, 오퍼튜니티 탐사선은 인데버의 테두리를 따라 흙에서 튀어나온 석고 정맥을 발견했다. 검사 결과 칼슘, , 물이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광물 석고는 데이터에 가장 잘 어울린다. 그것은 광물이 풍부한 물이 바위의 틈새로 이동하면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호메스타케'라고 불리는 이 광맥은 화성 메르미디안 평원에 있다. 그것은 다른 황산염 퇴적물이 나타내는 가혹한 산성 조건보다 더 중립적인 조건에서 생산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환경은 많은 종류의 살아있는 유기체들에게 더 적합했을지도 모른다. 홈스테크는 황산염이 풍부한 평원의 퇴적암반과 엔데버호의 가장자리에 노출된 오래된 화산암반과 만나는 지역에 있다.[10]

스미스소니언 연구소가 발표한 '화성의 엔데버 크레이터 분해'라는 간행물에 따르면 엔데버호는 평균 수심이 200~300m이며 동남쪽 수심이 500m(1600ft)까지 내려간다고 한다.[11] 남서쪽 공황은 -1,980m(-6,500ft)의 고도까지 내려가고 말띠 공황은 남동쪽 사분면에 자리잡고 있으며 -1,800~-1,900m(-5,900~6,200ft)의 고도는 주변 평야에서 약 400m(1,300ft) 정도 떨어져 있다.[11] 이 분화구는 다양한 침식 과정을 거쳤으며, 바람도 한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명명법

국제천문연맹은 이 분화구의 이름을 캐나다의 한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3] 그 이름은 2008년 10월 20일에 승인되었다.[12] 크레이터 명명 규칙 때문에 공식적으로 캐나다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지만, 이 이름이 제안된 이유는 로버 팀이 HMS 인데버호의 항해를 바탕으로 비공식적인 별명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4]

화성 임무에 의해 그 분화구에 대한 비공식적 근무 별명이 인데버 호의 특징, HM바크 Endeavour,[4] 영국 왕립 해군 연구선을 중위 제임스 쿡에 의해 발견의 피지,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1769년 1771년까지 그의 첫번째 항해, 호주 장소 제임스 Coo가에 의해 명명을 이용해서 명령의 항해에 기초한다.k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케이프 드로메다리, 포인트 힉스, 바이런 베이, 케이프 트리뷰레이션, 케이프 바이런, 케이프 요크.[13] 그 항해 목적은 금성의 통과를 관찰하고, 태양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한 다음, 돌아오는 여행에서 발견한 육지를 탐험하는 것이었다.

지질학

이 분화구는 2010년대가 이해한 바대로 두 가지 주요 암석인 슈메이커 형성과 마티제비치 형성이 있다.[14] 그것은 복잡한 분화구로 분류되어 왔고 그것의 많은 특징들이 닳아 없어졌을 정도로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14] 테두리가 기울어지는 것에 대해 몇 가지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화성 충돌 분화구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이해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인데버호는 그 당시까지 자세히 연구된 화성 충돌 분화구 중 가장 큰 분화구였다.[14] 화성의 형상을 연구하기 어려운 예를 들어, 다양한 화산, 지각, 분화 이벤트 설명이 있는 오르쿠스 파테라(Orcus Pattera)[15]에서도 볼 수 있다. 한 유명한 화성의 깨달음 중 하나는 당시 닉스 올림피카라고 불리던 것이 화산이었다가 1970년대 초 메리너 9호의 궤도 관측 덕분에 올림푸스 몬스로 개명했다는 것이다.[16] 인데버호는 화성 정찰 궤도상에서 발견된 점토 광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당시 이론에 따르면 화성에서 더 오래되고 습한 시간대의 암석을 가리킨다고 한다.[17] 이런 종류의 암석은 주변 평야의 다른 지역에서 유행하는 암석과는 다르다.[17]

액체로 운반되는 굴리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은 아마도 물일 엔데버에서 확인되었다.[18] 이 굴리는 2016년 10월 현재 MER-B 로버 임무의 탐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18] 그것은 2017년에 굴리에 도달했고 페르세우스 계곡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주변 광물도

미네랄을 위해 색칠했다. 오퍼튜니티 트래버스(Opportunity Travers)는 인데버로 가는 도중인 2010년으로 날짜가 잡혔다. 이 색상은 화성 정찰 궤도CRISM 기구에 의해 관측된 지질 정보에 기초하고 있다.

서양림

인데버 분화구
케이프 요크에서 바라본 분화구의 서쪽 테두리는 솔랜더 포인트(Solander Point)이다.
보타니 베이솔랜더 포인트의 해즈캠 이미지(2013년)
MER-B NavCam 이미지 Sol 4959[19] Start of 2018, 굴리 남쪽 인데버호의 테두리를 따라 바라보기(P.V.)
엔데버 서쪽 테두리의 다양한 위치에 주석을 단 지도
  • 동쪽 끝에[20] 있는 케이프 요크(마스)
    • 그릴리 헤이븐(MER-B 오버 마스승리)
    • 마티예비치 힐
    • 오디세이 크레이터
    • 슈메이커 능선[20]
    • 스피릿 포인트(2011년 8월 MER-B 도착)[20]
  • 서덜랜드 포인트[20]
  • 노비 헤드, 케이프 요크 바로 아래
  • 보타니 만, 케이프 요크와 솔랜더 포인트 사이의 공터
  • 솔랜더 포인트
  • 머레이 리지
  • 블로거 포인트[11]
  • 위도우악 능선[11]
  • 율리시스 분화구
  • 케이프 트리뷰레이션
    • 마라톤밸리
    • 스피릿 마운드
  • 케이프 브라이언[22]
  • 2017년[23] MER-B가 도달한 이 림 부분의 침식 네트워크인 페르세우스밸리
  • 드로메다리 곶
  • 포인트 힉스
  • 토레스 해협(포인트 힉스 끝에서 남쪽 테두리 바타비아까지)

분화구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어지는 다음 림 구간은 전체 분화구의 남쪽 끝이지만 토레스 해협 동쪽 끝에 있는 바타비아다.

서부림광물도

MRO의 CRISM 관측에[24] 근거한 지질도 입니다.

서부 림 표고

디지털 지형 모델인 MRO에서 입면도

서양림

엔데버 서부의 테두리 MRO 컨텍스트 카메라 이미지

솔랜더에서 마라톤에 이르는 서부 림 구간

3492(2013년 11월)

2013년 11월 현재 3492년 솔까지 다각측량

3500 ~ 3689(2014년 6월)

2014년 6월 현재 대략 3500에서 3689까지의 다각측량

3728 ~ 3757 (2014년 8월)

대략 중심에는 율리시스 분화구가 있는데, 솔 3790년경(2014년 9월) MER-B가 방문했다.[21]

2014년 8월 현재 대략 3728에서 3757까지 다각측량

3750 ~ 3869(2014년 12월)

율리시스 분화구는 솔 3790(2014년 9월) 무렵 MER-B가 방문한 대략 상단 중앙 위치다.[21]

2014년 12월 현재 대략 3750에서 3868까지 다각측량

3870~4209(2015년 12월)

2015년 12월 현재 대략 3870에서 4227까지 다각측량

2016년 10월(레이블 포함)

MER-B 탐사선이 탐사하여 Crater Spirit of St. Louis with Lindberg Mountdown, Marathon Valley, Lewis and Clark 패스, 스피릿 마운드가 서부 림 또는 매우 가까운 다른 특징들 중 하나이다.

2016년 10월까지의 트래버스 맵(고지 버전)

~ 4625(2017년 1월)

2017년 1월 27일까지의 트래버스 지도 (Sol 4625)

~ 4695(2017년 4월)

케이프 트리뷴과 케이프 브라이언

2017년 4월 11일까지의 트래버스 지도 (솔루 4695)[25]

최대 4836명(2017년 9월)

오퍼튜니티는 2017년 4월 팀이 페르세베란스 밸리라고 이름 붙인 굴레를 향해 이동하면서 서부 테두리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했다.[23][26]

최대 4836까지 트래버스 지도(2017년 9월 12일)[27]
MRO의 HiRise 이미지는 3-D 지형도를 통해 배치되었으며, 5배 수직 과장, 엔데버어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페르세우스 계곡 서쪽을 바라본다(2018년 2월 15일).[28]

동부 림

인데버의 스피릿 포인트에 도착, 멀리 분화구 바닥과 반대쪽 동쪽 림 부분
엔데버의 동쪽 테두리, B&W 스왓은 지름이 약 5km이고 색 스왓은 1km이다[29].
MER-B에서 볼 수 있는 동부 림 일부

기회

MER-B는 크레이터에서 새로운 발견을 하였고, 탐사팀은 엔데버호를 오퍼튜니티의 두 번째 착륙 장소와 맞먹는 곳에 비유했다.[30][31] 예를 들어, 2692년(2011년 8월 22일) 온솔로버가 큰 이젝타 블록인 티스데일 2를 검사하기 시작했다. 스티브 스퀴레스 코넬대 오퍼튜니티 수석연구원은 "화성에서 본 어떤 암석과도 다르다"고 말했다.[30]

오퍼튜니티는 2015년 3월까지 착륙장에서 인데버로 이동한다. 그것은 서양의 테두리를 따라 남쪽으로 건너갔고 궤도를 선회하는 우주선은 테두리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이것은 탐사선이 좀더 면밀하게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
화성 표면 엔데버 근처 '기회의 자화상' (2014년 1월 6일)

인데버로 가는 여정

2009년 5월 Opportunity의 위치와 크레이터 Iazu, Endeverour 및 Victoria의 이름을 보여주는 주석이 달린 이미지

2008년 8월 화성탐사로버-B 오퍼튜니티가 인데버에 도착하기 시작했고 인데버를 향한 여정을 시작했다.[1][32] 오퍼튜니티가 앞서 탐사한 분화구 중에는 지름 750m의 빅토리아 분화구, 지름 130m(0.08마일), 지름 22m(0.01마일)의 인텐더스 분화구, 지름 22m의 이글 분화구가 있다.[33][34][35]

오퍼튜니티는 2009년 3월 7일(솔루 1,820) 2008년 8월 빅토리아를 출발한 뒤 약 3.2km(2.0mi)를 주행한 뒤 인데버의 테두리를 처음 형상화했다.[8][36] 오퍼튜니티는 또 약 38km(24mi), 지름 약 7km(4.3mi) 떨어진 이아즈 분화구를 형상화했다.[36] 당시 오퍼튜니티는 화성 까마귀가 날아와 인데버에서 12km(7.5mi) 떨어져 있었지만, 위험을 피하기 위해 인데버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거리보다 약 30% 더 많은 주행거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됐다.[8] 빅토리아에서 차로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을 기준으로 볼 때 이 여정은 화성 1년(23개월)이 걸릴 것으로 추정됐다.[8] 2010년 5월 5일, 빅토리아와 인데버 사이의 직통로를 따라 위험한 모래언덕밭을 피하기 위해, 두 크레이터 사이의 도표화된 경로는 약 19km까지 확장되었다.[37]

2010년 9월 8일, 오퍼튜니티가 빅토리아와 인데버 사이의 19km 여행의 중간 지점에 도달했다고 발표하였다.[38] 2011년 6월 28일까지 오퍼튜니티는 엔데버 림에 착륙한 지 불과 2km(1.2mi)도 안 되는 거리에 있었다.[39]

2011년 8월 4일 오퍼튜니티는 엔데버 림에 120m(390ft)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고,[40] 2011년 8월 9일 오퍼튜니티가 스피릿 포인트 근처의 서쪽 림에 도착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아웃크롭을 연구했다.[9]

그것이 도착했을 때, 그것은 솔랜더 포인트와 서쪽 림을 향해 남쪽으로 향하기 전에 분화구의 케이프 요크(마스)에서 북서쪽 외곽을 탐험했다.[41]

솔 2239의 MER-B는 당시 먼 분화구 림을 형상화했다. 이 지도에서는 케이프 트리뷴, 케이프 브라이언, 케이프 드로메다리, 포인트 힉스, 토레스 해협, 바타비아 등 엔데버의 여러 위치가 확인된다. 남쪽으로 더 가면 근처의 분화구 이아즈도 표시되어 있다.
위의 하향식 뷰에서 언급한 위치에서의 로버의 관점은 다음과 같다. 흰색 선은 로버의 시야를 나타낸다.
MER-B는 결국 케이프 트리뷰레이션에 도달했고, 2015년 1월 22일 엔데버의 테두리에 있는 케이프 트리뷰레이션에서 바라본 오퍼튜니션 전경이다.
오퍼튜니티가 2015년 2월까지 성령의 영혼에 접근하면서 건너갔다. 루이 크레이터와 마라톤 계곡, 그리고 전통적인 마라톤의 거리 (약 26마일 또는 42km)를 여행하는 데 근접했다.

솔랜더 포인트

솔랜더 포인트
겹쳐진 이 지형 사진에서 서쪽으로 바라본 솔랜더는 왼쪽으로, 그 다음 오른쪽으로 보타니 만, 케이프 요크다.

우도왁 능선

서북 엔데버 구간과 북북서부를 조망하는 전망

엔데버의 북서부 가장자리에 있는 우도왁 산등성이. MER-B는 2014년 9월 17일에 이 파노라마를 기록했다(Sol 3,786).[42]

스키아파렐리 상륙 타원과의 근접성

2016년 10월 ESA의 스키아파렐리 착륙선오퍼튜니티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는 엔데버 분화구 위치에 키스하는 착륙 타원형으로 검증된 메르미디안 플라눔 착륙지 재사용을 시도했다.[43] 이를 통해 오퍼튜니티가 화성 표면에서 하강하는 동안 착륙선을 이미지화할 수 있었다.[43] 하강 중 연락이 끊겼다.

MRO 컨텍스트 카메라: Schiaparelli 착륙지; (2016년 5월 29일) 이전과 (2016년 10월 20일) 후의 MRO 컨텍스트 카메라 이미지. 크고 검은 점은 착륙선에 의한 충격을 나타내고, 흰 점은 낙하산을 나타낸다.[44]

MSL 랜딩 사이트 후보와의 근접성

MSL 최종 착륙 후보 7명 중 2명은 엔데버호에 비교적 가까웠고, 1명은 미야모토(크레이터)에 있었고, 다른 1명은 남부 메르미디아의 엔데버 남쪽에 있었다.[45] 게일(크래터)이 선정에서 우승했다.

엔데버호는 이 지도의 오른쪽에서 반쯤 내려가면 볼 수 있다. 왼쪽 하단에는 미야모토 분화구의 MSL 착륙 타원이 제안되어 있다.

케이프 트리뷰레이션

MER-B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케이프 요크(마스)에서 출발해 보타니 베이에서 솔랜더 포인트로 내려가고 머레이 리지를 따라 마라톤 밸리 남쪽으로 이동하는 엔데버의 서쪽 테두리를 탐사했다. 2016년 말, 엔데버호는 분화구 바닥으로 내부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다시 테두리 쪽으로 이동해 남쪽으로 내려가 굴레라는 이름을 가진 페르세반스 계곡으로 내려가 케이프 트리뷴 구간을 벗어나 케이프 브라이언을 향해 나아갔다.

2016년 9월 28일 공개된 미션별 상세한 등급의 로버 트래버스 지도는 엔데버에서 더 깊은 곳으로 향하는 로버의 트랙을 4500까지 보여준다.
2016년 10월, 스피릿 마운드로 향하는 이동경로 주석 처리
마라톤밸리, 2016[46]
오퍼튜니티 로버가 본 마라톤 계곡(거짓 색; 스테레오; 2015년 3월 13일).
오퍼튜니티는 남쪽을 향하면서 케이프 트리뷰테이션의 남쪽 끝을 바라보며 서양의 림 능선을[47] 보여준다.
2016년 3월 케이프 트라이벌레이션 마라톤밸리 슬로프에서 목표물을 달성하려다 32도의 슬로프를 달성한 화성탐사선. 이는 너무 가파르게 진행돼 상단 패널에 쌓인 먼지가 아래로 흐르기 시작했다.[48]

성령의 정령 루이

이 분화구는 엔데버 서쪽 끝에 있는 남쪽 케이프 트리뷴 서쪽 입구에 있다. 2015년 5월 MER-B Opportunity 로버가 방문했다.[49]

2015년 5월에 탐사선은 성령의 정령이라고 불리는 곳을 방문했다. 루이스, 길이 약 110피트, 지름이 약 24미터인 얕은 분화구. 그 중심에는 약 2~3m 높이의 린드버그 마운드가 있다. 이 버전의 파노라마는 주석을 달고 잘못된 색으로[49] 되어 있다.

기회별 페르세우스 계곡 위

페르세우스밸리는 서부 엔데버 림의 케이프 브라이언 구간에 있는 침식 네트워크다.[23] MER-B팀이 2017년 4월 이름을 지었는데, 이전에는 이를 굴리(gully)라고 지칭했던 것이다.[23]

2017년 7월 페르세난스 계곡 위

컨텍스트

MSL 착륙지로 검토 중인 최종 후보지 7명 중 1명일 때 미야모토에 제안된 상륙용 타원은 지도 오른쪽에서 남북선 3개 중형 크레이터의 정상을 볼 수 있다.[45] 이 지도는 고도를 기준으로 색상으로 구분되어 있다

비교

엔데버호는 발레스 칼데라 국립보존소의 화산 칼데라인 미국 뉴멕시코주발레스 칼데라와 비슷한 규모다.[21] 엔데버호는 화성 분화구의 지름이 약 20.2km인 산타페(크레이터)와 27.5km인 토오팅(크레이터)과도 비교돼 왔다.[11]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NASA'S Mars Rover to Head Toward Bigger Crater". NASA/JPL. 2008-09-22. Retrieved 2009-03-20.
  2. ^ "Road Trip Gets Under Way". NASA/JPL. 2008-09-24. Retrieved 2009-04-27.
  3. ^ a b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Endeavour on Mars".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Retrieved 2016-02-14.
  4. ^ a b c "Mars Exploration Rovers Update: Opportunity Embarks on New Endeavour, Spirit Gets Back To Normal Schedule The Planetary Society". planetary.org. Retrieved 2018-08-16.
  5. ^ Wray, J. J.; et al. (November 2009), "Phyllosilicates and sulfates at Endeavour Crater, Meridiani Planum, Mar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6 (21): L21201, Bibcode:2009GeoRL..3621201W, doi:10.1029/2009GL040734
  6. ^ a b Chojnacki, M.; Burr, D. M.; Moersch, J. (March 2010), "Recent Dune Changes at Endeavour Crater, Meridiani Planum, Mars, from Orbital Observations", 41st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held March 1–5, 2010, The Woodlands, Texas, p. 2326, Bibcode:2010LPI....41.2326C
  7. ^ a b Chojnacki, M.; Moersch, J.; Wray, J. J.; Burr, D. M. (March 2010), "The Stratigraphy, Composition and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Endeavour Crater, Meridiani Planum, Mars, from Orbital Remote Sensing", 41st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held March 1–5, 2010, The Woodlands, Texas, p. 2175, Bibcode:2010LPI....41.2175C
  8. ^ a b c d "One Mars Rover Sees A Distant Goal; The Other Takes A New Route". NASA/JPL. 2009-03-18. Retrieved 2009-03-20.
  9. ^ a b "NASA Mars Rover Arrives at New Site on Martian Surface" (Press release). NASA/JPL. 2011-08-10. Retrieved 2016-02-14.
  10. ^ "NASA - NASA Mars Rover Finds Mineral Vein Deposited by Water". NASA. Retrieved 2018-08-16.
  11. ^ a b c d e f "Degradation of Endeavour Crater, Mars" (PDF). 2015-03-27. Retrieved 2018-08-16.
  12. ^ "Martian Crater Named Endeavour". USGS Astrogeology Science Center. 2008-10-20. Retrieved 2016-02-14.
  13. ^ NASA Mars Rover Seeing Destination in More Detail, NASA 미디어 릴리스, 2010년 6월 29일 2011-07-25에 액세스
  14. ^ a b c "Endeavour rim rocks slope "wrong" way Red Planet Report". redplanet.asu.edu. Retrieved 2018-08-16.
  15. ^ "HRSC Press Release #471 - Orcus Patera (orbit 2216 & 2238)". 2010-08-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8-07.
  16. ^ "ch9-4". solarviews.com. Retrieved 2018-08-16.
  17. ^ a b "NASA Rover Arrives at Huge Mars Crater After 3-Year Trek". space.com. Retrieved 2018-08-16.
  18. ^ a b "News NASA's Opportunity Rover to Explore Mars Gully". jpl.nasa.gov. Retrieved 2018-08-16.
  19. ^ mars.nasa.gov.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Multimedia: All Raw Images: Opportunity: Navigation Camera: Sol 4959".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20. ^ a b c d "Mars Exploration Rovers Update: Opportunity Heads for New Discovery as Winter Blows In at Cape York The Planetary Society". planetary.org. Retrieved 2018-08-16.
  21. ^ a b c d "Sol 3790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 Science". nmnaturalhistory.org. Retrieved 2018-08-16.
  22. ^ "NASA's Mars Rover Opportunity Leaves 'Tribulation' – NASA's Mars Exploration Program".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23. ^ a b c d "Mars Exploration Rovers Update: Opportunity Dodges Dust Storms, Makes Tracks to Perseverance Valley". www.planetary.org. Retrieved 2018-02-08.
  24. ^ "Space Images Geologic Map, West Rim of Endeavour, Mars". jpl.nasa.gov. Retrieved 2018-08-16.
  25. ^ mars.nasa.gov.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the Mission".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26. ^ "The Mars Exploration Rovers Update: Opportunity Closes in on Perseverance Valley". www.planetary.org. Retrieved 2018-02-08.
  27. ^ mars.nasa.gov.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the Mission".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28. ^ "Martian 'Perseverance Valley' in Perspective (Vertical Exaggeration) – NASA's Mars Exploration Program".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29. ^ "HiRISE Eastern Rim of Endeavour (ESP_012477_1775)". hirise.lpl.arizona.edu. Retrieved 2018-08-16.
  30. ^ a b Fitzpatrick, Tony. "Opportunity on verge of new discovery".
  31. ^ "NASA's Mars Rover Opportunity begins study of Martian crater". DefenceWeb. September 6, 2011.
  32. ^ Rahl, A.J.S. (2008-10-31). "Spirit "Bumps" a Move, Opportunity Puts the Pedal to the Metal". Planetary Society. Retrieved 2009-03-20.
  33. ^ "NASA Rover Nears Martian Bowl Goal". NASA/JPL. 2006-09-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9-29. Retrieved 2009-03-20.
  34. ^ "Press Release Images: Opportunity". NASA/JPL. 2004-05-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4-11-17. Retrieved 2009-03-20.
  35. ^ "NASA Facts: Mars Exploration Rover" (PDF). NASA/JPL. 2004-10-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3-27. Retrieved 2009-03-26.
  36. ^ a b "One Mars Rover Sees A Distant Goal; The Other Takes A New Route". NASA/JPL. 2009-03-18. Retrieved 2009-03-20.
  37. ^ "Opportunity's Long and Winding Road to Endeavour Crater". Universe Today. 2010-05-05. Retrieved 2010-08-04.
  38. ^ "Opportunity Rover Reaches Halfway Point of Long Trek". NASA/JPL. 2010-09-08. Retrieved 2010-09-11.
  39. ^ "Opportunity Is Just Over a Mile From Crater Rim". NASA/JPL. 2011-07-08. Retrieved 2011-07-08.
  40. ^ "Nearing First Landfall of Large Crater". NASA/JPL. 2011-08-04. Retrieved 2011-08-08.
  41. ^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All Opportunity Updates". marsrovers.jpl.nasa.gov. Retrieved 2018-08-16.
  42. ^ "Catalog Page for PIA18614". photojournal.jpl.nasa.gov. Retrieved 2018-08-16.
  43. ^ a b "Schiaparelli Lander to Touch Down on Mars - Sky & Telescope". skyandtelescope.com. Retrieved 2018-08-16.
  44. ^ Webster, Guy (21 October 2016). "Camera on Mars Orbiter Shows Signs of Latest Mars Lander". NASA. Retrieved 2016-10-24.
  45. ^ a b JPL, NASA. "Seven Possible MSL Landing Sites - Mars Science Laboratory".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46. ^ "Catalog Page for PIA20749". photojournal.jpl.nasa.gov. Retrieved 2018-08-16.
  47. ^ "Catalog Page for PIA21497". photojournal.jpl.nasa.gov. Retrieved 2018-08-16.
  48. ^ "Streaks on Opportunity Solar Panel After Uphill Drive – NASA's Mars Exploration Program".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49. ^ a b mars.nasa.gov.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Press Release Images: Opportunity Martian Reminder of a Pioneering Flight". mars.nasa.gov. Retrieved 2018-08-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