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레버스(크레이터)
Erebus (crater)![]() | |
행성 | 화성 |
---|---|
지역 | 메리디안 플라눔 |
좌표 | 2°06˚S 화씨 5°30°W / 2.1°S 5.5°W좌표: 2°06′S 5°30′W / 2.1°S 5.5°W/ 5 |
쿼드랑글 | 마가리티퍼 사인 쿼드랑글 |
지름 | ~350미터 |
깊이 | 효과적으로 제로 깊이 |
발견자 | 오퍼튜니티 로버 |
에포니임 | HMS 에레버스 |
에레부스는 화성의 마르가리티퍼 사인 쿼드랑글(MC-19) 지역에 위치한 분화구로, 이 외계 지질학적 특성은 훨씬 더 큰 분화구 빅토리아로 가는 길에 오퍼튜니티 탐사선이 방문했다. 1841년 제임스 클라크 로스가 현재 로스 빙붕으로 알려진 그레이트 아이스 배리어(Great Ice Barrier)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한 극지 탐사선 HMS 에레부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탐사선은 약 550~750번(2005년 10월2006년 3월)의 분화구 바로 근처에 있었다.
이 분화구는 지형적 우울증 가장자리에 두 개의 작은 돌출부가 있다. 여기에는 페이슨 능선과 올림피아 능선이 포함된다(아래 갤러리 참조).
에레부스는 이전에 오퍼튜니티가 방문했던 훨씬 작은 분화구 보스토크 남쪽 약 2,500미터(8,200피트) 지점에 위치해 있다. 그곳은 과학자들이[who?] "에치된 지형"이라고 묘사한 곳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지역은 메르미디안 플랑움의 모래 아래에서 바위가 엿보는 지역이다.[citation needed]
에레버스는 약 350m(1,150ft)의 넓이로, 분화구 인텐더스의 두 배나 크다. 그러나, 그것은 매우 오래되고 침식되어 땅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사구의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다수의 평평한 바위 투성이처럼 보일 뿐이다.
참고 항목
외부 링크 및 추가 읽기
- NASA 천문학 사진: 2005년 11월 8일부터 Erebus 및 Opportunity Rover(2005년 11월 8일)
- Grotzinger; Bell, J.; Herkenhoff, K.; Johnson, J.; Knoll, A.; McCartney, E.; McLennan, S.; Metz, J.; et al. (2006). "Sedimentary textures formed by aqueous processes, Erebus crater, Meridiani Planum, Mars". Geology. 34 (12): 1085–1088. Bibcode:2006Geo....34.1085G. doi:10.1130/G22985A.1.
- 화성 Meridiani Planum 에레버스 분화구 서쪽 여백의 구조와 퇴적학
- 에레브루스와 빅토리아 by Mars Express HRSC + S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