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비 지형

Scalloped topography

가리비 모양의 지형은 남북 45~60도 사이의 화성의 중위도 지역에서 흔하다. 특히 유토피아 플라니티아 지역과 [1][2]북반구, 남반구 페네우스와 암피트리테스 파테아[3][4] 지역에서 두드러진다. 그러한 지형은 가리비 모양의 가장자리가 있는 얕고 테가 없는 하강으로 구성되는데, 흔히 "경사형 하강" 또는 단순히 "경사형 하강"이라고 부른다. 가리비 모양의 움푹 패인 곳은 고립되거나 군집화될 수 있으며 때때로 합쳐지는 것처럼 보인다. 전형적인 가리비 모양의 우울증은 완만한 적도를 향한 경사와 가파른 기둥을 향한 스카프를 보여준다.[5] 이 지형 비대칭은 아마도 오만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 가리비 퇴화는 표면 아래 물질, 즉 아마도 중간 액체 단계가 없는 고체에서 기체 단계로 물질의 직접 전환에 의한 승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과정은 현재에도 여전히 일어나고 있을 수 있다.[6] 이 지형은 순수한 얼음의 퇴적물을 가리킬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화성의 식민지화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7]

이카루스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리비 지형의 지형은 수만 년의 화성에 걸친 현재의 화성의 기후 조건에서 승화에 의해 수면 아래 얼음이 손실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가리비 처짐은 작은 충격, 국소적 어두워짐, 침식 또는 열수축으로 인한 균열과 같은 작은 방아쇠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된다. 지구의 얼음이 풍부한 땅에서는 균열이 흔하다. 이들의 모형은 지면에 수십 미터 깊이의 순수한 얼음이 다량 쌓였을 때 이러한 가리비 모양의 우울증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래서, 가리비 모양의 특징은 많은 양의 순수한 얼음의 퇴적물의 표식 역할을 할 수 있다. 파로 덮인 지형의 내부와 주변의 얼음은 지상의 모공 공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마도 피닉스 미션에서 발견된 99%의 순수한 얼음일 것이다.[8][9][10] 화성 정찰궤도선에 탑재된 얕은 해저 레이더(SHARAD)[7][12]는 넓은 지역에서 10~20m 이상 두꺼울 때만 얼음층을 탐지할 수 있다.[11]

파 모양의 지형 형성에 대한 세부 사항은 여전히 논의되고 있다. 2016년에 이카루스에서 발표된 한 연구는 5단계 과정을 제안한다.

  1. 행성의 기울기의 주요한 변화는 기후를 변화시킨다. 이 기후 변화는 얼음으로 된 맨틀을 형성하게 한다.
  2. 다양한 조건으로 인해 맨틀이 녹거나 증발한다.
  3. 녹은 물은 땅속에서 적어도 가리비 누름의 깊이까지 움직인다.
  4. 얼음을 얼리고 녹이면 얼음(얼음 렌즈)이 많이 생긴다.
  5. 또 다른 기울기 변화로 인해 기후 변화와 얼음 덩어리가 승화하여 가리비 모양의 우울증을 초래한다.[13]

유토피아 플라니티아에서는 스카프에 평행한 일련의 곡선 능선이 큰 파의 퇴색 바닥에 새겨져 있으며, 아마도 스카프 침식의 다른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1] 최근, 다른 연구원들은 능선이 층의 꼭대기를 나타낸다는 생각을 발전시켰다.[14] 때때로 파로 덮인 지형이나 파로 덮인 지형 주변의 표면에는 "무늬가 있는 땅"이 나타나는데, 이 땅은 폴리곤 골절의 규칙적인 패턴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패턴은 표면이 침하, 탈화 또는 열수축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았음을 나타낸다.[15] 그러한 패턴은 지구상의 위험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유토피아 플라니티아에 있는 가리비 모양의 지형은 스카프에 작은(폭 약 5~10m), 주변 지형에 큰(폭 30~50m) 등 크기가 다른 다각형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척도 차이는 지면 얼음 농도의 국부적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1]

지하 얼음 검출

2016년 11월 22일 NASA는 화성 유토피아 플라니티아 지역에서 다량의 지하 얼음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검출된 물의 양은 슈페리어 호수의 물의 부피와 동등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6][17][18]

화성 – 유토피아 플라니티아의 가리비 지형(2016년 11월 22일)
화성 지형
지형도

이 지역의 얼음 부피에 대한 계산은 '샤라드'라고 불리는 화성 정찰 궤도상에 있는 지상 침투 레이더 기구의 측정에 근거한 것이었다.

샤라드는 표면과 더 깊은 하단 표면에서 레이더 복귀를 측정하여 얼음을 찾는다. 하단 표면까지의 깊이는 표면의 틈새의 HiRISE 영상에서 발견되었다.

SARAD로부터 얻은 데이터로부터 유전 허용률 또는 유전 상수가 결정되었다. 그것은 레이더가 얼음이 풍부한 층의 바닥에 있는 반사경에 침투하는 양으로부터 발견되었다. 반사경의 깊이는 그 위치의 고해상도 사진을 조사하여 찾아냈다. 어떤 장소들은 얼음으로 가득찬 층에 틈새나 창문이 있었다. MOLA 지형도는 그 깊이를 알려주었다. 얼음층이 많은 최상층에는 폴리곤, 가리비 퇴적물, 그리고 분출 분화구가 모두 얼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19] 그 틈의 하단에는 전혀 다른 색상의 표면과 크레이터로 가득찬 크레이터가 있었다; 이것은 레이더 귀환에서 보이는 반사경이었다. 전체 면적 평균인 유전 상수는 2.8로 나타났다. 고체 물 얼음은 3.0–3.2의 유전자를 가질 것이다. 화성에 널리 퍼져있는 현무암 암석은 8을 산출할 것이다. 그래서 알리 브람슨 외 연구진의 논문에서 나온 3차 도표를 사용하여, 연구자들은 얼음이 풍부한 층은 50-80%의 물 얼음, 0-30%의 암석함량, 15-50%의 다공성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라고 결정했다.[20][21][22]

갤러리

인터랙티브 마스

Acheron FossaeAcidalia PlanitiaAlba MonsAmazonis PlanitiaAonia PlanitiaArabia TerraArcadia PlanitiaArgentea PlanumArgyre PlanitiaChryse PlanitiaClaritas FossaeCydonia MensaeDaedalia PlanumElysium MonsElysium PlanitiaGale craterHadriaca PateraHellas MontesHellas PlanitiaHesperia PlanumHolden craterIcaria PlanumIsidis PlanitiaJezero craterLomonosov craterLucus PlanumLycus SulciLyot craterLunae PlanumMalea PlanumMaraldi craterMareotis FossaeMareotis TempeMargaritifer TerraMie craterMilankovič craterNepenthes MensaeNereidum MontesNilosyrtis MensaeNoachis TerraOlympica FossaeOlympus MonsPlanum AustralePromethei TerraProtonilus MensaeSirenumSisyphi PlanumSolis PlanumSyria PlanumTantalus FossaeTempe TerraTerra CimmeriaTerra SabaeaTerra SirenumTharsis MontesTractus CatenaTyrrhen TerraUlysses PateraUranius PateraUtopia PlanitiaValles MarinerisVastitas BorealisXanthe TerraMap of Mars
화성의 지구 지형에 대한 The image above contains clickable links대화형 이미지 맵. 이미지 위에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60개 이상의 주요 지리적 피쳐의 이름이 표시되고 해당 피쳐에 연결하려면 클릭하십시오. 기본 지도의 색상은 NASA의 화성 탐사선 '레이저 고도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대적 고도를 나타낸다. 흰색과 갈색은 가장 높은 고도(+12~+8km), 분홍색과 빨간색(+8~+3km), 노란색은 0km, 녹색과 파란색은 낮은 고도(-8km까지)를 나타낸다. 위도, 경도, 극지방은 주목한다.
(다음 항목 참조): Mars Robers 지도Mars Memorial 지도)(보기토론)


참조

  1. ^ a b c Lefort, A.; Russell, P.; Thomas, N.; McEwen, A.S.; Dundas, C.M.; Kirk, R.L. (2009). "HiRISE observations of periglacial landforms in Utopia Planit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4 (E4): E04005. Bibcode:2009JGRE..114.4005L. doi:10.1029/2008JE003264.
  2. ^ Morgenstern A, Hauber E, Reiss D, Van Gaselt S, Grose G, Schirrmeister L(2007): 유토피아 플라니티아의 휘발성이 풍부한 층의 퇴적과 퇴화, 그리고 화성의 기후 역사에 대한 시사점. 지구물리학 연구 저널: 행성 112, E06010.
  3. ^ Lefort, A.; Russell, P.; Thomas, N. (2009). "Scalloped terrains in the Peneus and Amphitrites Paterae region of Mars as observed by HiRISE". Icarus. 205 (1): 259–268. Bibcode:2010Icar..205..259L. doi:10.1016/j.icarus.2009.06.005.
  4. ^ 자네티, M, 히싱어, H, 레이스, D, 하우버, E., 뉴쿰, G. (2009), "말라 플라눔과 헬라스 분지의 남벽에 대한 스카벨로프 우울증 개발", 제40회 달·행성과학회의, 추상 2178년
  5. ^ "HiRISE Pitted Landforms in Southern Hellas Planitia (ESP_038821_1235)".
  6. ^ "Scalloped Topography in Peneus Patera Crater". HiRISE Operations Center. 2007-02-28. Retrieved 2014-11-24.
  7. ^ a b Dundas, C.; Bryrne, S.; McEwen, A. (2015). "Modeling the development of martian sublimation thermokarst landforms". Icarus. 262: 154–169. Bibcode:2015Icar..262..154D. doi:10.1016/j.icarus.2015.07.033.
  8. ^ Smith, P.; et al. (2009). "H2O at the Phoenix landing site". Science. 325 (5936): 58–61. Bibcode:2009Sci...325...58S. doi:10.1126/science.1172339. PMID 19574383. S2CID 206519214.
  9. ^ Mellon, M.; et al. (2009). "Ground ice at the Phoenix landing site: Stability state and origin". J. Geophys. Res. 114 (53): E00E07. Bibcode:2009JGRE..114.0E07M. doi:10.1029/2009JE003417.
  10. ^ Cull, S; et al. (2010). "Compositions of subsurface ices at the Mars Phoenix landing site". Geophys. Res. Lett. 37 (24): L24203. Bibcode:2010GeoRL..3724203C. doi:10.1029/2010GL045372.
  11. ^ Seu, R.; et al. (2007). "SHARAD sounding radar on the Mars Reconnaissance Orbiter". J. Geophys. Res. 112 (E5): E05S05. Bibcode:2007JGRE..112.5S05S. doi:10.1029/2006JE002745.
  12. ^ Stuurman, C. 외 2016. 유토피아 플라니티아의 샤라드 반사체, 화성 유토피아 플라니티아의 지표면 아래 얼음 퇴적물 감지 및 특성화. 지구물리학 연구서, 제43권, 제18권, 2016년 9월 28일, 페이지 9484–9491.
  13. ^ 소어, R, 외 2016. 화성 아르기레 지역의 얼음 부피 대 얼음 부피: 282, 70-83으로 제안된 지형의 냉기후 이분법.
  14. ^ Sejourne, A.; et al. (2012). "Evidence of an eolian ice-rich and stratified permafrost in Utopia Planitia, Mars". Icarus. 60 (1): 248–254. Bibcode:2012P&SS...60..248S. doi:10.1016/j.pss.2011.09.004.
  15. ^ "Scalloped Depressions with Layers in the Northern Plains". HiRISE Operations Center. 2007-02-28. Retrieved 2014-11-24.
  16. ^ Staff (November 22, 2016). "Scalloped Terrain Led to Finding of Buried Ice on Mars". NASA. Retrieved November 23, 2016.
  17. ^ "Lake of frozen water the size of New Mexico found on Mars – NASA". The Register. November 22, 2016. Retrieved November 23, 2016.
  18. ^ "Mars Ice Deposit Holds as Much Water as Lake Superior". NASA. November 22, 2016. Retrieved November 23, 2016.
  19. ^ 스터먼, C, 2014년 등 "화성의 우토피아 플라니티아에 있는 샤라드 반사체는 널리 퍼지고 두꺼운 표면 아래 얼음과 일치한다." 제45회 달과 행성 과학 회의.
  20. ^ Bramson, A, et al. 2015. 화성 아르카디아 플라니티아에 널리 퍼진 과잉 얼음. 지구물리학 연구서: 42, 6566-6574
  2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30. Retrieved 2016-11-29.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22. ^ Stuurman, C. 외 2016. SARAD 검출 및 화성 유토피아 플라니티아 지표하 빙하 퇴적물 특성화 지구물리학 연구서: 43, 9484_9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