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워 파워
Flower power플라워 파워는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수동적 저항과 [1]비폭력의 상징으로 사용된 구호였다.그것은 베트남 [2]전쟁 반대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이 표현은 1965년 미국의 비트 시인 앨런 긴스버그가 전쟁 시위를 평화적인 긍정의 [3][4][5]눈으로 바꾸기 위해 만든 것이다.히피들은 꽃과 선명한 색을 수놓은 옷을 입고 머리에 꽃을 꽂고 꽃을 나눠주면서 플라워 차일드(flower child)[6]로 알려진 상징성을 받아들였다.이 용어는 나중에 히피 운동과 소위 마약, 사이키델릭 음악, 사이키델릭 예술, 사회적 [7]허용의 반문화에 대한 현대적 언급으로 일반화되었습니다.
기원.
꽃의 힘이라는 용어는 캘리포니아 버클리 주에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 항의의 상징적 행동으로 유래되었다.1965년 11월 "행진/스펙터클 만드는 법"이라는 제목의 에세이에서 비트의 시인 앨런 긴스버그는 시위자들에게 경찰, 언론, 정치인, [8]관객들에게 나눠줄 "꽃의 꽃"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꽃, 장난감, 깃발, 사탕, 음악과 같은 소품들을 사용하는 것은 반전 시위를 거리극장의 형태로 바꾸어 시위 [9]속에 내재되어 있는 두려움, 분노, 위협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특히 긴스버그는 전쟁을 지지하는 헬스엔젤스 오토바이 갱단의 '관찰자'에 맞서고 싶어했고, 전쟁 시위자들을 공산주의자들과 동일시했으며,[10][11][12]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에서 계획된 반전 시위를 폭력적으로 방해하겠다고 위협했다.긴스버그의 방법을 통해, 시위는 긍정적인 관심을 받았고 "꽃의 힘"의 사용은 [13]반문화 운동의 필수적인 상징이 되었다.
움직임.
"'꽃의 힘'의 외침이 전 세계에 울려 퍼집니다.우리는 시들지 않을 것이다.천 송이의 꽃을 피워라."
— Abbie Hoffman, Workshop in Nonviolence, May 1967
1966년 말, 게릴라 극장의 플라워 파워 방식은 캘리포니아에서 미국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뉴욕시의 빵과 꼭두각시 극장은 반전 [14]서적과 함께 풍선과 꽃을 나눠주는 등 수많은 시위를 벌였다.뉴욕 활동가들이 발행하는 잡지인 '비폭력 워크숍(WIN)'은 플라워 파워 사용을 장려했다.
1967년 5월, 애비 호프만은 베트남에서 군인들을 기리는 뉴욕시 퍼레이드의 공식 파견대로서 꽃 여단을 조직했다.뉴스는 LOVE가 새겨진 꽃, 깃발, 분홍색 포스터를 들고 있던 플라워 부대 참가자들이 [14]구경꾼들에게 공격당하고 구타당하는 장면을 포착했다.폭력사태에 대해 호프만은 WIN 잡지에 "이스트 리버에서 수선화를 채굴할 계획이 만들어지고 있다.민들레 체인이 유도 센터를 감싸고 있어'꽃의 힘'의 외침이 온 땅에 울려 퍼진다.우리는 [14]시들지 않을 것이다.다음 주 일요일, WIN 운동가들은 국군의 날을 "꽃의 날"로 선포하고 센트럴 파크에서 전통 퍼레이드에 맞서는 집회를 열었다.투표율은 낮았고, 호프먼에 따르면 게릴라 극장이 더 [14][15]대립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집회는 효과가 없었다고 한다.
1967년 10월, 호프만과 제리 루빈은 플라워 파워 컨셉을 사용하여 펜타곤 행진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6]이 계획에는 시위대가 펜타곤을 "부상"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었다.시위대가 펜타곤 앞에서 인간 바리케이드를 형성하고 있는 2500명 이상의 육군 주방위군과 대치했을 때 일부 시위대는 꽃을 내밀었고 일부는 꽃을 군인들의 [17]소총통에 넣었다.
외부 이미지 | |
---|---|
![]() | |
![]() |
펜타곤 행진에서 꽃을 든 시위대의 사진은 1960년대 반전 시위의 상징이 되었다.프랑스 사진기자 마크 리부드가 쓴 "최종 대결"이라는 한 사진은 17세의 고등학생 얀 로즈 카스미르가 국화를 움켜쥐고 총검을 휘두르는 군인들을 응시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스미소니언 매거진은 나중에 전 세계에 공개된 이 사진을 "무력과 꽃다운 [20]순결의 가소로운 병치"라고 묘사했다.
워싱턴 스타 사진작가 버니 보스턴이 그린 플라워 파워라는 제목의 행진 사진은 1967년 퓰리처상 [19]후보에 올랐다.사진은 터틀넥 스웨터를 입은 젊은 남성이 군경의 소총통에 카네이션을 꽂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사진 속의 청년은 후에 히비스커스라는 [21][22]예명으로 샌프란시스코에서 공연한 18세의 뉴욕 출신의 배우 조지 에저리 해리스 3세로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그러나 작가이자 활동가인 폴 크라스너에 따르면, 그 젊은이는 이피 조직원 "슈퍼 조엘"[23] 토르나베네였다.해리스는 HIV/AIDS [21]유행 초기인 1980년대 초 뉴욕에서 사망했고 토르나베네는 [24]1993년 멕시코에서 사망했다.
1971년 12월 10일, 노골적인 전쟁 비평가 존 레논은 마리화나 [25]소지죄로 10년형을 선고받은 정치 운동가이자 백표당의 창립 멤버인 존 싱클레어를 위한 집회에 모습을 드러냈다."그래, 플라워 파워가 작동하지 않았어.그래서 뭐.다시 [26]시작합시다.
1970년대 초, 플라워 파워 반전 운동은 1972년 징병 제도의 종료와 [27]1973년 1월 베트남에서의 전투 활동에서 미국이 철수하기 시작함에 따라 시들해졌다.
문화 유산
플라워 파워 운동의 상징적 중심지는 캘리포니아 [28][29]샌프란시스코의 하이트 애쉬베리 지역이었다.1960년대 중반, Haight와 Ashbury 거리의 교차로로 특징지어진 이 지역은 사이키델릭 록 [30]음악의 중심지가 되었다.제퍼슨 비행기, 그레이트풀 데드, 재니스 조플린과 같은 음악가들과 밴드들은 모두 유명한 교차로에서 가까운 거리에 살았다.1967년 사랑의 여름 동안, 수천 명의 히피들이 "San Francisco (Be Sure to Wear Flows in Your Hair)"와 같은 히트곡으로 인기를 끌면서 그곳에 모였다.
1967년 7월 7일자 타임지의 커버스토리 "The Hippies:하위문화의 철학"과 8월 CBS 뉴스의 "히피 유혹"에 대한 텔레비전 보도와 다른 주요 언론 노출은 히피 하위문화를 전국적인 관심으로 이끌었고 플라워 파워 운동을 전국적으로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시켰다.[31]같은 해 여름 비틀즈의 히트 싱글 "All You Need Is Love"는 이 운동의 [32]애국가 역할을 했다.6월 25일, 비틀즈는 아워 월드 국제 위성 방송에서 이 노래를 연주했고, 평화주의 메시지가 약 [33]4억 명의 청중에게 전달되도록 했다.
밀턴 글레이저, 하인즈 에델만, 피터 맥스의 아방가르드 예술은 플라워 발전의 대명사가 되었다.에델만의 일러스트 스타일은 1968년 비틀즈의 애니메이션 영화 '노란 잠수함'의 예술 디자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Push Pin Studios의 설립자인 Glaser는 느슨한 사이키델릭 그래픽 디자인을 개발했는데, 예를 들어 1966년 페이즐리 머리를 [34]한 밥 딜런의 포스터 일러스트에서 볼 수 있다.팝아티스트 피터 맥스의 포스터로, 생생한 유체의 디자인을 데이글로 색칠해 플라워 [35]파워의 비주얼 아이콘이 됐다.맥스의 라이프 매거진(1969년 9월) 커버스토리뿐만 아니라 조니 카슨 주연의 투나잇 쇼와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한 것은 "꽃의 힘" 스타일의 예술을 주류 [36]문화에 더욱 정착시켰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스튜어트 홀, "히피 가족:Ann Gray (Ed.), CCCS Selected Working Papers, Routledge (2007년 12월 20일), 페이지 155에 게재된 "A American Moment" ISBN0-415-32441-6
- ^ 차타르지, 수바르노, 잃어버린 전쟁의 기억: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시적 반응,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1, 페이지 42 ISBN 0-19-924711-0
- ^ "Allen Ginsburg", American Masters, Public Broadcasting System, pbs.org, 2009년 4월 30일 취득
- ^ "Guide to the Allen Ginsberg Papers: Biography/Administrative History" (PDF). The Online Archive of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1997. p. 3. Retrieved 2011-09-21.
- ^ 토니 페리, "시인 앨런 긴스버그 70세에 사망", LA타임스, 1997년 4월 6일
- ^ Rennay Craats, 1960년대사, Weigl Publishers Inc, 2001, 페이지 36 ISBN 1-930954-29-8
- ^ 헤일리그, S. "영원한 사랑의 형제단 - 꽃의 힘에서 히피 마피아로:LSD 반문화 이야기, Journal of Psycheactive Drugs, 2007, 제39권, 제3호, 307-308쪽
- ^ Ginsberg, Allen, "예시로서의 데모 또는 스펙터클,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또는 행진/스펙터클을 만드는 방법", Berkeley Barb, 1965년 11월 19일, 휴대용 60년대 리더 Ann Charles(Ed.), Penguin Classic, 2002, 페이지 208-21-200 IS-078에 재출판.
- ^ Ben Shepard's Absurd Response vs. 진지한 정치' 2008-07-03년 Wayback Machine, Journal of Asemetics and Protest, 제1권, 제2호, 2003년 1월
- ^ Hyde, Lewis (January 1, 1985). On the poetry of Allen Ginsbe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 264. ISBN 0-472-06353-7.
- ^ Ginsberg, Allen (September 7, 2002). Family Business: Selected Letters Between a Father and Son. Bloomsbury. p. 241. ISBN 1-58234-216-4.
- ^ Miles, Barry (August 28, 2005). Hippie. Sterling. p. 50. ISBN 1-4027-2873-5.
- ^ William Lawlor, Beat culture: 라이프스타일, 아이콘, 영향, ABC-CLIO(2005), 페이지 1-85109-400-8
- ^ a b c d Jezer, Marty (1993). Abbie Hoffman: American Rebel. Rutgers University Press. p. 115. ISBN 978-0813520179.
- ^ 리처드 M.프레이드, 러시아인들이 오고 있어! 러시아군이 오고 있다! 냉전시대의 미국에서의 미인대회와 애국심,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41, ISBN 0-19-513417-6
- ^ James J. Farrell, 60년대의 정신: 전후 급진주의 만들기, 루트리지, 1997, 페이지 223
- ^ Carlito Rivera, "1967년 펜타곤 행진곡과 오늘의 교훈", 2007년 3월, Socialist and Liberation Magazine, 2007년 3월, 2009년 26월 9일 회수
- ^ Riboud, Marc. "Marc Riboud: Cinquante And De Photographie". www.marcribou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9-11. Retrieved 2011-09-21.
- ^ a b 1967년 10월 21일 워싱턴 이브닝 스타, "플라워 파워" 버니 보스턴
- ^ Curry, Andrew (April 2004). "Flower Child". Smithsonian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3-24. Retrieved 2011-09-21.
- ^ a b Montgomery, Davis (March 18, 2007). "Flowers, Guns and an Iconic Snapshot". The Washington Post. p. D04.
- ^ Silva, Hoaracio (August 17, 2003). "Karma Chameleon". New York Times Magazine. Retrieved 9 October 2017.
- ^ Krassner, Paul (January 30, 2008). "Tom Waits Meets Super-Joel". The Huffington Post. Retrieved 2011-01-24.
- ^ Krassner, Paul (November 30, 2009). "A Dose of My Own Medicine". Antique Children. AQC Books.
- ^ 비틀즈 성경 "존 싱클레어"2019년 7월 30일 취득.
- ^ 마이클 엡스타인 감독, 프로듀서, 작가 (2010년 11월 21일)아메리칸 마스터스: Lennonyc, 다큐멘터리 영화 (13:23분)공중파 방송(미국만 해당)2019년 7월 30일 취득.
- ^ MacFarlane, Scott (February 9, 2010). "Chapter 8: The Counterculture". In Monhollon, Rusty L. (ed.). Baby Boom: People and Perspectives. ABC-CLIO. pp. 117–133. ISBN 978-1598841053.
- ^ Anthony Ashbolt, "Go Ask Alice: Remembering the Summer of Love", 2009-09-13년 아카이브, 2007년 12월, Australasian Journal of American Studies, 페이지 35-47
- ^ Mandalit del Barco, "Haight-Ashbury a Flower-Power Holdover", 모닝 에디션, National Public Radio, 2007년 7월 2일
- ^ 찰스 페리, 더 하이트 애쉬베리: 역사, 웨너 북스; 전재판(2007년 3월 30일), 320pp, ISBN 1-932958-55-X
- ^ Harry Reasoner, "히피의 유혹" 2006-03-19년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CBS 뉴스, 1967년 8월 22일
- ^ Wiener, Jon (1991). Come Together: John Lennon in His Time. Urbana, Il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 40. ISBN 978-0-252-06131-8.
- ^ Edwards, Gavin (28 August 2014). "The Beatles Make History With 'All You Need Is Love': A Minute-by-Minute Breakdown". rollingstone.com. Retrieved 11 March 2017.
- ^ "2004 Lifetime Achievement Award". Cooper-Hewitt National Design Museum. National Design Award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2-15. Retrieved 2011-03-17.
- ^ Hoffman, Frank W.; Bailey, William G. (August 1990). Arts & Entertainment Fads. Haworth Press. pp. 163–164. ISBN 0-86656-881-6.
- ^ Riley II, Charles A. (2002). The Art of Peter Max (1st ed.). Abrams, New York. pp. 228–235. ISBN 0-8109-3270-9.
추가 정보
- 베넷 M.Berger, "히피 도덕성—새로운 것보다 더 오래되었다", 사회, 제5권, 넘버 2 / 1967년 12월
- Stuart Hall, "The Hippies: a American 'Moment'", CCCS 선정 작업서류, Routledge, 2007, ISBN 0-415-324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