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스타틴

Follistatin
FST
PDB 2b0u EBI.jpg
사용 가능한 구조
PDBOrtholog 검색: PDBe RCSB
식별자
에일리어스FST, FS, 폴리스타틴
외부 IDOMIM: 136470 MGI: 95586 HomoloGene: 7324 GeneCard: FST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6350
NM_013409

NM_008046
NM_001301373
NM_001301375

RefSeq(단백질)

NP_006341
NP_037541

NP_001288302
NP_001288304
NP_032072

장소(UCSC)Chr 5: 53.48 ~53.49 MbChr 13: 114.59 ~114.6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표시/편집

엽리스타틴액티빈 결합 단백질로도 알려져 있으며 사람에게서 FST [5][6]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이다.폴리스타틴은 고등 동물의 [6]거의 모든 조직에서 발현되는 자가분비 당단백질이다.

주요 기능은 TGF-β 슈퍼패밀리 구성원의 결합 및 생체중성화이며, 특히 파라크린 호르몬인 액티빈에 초점을 맞춘다.

같은 단백질의 이전 이름은 FSH 억제 단백질이었다.모낭액에서 처음 분리되었을 때 전뇌하수체모낭자극호르몬(FSH)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화학

폴리스타틴은 인히빈-액티빈-폴리스타틴 축의 일부이다.

현재 보고된 isoform은 FS-288, FS-300 및 FS-315의 3가지입니다.2개의 FS-288과 FS-315는 1차 mRNA 전사체의 대체 스플라이싱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S-300(포르신 폴리스타틴)은 1차 아미노산 사슬에서 C 말단 도메인의 절단을 통해 번역변형의 산물로 생각된다.

FS는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가장 높은 농도는 여성 난소에 있고 그 다음으로 피부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활성 결합 단백질 폴리스타틴은 뇌하수체 전엽의 엽록소(FS) 세포에 의해 생성된다.FS 세포는 성선영양세포를 포함한 뇌하수체 전엽의 고전적인 내분비세포와 많은 접촉을 한다.

조직 내 액티빈의 세포 증식에 강한 역할을 함으로써 모피스타틴을 제어되지 않은 세포 증식에 대한 보호장치로 만들고 또한 세포 분화의 도구로서 기능하게 한다.이 두 가지 역할 모두 조직을 재건하고 복구하는 데 필수적이며, 피부에 모피스타틴의 높은 존재감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혈액에서 액티빈과 모피스타틴은 모두 조직 손상 또는 병원성 침입에 따른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혈장 순환에 있어서의 모피스타틴의 공급원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그 자가분비적인 성질 때문에, 모든 혈관에 늘어선 내피 세포 또는 전혈구 내에서 순환하는 대식세포단구들이 공급원이 될 수 있다.

모리스타틴은 배아의 발달에 관여한다.그것은 뼈 형태 유발 단백질(BMP)에 억제 작용을 하며, BMP는 외배엽이 표피 외배엽이 되도록 유도한다.BMP의 억제는 결국 신경판을 형성하는 과정인 외배엽에서 신경외배엽이 생기게 한다.이 과정에 관여하는 다른 억제제로는 노긴과 코데인이 있다.

모피스타틴과 BMP는 또한 난소에서 모피 형성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지금까지 난소에서 엽리스타틴의 주요 역할은 초기 전립에서 전립/우성제로의 엽의 진행과 주요 엽의 에스트로겐 생성 과립 세포(GC)의 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으로 보인다. 루테움

임상적 의의

폴리스타틴은 과도한 근육 성장을 억제하는 미오스타틴(GDF-8, TGF 슈퍼 패밀리 멤버로도 알려져 있음)의 길항제로서 생쥐의 근육 성장 조절에 대한 역할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Lee & McPherron은 유전자 제거(녹아웃 마우스) 또는 모피스타틴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GDF-8의 억제가 [7][8]근육량을 크게 증가시켰다는 것을 입증했다.2009년, 마카크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유전자 치료를 통해 모피스타틴을 조절하는 것도 근육 성장과 힘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연구는 2010년 여름에 인크루전체 [9]근염에 대한 임상실험을 위한 길을 열어준다.

한 연구는 또한 특정 핵심 근육 그룹의 근육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모피스타틴의 수치가 증가하면,[10] 동물 모델에서 척추근육위축증(SMA)의 경우 기대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순환 모리스타틴 [11][unreliable medical source]수치가 높아지면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또한 다낭포성 난소 증후군(PCOS)에 관여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지만, 이 불임 [12]질환에 대한 직접적인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34363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21765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Ueno N, Ling N, Ying SY, Esch F, Shimasaki S, Guillemin R (December 1987).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follistatin: a single-chain Mr 35,000 monomeric protein that inhibits the release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4 (23): 8282–8286. Bibcode:1987PNAS...84.8282U. doi:10.1073/pnas.84.23.8282. PMC 299526. PMID 3120188.
  6. ^ a b Tortoriello DV, Sidis Y, Holtzman DA, Holmes WE, Schneyer AL (August 2001). "Human follistatin-related protein: a structural homologue of follistatin with nuclear localization". Endocrinology. 142 (8): 3426–3434. doi:10.1210/endo.142.8.8319. PMID 11459787.
  7. ^ Lee SJ, McPherron AC (July 2001). "Regulation of myostatin activity and muscle growth".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8 (16): 9306–9311. Bibcode:2001PNAS...98.9306L. doi:10.1073/pnas.151270098. PMC 55416. PMID 11459935.
  8. ^ "'Mighty mice' made mightier". Retrieved 2008-02-26.
  9. ^ "Success Boosting Monkey Muscle Could Help Humans". NPR. 11 Nov 2009. Retrieved 2009-11-12.
  10. ^ Rose FF, Mattis VB, Rindt H, Lorson CL (March 2009). "Delivery of recombinant follistatin lessens disease severity in a mouse model of spinal muscular atrophy". Human Molecular Genetics. 18 (6): 997–1005. doi:10.1093/hmg/ddn426. PMC 2649020. PMID 19074460.
  11. ^ Wu C, Borné Y, Gao R, López Rodriguez M, Roell WC, Wilson JM, et al. (November 2021). "Elevated circulating follistatin associates with an increased risk of type 2 diabetes". Nature Communications. 12 (1): 6486. doi:10.1038/s41467-021-26536-w. PMID 34759311.
  12. ^ Asteria C (October 2000). "Identification of follistatin as a possible trait-causing gen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43 (4): 467–9. doi:10.1530/eje.0.1430467. PMID 11022191.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