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클레인 리코더

Garklein recorder
원피스 가클린 리코더, 3부작 소프라노 리코더 옆

소프라니시모 리코더 또는 피콜로 리코더라고도 알려진 C의 가클린 리코더리코더 계열 중 가장 작은 크기다. 그것의 범위는 C-A67(C8)이다.[citation needed] 가클린이라는 이름은 "quite small"을 뜻하는 독일어로, G에서 소프라니노를 묘사할 때도 사용된다.[1] 일부 현대 독일 제조업체들이 가클레인플레이션틀린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역사적 전례가 없는 일이다.[2] 두 개의 가장 낮은 음표(완전한 색도 눈금을 얻기 위해 더 큰 레코더에 사용)에 대한 이중 구멍은 흔치 않다. 이 악기는 보통 실제 소리보다 2옥타브 낮은 고음부에 표기된다. 가클레인 리코더는 길이가 16~18cm 정도에 불과하며 크기가 작아 보통 한 조각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대형 리코더와 다르다.

이 아주 작은 녹음기는 바로크 시대 이전에는 알 수 없었지만, 앞손가락 구멍 3개와 엄지손가락 구멍 1개를 가진 한 손의 쥐폴로가 그의 싱타그마 뮤직엄에 묘사되어 있는데, 여기서 "가르 클레인[s] 플록플로레틴"(아주 작은 녹음기)이라고 불린다. Praetorius는 그것이 3, 4 인치나 되는 Brunswick 인치라고 말한다.[3] 프레이토리우스의 서술적 표현은 현대 제작자들이 C에6 있는 그들의 레코더에 붙인 이름의 원천이다. Correctly describing Praetorius's "gar klein Flötlein" as "der höchsten Schnabelflötenart mit nur vier Grifflöchern" (the highest type of fipple flute, with only four finger holes), Curt Sachs equated this instrument with the flauto alla vigesima seconda specified by Claudio Monteverdi in the 1607 score of his opera L'Orfeo. 프라토리우스는 신타그마뮤직2의 보충판 IX에서 C로6 악기의 최저 음을 소리 내는 음을 내기 때문에 삭스는 그 명칭을 오르간 건축업자들이 소위 "원피트" 또는 "제3 옥타브" 레지스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같이 "가 클라인"과 연관시켰다.[4] 오늘날 몬테베르디의 악기는 일반적으로5 Praetorius가 기술한 가장 작은 참 리코더인 [5]G의 소프라니노로 추측되는데, 그는 이것을 라틴어로 엑실런트(가장 위)라고 부르고 독일어로 클라인 플뢰틴(작은 플루트)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혼동을 가중시키면서 외손 주폴로에게는 '클레인 플뢰틀린'이라는 표현도 쓴다.Praetorius 1619a, 13, 21, 34[6][7][8])

C에서6 가장 먼저 알려진 진정한 녹음기의 예는 1670년경부터 시작된 뉘른베르크 제작자가 만든 상아 악기다.[9]

대형 레코더에 비해, 구멍 간격이 매우 빡빡하여 운지법이 비교적 어렵다.

프란스 폰 트와알프호벤은 F에서 더 작은 피콜리노 레코더를 제작했다.[10] 실험용 피콜리노는 가클린보다 4분의 1 더 높게 연주한다. 보석류(브로치, 넥렛 펜던트)로 디자인된 훨씬 더 작은 녹음기가 있는데, 카스텔로 박스우드, 로즈우드, 튤립우드 또는 그르나딜라에 있는 Mollenhauer 회사로부터 실제로 재생이 가능한 것이 있다.[11]

참조

원천

  • Anon. 2018. "Miniature Recorders" (advertisement) Conrad Mollenhauer GmbH (accessed 11 August 2018).
  • Bär, Frank P. 2002. Holzblasinstrumente im 16. und frühen 17. Jahrhundert: Familienbildung und Musiktheorie. Tübinger Beiträge zur Musikwissenschaft 24. Tutzing: Hans Schneider. ISBN 9783795210458.
  • Lander, Nicholas S. 1996–2018. "Recorder Home Page: History: Innovations". Recorder Home Page (accessed 11 August 2018).
  • Hunt, Edgar. 1988. "Syntagma Musicum II, Parts 1 and 2 of De Organographia by Michael Praetorius; David Z. Crookes" (review). The Galpin Society Journal 41 (October): 142–144.
  • Lasocki, David. 2001a. "Flautino (i)".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 Lasocki, David. 2001b. "Recorder".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 Praetorius, Michael. 1619a. Syntagmatis Musici Michaelis Praetorii C. Tomus Secundus De Organographia. Wolfenbüttel: Elias Holwein, in Verlegung des Autoris.
  • Reuter, Christoph. 2002. Klangfarbe und Instrumentation: Geschichte, Ursachen, Wirkung. Systemische Musikwissenschaft 5. Bern: Peter Lang. ISBN 9783631502723.
  • Sachs, Curt. 1913. Real-Lexikon der Musikinstrumente, zugleich ein Polyglossar für das gesamtr Instrumentengebiet. Berlin: Julius Bard.
  • Thalheimer, Peter. 1990. "Aspekte zur Geschichte der Blockflöte in c´´´". Tibia 15, no. 3:202–205.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