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라인 B 분기점

Green Line B branch
그린 라인 B 분기점
Outbound train at BU East, July 2019.JPG
보스턴 대학교 이스트 역의 아웃바운드 열차
개요
소유자MBTA
로캘미국 보스턴, 매사추세츠
터미정부 센터
보스턴 칼리지
스테이션24
서비스
유형경전철
시스템그린 라인
데일리 라이더십26,1910 (2010~2011년에만 표면 정지로부터의 평균 보딩)[1]
역사
열린1896년(Kenmore-Packards Corner, Lake Street-Chestnut Hill Avenue)
1900년(패키지 코너-체스트넛 힐 애비뉴)
기술
캐릭터지하(켄모어와 동쪽)
중앙 중위수 실행(Kenmore 서쪽)
트랙 게이지4ft 8+12 인치(1,435 mm)
전기화600V DC 오버헤드
노선도

D 지점과 E 지점
정부 센터
Blue Line (MBTA)
파크 스트리트
Red Line (MBTA)Orange Line (MBTA)Silver Line (MBTA)
보일스턴
Silver Line (MBTA)
알링턴
코플리
코플리 분기점
하인스 컨벤션 센터
켄모어
블랑드포드 스트리트 포털
블랑드퍼드 스트리트
보스턴 대학교 동부
보스턴 대학교 센트럴
아모리 스트리트
밥콕 스트리트
패커즈 코너
포드햄 로드 (2004년 휴무)
하버드 애비뉴
그리그스 거리/롱애비뉴
올스턴 스트리트
워런 스트리트
서밋 애비뉴(2004년 휴업)
워싱턴 스트리트
후드 산길(2004년 폐쇄)
서덜랜드길
치스윅로
체스트넛 힐 가
사우스 스트리트
그레이클리프 도로(2004년 폐쇄)
보스턴 칼리지
커먼웰스 애비뉴

커먼웰스 애비뉴 지점 또는 보스턴 칼리지 지점이라고도 불리는 B 지점은 MBTA 그린 라인 경전철 시스템의 지점으로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시내 서쪽 커먼웰스 애비뉴에서 운행된다. 그린 라인 4개 지점 중 하나인 B 지점은 보스턴 칼리지 역에서 커먼웰스 애비뉴의 중앙을 따라 블랑드포드 스트리트까지 운행한다. 그곳에서 블랑드포드 스트리트 포털로 들어가 켄모어 역으로 들어가 C 지점과 D 지점과 합쳐진다. 이 복합 서비스는 보일스턴 가의 지하철과 보스턴 시내로 가는 트레몬트 가의 지하철로 운행된다. B지점은 2021년 10월부터 정부중앙회관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 다른 지점과 달리 B 지점은 보스턴 시 경계선을 통해서만 운영된다. 보스턴 칼리지보스턴 대학그린 라인 경쟁은 양 대학으로 이어지는 B 지사를 참고로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역사

초기시공

1910년경 체스트넛 힐 가 근처에서 기다리던 승객들

현재 개통되는 B지점의 첫 구간은 워터타운선과 비콘 스트리트 라인을 위해 건설되었다. 1889년 웨스트엔드 스트리트 철도는 하버드 애비뉴, 브라이튼 애비뉴, 캠브리지 스트리트, 워싱턴 스트리트 등을 따라 쿨리지 코너에서 오크 스퀘어까지 운행하는 지선을 포함한 비콘 스트리트 라인을 개통했다.[2]: 58 이 노선은 빠르게 성장하는 올스톤과 브라이튼 교외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보다 직접적인 노선이 바람직했다. 1890년대 중반에 커먼웰스 에비뉴가 주지사 광장과 브라이튼 에비뉴와의 분기점 사이에 개선되었을 때, 부동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전차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폭 33피트(10m)의 중앙분리대를 포함시켰다.[3] 1896년 5월 18일 유니언 스퀘어의 옛 트랙리지와 연결하기 위해 주지사 광장에서 브라이튼 애비뉴를 따라 서비스가 시작되었다.[4][5][2]: 48 (그 노선은 1896년 6월 13일 노난텀 스퀘어 근처까지 연장되었다.)[2]: 48

더 서쪽으로, 체스트넛 애비뉴레이크 스트리트보스턴-뉴턴 경계 사이에, 폭 7.6m의 전차 중앙분리대가 건설되었다.[3] 레이크 스트리트와 보스턴 시내 사이의 서비스는 1896년 8월 15일에 시작되었다.[6] 스트리트카는 체스트넛 힐 애비뉴, 기존 비콘 스트리트 라인, 워싱턴 스트리트, 헌팅턴 애비뉴를 달렸다.[2]: 58 레이크 스트리트에서는 1896년 3월 26일 오번데일에 개통된 커먼웰스 애비뉴 스트리트 철도와 연결된 노선이 있었다.[7]: 38

주지사 광장의 동쪽, 비콘 스트리트 노선은 원래 비콘 스트리트, 매사추세츠 애비뉴, 보일스턴 스트리트에서 파크 스퀘어까지 운행되었다.[2]: 54 커먼웰스 애비뉴 구간이 개통될 무렵에는 북부 철도 터미널까지 도달하기 위해 트레몬트 가(전기로 1891년 완공)에 극심한 혼잡의 선로를 따라 전차들이 계속 운행되었다.[2]: 61 노넌텀 스퀘어와 레이크 스트리트 노선은 모두 트레몬트 스트리트 지하철로 다시 연결되어 1897년 9월 1일 이 터널이 개통된 직후 파크 스트리트 역에서 종착되었다.[2]: 21

보스턴 고등철도(BERY)는 1897년 10월 1일 웨스트엔드 스트리트 철도를 임대하고, 시스템 확장을 계속하였다.[2]: 35 베리는 1900년 5월 26일 체스트넛힐 애비뉴에서 브라이튼 애비뉴로 이어지는 커먼웰스 애비뉴에 새로운 트랙을 개설해 레이크 스트리트에서 커먼웰스 애비뉴를 거쳐 시내까지 직통 서비스를 할 수 있게 했다. 비록 브라이튼의 커먼웰스 애비뉴를 둘러싼 많은 땅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노선은 많은 후원을 받았다.[2]: 58 대부분의 길이 동안, 1900년에 지어진 이 추적은 중앙 중앙분리대가 아니라, 남쪽 방향의 여행 차선과 남쪽 방향의 차선 사이의 보호구역에 있었다. 워렌 스트리트월링포드 로드 사이에서는 선로보다 훨씬 넓은 예약이 이루어졌다.[8]

성장 서비스

1915-1930년 경 레밍턴 로드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

커먼웰스 애비뉴 스트리트 철도는 1897년 6월 17일 인기 있는 노룸베가 공원을 개장했다.[2] (그 노선은 1904년 뉴턴과 보스턴 스트리트 철도(N&B), 1909년 미들섹스와 보스턴 스트리트 철도(M&B)로 합병되었다.) 노룸베가 공원과 파크 스트리트 역 사이의 서비스를 통해 1903년 1월 17일부터 레이크 스트리트 동쪽 BERY에 의해 운영되었다.[2]: 39 뉴턴 스트리트 철도(Newton Street Railway, 1904년 N&B에도 합병)는 1903년 2월 23일 워터타운 선을 경유하여 파크 스트리트와 월텀 사이의 서비스를 통해 시작되었다. 1912년 4월 케임브리지 터널이 개통되자 월텀 서비스는 대신 케임브리지의 센트럴 스퀘어 역으로 다시 중계되었다.[2]: 39 1912년 5월 1일, M&B는 커먼웰스 애버뉴 노선에 대한 서비스를 통해 두번째 서비스를 시작했다.[2]: 39 다음 달, 두 명의 남자는 도난당한 다이너마이트 열 스틱을 사용하여 "영연방 av의 하이네스트 컴퍼니의 궤적을 폭파하려는 음모"를 계획한 혐의로 기소되었다.[9]

보일스턴 스트리트 지하철은 1914년 10월 3일에 개통되었는데, 주지사 광장 바로 동쪽에 있는 트레몬트 스트리트 지하철의 연장선 역할을 하며, 코플리 스퀘어매사추세츠 애비뉴에 중간 정차역이 있다.[2]: 40 (제3의 역인 알링턴은 1921년까지 건설되지 않았다.) 워싱턴 가를 경유하는 레이크 스트리트 서비스는 출퇴근 시간 외에는 워싱턴 광장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다.[10] 서비스를 통한 뉴턴 하이랜드는 레이크 스트리트까지 축소되었고, 그곳에서 베리 전차 서비스와 연결되었다.[2]: 39 노룸베가 공원은 서비스를 통해 노룸베가 공원을 계속 이용했는데, 오래된 M&B 전차가 지하철의 신형 베리 전차의 속도를 따라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11월 1일 레이크 스트리트에서 분리되었고, 표면 경로를 이용하는 BERY 노선이 연결되었으며, 11월 21일 켄모어-파크 스트리트 노선으로 절단되었다.[10][11][12][2]: 58

11월 21일, 워싱턴 스트리트 서비스는 체스트넛 힐 애비뉴 트랙을 사용하는 비컨 스트리트 차량만 남겨두고 저수지까지 운행되었다.[11] 비콘 스트리트 서비스는 1915년 11월 6일에 저수지까지 중단되었고, 워싱턴 스트리트 서비스는 다시 레이크 스트리트까지 연장되었다.[13] 1922년 2월 6일부터 모든 워싱턴 스트리트 서비스가 브룩클린 빌리지로 운영되었다.Lake Street 셔틀은 Huntington Avenue 노선에서 서비스의 일부로 변경된다.[14] 워싱턴 스트리트 셔틀은 1926년 4월 24일 버스로 개조되었다.[15]: 197 1928년 6월 23일 브라이튼 센터로 리디렉션되었고, 결국 65번 국도가 되었다.[15]: 52 [16]

1915년 브레이브스 필드의 스트리트카

커먼웰스 애비뉴 노선은 두 개의 주요 야구장을 서비스했다. 펜웨이 파크(1912년 개업)는 주지사 광장 근처에, 브레이브스 필드(1915년 개업)는 올스톤에 있다. BERY는 1915년 주지사 광장의 켄모어 거리에 선불식 지상역(승객들은 전차에 탑승하지 않고 정류장에서 요금을 지불하는 곳)을 열었다.[2]: 58 새로운 브레이브스 필드는 1915년 8월 18일에 개장했다; 그것은 거리 차들이 야구장을 직접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불역을 가진 개프니 가와 밥콕 가 사이의 루프 트랙을 포함했다.[17] 이 루프는 펜웨이 파크에서 열리는 레드삭스 경기와 러시아워 짧은 을 위해 열차를 돌리는 데도 사용되었는데, 1945년 11월 이후에는 이 짧은 턴이 한낮과 토요일에도 운행되었다.[18]: 108 1948년 월드시리즈에서는 스트리트카가 파크 스트리트와 브레이브스 필드 사이를 45초 앞도로로 달렸다.[18]: 109

추가 변경

1916년경, BERY는 레이크 스트리트에 커먼웰스 애비뉴 북쪽의 전차 보관소를 지었다.[19][20][21] Lake Street로 가는 나머지 M&B 서비스는 1930년에 버스로 대체되었고, BERY는 1930년 9월 12일에 중앙분리대의 낡은 환승역을 새로운 승강장과 마당의 대합실로 교체했다.[2]: 59 1940년 5월에 완공된 저수지 야드(밤의 언덕 애비뉴 근처 비콘 스트리트 남쪽)의 확장은 레이크 스트리트 야드를 보완하고 케임브리지의 베넷 스트리트 카하우스에 커먼웰스 애비뉴 전차를 세울 필요가 없어졌다.[18]: 102

1926년 제안 지도

1922년 6월, BERY는 영연방 에비뉴 선의 내부를 고속 환승 서비스로서 운용할 것을 제안했다. 최근 취득한 중앙출입차의 3량 열차는 기존 노면 전차보다 용량이 크고 체류시간이 짧았는데 출퇴근 시간에는 2분, 다른 시간에는 4분 정도 낮게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22][2]: 59 지하철과 노면 전차선 사이를 환승하는 터미널 역이 올스톤의 린덴 스트리트(하버드 애비뉴 근처)[22]에 세워질 것이다. 그해 7월 이스트 케임브리지의 레흐미어 광장(이미 공사 중)이 개장했지만 강제 이관에 대한 현지 반발로 린덴가 터미널 계획은 백지화됐다.[2]: 59

바쁜 주지사 광장의 혼잡은 전차 노선에 수많은 지연을 초래했다. 1924년 5월 주 의회는 주지사 광장 아래에 있는 보일스턴 거리 지하철의 연장을 포함한 보스턴의 확장된 고속 교통 시스템을 계획하도록 메트로폴리탄 지방 위원회에 지시했다.[23] 1926년 12월에 발표된 이 보고서는 보스턴에 있는 기존 전차 터널을 높은 층의 구불구불한 재고량을 가진 두 개의 고속 환승 노선으로 재편할 것을 요구했다.[24] 한 노선은 이스트보스턴에서 브라이튼까지 운행할 예정이었는데, 이스트보스턴 터널(가로차에서 1924년 급행열차로 개조)이 재정비되어 파크 스트리트 역 근처의 트레몬트 스트리트 지하철과 연결되었다. 보일스턴 가의 지하철은 커먼웰스 애비뉴까지 연장되어 주지사 광장 아래에 새로운 역이 생겼을 것이다. 급행 전철선과 잘린 워터타운과 레이크 스트리트 노선의 환승역은 브라이튼 센터 근처인 커먼웰스 애비뉴와 캠브리지 스트리트 사이의 워렌 스트리트에 위치할 예정이었다.[24]: 5 중간 표면 정지는 St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매리스 스트리트, 가프니 스트리트, 패커즈 코너, 하버드 애비뉴, 올스턴 스트리트.[24]: VI 몇몇 바쁜 등급 교차점 또한 제거될 예정이었고, 보고서는 브라이튼의 커먼웰스 에비뉴를 따라 빠르게 성장한 것이 나중에 레이크 스트리트로의 급행열차의 확장을 정당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24]: 32

1932년 켄모어 역과 블랑드포드 가 사이에 새로 개통된 지하철

주지사 광장 아래 지하철은 500만 달러(2020년 7300만 달러에 상당)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측됐다. BERY와 시는 이 비용에 반대했고 비행경사로가 비콘 스트리트 자동차와 전차 교통을 광장의 다른 교통과 분리시키는 140만 달러짜리 계획을 제안했다.[25] 이 터널은 결국 선택되었지만 입법부가 베리시가 도시로부터 지하철을 임대하기 위해 지불할 비용을 낮춘 후인 1930년이 되어서야 건설이 시작되었다.[26] 켄모어 역과 새로운 지하철은 에서 포털을 분리하기 위해 갈라졌다. 1932년 10월 23일 문을 연 비콘 스트리트와 커먼웰스 애비뉴의 블랑드포드 스트리트.[27][2]: 59 이 증축은 앞으로 더 서쪽으로 지하구간을 연장하는 등 커먼웰스 에비뉴 노선의 신속한 환승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26][2]: 44

커먼웰스 에비뉴 노선을 고속교통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관심은 지하철이 교외 지역으로 확장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서 줄어들었다. 1945년과 1947년 쿨리지 위원회는 (1926년 보고서 이후 다음 주요 계획 노력) 대신 보스톤과 알바니 철도 복도를 따라 평행 고속 철도 노선을 추천했으며, 지역 전차 서비스는 커먼웰스 애비뉴에 유지되었다.[28][18]: 16 그러나, 이 노선에 몇 가지 더 작은 개선들이 이루어졌다. 1926년 10월 27일 워싱턴 가에 측면이 개통되어 필요할 때 열차를 짧게 돌릴 수 있게 되었다.[2]: 59 1931년 2월 7일 레흐미어까지 비콘 스트리트와 커먼웰스 애비뉴 노선이 연장되어 레흐미어 간 셔틀 서비스와 지하철 내 여러 지점의 셔틀 서비스가 대체되었다.[29][30] 1931년 6월 30일, 블렌드포드 가 서쪽의 기존 크로스오버를 포켓 트랙으로 대체하여, 그곳에 전차들을 임시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1934년 9월 24일부터 시작된 지하철 단거리 운행을 위해 켄모어의 이전 표면 절단면을 대체했다.[2]: 59 1940년경, 레이크 스트리트 노선에 시스템 전체의 번호 변경의 일환으로 62번 노선이 배정되었다.[18]: 27 1940년 5월 6일, 이 노선은 베넷 스트리트 카하우스(하버드 스퀘어 근처)에서 리저지 카하우스로 재지정되어 케임브리지 스트리트에서 데드헤드 이동의 필요성이 없어졌다.[18]: 115

전후의 해

1943년 블렌드포드 스트리트 포탈에서 브레이브스 필드로 향하는 전차.

1940년대 초, 베리는 오래된 전차를 PCC 전차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PCC는 1944년 5월 레이크 스트리트 노선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45년 12월 10일 정기 운행으로 중앙출입차를 전면 교체하였다.[18]: 100 1926년 이후 수익 서비스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체스트넛 힐 애비뉴의 짧은 추적은 PCC 도입과 관련된 추적 작업의 일환으로 수정되었다. 1947년 5월 31일 커먼웰스 에비뉴에서 체스트넛 힐 에비뉴 남행으로 연결되는 연결 트랙이 개통되어 두 도로 사이의 우여곡절이 마무리되었다.[18]: 102 1947년 5월 21일, 보스턴 칼리지의 확장을 인정받아, BERY는 「레이크 스트리트」의 명칭을 「보스턴 칼리지」[18]: 99 로 변경하였다. 1947년 8월 29일, 민간 소유의 BERY가 공공 소유의 메트로폴리탄 교통국(MTA)에 의해 계승되었다.[18]: 17

1953년 1월 워싱턴 가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은 사이드는 크로스오버만 남겨두고 제거되었다.[31]: 202 1959년 4월, 백베이뉴턴빌 사이의 모든 보스턴과 알바니 철도 우스터 라인 정류장은 턴파이크 연장 공사를 위해 폐쇄되었고, 워터타운과 보스턴 칼리지 노선은 올스톤과 브라이튼을 운행하는 유일한 철도 환승역으로 남게 되었다.[32] 보스턴대는 1953년 브레이브스가 밀워키로 이전하면서 브레이브스필드를 매입했고, 곧 루프 영역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를 희망했다. 수년간의 요청 끝에, MTA는 1962년 1월 15일 루프를 포기했다.[31]: 214

1960년에는 워런 스트리트와 월링포드 로드 사이의 넓은 전차예약이 좁혀져 커먼웰스 에비뉴에 여행 차선을 추가하게 되어 전차선로는 여행 차선 사이에 재배치된 중앙분리대에 남게 되었다.[33][34]: 45 1961년 11월 25일, 보스턴 칼리지가 파크 스트리트 역으로 축소되었고, 1959년 개통된 리버사이드 라인은 그 대신 레치미어까지 연장되었다.[31]: 203 1963-65년, 보스턴과 알바니 철도의 커먼웰스 애비뉴 다리가 턴파이크 확장을 수용하도록 재건되었다. 임시 평행교를 이용하여 전차 운행이 유지되었다.[35][31]: 203

MBTA 시대

1964년 8월, MBTA(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가 MTA를 대체했다. 시스템 전반의 리브랜딩 노력의 일환으로 트레몬트 스트리트 지하철에 공급되는 잔여 전차 노선은 1965년 8월 26일 그린 라인이 되었다.[16] 1967년, 5개의 분점에는 구별하기 위한 서신이 주어졌다. 보스턴 칼리지 라인은 B 지점이 되었다. (워터타운 라인은 A 지점이 되었고, 비콘 스트리트 라인은 C 지점이 되었다.)[16] MBTA는 그린 라인 지점의 시내 터미널을 바꾸는 실험을 했다(보스턴 칼리지 라인의 시내 터미널을 단 두 번만 변경했던 이전과는 달리). B 지점은 1964년 11월 18일에 문을 연 정부 센터에서 새로운 루프까지 확장되었으며, 이는 루프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최초의 서비스였다.[16] 그 후 20년 동안, 도심 종착지가 자주 바뀌었는데, B 지점은 파크 스트리트, 정부 센터, 헤이마켓, 노스 스테이션, 레흐미어에서 다양하게 종착되었다. 1983년 7월 30일 종착역이 마침내 2004년까지 머물던 정부 센터 역으로 변경되었다.[16]

1969년 6월 21일, A 지점은 워터타운-켄모어 버스로 대체되어, 패커즈 코너 동쪽 커먼웰스 애비뉴의 전차 운행이 반감되었다.[16][2]: 48 1970년에, 중앙분리대는 체스트넛 힐 가와 레이크 스트리트 사이에 약간 남쪽으로 이동되었다.[36][37] 서행 도로는 사우스 스트리트와 그레이클리프 로드 사이의 중앙선 아래로 몇 피트 아래로 내려갔고 포스터 스트리트 정류장은 서쪽으로 500피트(150m) 떨어진 그레이클리프 로드 등급 건널목으로 이동했다.[34] 1975년경, University Road의 정류장은 중단되었고, Alcorn Street의 정류장은 동쪽으로 500피트 떨어진 Babcock Street로 옮겨졌다.[34]

시내 종착역은 2004년 6월 25일에 북부역으로 연장되었으나 2005년 1월 1일에 정부 센터로 축소되었다. 2014년 3월 22일 정부청사가 재건축을 위해 문을 닫으면서 파크 스트리트로 더 축소되었다. 2016년 역이 재개관했을 때, 파크 스트리트는 B 지점 종점으로 남아 있었다.[16] B지점은 내년 그린라인 연장 개통 준비의 일환으로 2021년 10월 24일 정부중앙회관으로 재증설되었다.[38] B 지점 증축은 블루 라인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고 시내 서비스를 보다 잘 보급하기 위한 것이었다.[39]

접근성 및 통합 중지

마운트 후드 로드 스톱(아웃바운드 플랫폼 그림)은 2004년에 폐쇄되었다.

2000년에 저층 LRV가 도입되면서 그린 라인에서 접근 가능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2000년대 초반, MBTA 수정 키 표면은 경전철 접근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상승된 플랫폼과 함께 정지한다. 2000년경 보스턴 칼리지보스턴 대학 센트럴휴대용 승강기가 설치되었다.[40][41] 보스턴 대학교 이스트, 보스턴 대학교 센트럴, 하버드 애비뉴, 워싱턴 스트리트 등 4개의 지표면 정류장은 2002-03년에 상향 플랫폼으로 변경되었으며, 보스턴 칼리지도 2009년에 비슷하게 변경되었다.[42][40]

B지점은 정차 횟수와 수평 횡단 횟수가 많은 등 운행 속도가 느려 승차자들로부터 자주 비판을 받는다. 2004년까지만 해도 이 노선은 표면 구간에서 22개의 정류장이 있는 반면, C지점과 D지점은 각각 13개, E지점은 9개였다.[43] 2003년 말 MBTA는 노선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5개 노면정류소(그레이클리프 로드, 치스윅 로드, 마운트 후드 로드, 서밋 애비뉴, 포드햄 로드)를 없앨 것을 제안했다. 다섯 정거장은 기수가 낮고 다른 역들과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44] 비록 가장 많은 승객 수에 영향을 미치지만, Packards Corner 동쪽에 있는 정류장은 선택되지 않았다. 그들의 가까운 간격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더 높은 승객 수를 가지고 있었고, 신호등과 가까웠기 때문에 제거로 인한 이동 시간 절약이 줄어들었다. 공개 논평 기간이 끝난 후, 치스윅 로드는 인근 노인 주택 커뮤니티에 서비스를 제공했기 때문에 제안에서 제외되었다.[44] 2004년 4월 20일, 나머지 4개 정류장은 6~8개월의 시범 프로그램으로 폐쇄되었다.[43] 2005년 3월 15일, 조사 대상 1,142명의 탑승자 중 73%가 폐쇄를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후, MBTA 이사회는 폐쇄를 영구히 하기로 투표했다.[44]

2014년 MBTA는 보스턴 대학교 웨스트 캠퍼스 근처에 위치한 보스턴 대학교 웨스트, 세인트 폴 스트리트, 플레전트 스트리트, 밥콕 스트리트 등 4개 정류장을 통합할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45][46] 접근하지 못했던 4개의 정류장은 BU 브리지와 패커드 코너 사이의 커먼웰스 애비뉴의 재구성의 일환으로 완전히 접근 가능한 2개의 정류장으로 대체되었다. MBTA는 2020년 3월 23일에 1780만 달러의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47] 공사는 2021년 2월부터 2022년 초까지 계속될 예정이었고, 2021년 상당 기간 야간과 주말 공사가 중단되었다.[48] 2021년 2월 '밥콕 거리'와 '아모리 거리'의 정지 명칭이 발표됐다.[49] 버스는 플랫폼과 캐노피 강재 건설을 위해 2021년 4월 17일부터 5월 9일까지 워싱턴 스트리트와 켄모어 사이의 철도 서비스를 대체했다.[50][51] 폐쇄 기간 동안 블렌드포드 가와 BU 센트럴 간 트랙 교체도 실시되었다.[52] 두 개의 새로운 역인 밥콕 가와 아모리 가가 2021년 11월 15일에 문을 열었다.[53]

2018-19년 트랙 작업에서는 플랫폼 가장자리 교체가 여러 정거장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정류장에서 접근성 수정 요건을 유발했다. MBTA는 2021년 5월 현재 패커드 코너, 서덜랜드 로드, 치스윅 로드, 체스트릭 로드, 체스트넛 애비뉴, 사우스 스트리트에서 2023–24년에 공사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54] 2021년, MBTA는 미래 프로젝트가 일부 또는 모든 표면 정지 지점의 넓은 섬 플랫폼으로 측면 플랫폼을 대체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55]

스테이션 목록

보스턴 대학교 센트럴, 선상에서 접근 가능한 7개의 지표역 중 하나
체스트넛 힐 애비뉴, 노선의 대표적인 출입이 불가능한 역
위치 열린 메모 및 연결
이스트 케임브리지 Disabled access 레치미어 1922년 7월 10일 원래 지상국은 1922년 7월 10일부터 2020년 5월 23일까지 열렸으며, 1980년 3월 21일 이후 B 지점은 운행하지 않았다. 고가역(D 지점과 E 지점)이 건설 중이다.
웨스트엔드 Disabled access 사이언스 파크 1955년 8월 20일 1980년 3월 21일 이후 B 지사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다. 2020년 5월 24일 임시 휴업(E 지사 제공)
노스엔드 Disabled access 북역 2004년 6월 28일 D 지점 및 E 지점의 현재 스테이션, 2004년 12월 31일 이후 B 지점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
Disabled access 헤이마켓 1898년 9월 3일 D 지점 및 E 지점의 현재 스테이션, 2004년 12월 31일 이후 B 지점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
보스턴 시내 Disabled access 정부 센터 Subway interchange MBTA 지하철: 블루 라인
Bus transport MBTA 버스: 191, 192, 193, 352, 354
Disabled access 파크 스트리트 1897년 9월 1일 Subway interchangeMBTA 지하철: 레드 라인
Bus transport MBTA 버스: SL5, 43, 55, 191, 192, 193
시내 건널목에서: 오렌지 라인, Bus transport 7, 11, 501, 504, 505, 553, 554, 556, 558
보일스턴 Bus transport MBTA 버스: SL5, 43, 55, 191, 192, 193
백베이 Disabled access 알링턴 1921년 11월 13일 Bus transport MBTA 버스: 9, 55, 192, 193
Disabled access 코플리 1914년 10월 3일 Bus transport MBTA 버스: 9, 10, 39, 55, 170, 192, 193, 502, 503
하인스 컨벤션 센터 Bus transport MBTA 버스: 1, 55, 193
펜웨이-켄모어 Disabled access 켄모어 1932년 10월 23일 Bus transport MBTA 버스: 8, 19, 57, 57A, 60, 65, 193
랜스다운: 프레이밍햄/워스터 라인
보스턴 대학교 블랑드퍼드 스트리트 c. 1894 Bus transport MBTA 버스: 57, 57A, 193
Disabled access 보스턴 대학교 동부 Bus transport MBTA 버스: 57, 57A, 193
Disabled access 보스턴 대학교 센트럴 Bus transport MBTA 버스: CT2, 47, 57, 57A, 193
대학로 1975년 폐쇄
Disabled access 아모리 스트리트 2021년 11월 15일 Bus transport MBTA 버스: 57, 57A, 193
올스턴 Disabled access 밥콕 스트리트 Bus transport MBTA 버스: 57, 57A, 193
패커즈 코너 c. 1895 Bus transport MBTA 버스: 57, 57A, 193
포드햄 로드 1900년 5월 26일 2004년 4월 20일 휴관
Disabled access 하버드 애비뉴 Bus transport MBTA 버스: 66
그리그스 스트리트
올스턴 스트리트
브라이튼 워런 스트리트
서밋 애비뉴 2004년 4월 20일 휴관
Disabled access 워싱턴 스트리트 Bus transport MBTA 버스: 65
마운트후드길 2004년 4월 20일 휴관
서덜랜드길
레밍턴 로드 1980년 6월 21일 휴관
치스윅로
체스트넛 힐 가 1896년 8월 15일 Bus transport MBTA 버스: 86
사우스 스트리트
그레이클리프 로드 c. 1970 1970년경 포스터 가에서 이주, 2004년 4월 20일 휴업
브라이튼/뉴턴 Disabled access 보스턴 칼리지 1896년 8월 15일

참조

  1. ^ "Ridership and Service Statistics" (PDF) (14th ed.).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14.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Clarke, Bradley H.; Cummings, O.R. (1997). Tremont Street Subway: A Century of Public Service.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ISBN 0938315048.
  3. ^ a b Annual Report of City Engineer (28 ed.). 1895. pp. 131–137.
  4. ^ Ninth Annual Report of the West End Street Railway Company for the Year Ending September 30, 1896. Walker, Young & Co. 1896. p. 5 – via Internet Archive.
  5. ^ "New Electric Line". Boston Globe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6. ^ "Newton". Boston Globe. August 15, 1896. p. 3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7. ^ "Commonwealth Av. Street Railway Company". Boston Globe. March 27, 1896. p. 5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8. ^ "Atlas of the City of Boston: Ward 25, Brighton". G.W. Bromley and Co. 1909 – via Ward Maps.
  9. ^ Durso, Holly Bellocchio (June 2011). Subway Spaces as Public Places: Politics and Perceptions of Boston's T (MCP).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 136.
  10. ^ a b "Changes Made by New Subway". Boston Globe. October 1, 1914. p. 3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11. ^ a b "Some of Old Lines are Discontinued". Boston Globe. November 20, 1914. p. 11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12. ^ "Newton". Boston Globe. October 28, 1914. p. 8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13. ^ "Lake St and Reservoir Car Changes". Boston Globe. November 6, 1915. p. 10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14. ^ "New 2-Car Trains on Huntington Av Feb 6". Boston Globe. January 24, 1922. p. 18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15. ^ a b Humphrey, Thomas J. (August 2020).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Fixed-Route Local Bus Transportation Network in the Cities and Towns of th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District as of December 31, 1973: Revised Edition" (PDF). NETransit.
  16. ^ a b c d e f g Belcher, Jonathan. "Changes to Transit Service in the MBTA district" (PDF).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17. ^ "Handling Traffic at Largest Baseball Park". Electric Railway Journal. Vol. 46, no. 13. September 25, 1915. p. 621 – via Internet Archive.
  18. ^ a b c d e f g h i j Clarke, Bradley H. (2003). Streetcar Lines of the Hub – The 1940s.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ISBN 0938315056.
  19. ^ "Sheet 10". Track Lengths of Surface Lines and Subway. Boston Elevated Railway. 1921 – via Ward Maps.
  20. ^ "Part of Ward 6, City of Newton". Atlas of the City of Newton, Massachusetts. G.W. Bromley and Company. 1917 – via Ward Maps.
  21. ^ "Part of Brighton, Ward 25, City of Boston". Atlas of the City of Boston, Wards 25 & 26, Brighton. G.W. Bromley and Company. 1916 – via Ward Maps.
  22. ^ a b "New Prepayment Station in Boston". Electric Railway Journal. Vol. 59, no. 23. June 10, 1922. p. 951.
  23. ^ "Chapter 45: Resolve providing for an investigation by the Division of Metropolitan Planning relative to the extension and development of rapid transit service in Boston, Somerville and surrounding cities and towns". Acts and resolves passed by the General Court of Massachusetts in the year 1924. May 24, 1924. pp. 602–603 – via Internet Archive.
  24. ^ a b c d Report on Improve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Boston. Division of Metropolitan Planning. December 1926. hdl:2027/mdp.39015049422689.
  25. ^ "Planning Board Agrees with Boston Elevated". Electric Railway Journal. Vol. 68, no. 20. November 13, 1926. p. 899.
  26. ^ a b Annual Report of the Transit Department of the City of Boston. Boston Transit Department. 1930. pp. 1–4 – via Internet Archive.
  27. ^ Annual report of the public trustees of the Boston Elevated Railway (14 ed.). Boston Elevated Railway. p. 14 – via Internet Archive.
  28. ^ Boston Elevated Railway; Massachusetts Department of Public Utilities (April 1945), Air View: Present Rapid Transit System – Boston Elevated Railway and Proposed Extensions of Rapid Transit into Suburban Boston – via Wikimedia Commons
  29. ^ Chasson, George Jr. (1987). Lonto, Arthur J. (ed.). "Boston's Main Line El: The Formative Years 1879-1908". Headlights. Electric Railroader's Association. 49: 25–26.
  30. ^ "Lake St, Reservoir, to Lechmere trains". Boston Globe. February 5, 1931. p. 7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31. ^ a b c d Clarke, Bradley H. (2015). Streetcar Lines of the Hub: Boston's MTA Through Riverside and Beyond.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ISBN 9780938315070.
  32. ^ Humphrey, Thomas J.; Clark, Norton D. (1985). Boston's Commuter Rail: The First 150 Years.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p. 24. ISBN 9780685412947.
  33. ^ Keblinsky, Joseph A. (September 1, 1960). "Commonwealth Avenue Gets a Face-Lifting Job". Boston Globe. p. 9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34. ^ a b c Sindel, David A. (June 2017). Strategies for meeting future capacity needs on the light rail MBTA Green Lin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dl:1721.1/111263.
  35. ^ "Commonwealth Avenue Bridge Replacement". Rollsign. Vol. 54, no. 7/8.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July–August 2017. p. 11.
  36. ^ "Ask the Globe". Boston Globe. February 18, 1970. p. 2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37. ^ Rosa, Francis (April 17, 1970). "Korea's Kim looms challenge in Marathon". Boston Globe. p. 29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38. ^ "Alerts: Subway".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October 14,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4, 2021.
  39. ^ DeCosta-Klipa, Nik (October 22, 2021). "A 'subtle' but permanent change is coming to the Green Line this weekend". Boston Globe. Retrieved October 24, 2021.
  40. ^ a b "Executive Summary" (PDF). Program of Mass Transportation. Boston Regional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 January 2004. p. 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February 20, 2012.
  41. ^ "Subway Map" (PDF).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 2001.
  42. ^ Rocheleau, Matt (28 September 2012). "MBTA to hold meeting on $20m project to rebuild Boston College Station". Boston Glo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 2012.
  43. ^ a b "Green Line B Branch Service Enhancements" (PDF). TRANSreport. Boston Regional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 May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November 26, 2010.
  44. ^ a b c Daniel, Mac (March 16, 2005). "T drops 4 Green Line stops after results of rider survey". Boston Glo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8, 2005.
  45. ^ "Comm. Ave. Green Line Improvements Public Meeting"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October 16, 2014.
  46. ^ O'Rourke, John (October 23, 2014). "T May Eliminate Two Green Line B Stops". BU Today. Retrieved October 31, 2014.
  47. ^ "FMCB Awards $17.8 Million for B Branch Station Consolidation Work"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March 23, 2020.
  48. ^ "B Branch Station Consolidation Project: Virtual Public Meeting" (PDF).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January 28, 2021.
  49. ^ "MBTA Announces Names of New Stations as Part of Green Line B Branch Station Consolidation Project"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February 11, 2021.
  50. ^ "Building a Better T: Green Line B Branch Station Consolidation Project Work Taking Place for Seven Weeks, Washington Street – Kenmore Work Begins April 17"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March 31, 2021.
  51. ^ "B Branch Accelerated Work 100% Complete"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June 14, 2021.
  52. ^ "Report from the General Manager" (PDF).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April 26, 2021. p. 11.
  53. ^ "New Babcock Street and Amory Street Stations Open November 15"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November 12, 2021.
  54. ^ Brelsford, Laura (May 24, 2021). "System-Wide Accessibility Initiatives—May 2021" (PDF).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Department of System-Wide Accessibility. p. 4.
  55. ^ Peña, Angel (June 21, 2021). "Green Line Transformation (GLT) Update" (PDF).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p. 7.

외부 링크

KML은 위키다타에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