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욤 파예
Guillaume Faye기욤 파예 | |
---|---|
![]() 2015년 페이 | |
태어난 | 앙굴렘, 프랑스 | 1949년 11월 7일
죽은 | 2019년 3월 6일 ( 프랑스 파리 | (69세)
주목할 만한 작품 | 고고학 (1998), 왜 우리는 싸워야 하는가 (2001)[4]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들 | 뉴라이트[1] [2] 미래주의 |
시리즈의 일부: |
프랑스의 보수주의 |
---|
![]() |
기욤 파예(Guillaume Faye, 1949년 11월 7일 ~ 2019년 3월 6일)는 프랑스의 정치 이론가, 언론인, 작가, 프랑스 [5][6]뉴라이트의 지도적인 구성원입니다.
조르조 [3]로치의 전통을 이어가며, 그의 다양한 기사와 책들은 유럽과 구소련의 백인 비무슬림 민족들을 통합하여 "유로시베리아"라는 실체로 만드는 데 필요한 적으로 이슬람을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Faye는 지역 및 국가의 불만이 이 목표에 역효과를 낼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유럽 [7]통합을 지지했습니다.
학자 스테판 프랑수아는 페이를 "프랑스 동일주의 우파, 더 넓게는 유럽-미국 우파의 교리적 말뭉치 갱신의 기원에 있는 범유럽 혁명-보수 사상가"라고 설명합니다.[5]
전기
초기 생활과 교육
기욤 파예는 1949년 11월 7일 앙굴렘에서 보나파르트 [3]우파에 가까운 부르주아 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그는 파리 정치 연구소에 다녔고, 1971년과 [8][3]1973년 사이에 학생 협회 세르클 파레토와 협회 GRECE를 운영했습니다.
그리스
도미니크 베너의 조언에 따라 페이는 1970년 누벨 드로이트 사상가 알랭 드 [1]베누아스트가 이끄는 민족주의 싱크탱크인 GRECE에 가입했습니다.그는 곧 운동의 연구와 연구 사무국의 수장이 되었고, 주요한 누벨 드로이트 이론가들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Faye는 그 당시에 Ellements, Nouvelle Ecole, Orientations, 그리고 Etudes et Recherches와 [3]같은 많은 뉴라이트 저널에 글을 썼습니다.1978년부터 그는 GRECE가 구체화한 "메타폴리틱스" 전략의 발기인이 되었지만, 결국 주류 우파 신문 피가로 매거진 [9]내의 진입주의 프로젝트는 실패했습니다.
동시에, 1980년대 초에, [10]그는 베상송 대학에서 성 사회학 강의를 했습니다.
GRECE 출발
니콜라스 르부르에 따르면, 기욤 파예는 1986년 말에 GRECE에서 추방당했고, 그의 퇴거는 특히 장 프랑수아[11] 티리아르에 대한 언급으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드 베누아스트와의 지적, 재정적 의견 차이 이후 파예는 GRECE에서 소외되었습니다.비록 그의 탈퇴가 1987년 8월 피에르 비알이 르 [12]몽드 신문에 쓴 편지를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지만, 그는 1986년 말에 싱크탱크에서 쫓겨났다고 합니다.반면, 로버트 스탁커스에 따르면, 기욤 페이는 GRECE의 발전과 알랭 드 베누아스트의 대우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1987년 4월에서 5월 사이에 스스로 떠났을 것입니다.Faye는 자신의 출발을 다음과 같이 정당화합니다. "GRECE와 마찬가지로 뉴라이트는 자신의 그림자에 불과하며 정체성을 위한 싸움을 포기했습니다.그들은 유럽의 정체성을 수호하려는 생각을 버리고 거짓 반군처럼 체제에서 인정받기를 열망합니다(분명히 헛수고입니다). 그들은 극좌파 및 외교 세계의 입장과 완전히 일치합니다. 예를 들어:이슬람교, 제3세계주의, 이민에 대한 라디오 침묵("회피" 전략: 무엇보다도 어떤 충격에 대해 말하지 않음), 요약 반자본주의, 거침없고 효과적이지 않은 반미주의, 고통스럽고 소란스럽고 증오스러운 반시온주의."[2]후에, 그는 그의 책 "Archéofuturisme" (1998)에서 "새로운 권리"의 실패로 간주되는 것에 대한 알랭 드 베누아스트의 책임을 강조하는 비망록을 출판했습니다.그는 그것이 민속 이교도, "수정된 좌파" 또는 "빈말에 대한 집착"과 같은 "막다른 골목"에 빠져 있다고 믿습니다.그는 새로운 권리의 개념이 "이제 너무 많은 모호성을 부담"하기 때문에 파산했다고 생각합니다.
미디어 경력
Faye는 그 후 정치적 행동주의와 거리를 두었고 미디어 산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1991년과 1993년 사이에, 그는 도시의 라디오 방송국 스카이록에서 '스카이맨'[9]이라는 이름으로 연예인으로 일했습니다.그는 또한 L'Echo de Savanes and VSD의 기자였으며, 프랑스 2의 토크쇼인 [13]Télématin에 출연했습니다.페이는 베상송 대학에서 성 [14]사회학을 가르쳤고, 포르노 [9][15]영화에도 출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치적 행동주의로의 회귀
Faye는 1998년에 그의 책 Archofuturism의 출판과 함께 정치적 행동주의로 돌아갔고, 2000년에는 [16]유럽의 식민지화가 뒤따랐습니다.드 베누아스트에 의해 "강력한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비판받은 후자는 그에게 인종 [17]혐오를 선동한 혐의로 형사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Faye는 GRECE 동조자, 군주주의자, 전통 가톨릭 신자 및 신이교도들과 회의를 조직했습니다.그러나 드 베누아스트의 요청으로 그는 2000년 [16]5월 GRECE에서 다시 한번 제외되었습니다.
페이는 1995년 전 GRECE 멤버인 피에르 비알, 장 마비레, 장 하우드리에 의해 설립된 신이교 운동인 테리 푸플과 친해졌지만, 2007년 그의 책 '새로운 유대인 질문'('La Nouvelle Question Juive')[16]을 출간한 후 추방당했습니다.일부 혁명적 민족주의자들과 가톨릭 전통주의자들 사이에서는 지나치게 "시온주의자"[18]로 간주됩니다.1999년과 2002년, 그는 헨리 드 레스퀸이 이끄는 [19]국가-자유주의 싱크탱크인 클럽 드 로로지에 의해 조직된 회의에서 연설하도록 초대받았습니다.
2019년 3월 6일 암 [20]투병 끝에 사망.그의 죽음이 주류 언론에서 제한적인 언론 보도를 받았지만, 그는 장마리 르펜, 댄 루트, 다니엘 프리버그, 그레그 존슨, 재러드 테일러, 리차드 스펜서, 그리고 마틴 [21]셀너를 포함한 많은 극우 운동가들에 의해 칭찬을 받았습니다.
아이디어들
GRECE 기간 (1970-1987)
페이의 생각의 핵심 개념은 전체론적이고 유기적인 사회를 가능하게 한 우주 질서에 정렬된 준이상적인 물체로 보이는 이교도가 뿌리를 내리고 차별주의적인 종교이며, 따라서 [9]서양의 지배적인 "혼합애적"이고 보편주의적인 세계관에 대한 해결책이라는 것입니다.Faye는 또한 생물학적,[22] 문화적으로 정의된 정체성의 확산에 참여했습니다.1979년, 그는 지중해 [23]양쪽의 문화적, 생물학적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 이민자가 아닌 이민과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980년대 초에 출판된 그의 첫 번째 책은 소비주의 사회에 대한 거부감과 페이의 지적 상수 중 하나인 세계의 표준화와 서구화를 발전시켰습니다.그에게 다인종 사회는 본질적으로 "다인종주의자"이며, 그는 비유럽 이민자들이 각자의 "문명 지역"[22]으로 돌아갈 것을 요구했습니다.1985년, 페이는 프랑스의 시온주의 "오피니언 서클"이 프랑스 정부가 사담 후세인의 바트주의 정권과의 관계를 끊도록 강요했다고 진술했고,[22] 그는 이스라엘을 위해 지정학에 영향을 미치기를 원하는 미국의 "시온주의 로비"를 비난했습니다.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 정계로 복귀한 후, 페이는 친아랍적 입장에서 역전했고 아랍인과 [24]무슬림에 대항하는 상황의 잠재적인 정치적 동맹국으로서 이스라엘의 지지자가 되었습니다.
후기 (1998-2019)
페이는 유럽인들의 "민족 의식"에 호소하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출판된 여러 책을 통해 페이는 토착주의의 중요한 이념이 되었고 학자 스테판 프랑수아가 "1900년대에서 1930년대를 연상시킨다"[24]고 묘사한 인종주의의 한 형태를 옹호했습니다.페이는 "문명의 민족적 기반"은 "문명의 생물학적 뿌리와 [18]민족의 뿌리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는 또한 "가치와 혈통에 대한 충성"을 언급했고, 유럽의 인구 통계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생주의와 우생주의 정치를 장려했으며,[24] 다른 문명을 제거해야 할 적으로 간주하는 "적자 투쟁"에 대한 인종주의 다윈주의 개념을 채택했습니다.
페이는 서구가 인구 감소와 퇴폐적인 사회 구조, 북한과 남한 사이의 추정되는 민족 종교적 충돌, 그리고 일련의 세계적인 금융 위기와 통제되지 않는 환경 오염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고 믿었습니다.발표된 문명과 생태학적 붕괴를 피하기 위해 페이는 "타고난 추장", 카리스마 있고 천대적인 사람, 사람들의 정체성과 조상을 보호하고 비상 [14]상황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사람이 이끄는 권위주의 정권을 추진했습니다.Faye는 또한 자신의 [22][25]민족 집단에 대한 자기 혐오로 정의되는 "에트노마조히즘"이라고 부르는 것을 비난했습니다.2001년에 처음 출판된 Why We Fight에서, Faye는 '메타폴리틱스'를 "깊고 장기적인 정치적 [26]변혁을 자극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문화적 가치의 사회적 확산"이라고 정의했습니다.
Faye가 1998년에 만든 개념인 "Archofuturism"은 기술 과학과 "고대적 가치"[27]의 조화를 의미합니다.그는 "고대"라는 용어가 [16]그것의 원래 고대 그리스어, 즉 과거에 대한 맹목적인 애착이 아니라 '기초' 또는 '시작'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페이에 따르면, 반근대주의자와 반혁명주의자는 사실 시간에 대한 동일한 편향된 선형 개념을 공유하는 현대성의 거울 구조입니다.파예는 그의 이론을 "비근대적"이라고 정의하면서, 프리드리히 니체의 영원한 복귀 개념과 미셸 마페솔리의 포스트모던 사회학적 [16]작품에 영향을 받았습니다.정치학자 스테판 프랑수아는 고고학을 "포스트모던 철학, 서구 반문화의 일부 요소, 그리고 인종차별"[28]의 조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영향을 주다
1980년대에, 그의 작품은 영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또는 스페인어로 번역되었고, 페이는 유럽 뉴라이트 그룹에 의해 조직된 수많은 회의에서 연설했습니다.비록 그가 1980년대 후반에 모든 정치 활동을 포기했지만, 그의 첫 번째 책과 기사는 나중에 "알트 우파"[14]라고 불리게 된 초기 운동의 미국 활동가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논의되었습니다.정치적인 글로 복귀한 후, 페이는 1998년과 2006년 사이에 GRECE 및 민족주의 혁명 투사들과의 관계를 다시 시작했습니다.그는 2006년 6월 모스크바에서 조직된 한 회의가 [29]자격이 주어지면서 가브리엘레 아디놀피, 피에르 크렙스, 에르네스토 밀라, 피에르 비알 또는 갈리나 로스코와 같은 유럽 극우 무장단체와 함께 "백세계의 미래"를 방어하는 것을 발견하면서 "국가-서구주의"의 중요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2006년 이후, Faye는 Jared Taylor가 이끄는 미국 르네상스 협회에 의해 조직된 컨벤션에 참여했고, 그의 아이디어는 미국 Alt Right 웹사이트인 Counter-Currents에 [18]의해 논의되었습니다.두 번째 지적 시기의 그의 작품들은 "영어로 된 누벨 드로이트 [30]문학 출판에서 경쟁의 여지가 없는 세계적 리더"로 묘사된 Arktos [18]Media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습니다.페이와 알랭 드 베누아스트의 글, 특히 그들의 메타 정치적 입장은 미국의 극우 운동가 리처드 B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스펜서, 스웨덴의 동일인 다니엘 프리버그, 그리고 전체적으로 동일인 [31][21]운동.드 베누아스트에 대해서 말하자면, 페이의 글은 철학자 폴 피코네가 [32]창간한 미국의 뉴 레프트 저널 텔로스에서 논의되었습니다.스테판 프랑수아에 따르면 페이는 "프랑스 토착주의의 교리적 쇄신에 책임이 있으며, 더 넓게는 유럽-미국 [28]급진 우파의 발전에 책임이 있습니다."2010년과 2011년에 Arktos가 그의 저서 Archofurism과 Why We Fight in English를 번역한 것은 Faye를 글로벌 New Right 네트워크 [6]내에서 "유명인사-지식인"으로 만들었습니다.
작동하다
- Le Système attueles people, 코페르니쿠스 1981.
- 콘트렐 경제학, 르 미로, 1983.
- 섹스와 이데올로지, 르 미로, 1983년
- La Nouvelle société de consumption, Le Mazzinth, 1984.
- L'Occident commédeclin, 르 미로, 1984.
- 아방게르, Carère, 1985.
- Nouveaux는 Ala Nation Europénne, Albatros, 1985에 대해 설명합니다.
- Europeet modernité, Eurograf, 1985년
- Petit Lexique du participeen (협력자), Eurograf, 1985.
- Les Nouveaux는 독특한 신조어를 즐깁니다, Le Mazroin the, 1985.
- La Soft-idéologie (피에르 바베스 역의 공동작업자), Robert Laffont, 1987.
- Le Guide de l'enguelade, Press de la Cité, 1992.
- 비올, 약탈, 에스클라바지즘, 크리스토프 콜롬, cet in compriis: 에사이 역사적 역사, 그랜처, 1992.
- Le Manuel duéducéur pressé, Press de la Cité, 1993.
- L'Archéo futurismme, L'Aencre, 1998.영어 번역:고고학, 아르코스, 2010.
- La Colonization de l'Europe: Vraisur l'Imission et l'Islam, L'Encre, 2000에 대해 설명합니다.영어 번역:유럽의 식민지화, 아크토스, 2016.
- 레 엑스트라 테레스트 드 아자즈, 듀얼파, 2000.
- 연속적인 전투: 마제네 드 라 레지스탕스 유로페엔, L'Encre, 2001.영어 번역:우리가 싸우는 이유: 유럽 저항 선언, Arktos, 2011.
- 시라크는 콘트레 파초, GFA, 2002년.
- 아방게르, L'Anvot-guervant-guerre
- Lecoup de Etatmondial: Essai surle Nouvel Impérialisme Americaain., L'Encre, 2004영어 번역:A Global Coup, Artos, 2017.
- L'Encre, 2004, L'Encre, 대재앙의 융합.영어 번역:재앙의 수렴, Arktos, 2012.
- La Nouvelle Question juive, Le Lorre, 2007.
- Sexetet Dévoiement, Leséditions du Lore, 2011.영어 번역:섹스와 일탈, 아크토스, 2014.
- L'Archéofuturisme V2.0 : novelles 대재앙, Le Lorre, 2012영어 번역:Archofuturism 2.0, Arktos, 2016.
- 월요일 프로그램: 비프로그램 레볼루전서 권고 pas a changer les regle du jeu mais a changer de jeu, Les Editions du Lore, 2012.
- 2015년 타타미스, 컴프렌드렐 리슬람.영어 번역:이슬람의 이해, Arktos, 2016
- 게레 민간 인종, Editions Conversano, 2019.영어 번역:민족 종말론: 다가오는 유럽 내전, 아크토스, 2019 (제러드 테일러의 서문)
- 네덜란드, 사후소설, Editions Conversano, 2020
레퍼런스
- ^ a b Lamy 2016, 274-275페이지
- ^ a b Jean-Yves Camus (2015). Les Faux-semblants du Front national, sociologie d'un parti politique (in French). Presses de Sciences Po.
- ^ a b c d e 프랑수아 2019, 92페이지
- ^ Maly 2022, 4페이지
- ^ a b 프랑수아 2019.
- ^ a b Maly 2022, 3페이지
- ^ 2021년 베이스.
- ^ 라미 2016, 274페이지
- ^ a b c d 프랑수아 2019, 93페이지
- ^ Emmanuel Lemieux (1 December 2002). "Le retour des affreux" (in French). Technik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February 2016. Retrieved 12 July 2023.
- ^ Nicolas Lebourg (8 April 2015). "Ce n'est pas une interview : c'est une déclaration de guerre de Jean-Marie Le Pen". Slate France (in French).
- ^ Camus & Lebourg 2017, 139페이지
- ^ François, Stéphane (2020). L'occultisme nazi. CNRS Édition. ISBN 978-2-271-13172-0, 488입니다.
- ^ a b c 프랑수아 2019, 97페이지
- ^ Camus 2021, 69페이지
- ^ a b c d e 프랑수아 2019, 94페이지
- ^ Camus & Lebourg 2017, 페이지 141.
- ^ a b c d 프랑수아 2019, 98페이지
- ^ Lamy 2016, 267쪽 n. 5.
- ^ Camus 2021, 67-68페이지
- ^ a b Maly 2022, 1-2페이지.
- ^ a b c d 프랑수아 2019, 95페이지
- ^ Camus & Lebourg 2017, 124페이지
- ^ a b c 프랑수아 2019, 96페이지
- ^ Camus 2021, 72페이지
- ^ Teitelbaum 2019, "Daniel Friberg and Metapolitics in Action", 260페이지; 인용
- ^ 프랑수아 2008, 187페이지
- ^ a b 프랑수아 2019, 91페이지
- ^ 프랑수아 2019, 페이지 97–98.
- ^ Teitelbaum 2017, 51페이지
- ^ Teitelbaum 2017, 45페이지
- ^ 프랑수아 2019, 99페이지
서지학
- Bassin, Mark (2021). "Geopolitics or ethnopolitics? Guillaume Faye, the European far right, and the 'Russia problem'". Contemporary Far-Right Thinkers and the Future of Liberal Democracy. Routledge. pp. 103–120. doi:10.4324/9781003105176-9. ISBN 978-1-003-10517-6. S2CID 238697212.
- Camus, Jean-Yves; Lebourg, Nicolas (2017). Far-Right Politics in Europe.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71530.
- Camus, Jean-Yves (2021). "Guillaume Faye, from New Right intellectual to prophet of the racial civil war". Contemporary Far-Right Thinkers and the Future of Liberal Democracy. Routledge. ISBN 978-1000431902.
- François, Stéphane (2008). Les néo-paganismes et la Nouvelle droite, 1980-2006: pour une autre approche. Archè. ISBN 978-88-7252-287-5.
- François, Stéphane (2019). "Guillaume Faye and Archeofuturism". In Sedgwick, Mark (ed.). Key Thinkers of the Radical Right: Behind the New Threat to Liberal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pp. 91–101. ISBN 978-0-19-087760-6.
- Lamy, Philippe (2016). Le Club de l'Horloge (1974-2002) : évolution et mutation d'un laboratoire idéologique (PhD thesis). University of Paris 8 Vincennes-Saint-Denis.
- Maly, Ico (2022). "Guillaume Faye's legacy: the alt-right and Generation Identity". Journal of Political Ideologies. 28: 35–61. doi:10.1080/13569317.2022.2045460. ISSN 1356-9317. S2CID 247141591.
- Teitelbaum, Benjamin R. (2017). Lions of the North: Sounds of the New Nordic Radical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0212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