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S 런던(69)
HMS London (69)![]() |
![]() | |
역사 | |
---|---|
![]() | |
이름. | HMS 런던 |
동명인 | 런던 |
빌더 | 포츠머스 조선소 |
누웠다 | 1926년 2월 23일 |
개시. | 1927년 9월 14일 |
위탁. | 1929년 1월 31일 |
신분증 | 페넌트 번호 69 |
운명. | 폐기용으로 판매, 1950년 1월 3일.1950년 1월 22일 T. W. W. Ward of Barrow에 의해 해체됨 |
일반 특성 | |
종류 및 종류 | 카운티급 중순양함 |
변위 |
|
길이 | 633 피트 (150 m) |
보 | 66피트(20m) |
. 말목 말과에 속하는 | 21피트(6.4m) |
추진력 |
|
속도 | 32노트(59.3km/h) |
범위 | 9,120 nmi (12 kn에서) |
보완하다 | 784 |
무장 | |
항공기 탑재 | Supermarine Walrus 1개, 캐터펄트 1개 |
HMS 런던, 페넌트 넘버 C69는 영국 해군의 카운티급 중순양함 두 번째 그룹의 일원이었다.그녀와 그녀의 자매들; Sussex, Shropshire, Devonshire는 조금 더 뒤쪽에 위치한 작은 전방 상부 구조물과 작은 갑옷 도금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켄트 계급으로 알려진) 이전의 카운티 그룹과 달랐다.HMS 런던의 경력은 20년이 넘었습니다.
전후 경력 및 재구축

런던은 1926년 2월 23일 포츠머스 선착장에 설치되었고, 이후 1927년 9월 14일에 출범하여 1929년 1월 31일에 취역하였다.런던은 1939년 3월까지 제1순양함대에서 복무했으며, 제1순양함을 지휘하는 동안 맥스 호튼 제독의 기함이었다.이 시기에 그녀의 기장은 헨리 하우드였다.1936년부터 그녀는 찰스 케네디 퍼비스 부제독(나중에 찰스 경)의 기함이었고 1937년 9월 1일 그녀는 언니 배 서섹스와 함께 도제스 궁전 맞은편에 정박하면서 일주일 동안 베니스에 친선 방문을 했다.런던과 그녀의 자매선 Shropshire는 스페인 내전 동안 바르셀로나에서 수천 명의 민간인들을 대피시켰다.1939년 3월부터 그녀는 채텀 조선소에서 재건중이었고, 외관이 많이 바뀌었다.그녀의 기계의 교체가 고려되었지만, 후에 포기되었다.그녀는 메인 갑판 위에 새로운 상부 구조물을 받았고 많은 면에서 피지급 경순양함과 비슷했다.그녀의 1개의 4인치 포탑은 트윈포탑으로 변경되었고, 20mm AA포와 레이더가 몇 개 추가되었다.게다가, 그녀는 기계 공간을 덮고 있는 주 갑판으로부터 8피트 깊이의 3인치 시멘트 장갑 벨트를 장착했다.재건 작업은 1941년 3월에 마침내 완료되었다.수리 작업은 카운티급의 다른 선박에 시행될 계획이었지만 전시 압력으로 인해 다른 선박은 재건되지 않았다.
전시 경력
런던은 1941년 5월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호의 추적에 관여했다.바다에서 이 시간 동안,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새로운 상부 구조물의 무게 때문에 그녀의 상갑판과 선체에 많은 균열이 나타났다.그녀는 1941년 10월 타인강의 상업 조선소에 들어갔고 1942년 2월까지 수리 중이었다.런던은 1942년 3월부터 1942년 11월까지 북대서양에서 여러 미국 해군 군함의 호송 보호 임무를 수행했다.북대서양의 거친 바다에서 이 기간 동안의 작전은 선체 균열과 하단 선체에 리벳이 터지는 것을 야기했고, 더 새롭고 정교한 레이더와 더 가벼운 대공포를 장착하기 위해 1942년 12월에 배는 다시 건식 도크에 들어가야 했다.이 개조작업은 선체를 바로잡았고 1943년 5월에 완성되었고 7월에 출항할 준비가 되었다.해상 시험과 탄약 적재 후, 그녀는 남아프리카 해안에서 작전 임무를 맡았고, 그 후 남은 전쟁 기간 동안 동부 함대에 배치되었다.
전후 자수정 사태와 폐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고 영국 해군의 유일한 현대화된 8인치 포순양함이었던 런던은 그녀가 전후 함대에서 복무할 수 있도록 1946년 초에 추가 근무를 위해 다시 배치되었다.수리 후 1946년 극동으로 항해하여 이후 3년간 중국역에서 근무하였다.
1949년 봄, 호위함 자수정호는 양쯔강 상류로 진격하는 중국 공산군에 의해 함정에 빠졌다.런던은 그 호위함을 구출하기 위해 힘을 과시하기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갔다.공산군은 겁에 질리지 않고 순양함을 포격했다.런던은 8인치와 4인치 총으로 대응사격을 가해 수백발을 발사했지만 여러 차례 맞았다.포워드 8인치 포탑 2개와 포탑 "X" 포탑이 파손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고, 브릿지는 여러 번 부딪혔다.런던은 강 하류로 후퇴하여 7월 말까지 수리를 위해 홍콩으로 돌아왔다.
런던은 1949년 8월까지 중국 해역에 있다가 HMS 케냐에 의해 풀려났고 1949년 가을 영국으로 돌아왔다.런던은 추가적인 서비스를 위해 광범위한 수리 및 재장비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조사되었지만, 그녀가 필요로 하는 많은 승무원들뿐만 아니라 192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1930년대 재건 기간 동안 교체되지 않은 그녀의 기계의 상태 때문에 영국의 전후 재정적인 어려움을 고려할 때 그녀는 너무 비싼 제안을 하게 되었다.그녀는 1950년 폐기 처분으로 매각될 때까지 팔 강으로 유보하기 위해 은퇴했다.
갤러리
레퍼런스
- Campbell, N.J.M. (1980). "Great Britain". In Chesneau, Roger (ed.).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22–1946. New York: Mayflower Books. pp. 2–85. ISBN 0-8317-0303-2.
- Friedman, Norman (2010). British Cruisers: Two World Wars and After. Barnsley, UK: Seaforth Publishing. ISBN 978-1-59114-078-8.
- Raven, Alan & Roberts, John (1980). British Cruisers of World War Two.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922-7.
- Rohwer, Jürgen (2005).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The Naval History of World War Two (Third Revised ed.).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9114-119-2.
- Whitley, M. J. (1995). Cruisers of World War Two: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London: Cassell. ISBN 1-86019-874-0.
추가 정보
- 두 개의 빨간 줄무늬: 전쟁 중인 해군 군의관, R 랜섬 월리스, Ian Allan Ltd, ISBN 0-7110-0461-7
외부 링크
- HMS 런던 서비스 이력(Naval-history.net)
- U보트의 HMS 런던그물
- 제2차 세계 대전 순양함
- Meet the Ship. Imperial War Museum.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