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S 슈롭셔
HMS Shropshire![]() HMS 슈롭셔 | |
역사 | |
---|---|
![]() | |
이름 | HMS 슈롭셔 |
네임스케이크 | 영국 슈롭셔 주 |
주문된 | 1926년 3월 17일 |
빌더 | 윌리엄 비어드모어와 컴퍼니(스코틀랜드 달무어) |
눕다 | 1927년 2월 24일 |
시작됨 | 1928년 7월 5일 |
완료된 | 1929년 9월 12일 |
커미셔닝됨 | 1929년 9월 24일 |
해체됨 | 1942년 12월 23일 |
식별 | 페넌트 수: 73, 후반 83, 후반 96 |
명예와 상을 주다 | |
운명 | RAN으로 전송됨 |
![]() | |
이름 | HMAS 슈롭셔 |
커미셔닝됨 | 1943년 4월 20일 |
해체됨 | 1949년 11월 10일 |
좌우명 | "플로라트 암보" |
명예와 상을 주다 | |
운명 | 1954년 7월 16일 고철용으로 판매됨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군급 중순양함 |
변위 |
|
길이 | 633 ft(평방미터 m |
빔 | 66피트(20m) |
드라우트 | 21피트(6.4m) |
추진 |
|
속도 | 32노트(59km/h; 37mph) |
범위 |
|
보완 | 690(평화), 1000(전쟁) |
무장을 |
|
갑옷 | |
운반된 항공기 | 비행기 한 대, 투석기 한 대. 페어리 3세, 호커 오스프리, 슈퍼마린 월러스 |
HMS Shropshire는 County급 순양함의 런던 하위급 중형 순양함(RN)이었다. 그녀는 영국 Shropshire의 이름을 딴 유일한 군함이다. 1929년에 완공된 Shropshire는 1942년까지 RN과 함께 복무했고, 그 때 자매선 HMAS 캔버라를 잃은 후 Royal Australian Navy(LAN)로 이송되었다. HMAS Shropshire로 임관된 이 배는 1949년까지 RAN 서비스를 계속했으며, 1954년에 고철용으로 판매되었다.
디자인
Shropshire는 County급 순양함의 런던 디자인에 따라 만들어진 네 개의 무거운 순양함 중 하나이다.[1] 순양함은 표준하중 9830t의 배수량이었으며, 전체 길이는 632.75피트(192.86m), 수직 간 길이는 595피트(181m), 빔은 66피트(20m)이었다.[1]
추진 시스템은 8개의 야로형 보일러로 구성되었는데, 이 보일러는 파슨스가 지렛대를 공급했다.[2] 이들은 8만 개의 샤프트 마력을 발생시켰고, 이 마력은 배의 직경 3.4m의 프로펠러 4개에 공급되었다.[2] 순양함은 최대 32.25노트(59.73km/h; 37.11mp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으며, 12노트(22km/h; 14mph)는 지정된 경제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1] 경제적인 속도로, 그녀는 8,700해리(16,100km; 10,000mi)를 여행할 수 있었다.[2]
무장을
순양함의 초기 무장은 트윈 터렛 4개에 BL 8인치 Mk 8 해군 총 8개, 대공 방어를 위한 QF 4인치 Mk V 해군 총 4개, 대공 방어를 위한 QF 2파운드 해군 총(또는 폼폼) 4개, 3파운드 포 4개, 그리고 포인트 방어를 위한 다수의 소형 칼리 포로 구성되었다.[1] 1930년대에는 0.5인치 기관총 두 발이 포인트 방어 무장에 추가되었다.[1]
1943년 RAN으로 이적하기 직전에 Shropshire는 재장착을 받았다.[1] 주력 무장은 변함이 없었지만 4인치 포를 트윈 마운팅으로 격상시켰고, 대공 무장은 20mm 오를리콘 포 18개(트윈 마운팅 7개, 싱글 마운팅 4개)와 QF 2파운드의 마크 6세 8발 폼폼으로 교체했다.[1] 3파운드짜리 포는 삭제됐고, 21인치 어뢰용 4중 튜브 발사대 2기와 수심 충전 슈트가 설치됐다.[1] 같은 재장착 과정에서 순양함은 항공기 운항을 중단했고, 항공기 투하장치는 제거됐다.[2]
1945년 시드니에서 다시 조립하는 동안 슈롭셔의 무장은 다시 바뀌었다.[2] 어뢰관과 깊이충전 투척기는 배에서 벗겨졌고, 오를리콘 전체 복장은 40㎜ 보퍼스 단발 15발로 교체됐다.[2] 1946년 2월까지 보퍼스 포의 6개가 제거되었고, 순양함의 무장은 최종 구성에 안착되었다.[2]
건설
순양함 건설은 1926년 3월 17일에 명령되었다.[3] Shropshire는 1927년 2월 24일 스코틀랜드의 Dalmuir에 있는 William Beardmore and Company의 조선소에 놓여졌다.[2] 그녀는 1928년 7월 5일 포와이스 백작부인 바이올렛 허버트에 의해 발사되었다.[2] 1929년 9월 12일에 완공된 이 순양함은 1929년 9월 24일에 RN으로 임관되었다.[2]
이 배의 이름은 윌리엄 브릿지만 해군 제독이 선택했는데, 그의 선거구는 슈롭셔 주에 있었다.[1] Shropshire는 RN 또는 RAN의 유일한 선박이다.[3] 배의 배지는 슈롭셔 카운티 의회의 품에서 표범의 얼굴을 가져간다.[4]
운영이력
RN 서비스
슈롭셔는 사후 작업 끝에 1929년 11월 영국 지중해함대 제1순양함대에 배속되었다.[3] 1935년과 1936년 동안 순양함은 아비시니아 위기에 대한 영국의 대응에 관여했다.[3] 슈롭셔는 스페인 내전에도 참가했으며, 1936년 8월 22일에서 9월 16일 사이에 바르셀로나에서 피난 온 난민들의 대피를 지원했다.[3] 그녀는 1939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때까지 지중해에 남아 있다가 무역 보호 순찰을 위해 남대서양으로 순양함을 재배치했다.[3]
1939년 12월 9일, 슈롭셔는 독일 상인 아돌프 레온하르트를 가로챘다. 아돌프 레온하트는 그녀 자신의 선원들에 의해 몸싸움을 당했다.[5][6] 이 순양함은 1940년 초 재장착을 위해 영국으로 돌아왔고, 인도양으로 가서 케이프타운-두르반-맘바사-아덴 간 호송차량에[3] 고용되었다.[citation needed] 그녀는 1941년 당시 이탈리아 소말릴란드와의 전투에도 참여하여 케냐에서 아비시니아로 남아공군이 진격하는 동안 모가디슈와 키스마유 모두를 폭격하고 2월 13일 이탈리아 선박 펜실바니아호를 모가디슈 앞바다에 침몰시켰다.[3][citation needed] 그녀는 남 대서양에, 사이먼의 타운에서 3월과 6월 1941년 사이에 수리하다. 변화를 겪는 중, 그녀는 채텀으로 20003.[를 갈아타고 있는 홈 10월 1941년에 채텀에서 10월 1941[표창 필요한]과 1942년 3월 사이가 주요한 수리하다의 남 대서양으로 올 연말까지 돌아가기 전에 왔다 남아 있었다.3]
이 순양함은 전시 임무로 RN 전투 "대서양 1941"과 "북극 1941"의 영예를 얻었다.[4]
RAN으로 전송
사보섬 전투에서 켄트 하위급의 카운티급 순양함인 호주 중형 순양함 HMAS 캔버라가 패소한 데 이어 슈롭셔를 선물로 RAN으로 이양한다는 발표가 나왔다.[7] 조지 6세는 1943년 9월 10일 이 배의 이름을 캔버라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7] 그러나 비슷한 시기에 프랭클린 델라노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은 건설 중인 볼티모어급 순양함 피츠버그호를 캔버라호로 개칭함으로써 호주 군함의 손실을 기념하는 길을 택했다.[8]
미 해군과의 선박명 중복은 RAN 정책에 반하는 것으로, 처음에는 호주가 그 명칭에 대해 더 많은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느꼈다.[9] Shropshire의 원래 이름을 유지하는 것에 찬성하는 항의는, 최근에 침몰한 배의 이름을 바꾼 것이 불운을 불러온다고 느끼는, 그리고 그 해 초 군함 주간에서 순양함을 채택한 배의 이름 변경의 시민들로부터, Shropshire의 원래 이름을 유지하는 것에 찬성하는 항의를 받았다.의 역사와 지역 사회와의 연결고리는 생각 없이 버려지고 있었다.[9] 한 서신은 옛 이름을 유지하기 위해 이 배의 이름을 "HMAS 캔버라(HMS의 선물) Shropshire"라고 지을 것을 제안했다.[8] 호주 정부는 미국의 제안이 루즈벨트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왔다는 사실을 알고 슈롭셔의 옛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8]
Shropshire는 1942년 12월부터 1943년 6월 20일까지 Chatham에서 재장착을 받았다.[3] 선장 존 어거스틴 콜린스는 4월 20일에 취항식을 거행하였지만, 호주인(그날 도착)이 RN 럼 문제에 관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4월 17일부터 호주의 위탁 군함으로서 선박을 행정적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성공했다.[4] 재장착은 6월 25일에야 완료되었다.[3]
란 서비스
Shropshire는 지브롤터로 가는 호송차량의 일부로 8월에 영국을 떠났다.[3] 그 후, 그녀는 호주로 계속 갔고, 10월 2일에 시드니에 도착했다.[3] 이달 말 브리즈번에서 74 태스크포스(TF)에 합류해 12월 중 아라웨와 케이프 글로스터에서 수륙양용 상륙을 지원했다.[3] 1944년 3월, Shropshire는 해군 군도 캠페인에 참여했다.[3] 4월 동안 이 순양함은 홀란디아 상륙에 참가했다.[3] 지난 5월 와크데-사미-비아크 지역에서 작전을 펼치던 중 슈롭셔와 HMAS 와라마운가 사이에 있던 미국 항공기에 의해 실수로 폭탄이 떨어졌다.[3] 폭탄이 두 배를 모두 빗나가 피해가 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나흘 뒤 순양함의 엔진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했고, 슈롭셔는 수리를 위해 호주로 돌아왔다.[3]
이 배는 7월 12일 취역했으며, 7~8월 에이타페와 케이프산사포르, 9월 모로타이, 10월 초 레이테 만에서 해상 사격 지원을 했다.[3] Shropshire는 태스크포스 77에 재배치되었고,[3] 10월 25일에 수리가오 해협 전투에 참가했다. 이 순양함은 1945년 1월 루손 전투에 참가했는데, 그 기간 동안 그녀는 두 대의 가미카제 항공기에 의해 공격을 받았는데, 하나는 아슬아슬하게 놓쳤고, 두 번째는 HMAS 가스코인이 슈롭셔를 덮칠 정도로 파편이 가까이에서 격추되었다.[3] 슈롭셔는 코레지도르 상륙작전 중 마지막으로 화가 나서 발포한 뒤 잠시 호주로 돌아갔다.[3]
슈롭셔는 일본의 섬 항복에 맞춰 필리핀으로 돌아온 뒤 일본으로 건너가 1945년 9월 2일 일본 항복기구의 서명을 위해 도쿄만에 출석했다.[3][10] RAN과 함께 이 순양함의 전시 서비스는 "뉴기니 1943-44", "레이트 걸프 1944", "링게인 걸프 1945", "보노 1945", "태평양 1945"[11][12]의 다섯 가지 전투 영예를 인정받았다. 이 배의 RAN 서비스 중 5명만이 사망했지만, 5명 모두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의 행동의 결과는 하나도 없었고, 한 명은 익사했고, 나머지 4명은 사고의 결과였다.[7]
이 순양함은 그녀가 시드니로 항해한 11월 17일까지 일본남아 있었다 해역에.[3] 1946년 5월, Shropshire는 대영제국의 승리 축하 행사를 위해 오스트레일리아 사단을 영국으로 수송했다.[13] 그 배는 8월에 귀국했다.[13] 1월부터 1947년 3월까지, Shropshire는해역에 있었다 일본.[4]
해체와 운명
1947년 3월 시드니로 돌아온 뒤 슈롭셔는 1949년 11월 10일까지는 유급금을 지급받지 못했지만 해체를 위한 준비를 했다.[4] 그 배는 Thos에게 팔렸다. 1954년 7월 16일 영국철강공사를 대표하여 영국 셰필드 Ward of Sheffield가 8만2천5백 파운드의 스털링에 출연하였다.[4] 1954년 10월 9일, 네덜란드의 투그 오스트지는 시드니에서 스코틀랜드의 달무르까지 항해를 시작했다.[4] 1955년 1월 20일 달무르에서 선박의 선체를 싣고 트로온으로 옮겨져 9월 19일 폐기가 재개됐다.[4]
킹스 셸셔 라이트 보병대가 배에 선물한 은빛 나팔은 슈롭셔가 해체된 후 RAN에 의해 보관되었고, 이후 적어도 1980년대 중반까지 러셀 사무소(국방부가 소장되어 있는 곳)에 전시되었다.[14]
인용구
- ^ a b c d e f g h i 캐셀, 캐피탈 선박, 페이지 119
- ^ a b c d e f g h i j 캐셀, 캐피탈 선박, 120 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캐셀, 더 캐피탈 선박, 페이지 121
- ^ a b c d e f g h 캐슬즈, 캐피탈 선박, 페이지 125
- ^ "Naval events Dec 1939". naval-history.net. Retrieved 8 January 2013.
- ^ "SS Adolf Leonhardt (+1939)". Wrecksite. Retrieved 8 January 2013.
- ^ a b c 캐슬즈, 캐피탈 선박, 128페이지
- ^ a b c 캐셀, 캐피탈 선박, 페이지 129
- ^ a b 캐슬즈, 캐슬즈, 더 캐피털 선박, 128-9페이지
- ^ "Allied Ships Present in Tokyo Bay During the Surrender Ceremony, 2 September 1945". Naval Historical Center – U.S. Navy. 27 May 2005. Retrieved 13 January 2007.
Taken from Commander in Chief, U.S. Pacific Fleet and Pacific Ocean Areas (CINCPAC/CINCPOA) A16-3/FF12 Serial 0395, 11 February 1946: Report of Surrender and Occupation of Japan
- ^ "Navy Marks 109th Birthday With Historic Changes To Battle Honours". Royal Australian Navy. 1 March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11. Retrieved 23 December 2012.
- ^ "Royal Australian Navy Ship/Unit Battle Honours" (PDF). Royal Australian Navy. 1 March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June 2011. Retrieved 23 December 2012.
- ^ a b 캐셀, 캐피탈 선박, 124페이지
- ^ 캐슬즈, 더 캐피탈 선박, 페이지 130
참조
- Campbell, N.J.M. (1980). "Great Britain". In Chesneau, Roger (ed.).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22–1946. New York: Mayflower Books. pp. 2–85. ISBN 0-8317-0303-2.
- Cassells, Vic (2000). The Capital Ships: Their Battles and Their Badges. East Roseville, NSW: Simon & Schuster. ISBN 0-7318-0941-6. OCLC 48761594.
- Raven, Alan & Roberts, John (1980). British Cruisers of World War Two.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922-7.
- Rohwer, Jürgen (2005).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The Naval History of World War Two (Third Revised ed.).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9114-119-2.
- Whitley, M. J. (1995). Cruisers of World War Two: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London: Cassell. ISBN 1-86019-874-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HMS Shropshire(73)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