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S Whitsheed (D77)
HMS Whitshed (D77)![]() 제2차 세계 대전 중 채찍질당한 | |
역사 | |
---|---|
![]() | |
이름 | HMS Whitshed |
주문된 | 1918년 4월 |
눕다 | 1918년 6월 |
시작됨 | 1919년 1월 31일 |
커미셔닝됨 | 1919년 7월 11일 |
재장착 | SRE(단거리 에스코트)로 1940년 재건 |
스트리킨 | 1947년 2월 폐기로 BISCO에 매각 |
좌우명 |
|
명예와 상을 주다 |
|
운명 | 1948년 4월 폐기 |
배지 | 필드 레드에서는 드미 라이온 한 마리가 삼포일 그린을 들고 금을 만연했다.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해군 수정 W-클래스 구축함 |
변위 | 표준 1,140톤, 가득 1,550톤 |
길이 | 300 ft o/a, 312 ft p/p |
빔 | 29.5피트(9.0m) |
드라우트 | 최대 하중 조건에서 9피트(2.7m), 11.25피트(3.43m) |
추진 | 야로형 수관 보일러, 브라운-커티스 게일형 증기터빈, 2축, 27,000 shp |
속도 | 34kt |
범위 |
|
보완 | 127 |
센서 및 가공 시스템 |
|
무장을 |
|
서비스 기록 | |
작업: | |
승리: | U-55 |
HMS Whitsheed (D77/I77)는 영국 해군의 해군 개조 W급 구축함이었다.그녀는 1918-19년 제14차 구축함 명령에 따라 스완 헌터 & 위감 리처드슨 주식회사로부터 명령을 받았다.그녀는 그 이름을 날린 첫 번째 배였다.
건설
HMS Whitsheed의 킬은 1918년 6월 3일 Tyne의 Wallsend에 있는 Swan Hunter & Wigham Richardson Ltd.)에서 안치되었다.그녀는 1919년 1월 31일에 발사되었다.[1]그녀의 몸길이는 전체 길이가 312피트(95m)이고 빔은 29.5피트(9.0m)이다.그녀의 평균 가뭄은 9피트(2.7m)였고, 최대 하중에서는 11.25피트(3.43m)에 이를 것이다.그녀는 배수량이 1,140톤이고 최대 적재량이 1,550톤이었다.[2]
그녀는 최대 34노트의 속도로 두 개의 나사를 구동하는 27,000 SHP를 발전시키는 브라운 커티스 게일드 증기 터빈에 동력을 공급하는 세 개의 야로 수관 보일러에 의해 추진되었다.그녀는 기름에 불을 질러 320톤에서 370톤의 벙커를 했다.이것은 15노트에서는 3500해리, 32노트에서는 900해리 사이의 거리를 주었다.[2]
그녀는 4개의 BL 4.7 in (120-mm) Mk를 선적했다.중앙선 포탑 4개에 P Mk.I 해군 포대를 장착포탑은 포워드 2대와 후방으로 초강 사격 자세로 폐기되었다.그녀는 또한 QF 2 pdr Mk 두 대를 운반했다.II "폼폼"(40mm L/39) 깔때기 사이에 장착된 에이밤.두 번째 깔때기 바로 옆, 그녀는 중앙선의 트리플 마운트에 있는 6개의 21인치 어뢰관을 운반했다.[2]
전쟁 기간
HMS Whitsheed는 1919년 7월 11일 FA7이라는 페넌트 넘버로 영국 해군에 임관되었다.[3]그녀는 대서양 함대의 제3 구축함 플로티야에 배치되었다.[4]1919년 10월 그녀는 페넌트 번호 체계를 단순화하여 페넌트 번호 D77을 할당받았다.[5]플로티야 호는 1920년대 초에 홈워드에서 복무했다.플로티야는 처음에 지중해에 배속되었고 1926년에 중국역에 배속되었다.그녀는 1927년 3월에 난징 사건에 연루되었다.1934년 3월 14일 중국 앞바다에서 미 해군 포병선 USS 풀턴호가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을 때 휘시드호와 그녀의 자매선 HMS 위시아트호, 상선 SS 치난호가 풀턴의 조력을 받게 되었다.위시트와 쯔난은 풀턴의 선원 3명을 떼어내 경상을 입혔고, 위시드는 구조대가 불을 끌 수 있을 때까지 풀턴의 곁을 지켰다.[6]이후 미 해군부는 위시어트와 위시드호가 풀턴과 그녀의 선원들에게 제공한 지원에 대해 영국 해군 당국으로부터 감사를 받았다.[7]
1930년대 후반, Whitshed는 더 많은 현대적인 구축함들이 온라인에 들어오면서 예비역에 배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HMS Whitshed는 다시 활성화되어 영국 해협과 남서 접근방식의 호송 방어를 위해 포틀랜드의 18 구축함 Flotilla에 배치되었다.[8][9]1940년 1월 30일, 위츠헤드는 228번 비행대에서 온 구렁이 포이와 RAF 선덜랜드 비행선과 함께, 호송 OA30G를 호위하던 중 남서쪽 접근에서 U-55를 침몰시켰다.[9][10]
4월에 그녀는 벨기에와 네덜란드 해안에서 작전 지원을 돕기 위해 도버에 있는 제19 구축함 플로티야로 이송되었다.그녀는 1940년 5월 초 IJmuiden과 암스테르담(Operation XD(A))의 철거와 대피에 참여했다.이어 던커크에 물자를 싣고 아일랜드 근위대에 올라 5월 중순 후크 오브 홀랜드(Operation Ordnance)와 오스텐드(Ostend)의 철수를 도왔다.
위츠헤드는 5월 22일, 위츠헤드가 대전차포를 탑재한 가운데 피난 작전이 진행되는 동안 마을을 지키기 위해 20사단 병력을 태운 배를 불로뉴까지 호위했다.귀국길에 그녀는 RAF 요원, 포로, 민간인들을 태우고 영국으로 돌아왔다.[11][12]그녀는 5월 23일 독일 폭격기에 의해 1명이 사망하고 13명이 부상당하기 전에 부상병력을 수습하고 독일군을 포격하는 대피 작전이 계속되자 불로뉴로 돌아왔다.[13]그날 저녁, 어느 정도 에어커버를 이용할 수 있을 때, 자매선 비미에라와 함께 Whitsheed는 볼로뉴에 다시 입항했고, 각각의 배는 550명 이상의 선원을 승선시켰다.[13][14]그녀는 26일 던커크(다이나모 작전)에서 연합군의 철수를 위해 배치했다.이때 그녀의 페넌트 번호는 시각 신호 전달 목적으로 I77로 변경되었다.Op Dynamo에서 석방되자마자 그녀는 하리치와 호위 방어, 그리고 북해와 영국 해협에서의 반침투 순찰으로 돌아왔다.그녀는 던커크에서 파손되지 않은 몇 안 되는 배들 중 하나였다.
7월 31일 그녀는 하리치 앞바다에서 지뢰를 폭파한 후 심각한 구조적 손상을 입었다.와일드 스완은 그녀를 다시 하리치로 견인했다.그녀는 12월까지 수리 중이었다.
1941년은 북해와 영국 해협을 호위하고 순찰하는 지속적인 호송의 한 해였다.2월에 그녀는 북해에 배치된 지뢰를 얻기 위해 모터 어뢰정을 호위했다.이번 작전은 인명피해나 피해 없이 공습을 받았다.
1942년 2월 위츠헤드는 제21 플로티야의 구축함 맥케이와 월폴과 제16 플로티야의 캠벨, 우스터, 비비드함과 합류했다.지난 12일 브레스트를 탈출해 도버 해협을 거쳐 채널 다쉬의 빌헬름샤이븐까지 진행했던 독일 전함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 중형 순양함 프린츠 유겐에 어뢰 공격을 감행했다.
1942년 나머지 기간과 1943년 대부분 동안 휘시드는 호송 임무를 맡았고 북해와 영국 해협을 순찰했다.1942년, 그녀의 'A' 총은 E-Boats와 교전했다는 이유로 6파운드짜리 쌍둥이 군총으로 교체되었다.1943년 11월 그녀는 2척의 모터 건보트와 4척의 해안군의 모터 발사와 함께 헤이스팅스 앞바다에서 호송차 CW221을 호위하던 중 E-보트와 함께 전투 중이었다.1944년 4월 18일, 그녀는 영국 해협에서 지뢰를 매설하는 작전을 수행하면서 E-Boats와 다시 전투에 임했다.
1944년 6월 그녀는 몽트로즈, 보라지, 로제스트리페와 함께 에스코트 그룹 104에 가입했고, 12척의 상륙함 탱크(LST)와 24척의 상륙함 탱크(LCT)로 구성된 호송차 EIL1을 사우스엔드에서 동부 태스크 포스의 집결지로 호송했다.그리고 나서 그녀는 빌드업 호송대를 호위하기 위해 사우스엔드로 돌아왔다.
7월에 그녀는 넵튠 작전에서 풀려났고 1945년 4월까지 북해와 영국 해협에서 기뢰를 매설하는 작전에 고용된 잠수함과 E-보트를 동원한 상업용 호위 호위 및 요격 순찰을 재개했다.VE-데이가 끝난 후 그녀는 재취업 작전에 투입되었다.1945년 6월에 그녀는 예비 지위로 전락했다.
처분
HMS Whitsheed는 작전적으로 다시 배치되지 않았고 적대행위 종식 후 그녀는 보상을 받고 예비역으로 감원되었다.그 배는 1946년에 처리 목록에 올랐다.그녀는 TJ King에 의해 1947년 2월에 BISCO로 철거되었다.그 배는 1948년 4월에 게이츠헤드의 브레이크어즈 마당에 도착했다.
메모들
- ^ 휘틀리 2000, 페이지 90.
- ^ a b c "HM Ships as extracted from Jane's Fighting Ships for 1919". Retrieved 8 October 2013.
- ^ 2009년 313페이지.
- ^ 프레스턴 1971 페이지 35–36.
- ^ 프레스턴 1971쪽 128쪽 135쪽
- ^ "Fulton III (AS-1)".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US Navy. Retrieved 18 February 2020.
- ^ "Yangtze River Patrol and Other US Navy Asiatic Fleet Activities in China, 1920-1942, as Described in the Annual Reports of the Navy Department". Navy Department Library. Retrieved 27 December 2019.
- ^ 프레스턴 1971 페이지 61.
- ^ 블레어 2000, 페이지 137.
- ^ 세바그 몬테피어 2015, 페이지 192.
- ^ Winser 1999, 페이지 11-12.
- ^ a b Winser 1999, 페이지 12.
- ^ 세바그-몬테피어 2015, 페이지 206–208.
참고 문헌 목록
- Blair, Clay (1996). Hitler's U-Boat War: The Hunters 1939–1942. New York: Random House. ISBN 0-394-58839-8.
- Campbell, John (1985). Naval Weapons of World War II.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459-4.
- Chesneau, Roger, ed. (1980).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22–1946. Greenwich, UK: Conway Maritime Press. ISBN 0-85177-146-7.
- Colledge, J. J.; Warlow, Ben (2006) [1969]. Ships of the Royal Navy: The Complete Record of all Fighting Ships of the Royal Navy (Rev. ed.). London: Chatham Publishing. ISBN 978-1-86176-281-8.
- Cocker, Maurice. Destroyers of the Royal Navy, 1893–1981. Ian Allan. ISBN 0-7110-1075-7.
- Friedman, Norman (2009). British Destroyers From Earliest Days to the Second World War.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978-1-59114-081-8.
- Gardiner, Robert & Gray, Randal, eds. (1985).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06–1921.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5177-245-5.
- Haarr, Geirr H. (2013). The Gathering Storm: The Naval War in Northern Europe: September 1939–April 1940. Barnsley, UK: Seaforth Publishing. ISBN 978-1-84832-140-3.
- Lenton, H. T. (1998). British & Empire Warships of the Second World War.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048-7.
- March, Edgar J. (1966). British Destroyers: A History of Development, 1892–1953; Drawn by Admiralty Permission From Official Records & Returns, Ships' Covers & Building Plans. London: Seeley Service. OCLC 164893555.
- Preston, Antony (1971). 'V & W' Class Destroyers 1917–1945. London: Macdonald. OCLC 464542895.
- Raven, Alan & Roberts, John (1979). 'V' and 'W' Class Destroyers. Man o'War. Vol. 2. London: Arms & Armour. ISBN 0-85368-233-X.
- Rohwer, Jürgen (2005).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The Naval History of World War Two (Third Revised ed.).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9114-119-2.
- Sebag-Montefiore, Hugh (2015). Dunkirk: Fight to the Last Man (75th Anniversary ed.). London: Penguin. ISBN 978-0-241-97226-7.
- Stitt, George (1943). HMS Wideawake: Destroyer and Preserver (Whitshed and all names disguised as wartime publication).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 Whinney, Bob (2000). The U-boat Peril: A Fight for Survival. Cassell. ISBN 0-304-35132-6.
- Whitley, M.J. (2000). Destroyers of World War Two: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London: Cassell & Co. ISBN 1-85409-521-8.
- Winser, John de S. (1999). B.E.F. Ships Before, At and After Dunkirk. Gravesend, Kent: World Ship Society. ISBN 0-905617-91-6.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HMS Whitsheed(선박, 1919년)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