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베이트먼
Harry Bateman해리 베이트먼 | |
---|---|
태어난 | 영국 맨체스터 | )29 1882년 5월
죽은 | 1946년 1월 21일 | (63세)
시민권 | 미국/영국 |
로 알려져 있다. | 베이트만 원고 프로젝트 베이트만-버거스 방정식 베이트만 방정식 베이트만 함수 베이트만 다항식 베이트먼 변환 |
수상 | 수석 랭글러 (1903) 스미스상 (1905) 기브스 렉처(1943) |
과학 경력 | |
필드 | 기하학적 광학 부분 미분 방정식 유체 역학 전자기학 |
논문 | 사분위 곡선과 그 내접 구성[1] (1913) |
박사학위 자문위원 | 프랭크 몰리 |
박사과정 학생 | 클리포드 트뤼셀 하워드 P. 로버트슨 앨버트 조지 윌슨 |
해리 베이트먼 FRS[2](Harry Bateman FRS, 1882년 5월 29일 ~ 1946년 1월 21일)는 영국의 수학자였다.[3][4]
수학 물리학의 미분방정식이 그를 매혹시켰다. 그는 Ebenezer Cunningham과 함께 Lorenz와 Poincare의 spacetime 대칭에 대한 관점을 Maxwell의 방정식을 불변하게 하는 보다 광범위한 spacetime의 일치 집단으로 확대했다. 미국으로 건너가 프랭크 몰리와 함께 기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캘리포니아 공대 수학 교수가 됐다. 그곳에서 그는 테오도르 폰 카르만과 함께 공기역학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에게 유동역학을 가르쳤다. 베이트먼은 1943년 깁스 강의에서 "탄성 유체의 제어"라는 제목의 응용 미분 방정식을 폭넓게 조사했다.
전기
해리 베이트먼은 맨체스터 문법 학교에서 수학을 좋아하게 되었고, 마지막 해에 캠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의 장학금을 받았다. 베이트먼은 로버트 알프레드 허먼 코치와 함께 캠브리지 수학 트리포스를 준비하며 공부했다. 1903년 수석 랭글러(P.E. Marrack과 대화)와 스미스상(1905년)을 수상하며 명성을 떨쳤다.[5] 그는 아직 학부생일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곡선의 결정'에 대한 첫 논문을 발표했다.[6] 그는 괴팅겐과 파리에서 공부했고, 리버풀 대학교와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1910년에 미국으로 이주했다. 처음에는 브린 머어 대학에서 가르쳤고 그 다음에는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가르쳤다. 그곳에서 프랭크 몰리와 기하학을 함께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획득했지만, 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전에 이미 그의 유명한 논문 일부를 포함하여 6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1917년에 그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영구적인 지위를 차지했고, 그 후 여전히 Rulop Polytechnic Institute라고 불렸다.
에릭 템플 벨은 "세기의 첫 10년 동안 케임브리지 수학자들 사이에서 동시대인이나 직전의 전임자들처럼... 베이트만은 순수 분석과 수학 물리학 둘 다 철저히 훈련받았고, 과학 경력 내내 두 가지 모두에 대해 동등한 관심을 유지했다.[7]
테오도어 폰 카르만은 칼텍의 예상 항공 연구소의 고문으로 불려갔고, 이후 바테만에게 다음과 같은 평가를 내렸다.[8]
1926년에 칼텍[sic]은 항공학에 대한 작은 관심만 가지고 있었다. 항공학에 가장 가까운 교수직은 수줍고 꼼꼼한 영국인인 해리 베이트먼 박사가 차지했다. 그는 유체역학 분야에서 일했던 캠브리지 출신의 응용 수학자였다. 그는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것 같았지만 중요한 것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난 그를 좋아했다.
해리 베이트만은 1912년 에델 호너와 결혼하여 해리 그레이엄이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그는 어렸을 때 세상을 떠났고, 후에 그 부부는 조안 마가렛이라는 이름의 딸을 입양했다. 그는 1946년 관상동맥 혈전증으로 뉴욕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과학적 기여
1907년, 해리 베이트만은 리버풀 대학에서 또 다른 수석 랭글러인 에베네저 커닝햄과 함께 강의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함께 1908년에 이미지 방법의 연장이 수반되는 일정한 스페이스타임 그룹(현재 일반적으로 C (1,3)으로 표시됨)[9]의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다.[10]
핵물리학에서 베이트만 방정식은 붕괴율과 초기 붕괴율에 기초하여 붕괴사슬에서의 부존과 활동을 시간의 함수로 기술하는 수학적 모델이다. 이 모델은 1905년 어니스트 러더포드에 의해 공식화되었고 분석적 해결책은 1910년 해리 베이트만에 의해 제공되었다.[11]
그의 입장에서 1910년 베이트만은 전기역학 방정식의 변형을 출판했다.[12] 그는 맥스웰 방정식을 보존하는 시간 간격의 차이점형식의 제이콥 매트릭스가 직교 매트릭스에 비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따라서 일치한다. 이러한 변환의 변환 그룹은 15개의 매개변수를 가지며 푸앵카레 그룹과 로렌츠 그룹 모두를 확장한다. 베이트만은 이 집단의 구면파 변환 원소들을 불렀다.[13]
이 논문을 평가하면서 그의 제자 중 한 명인 클리포드 트뤼셀은 이렇게 썼다.
- 베이트먼 논문의 중요성은 구체적인 내용이 아니라 일반적인 접근법에 있다. 아마도 수학물리학 전반에서 힐베르트의 관점에 영향을 받은 바테만은 전자기학의 기본이념들이 미분형식의 통합에 관한 진술, 즉 그라스만의 다양한 다지관에 대한 확장 미적분, 스톡스 수혈에 대한 푸앵카레의 이론과 동등하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웅변과 일체형 불변제, 그리고 리의 연속군 이론이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14]
바트만은 1906년에 라플라스 변환을 적분 방정식에 적용한 최초의 사람이었다. 그는 1911년 과학 발전을 위한 영국 협회의 적분 방정식에 관한 상세한 보고서를 제출했다.[15] 호레이스 램은 1910년 논문에서[16] 필수 방정식을 풀었다.
이중 적분으로, 그러나 그는 각주에 "내가 질문을 제출한 H. Bateman씨는 그 형태에서 더 간단한 해결책을 얻었다."라고 말한다.
- ( )= - (- ) + {\ f( { {
1914년, 베이트만은 전기와 광학파의 수학적 분석을 출판했다. 무르나한(Murnaghan)의 말처럼 이 책은 "남자의 독특하고 특징적이다. 160쪽도 안 되는 작은 페이지에는 많은 정보가 몰려 있어 소화하는 데는 몇 년이 걸릴 것이다."[4] 이듬해 그는 교과서 미분방정식을 출판했고, 그 후 수학물리학의 부분 미분방정식을 출판했다. 베이트만은 또한 수역학 및 미분방정식의 수치적 통합의 저자다. 베이트만은 얀 버거스가 공부하기 훨씬 전에 버거스의 방정식을[17] 연구했다.
해리 베이트만은 응용 수학의 역사에 관한 두 가지 중요한 기사를 썼다.
그의 전기 및 광파동 수학적 분석(p. 131)에서 그는 충전된-코퍼스 궤도(corpuscle)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말뭉치는 일종의 관이나 실을 그것에 부착하고 있다. 말뭉치의 움직임이 변화할 때 파동이나 꼬임 등이 실을 따라 흐른다; 말뭉치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사방으로 퍼져나가지만 실 주위에 집중되어 실이 유도선의 역할을 한다.
이 말의 형상은 물리학에서 끈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끈 이론의 우주들은 4개 이상의 치수를,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풀려 베이트만의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베이트만은 계속해서 "에테르 구조"라는 기사와 함께 발광성 에테르를 연구했다.[20] 그의 출발점은 전자기장 E + iB의 이벡터 형태다. 그는 알프레드-마리 리나드의 전자기장을 떠올린 뒤 그가 말하는 "이곳 필드"라고 부르는 또 다른 유형을 구분했다.
많은 수의 "계측장"이 중첩될 때 그 단수 곡선은 특정 유형의 전자기장을 지원할 수 있는 "에테르"의 구조를 나타낸다.
베이트만은 1928년 런던 왕립학회, 1930년 국립과학아카데미 당선 등 많은 공로를 인정받아 많은 영예를 안았다. 1935년 미국수학협회 부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43년 학회의 깁스 강사로 재직하였다.[4][21] 그는 관상동맥 혈전증으로 사망했을 때 항공과학연구소로부터 상을 받기 위해 뉴욕으로 가는 길이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해리 베이트만 연구교수는 그의 명예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22]
그가 죽은 후, 더 높은 초월적 기능에 대한 그의 노트는 아서 에르델리, 빌헬름 마그누스, 프리츠 오버헤팅거 프란체스코 G에 의해 편집되었다. 트리코미, 1953년에 출판되었다.[23]
출판물
리처드 쿠런트는 베이트만의 저서 수학물리학 부분 미분방정식에 대한 리뷰에서 "수학적 물리학의 부분 미분방정식"을 통해 얻은 분석적 도구와 결과를 완전히 똑같이 독창적인 기여로 제시하는 다른 작업은 없다"면서 "선진 학생들과 연구원들이 똑같이 그린과 함께 읽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득이 되는."
- 1908: 4차원의 공간의 정합성 변화 및 기하학적 광학에의 적용, 런던 수학 학회의 절차 7: 70–89.
- 1910: 영국 연합의 보고서, 적분 방정식 이론의 역사와 현재 상태.
- 1914: (1911년) 미국 수학 저널 36(4)의 쿼틱 곡선과 그 내접된 구성
- 1915: 맥스웰 방정식에 기초한 전기 및 광파동 수학적 분석,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 1918: 미분방정식, 롱맨스, 그린, 런던, 재인쇄 첼시 1966.
- 1932: 수학적 물리학의 부분 미분 방정식,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1932,[24] 도버 1944, 1959.
- 1933: (알베르트 A와 함께). 베넷, 윌리엄 E 밀네) 도버 1956년 국가연구회의 회보, 미분방정식의 수치적 통합
- 1932: (휴 드라이든, 프랜시스 무르나한과 함께) 워싱턴 D.C. 국립연구회의 회보, 수력역학 위원회의 보고서
- 1945: 탄성 유체의 제어, 미국수학학회 회보 51(9):유클리드 프로젝트를 통한 601–646, 제어 이론의 수학적 경향에 관한 선택 논문(리처드 벨먼 & 로버트 칼라바 편집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베이트만 원고 프로젝트: 상위 초월 함수, 3권, McGraw Hill 1953/1955, Krieger 1981.
- 베이트만 원고 프로젝트: 통합 변환 표 2권, McGraw Hill 1954.
참고 항목
참조
- ^ "Harry Bateman -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 ^ Erdélyi, Arthur (1947). "Harry Bateman. 1882–1946". Obituary Notice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5 (15): 590–618. doi:10.1098/rsbm.1947.0020. S2CID 179356952.
- ^ Erdélyi, Arthur (1946). "Harry Bateman". Journal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s1-21 (4): 300–310. doi:10.1112/jlms/s1-21.4.300.
- ^ a b c Murnaghan, Francis Dominic (1948). "Harry Bateman 1882–1946".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4: 88–103. doi:10.1090/S0002-9904-1948-08955-8.
- ^ "Bateman, Harry (BTMN900H)".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 ^ 2. 1903.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곡선의 결정. 케임브리지 철학회 의사록 12, 163
- ^ Temple Bell, Eric (1946). Quarterly of Applied Mathematics (4): 105–111.
{{cite journal}}
: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 - ^ von Kármán, Theodore; Edson, Lee (1967). The Wind and Beyond. Little, Brown and Company. p. 124.
- ^ Kosyakov, Boris Pavlovich (2007). Introduction to the Classical Theory of Particles and Fields. Berlin / Heidelberg, Germany: Springer. p. 216. doi:10.1007/978-3-540-40934-2. ISBN 978-3-540-40933-5.
- ^ Warwick, Andrew (2003). Masters of theory: Cambridge and the rise of mathematical physics. Chicago, Illinois, US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416–424. ISBN 0-226-87375-7.
- ^ 베이트만, H. (1910, 6월) 방사성 변환 이론에서 발생하는 미분 방정식의 시스템의 해결. Proc. 케임브리지 필로스. Soc (Vol. 15, No. pt V, 페이지 423–427) [1]
- ^ Bateman, Harry (1910). "The Transformation of the Electrodynamical Equations".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s2-8: 223–264. doi:10.1112/plms/s2-8.1.223.
- ^ Bateman, Harry (1909). "The Conformal Transformations of a Space of Four Dimensions and Their Applications to Geometrical Optics".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s2-7: 70–89. doi:10.1112/plms/s2-7.1.70.
- ^ Truesdell III, Clifford Ambrose (1984). An idiot's fugitive essays on science: methods, criticism, training, circumstances. Berlin, Germany: Springer-Verlag. pp. 403–438. ISBN 0-387-90703-3.
Genius and the establishment at a polite standstill in the modern university: Bateman
- ^ Bateman, Harry (1911). "Report on the history and present state of the theory of integral equations". Report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345.
- ^ Lamb, Horace (1910-02-10) [1910-02-06]. "On the diffraction of a solitary wave".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2 (1): 422–437. doi:10.1112/plms/s2-8.1.422.
- ^ Bateman, Harry (1915). "Some recent researches on the motion of fluids" (PDF). Monthly Weather Review. 43 (4): 163–170. Bibcode:1915MWRv...43..163B. doi:10.1175/1520-0493(1915)43<163:srrotm>2.0.co;2.
- ^ Bateman, Harry (1943). "The Influence of Tidal Theory up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National Mathematics Magazine. 18 (1): 14–26. doi:10.2307/3029913. JSTOR 3029913.
- ^ Bateman, Harry (1944). "Hamilton's work in dynamics and its influence on modern thought". Scripta Mathematica (10): 51–63.
- ^ Bateman, Harry (1915). "The Structure of the Aether" (PDF).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1 (6): 299–309. doi:10.1090/S0002-9904-1915-02631-5.
- ^ Bateman, Harry (1945). "The control of an elastic fluid".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1 (9): 601–646. doi:10.1090/s0002-9904-1945-08413-4. MR 0014548.
- ^ "Instructorships in Mathematics 2008–2009". Retrieved 2012-01-30.
- ^ Erdélyi, Arthur; Magnus, Wilhelm; Oberhettinger, Fritz; Tricomi, Francesco Giacomo (1953–1955). Higher Transcendental Functions. McGraw-Hill Book Company, Inc.
- ^ Walsh, Joseph L. (1933). "Bateman on Mathematical Physics".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9 (3): 178–180. doi:10.1090/s0002-9904-1933-05561-1.
외부 링크
Wikisource는 다음과 같은 원작을 가지고 있다. 해리 베이트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