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두바의 호소우스
Hosius of Corduba코르두바의 호소우스 | |
---|---|
![]() | |
교구 | 코르도바 |
참조 | 코르도바 |
개인내역 | |
태어난 | 256 코르두바, 히스파니아, 로마 제국 |
죽은 | 359 |
디노미네이션 | 기독교 |
코르두바의 호소우스 | |
---|---|
명예롭게 생각합니다. |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동양 정교회 |
오시오스 또는 오스시우스라고도 알려진 코르두바(c. 256–359)의 호시우스는 초기 기독교를 분열시킨 아리안 논쟁에서 코르두바(현재의 스페인 코르도바)의 주교였으며 호모우시온 기독교의 중요하고 저명한 옹호자였다.
제1차 니케아 평의회를 주재했고 세르디카 평의회도 주재했다.[1]
락탄티우스 이후 그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가장 가까운 기독교 고문이었으며, 콘스탄티누스의 성도들에게 연설하는 콘스탄티누스의 연설과 같은 공개 발언의 내용을 지도했다.[2]
인생
그는 로마 제국의 한 지방인 히스패니아의 코르두바에서 태어났다.[3][4][5] 약 295년경 코르두바의 관직에 선출된 그는 막시미안의 박해 속에서 가까스로 순교를 면했다. 300년 또는 301년에 엘비라[6] 지방 회당에 참석하여, 성직 결혼에 관한 질문이나 최근 박해 중에 신앙을 저버린 사람들의 대우와 같은 훈육에 관한 엄격한 통로를 견지하였다. 평의회는 노바티아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박해의 압력을 받아 이교도 신들에게 신앙을 부정하거나 의례적인 제사를 지낸 세례를 받은 기독교인에 대한 재입교를 거부하는 엄격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7]
313년 그는 그해 카르타고의 카실리아누스에게 황제가 지시한 헌법에 이름으로 언급된 콘스탄티누스 대왕의 궁정에 나타난다. 그는 314년 아를의 시노드(Synod of Arles)의 참석자 명단에 올라 있지 않지만, 판노니아에서 리치니우스(Liccinius)와 첫 전쟁을 벌였던 황제에 대해 참석했을지도 모른다.[7] 일찍이 320년 또는 321년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리아 주교가 알렉산드리아에서 평의회를 소집하여 이집트와 리비아에서 온 100명 이상의 주교들이 그의 집사인 아리우스를 모독했다.[2] 324년 가을, 호시오스는 콘스탄티누스가 알렉산더 주교와 아리우스 주교에게 보낸 편지를 전달하여 그들에게 화해를 종용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시노드 이후 호세우스는 324년 11월 필로고니우스가 사망한 후 아마도 유스타티우스의 당선을 계기로 안티오키아에서 또 다른 시노드를 이끌었다. 이 시노드에서는 아리우스를 지지하는 주교들이 중단되었고 안시라에서 개최될 일반 시노드가 발표되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결국 소집단을 5월 20일 개원한 니케아 제1차 공의회로 옮겼다. 호시오스는 아마도 그의 이름이 참가자 명단에서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그것을 주재했을 것이다. 호시오스는 표면적으로는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르를 아리우스에 대항하여 지지했다. 평의회가 끝난 후, 호시오스는 스페인의 그의 교구로 돌아왔다.[6]
거의 50년 동안 호시오스는 그 시대의 가장 중요한 주교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세인의 존경을 받았으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7] 337년 콘스탄티누스가 죽은 후, 콘스탄티노플의 눈에 콘스탄티노플의 눈에 아리아인이자 황실의 친구인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가 이름을 올렸다. 에우세비우스와 그의 지지자들은 총대주교로서의 새로운 역할에서 콘스탄티우스 2세를 압박하여 확고한 반아리아인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를 그의 교구에서 두 번째로 추방하도록 했다. 에우세비우스는 황제에게 아타나시우스의 지지자인 호세우스를 밀라노로 소환할 것을 촉구했고, 그 곳에서 코르도바 주교는 아타나시우스를 비난하기를 거부했다. 호시오스는 황제를 매우 감동시켜 귀국 허가를 받았다.
호시오스는 여름부터 시작된 세르디카 평의회에서, 아니 늦어도 343년 가을부터 이 평의회의 법률에 가장 먼저 서명했다는 사실에서 증명된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에우세비우스의 계속되는 압력으로 콘스탄티우스가 아타나시우스에 대한 호세우스의 지지에 있어서 호세우스 혼자만 완고한 상태를 유지할 것인가를 요구하는 편지를 쓰게 되었다. 이에 호세우스는 355년 호세우스가 망명하게 된 아타나시우스가[8] 보존한 교회 일에 대한 제국주의적 간섭에 대한 용기 있는 항의서한을 파노니아(현대 세르비아)의 제국 중심지인 시르뮴에 보냈다. 그가 유배지에서 콘스탄티우스 2세에게 썼던 유일한 현존하는 작문인 프랑스 역사학자 루이 세바스티앵 르 나인 드 틸몬트가 쓴 편지는 중력, 위엄, 온화함, 지혜, 관대함, 사실 위대한 영혼과 위대한 주교의 모든 자질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당하게 특징지어졌다.
에우세비안당의 지속적인 압력에 시달린 호세우스는 357년 제3차 시르뮴 평의회가 채택한 호모에 공식에 서명했는데,[9] 호모인(아카시아인)과의 교감은 포함되었지만 아타나시우스의 비난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 후 그는 그의 히스패닉 교구로 돌아가는 것이 허락되었고, 그곳에서 그는 359년에 죽었다.
교황 리베리우스가 그에게 보낸 편지가 있다(353조).
참조
- ^ Jurgens, W.A. (1970). The Faith of the Early Fathers: Pre-Nicene and Nicene eras. Liturgical Press. p. 280. ISBN 978-0-8146-0432-8.
- ^ a b "First Council of Nicaea". www.newadvent.org.
- ^ Dudley, Dean (2007). The History of the First Council of Nice: A Worlds Christian Convention, A. D. 325 with a Life of Constantine. Cosimo, Inc. p. 49. ISBN 978-1-60206-296-2.
- ^ Schaff, Philip (1885).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Complete). Library of Alexandria. p. 3664. ISBN 978-1-4655-2873-5.
- ^ Payne, Robert (1980). The Holy Fire: The Story of the Fathers of the Eastern Church. St Vladimir's Seminary Press. p. 79. ISBN 978-0-913836-61-3.
- ^ a b c "Hosius of Cordova". www.newadvent.org.
- ^ a b c 와이스, 헨리. "호시우스", 초기 기독교 전기 사전, 존 머레이, 런던, 1911년
- ^ 아타나시우스, 히스토리아 아리아노룸, 42-45.
- ^ Philostorgius, Photius에서, Philostorgius의 교회사 요약, iv.3.
추가 읽기
- V. C. 드 클레르크, 코르도바의 오스시우스. 콘스탄틴 시대의 역사에 대한 공헌(워싱턴, 1954년).
- 루이 세바스티앵 르 나인 드 틸몬트, 메무아르, VII. 300-321 (1700)
- 카를 요제프 폰 헤펠레, 카울리엔게슈치히테, vol. i.
- 헨리 멜빌 그왓킨(Henry Melvill Gwatkin), 아리안주의 연구 (Cambridge, 1882년, 2차, 1900년)
- A. W. Dale, The Synod of Elvira (런던, 1882년)
- 문헌 목록과 함께 Realencyklopédie(3차, 1900년)의 Herzog-Hauck에 실린 기사 S.v.
- 가톨릭 백과사전
외부 링크
위키소스의 코르두바의 호시우스와 관련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