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사이니야
Hussainiya②오소사이니야 | |
---|---|
![]()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의 후사이니아 | |
아랍어 | حسينية (ḥusayniyya) مم ت ma'ma'ma'ma'ma) |
힌디어 | 이맘바사 아슈르카나 |
벵골어 | imamba'a |
페르시아어 | 오오세니아이 |
우르두어 | 이맘바사 imambarrgah (이맘바르가) 아슈르샤나 후세니야 |
시리즈의 일부 |
후사인 |
---|
![]() |
A ḥosayniya or hussainiya (Arabic: حسينية husayniyya), also known as an ashurkhana, imambargah, or imambara, is a congregation hall for TwelverShia Muslim commemoration ceremonies, especially those associated with the Mourning of Muharram.[1]후사이니야는 [2]무함마드의 손자 후세인 이븐 알리로부터 유래한 무하람의 애도 및 시아파의 다른 기념 의식을 위한 군중 홀이다.
용어.
후사이니야는 모스크와 다르다.그 이름은 12 이맘의 세 번째이자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손자인 후세인 이븐 알리로부터 유래되었다.후사인은 우베이드 알라 이븐 지야드의 통치 기간인 서기 680년 10월 10일 카르발라 전투에서 순교했다.시아파는 매년 무하람의 [3]10일째인 아슈라에서 그의 순교를 기념합니다.아슈라와 [4]관계없는 종교적 기념식을 포함하여 1년 동안 후사이니아에서 열리는 다른 의식도 있다.
남아시아에서 후사이니야는 이맘바라, 이맘바르가 또는 아슈르카나라고도 불립니다.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에서는 타키아카나라고도 불린다.바레인과 아랍에미리트에서는 마로 불린다.
역사
사파비드가 통치하던 시절부터 시아파가 종교와 애도 의식을 치르는 경향이 있었던 이란에서는 통로나 지붕이 있는 장소가 종교 공동체를 위해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호시니아와 타키예도 [5]보편화되었습니다.모든 호세니아에는 크고 작은 크기의 부스(또는 방)와 오락실이 있었다.또한 많은 야영지와 거리에서는 아쇼라 근처 날 종교인들이 벽과 지붕을 검게 칠하고 화려한 빛으로 밝혀주었습니다.잔드 시대부터, 바닥으로부터 1미터 높이로 무대가 있는 타지아를 잡기 위해서만, 타지에의 다른 감각을 보여주기 위해서, 크고 큰 타카에가 만들어졌습니다.[6]후사이니야의 비용은 자선기금과 [7][8]기부금으로 제공된다.
사용.
후사이니야는 무하람, 사파르, 라마단 기간 동안 애도용으로 사용되었고, 라우다 크와니, 사인 자니(가슴을 [9]때리는 것으로 슬픔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형태의 애도 의식)가 있었다.또한, 후사이니야는 승객과[10] 순례자들이 숙박하고 [1]가난한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장소입니다.후사이니야는 시아파 집회의 중심점이기 때문에 특히 [11]디아스포라 시아파 주민을 위한 종교적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목할 만한 후사이니아


- 이란 잔잔에 있는 호세이니에 아잠 잔잔 모스크
- Azakana Syed Dost Ali, Mohalah Katkoi, Amroha, 1766/1767년에 건설된
- 방글라데시 다카에 있는 후사이니 달란
- 방글라데시 쿨라우라의 Prithimpasha Nawab Bari Imambara
- 인도 럭나우, 바라 이맘바라
- 인도 럭나우 주 Chhota Imambara
- 인도 후글리(W.B.)의 후글리 이맘바라
- 인도 무르시다바드의 니자마트 이맘바라
- 인도 하이데라바드의 바드샤히 아슈르카나
- 인도 카르나타카 알리푸르 다르 우즈 제라
- 이란 테헤란의 호세이니예 에르샤드
- 후사이니 이맘바라 아심 라자 압디 100/46에 간즈 칸푸르 대령
- 이맘바라 구프란 마압, 인도 러크나우
- 인도 카라리 알라하바드의 이맘바르가 Mir Vilayat Husain
- 인도 암로하에 위치한 Azakana Wazeer-un-Nisa.아자카나는 1802년 (1226 히즈리)에 모스크 하나와 함께 지어졌다.
- 파키스탄 구즈란왈라에서 가장 오래된 이맘바르가 중 하나인 이맘바르가 하벨리 사다트.이것은 인도 펀자브 주 파테가르 추리안에서 이주한 나크비 사다트 가문에 의해 지어졌다.
- 파키스탄 구즈랏의 코틀라 아랍 알리칸에 있는 이맘바르가 베이트 알 에 임란.이 유적지는 1979년 수니파인 추드하리 굴람 하산과 그의 부인이 기증했다.
- 아프가니스탄 이맘 바르가 모스크 2021년 칸다하르 폭격 목표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Juan Eduardo Campo (1 January 2009). Encyclopedia of Islam. Infobase Publishing. pp. 318–. ISBN 978-1-4381-2696-8.
- ^ Marafi, Najebah (29 September 2012). The Intertwined Conflict: The Difference Between Culture and Religion. ISBN 978-1477128367.
- ^ 이란 백과사전 후사이니야
- ^ Hussainiahs and Takkiahs mashreghnews.ir
- ^ Zoka, Yahya. History of Royal Citadel in Tehran and guide to Golestan Palace, (تاریخچه ساختمانهای ارگ سلطنتی تهران و راهنمای کاخ گلستان), vol 1. p. 283.
- ^ The Iranian social history, (تاریخ اجتماعی ایران) written in persian, V 5, P 340
- ^ Ansari Qomi. Iran's endowments in Iraq, ( موقوفات ايرانيان در عراق), vol 2. pp. 74–82.
- ^ Ebrahimnegad Shirvani, Pourabbas, Mahbubeh-sadat, Ata. "The Role of Ashura rituals and post-Ashura days in spiritual health through promoting religious-oriented normal behavior: A practical model".
- ^ "Tekyeh & Hussainiya". persiaadvisor.
- ^ Kaempfer, Engelbert (2018). Exotic Attractions in Persia, 1684-1688: Travels & Observations. Mage Publishers; 1st Hardcover edition (April 3, 2018). ISBN 978-1933823911.
- ^ 버몬 제임스 슈벨(1996년).바바라 메트카프, 186-203년 편집, 북미와 유럽의 무슬림 공간 만들기에서 "북미 시아파의 신성한 공간으로서의 카르발라".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