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리즈

Zellij
마라케시의 벤 유세프 마드라사있는 젤 ī즈로 덮인 벽

젤리즈(Zellij, 아랍어: ī, 로마자: 질 الزليج)는 개별적으로 손으로 깎은 타일 조각으로 만든 모자이크 타일 조각입니다.그 조각들은 전형적으로 다른 색들을 가지고 있었고 테셀레이션에 기초하여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어울렸는데, 특히 빛을 발하는 별 패턴과 같은 정교한 이슬람 기하학적 모티브들이 가장 주목할 만합니다.[1][4][5][6]이러한 형태의 이슬람 예술서양 이슬람 세계에서 건축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모로코의 건축물, 알제리건축물, 튀니지의 초기 이슬람 유적지, 이베리아 반도의 알안달루스의 역사적 기념물에서 발견됩니다.14세기 이후부터, 젤리즈는 하부 벽, 분수와 수영장, 미나렛, 그리고 바닥 포장을 위한 표준 장식 요소가 되었습니다.[1][5]

15세기 이후, 전통적인 모자이크 젤리는 모로코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유행하지 않게 되었고, 오늘날에도 계속 생산되고 있습니다.[1]: 414–415 Zelij전통적디자인에 새로운 색상 팔레트를 추가한 카사블랑카의 Hassan II 모스크와 같은 전통적인 디자인을 사용하는 현대적인 건물에서 발견됩니다.[7]젤리즈 문양의 영향은 르네상스 시대에 제작된 스페인 타일에서도 뚜렷했고 사각형 타일에 그려진 몇몇 현대 모방품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8]: 102 [2]: 41

이름.

ī (زليج)라는 단어는 타일의 매끄럽고 유약한 표면을 가리키는 "슬라이드하다"라는 뜻의 동사 zalaj (زَلَجَ)에서 유래되었습니다.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의 아줄레조라는 단어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칠 타일 스타일을 가리키며 질 ī즈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스페인에서는 알함브라와 같은 역사적인 이슬람 유적에 사용된 모자이크 타일 기법을 "자르다"라는 뜻의 아랍어 동사 qata'a(카타)에서 유래한 스페인어인 alicatado라고도 합니다.[12][3]: 166

역사

기원 (10-13세기)

마라케시 카스바 모스크 미나렛 상부 타일 장식(12세기 타일의 현대적 복원)

튀니지의 알 만수리야(사브라)에서 발견된 젤리즈 조각들은 아마도 10세기 중반 파티미드 유적지 또는 11세기 중반 지리드 점령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시기에 이 기술이 서이슬람 세계에서 발전했을 것임을 암시합니다.[5]조르주 마르세이스는 마디아에서 발견된 비슷한 장식과 함께 이 조각들이 이프리키야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그 후 서쪽으로 더 멀리 수출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1]: 99, 335 그것은 아마도 비잔틴 모자이크에서 영감을 받거나 파생되었을 것이고 그리고 나서 이슬람 장인들에 의해 요정 타일로 각색되었을 것입니다.[4][6]: 28 11세기경, 셀리즈 기술은 알제리칼랏 바니 함마드에서 발견된 정교한 포장도로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서방 이슬람 세계에서 정교한 수준에 도달했습니다.[5]

알모하드 시대에는 이미 쿠투비야 모스크마라케시카스바 모스크의 미나렛에 녹색과 흰색의 도자기 장식이 눈에 띄었습니다.비교적 단순한 디자인으로, 그것들은 산하자 베르베르 문화의 예술적인 영향을 반영했을 것입니다.[1]: 231 Jonathan Bloom모로코젤리즈의 최초의 확실한 예로 12세기 중반의 쿠투비야 모스크의 첨탑에 있는 유약 타일을 꼽습니다.[13]: 26 타일 조각은 크기가 커서 멀리서도 패턴을 볼 수 있습니다.각 조각은 굽기 전에 작은 구멍으로 구멍을 뚫어 이 부분의 절구면에 나무로 만든 틀에 못을 박아 붙였습니다.[14]: 329 1190년대 후반에 지어진 카스바 모스크의 미나렛은 쿠투비야의 미나렛과 같은 기술로 미나렛의 윗부분에 기하학적 모자이크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도자기 장식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a]오늘날 양쪽 첨탑에 있는 기와들은 원본을 현대적으로 복제한 것으로, 그 중 파편들은 바디팰리스 박물관의 보존품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14]: 326–333

지역에 걸친 일반화 (14~15세기)

알함브라의 미라도르 데 린다라자있는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와 모자이크로 만들어진 아랍 문자를 가진 Zelij 판넬 (14세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더 복잡한 젤리즈 양식은 모로코, 알제리, 알안달루스의 마리니드, 자이야드, 나스리드 왕조 시대인 14세기 전반에 널리 퍼졌습니다.[1]: 335–336 [15]알안달루스와 서부 마그레브의 문화적 통합과 관계로 인해 마리니드, 나스리드, 자이야니드의 후원 하에 있는 젤리의 형태는 매우 유사합니다.[3]: 188–189 하프스 왕조 시대의 이프리키야(튀니지)에서 젤리 타일링은 같은 시기에 크게 유행을 타지 못했고 돌과 대리석 판넬을 선호하는 것으로 대체되었습니다.[1]: 486–487

젤리즈 타일링은 건물 내부의 바닥을 포장하고 하부 벽을 덮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젤리즈는 미나렛의 외관과 일부 출입구 입구에도 사용되었습니다.[5]기하학적 모티프가 지배적이었고, 이 기간 동안 복잡성이 증가하는 패턴이 형성되었습니다.식물이나 꽃 모양의 아라베스크도 자주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벽에는 젤리즈 기하학적 다도들이 흔히 비문 프리즈로 덮여 있었습니다.[5]이 시기에는 노란색(산화철 또는 크롬 옐로우 사용), 파란색 및 어두운 갈색 망간 색상과 같은 색상이 더 많이 사용되었습니다.[1]: 336 무늬를 만들기 위해 많은 수의 작은 손으로 자른 조각들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이 양식의 타일 모자이크는 나스리드 왕조의 알함브라 궁전, 트렘센의 모스크, 페즈, 메크네스, 살레의 마리니드 마드라스와 같은 그 시기의 유명한 건물들에서 분명하게 나타납니다.그것은 이슬람교도나 무데자르 장인을 고용한 같은 시기의 일부 기독교 스페인 궁전에서도 발견되는데, 특히 14세기 구역이 알함브라와 현대적이고 약간 덜 세련되었지만 동일한 양식의 젤리 타일을 포함하고 있는 세비야의 알카사르가 가장 유명합니다.[16]: 63–64 [3]: 172

첼리즈첼라(14세기)에 남아 있으며, 텔렘센[3]: 206 출신 장인들의 특징이었을 수도 있는 밝은 색과 꽃무늬를 하고 있습니다.

나스리드 셀리 예술의 가장 예외적으로 남아있는 예로는 14세기부터 알함브라에 있는 미라도르 린다라자토레 데 라 카우치바의 다도가 있습니다.아랍의 에피그래피는 보통 석판으로 조각되거나 더 큰 정사각형 타일 위에 그려진 반면, 이 두 가지 예는 글자 형태로 잘라 흰색 바탕으로 세운 색 타일 조각들의 집합으로 만들어진 나스키 문자의 매우 정교한 아랍어 비문을 포함합니다.[17]Torre de la Cautiva의 타일들은 건축적인 젤리즈 장식에서 독특한 보라색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구별됩니다.[17]린다라자의 미라도르의 다도 또한 비문 수준 이하의 매우 미세한 모자이크 조각들로 특별히 진보된 기하학적 구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8]이 구성의 타일 조각들 중 일부는 폭이 2 밀리미터 정도로 작습니다.[6]: 129

서쪽의 젤리 작업 외에도, 종종 팔메트의 꽃무늬와 두루마리 작업으로 밝은 색의 조각이 있는 약간 독특한 스타일의 젤리는 틀렘센의 장인들 사이에서 발전했습니다.이 양식의 가장 중요한 초기 예는 아부 타쉬핀 1세 (재위 1318–1337)가 세운 타쉬피니야 마드라사 (더 이상 현존하지 않음)의 장식이었습니다.이 유형은 이후 이 시대의 후기 기념물들에서 나타났는데, 주로 틀렘센(아부 마디안의 모스크와 마드라사와 같은) 만 아니라 첼라의 마리니드 마드라사의 한 들판에서도 나타났는데, 이 시기에 마리니드인들에 의해 같은 장인들의 작업장이 고용되었을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3]: 187, 195, 206 [14]: 526 [19]마그레브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은 입구에 젤리 장식을 사용한 것도 틀렘센 건축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었습니다.[19]: 178 오늘날, 틀렘켄의 고고학 박물관은 자이야 왕조 시대의 다양한 중세 기념물들에서 나온 패널들과 젤리의 조각들의 많은 유적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20]

페즈의 부 이나니아 마드라사(Bou Inania Madrasa, 14세기)의 비문 프리즈에서 나온 스그라피토 양식의 타일

전형적으로 주요 모자이크 다도에서 1위를 차지했던 마리니드 타일 작품의 석판 프리즈는 스그라피토("스크래피토"를 뜻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21][16]: 67 [5]로 더 널리 알려진 다른 기술을 통해 만들어졌습니다.이 기법은 사각형의 판넬을 검은색으로 칠한 뒤 원하는 문양을 중심으로 유약을 깎아내어 맨땅을 배경으로 아랍어 글씨와 장식적인 장식을 남겼습니다.[22]: 138 [23]: 74 [1]: 336 [16]: 67 때로는 대지의 바탕에 흰색을 칠하기도 하고, 때로는 초록색의 무늬를 남기기 위해 검은색 대신 초록색 유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후자의 예는 페즈(1350–1355)에 있는 부 이나니아 마드라사(Bou Inania Madrasa)[1]: 336 의 미나렛의 도자기 장식에서 수 있습니다.

후기 역사 (16세기 이후)

16세기에 북아프리카의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습니다.알제리에서, 토착 젤리즈 양식은 유럽에서 수입된 작은 정사각형 타일로 대체되었고, 특히 이탈리아, 스페인, 델프트에서 수입되었고 때로는 튀니지에서 수입되기도 했습니다.이 후기에 발견된 더 많은 전통적인 모자이크 타일의 일부 예는 틀렘센에서 계속해서 생산되었을 수 있습니다.[1]: 449 튀니지에서는 타일 장식의 또 다른 스타일인 칼라인 타일이 18세기에 일반화 되었고 현지에서 생산되었습니다.그것은 이전의 모자이크 기법보다는 이탈리아의 마이올리카와 비슷한 기법으로 장면과 꽃으로 그려진 고정된 크기의 정사각형 패널로 구성되었습니다.[1]: 487 [5][16]: 84–86

메트로폴리탄[24] 미술관의 16세기 스페인에서 제작된 이슬람 기하학적 모티브의 쿠엔카아리스타 타일의 예

이전에 무슬림이 지배하던 영토들이 기독교의 지배를 받게 된 스페인에서는 타일 제작의 새로운 기술들이 발달했습니다.부유한 스페인 사람들이 그들의 거주지를 장식하기 위해 무데자르 양식을 선호하면서, 이 양식의 모자이크 타일 작업에 대한 수요는 타일 제조자들이 생산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증가했고, 그들이 새로운 방법을 고려할 것을 요구했습니다.[8]: 102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반에 세비야쿠엔카("hollow") 또는 아리스타(ridesta")로 알려진 타일의 중요한 생산지가 되었습니다.이 기술에서 모티브는 금속이나 나무 틀을 굽지 않은 타일 위에 눌러서 만들어졌고, 얇은 점토 능선으로 그려진 모티브를 남겼습니다. 이는 굽는 동안 서로 다른 색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이것은 이전의 쿠에르다 세카 기술과 비슷했지만 대량 생산에 더 효율적이었습니다.[16]: 64–65 [8]: 102 [25]이 타일들의 모티프는 젤리 모자이크 전통에서 이슬람과 무데자르의 초기 디자인을 모방하거나 고딕이나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같은 유럽의 현대적인 영향을 혼합했습니다.[8]: 102 [16]: 64–65 [26]이 타일들의 좋은 예는 16세기 초 세비야의 필라토스 카사 데 필라토스 장식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16]: 65 이런 종류의 타일은 17세기에 잘 만들어졌고 스페인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과 아메리카의 스페인 식민지로 널리 수출되었습니다.[8]: 102

Saadian Tombs (16세기 후반)의 Zellij, 다른 착색 방법과 미세한 패턴을 위해 얇은 개별 조각을 사용함

모로코에서는, 기존의 건축 양식이 상대적으로 적은 외부의 영향으로 영구화되었습니다.[3]: 243 이곳에서 전통적인 젤리는 15세기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1]: 414–415 16세기의 Saadi 왕조 하에서 그리고 그 이후 몇 세기 동안, Zellij의 사용은 모로코 내에서 훨씬 더 널리 퍼졌고 점점 더 많은 표면을 덮었습니다.[1]: 415 알라위 술탄 물레이 이스마일 (1672–1727)의 통치 기간 동안, 젤리는 메크네스에 있는 새로운 황실 성채의 기념비적인 문들의 정면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16]: 78

Sadis 아래에서, Badi 궁전과 같은 가장 호화로운 건물들의 장식을 위해 기하학적인 패턴의 복잡성이 증가했습니다.[27]: 268 Saadian Tombies에 있는 Zellij 구성 중 일부는 이러한 유형의 가장 좋은 사례 중 하나입니다.[27]: 194–200 [1]: 415 이 예에서 장인들은 더 얇은 모자이크 조각을 사용했으며 끈 구조를 이루는 얇고 선형적인 조각은 색을 띠는 반면 "배경"을 형성하는 더 큰 조각은 흰색입니다.이 계획은 오래된 젤리즈(지반이 채색되고 선형 끈이 흰색이었던 곳)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채색 패턴을 뒤집었습니다.[1]: 415

이전에 마리니드 에피그래피 프리즈에 사용되었던 스그라피토 기술은 사디 시대 이후 수세기에 걸쳐 모로코에서 모자이크의 보다 단순하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이러한 유형의 타일은 종종 대형 게이트웨이와 포털의 스패들에 사용되었습니다.모티프는 종종 전통적인 모자이크 젤리즈 스타일보다 비교적 단순하고 덜 화려합니다.[1]: 415 이 유형의 후기 사례에서는 검은색 유약 외에도 녹색 또는 파란색 유약을 사용하여 이들 색상의 모티브를 얻었습니다.이것의 예는 1913년에 지어진 페즈의 바브 젤루드 문의 파란색과 초록색 타일 정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22]: 138

1913년 메크네스의[28] 엘 헤딤 광장에 세워진 분수를 덮은 모로코 후기의 대규모 기하학적 장미 조성의 예

이후 몇 세기 동안 기하학적 모자이크에서 다각형을 분리했던 끈을 묶는 작업은 더 이상 표준이 아니었고 모로코 장인들은 점점 더 큰 규모로 로제트 스타일의 기하학적 구성을 만들었습니다.[22]: 152 [1]: 415 후기 양식의 절정은 19세기와 20세기에 지어진 궁궐에서 볼 수 있습니다.이 기간 동안에는 빨간색, 밝은 노란색, 그리고 어두운 파란색을 포함한 새로운 색상들도 팔레트에 도입되었습니다.[22]: 152 Zellij는 더 넓은 배열의 건축 요소에 고용되었습니다.기하학적 장미 무늬는 분수 (혹은 분수 주변의 지면), 아치형 문간의 스판들, 조각된 회반죽의 아치들로 테두리를 두른 벽면을 장식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보다 단순한 바둑판 모양의 모티프는 장미 조성물의 배경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큰 표면을 덮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더 근대적인 주택과 대저택에서는 원통형 기둥도 수도 수준의 기와로 덮었습니다.[1]: 415

오늘날 모로코에서 젤리 예술 형식은 모로코 문화 예술 정체성의[29] 특징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현대 모로코 건축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습니다.[2]: 41 페즈는 가장 중요한 생산의 중심지로 남아있습니다.[29][30]메크네스, 살레, 마라케시와 같은 다른 도시의 공방들은 일반적으로 페즈의 장인정신과 같은 스타일을 모방합니다.[30]테투안시(모로코 북부)는 19세기부터 페즈시와는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자체 모자이크 젤리 산업을 유치했습니다.[30]전통적인 젤리의 무늬는 몇몇 스페인 장식 타일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현대 스페인 타일에서는 기하학적인 모티브가 모자이크로 형성되기 보다는 단순히 큰 타일 위에 그려지고 구워집니다.[2]: 41

제작

젤리즈 타일은 먼저 유리 사각형으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한 면당 10cm씩 제작된 다음, 작은 아제와 같은 망치로 손으로 잘라 전체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미리 설정된 모양으로 자릅니다(보통 암기식으로 기억됨).[2]: 41 [1]: 414 비록 정확한 패턴은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 원리는 수세기 동안 일정했고 모로코 장인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것을 만드는데 능숙합니다.[2]: 41–43 다른 색의 작은 모양(정확한 반경 게이지에 따라 절단)은 퍼즐처럼 기하학적 구조로 조립되어 완성된 모자이크를 형성합니다.테투안의 독특한 도시에서는 젤리 타일을 굽기 전에 원하는 모양으로 잘라냅니다.이것은 더 단단한 에나멜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결과를 낳지만, 색상은 밝지 않고 타일 조각들은 일반적으로 페즈와 같은 다른 도시에서 생산되는 것들만큼 단단하게 맞지 않습니다.[1]: 414–415 [2]: 41

굽고 자르면, 기와들은 땅 위에 엎드린 채로 조립되어 의도된 무늬로 만들어졌습니다.기와 조각의 뒷면에는 얇은 회반죽이나 백수를 입혔습니다.건조가 끝나면 이 코팅을 통해 타일 조각들이 더 큰 패널로 결합됩니다.[8]: 55 [6]: 33 [3]: 166 [31]: 287–288 나스리드 타일워크에서는 석고에 에스파르토의 실과 지팡이를 섞어 인장 강도를 높였습니다.[3]: 166 판넬을 박격포그라우트로 벽에 붙였습니다.[14]: 563 [6]: 33 마라케시의 쿠투비야와 카스바 모스크의 첨탑에 있는 알모 타일의 경우, 타일들은 뒤쪽 벽 표면에 나무로 만들어진 틀에 못박혀 있었습니다.[14]: 330

양식 및 패턴

세비야의 알카자르에 있는 처녀들의 뜰에 기하학적 무늬가 있는 젤리의 예.이 일반적인 패턴은 12개의 점, 6개의 점, 그리고 8개의 점을 가진 별들을 특징으로 합니다.

전통적인 젤리 장식에서 다양한 복잡성의 기하학적 패턴은 가장 두드러지고 널리 퍼진 모티브였습니다.식물성 아라베스크 모티브도 자주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사용되었습니다.[5]테셀레이션(tesellation)에 기초하여 기하학적 패턴이 만들어졌는데, 테셀레이션(tesellation)은 반복되고 서로 겹치거나 빈 공간을 남기지 않는 형태를 사용하여 표면을 덮는 방법입니다.이 패턴들은 무한히 확장될 수 있습니다.[32][6]: 21 이슬람 미술에서 기하학적 모티프에서 가장 중요한 테셀레이션 유형은 규칙적인 다각형에 기초합니다.[32]이슬람 예술의 개념적 틀 안에서 이러한 형태의 표현은 생물의 묘사를 피하는 공간적 장식의 창조를 가치 있게 여겼고, 그러한 묘사에 대한 이슬람의 상징주의의 금기와 일치했습니다.[4]모자이크 기와 세공의 전통은 이란, 아나톨리아, 인도 아대륙을 포함한 이슬람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다양한 시기에 걸쳐 널리 퍼졌습니다.[33]동 이슬람 세계에서는 블루스와 터쿼이즈가 지배적인 색이었던 반면, 서부 젤리 옐로우, 그린, 블랙, 라이트 브라운은 매우 흔했고, 블루스와 터쿼이즈 또한 혼합되어 나타났고, 그것들은 전형적으로 하얀 땅에 배경을 두었습니다.[5][33][34]

페즈의 Bou Inania Madrasa에 있는 기하학적 패턴의 예.이 예는 10개의 점이 있는 별을 가진 다섯 배의 기하학적 체계를 사용하는 동시에 색을 통해 시각적 다양성을 더합니다.

서양 이슬람 미술에서는 나스리드 왕조와 마리니 왕조 시대에 건축 장식을 위해 매우 다양한 기하학적 패턴이 만들어졌습니다.가장 흔한 것 중 하나는 여섯 개의 점과 열두 개의 점이 있는 별들의 구성을 사용한 패턴이었고, 그들 사이에 여덟 개의 점이 있는 별들이 삽입되어 있었습니다.[32]: 107 인기 있는 경향은 네 겹의 대칭 시스템에 기초한 패턴의 사용이었습니다.이 패턴 계열은 동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다른 이슬람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마그레브와 알안달루스 예술가들은 그들의 사용에 뛰어났고 몇 가지 혁신을 도입했습니다.한 가지 혁신은 다양한 다각형 형태를 포함하는 더 넓은 구성으로 패턴의 반복 단위를 더 크게 만드는 것이었습니다.다른 혁신은 이러한 패턴 중 일부에 더 복잡한 16개의 점이 있는 별을 통합하고 더 넓은 패턴 내에 더 많은 "임의적" 디자인 요소를 삽입한 것입니다.이러한 혁신은 모티브의 복잡성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다양성도 증가시켰습니다.[32]: 107–109 이슬람 세계의 나머지 부분에서 널리 사용되고 발전된 다섯 겹의 대칭을 포함하는 패턴 계열은 마그레브와 알안달루스에서 덜 흔했습니다.[32]: 110 마리니드 시대의 이 패턴에 대한 몇 가지 예외적인 예는 페즈의 알 아타린과 부 이나니아 마드라스의 젤리즈 타일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데, 여기서 다시 한번 큰 반복 단위를 사용함으로써 더 큰 시각적 다양성을 달성했습니다.[32]: 111 이 예들과 다른 예들에서, 색의 사용을 통해 시각적 다양성 또한 추가적으로 달성되었습니다.작품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동일한 기하학적 모티브 안에서 다양한 패턴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6]: 85 [32]: 111

다른 유형의 구성들도 사용되었는데, 그 중 많은 것들이 훨씬 단순했습니다.어떤 모자이크들은 단순히 색깔이 있는 사각형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6][4]이것의 한 가지 변형은 교차점에 8개의 뾰족한 별이 있는 흰색 줄무늬로 분리된 반복되는 사각형/노즐로 구성된 "체커보드"와 같은 패턴입니다.[16]: 60–72 나스리드의 알함브라에서, 어떤 젤리주 모티프들은 서로 엉키는 리본이나 트레이서리로 구성되어 있었고, 때로는 좁은 프리즈가 문간을 감싸고 있거나 더 큰 젤리주 다도 위를 달리는 것의 일부 젤리주 모티프들은 서로 엉켜 있는 리본이나 트레이서리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6]알함브라만의 또 다른 모티브는 소위 "나스리드 버드"(스페인어: pajarita nazarrii)로, 바퀴와 같은 모티브로 반복되는 굽은 팔을 가진 세 개의 점이 있는 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6]또 다른 모티프는 알함브라에서 볼 수 있으며 모로코 테투안의 젤리즈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아랍어로 "4개의 망치"(arba'a matariq)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쿠투비야 모스크의 미나렛에 있는 12세기 젤리와 비슷한 이 모티브의 직선형 버전은 스페인어로 "뼈" (휴소) 모티브라고 불리는 알함브라에서도 발견됩니다.[6]: 22–23 [2]: 32–36 다르즈와크타프(또는 세브카) 모티브는 알 아타린과 부 이나니아 마드라사스의 예를 포함한 일부 마리니드 타일 작업에도 사용됩니다.[22]: 138–153 [16]: 70–71 여러 가지 테셀레이션된 모티프가 입증됩니다.

젤리즈에 대한 아람코 월드 기사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백과사전은 복잡하고 종종 개별적으로 다양한 패턴의 전체 배열과 질리즈 작품에서 발견되는 개별적인 모양의 손으로 자른 테세래 또는 퍼마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별을 기준으로 한 패턴은 점의 개수로 구분되는데, '12개는 잇나샤리, 20개는 이스리니, 24개는 아르바'와 이스리니 등입니다.기하학적으로 이 수열에 있는 어떤 별의 점의 수를 6으로 나눌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소위 캄시니는 50점, 미이니는 100점으로 각각 48점과 96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점과 8점을 기준으로 한 수열도 있습니다.)하나의 별 모양 안에서 색상의 혼합, 털마의 크기, 끈끈, 땋음 또는 "랜턴"과 같은 공간 간 요소의 복잡성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있습니다.그리고 별이 아닌 모든 패턴들이 있습니다. 벌집, 거미줄, 계단과 어깨, 그리고 바둑판.[35]

ī즈 느낌의 기하학적 모티브가 아이보리로 상감된 나무 상자.이탈리아 (플로렌스 또는 베니스) 15세기.

14세기 이후 베네치아 상인들이 여러 종류의 물건을 이탈리아로 가져왔을 때 이슬람 장식과 장인정신은 서양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36]그라나다의 알함브라에 있는 젤리즈 타일 세공은 또한 20세기 네덜란드 예술가 M. C. 에셔의 작품에 중요한 영감의 원천이었습니다.[37][38][39]모자이크의 테셀레이션은 현재 예술의 수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이러한 연구는 수학, 미술, 미술사뿐만 아니라 컴퓨터 과학, 컴퓨터 모델링,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요구합니다.[40][additional citation(s) needed]

클레이스

모로코에서 페즈는 여전히 ī즈 타일의 생산 중심지이며, 이는 부분적으로 이 지역에서 발견된 미오세 회색 점토 때문입니다.이 지역의 점토는 주로 고령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페즈와 메크네스, 사피, 살레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 도자기에 사용되는 점토의 구성은 27-56%의 점토 광물이며, 그 중 3-29%는 석회석(페즈의 경우 약 16%)입니다.[41]석영과 모스크바나이트도 각각 15~29%, 5~18% 정도 존재합니다.[41]메리엄 엘 오우아하비(Meriam El Ouahabi), L. 다우디(L. Daoudi), 나탈리 파겔(Nathalie Fagel)의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장소(Meknes, Fes, Salé 및 Safi)에서, 점토 광물 조성물은 일라이트, 클로라이트, 스멕타이트 및 혼합 층 일라이트/클로라이트의 존재를 카올리나이트 외에 보여줍니다.메크네스 점토는 일라이트(54~61%), 카올리나이트(11~43%), 스멕타이트(8~12%), 클로라이트(6~19%)로 특징지어지는 일라이트 점토에 속합니다.페스 점토는 일라이트(40~48%)와 카올리나이트(18~28%)가 가장 풍부한 점토 광물로 균질한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염소(12~15%)와 스멕타이트(9~12%)는 일반적으로 소량 존재합니다.혼합층 일라이트/염소산염은 조사된 모든 페스 점토 물질에서 미량으로 존재합니다.[41][failed verification]

젤리즈 장인

ī즈 만들기는 그 자체로 예술로 여겨집니다.예술은 대대로 마알렘(마스터 장인)에 의해 전해집니다.필요한 기술을 이식하기 위해서는 긴 훈련이 필요하며 보통 어린 시절부터 훈련을 시작합니다.페즈에서 장인들은 6세에서 14세 사이에 훈련을 시작하고 평균 견습 기간은 약 10년 정도이며, 여성의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29]1993년 모로코 정부는 아동권리협약(CRC)을 비준하여 위험하거나 교육에 지장을 주는 일에 15세 미만의 아동을 고용하는 관행을 폐지하였지만,[42]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아동을 훈련시키는 관행은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29]현재 젊은 사람들은 모로코의 58개 장인 학교 중 하나에서 ī즈 만들기를 배웁니다.하지만, 그 기술을 배우는 것에 대한 흥미는 떨어지고 있습니다.2018년 현재 400명의 재학생이 있는 페즈의 장인 학교에서 오직 7명의 학생들만이 ī즈를 만드는 방법을 배웁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카스바 모스크의 미나렛에도 다양한 종류의 타일이 사용됩니다.미나렛의 측면에 있는 세바무늬 벽돌 안에 녹색 도자기 호각을 사용하고, 그 아래에 청색 자색 호각을 씌운 호각을 사용하며, 쿠에르다 세카 기법의 사각형 타일 띠는 상단을 따라 비문을 형성합니다.금석 조각은 오늘날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1920년대에 소수의 보존된 조각만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바디 팰리스 박물관의 보존 소장품에 남아 있습니다.[14]: 330, 332

참고문헌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Marçais, Georges (1954). L'architecture musulmane d'Occident. Paris: Arts et métiers graphiques.
  2. ^ a b c d e f g h Parker, Richard (1981). A practical guide to Islamic Monuments in Morocco. Charlottesville, VA: The Baraka Press.
  3. ^ a b c d e f g h i Bloom, Jonathan M. (2020).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218701.
  4. ^ a b c d Touri, Abdelaziz; Benaboud, Mhammad; Boujibar El-Khatib, Naïma; Lakhdar, Kamal; Mezzine, Mohamed (2010). Andalusian Morocco: A Discovery in Living Art (2 ed.).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 du Royaume du Maroc & Museum With No Frontiers. ISBN 978-3902782311.
  5. ^ a b c d e f g h i j Jonathan Bloom; Sheila S. Blair; Sheila Blair (2009). "Architecture; X. Decoration; B. Tiles".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p. 201. ISBN 978-0-19-530991-1.
  6. ^ a b c d e f g h i j k Caruncho, Daniel S. (2018). Tilework in the Alhambra of Granada. Translated by Jones, Cerys Giordano. Barcelona: Dosde. ISBN 9788491031369.
  7. ^ Broug, Eric (2008). Islamic Geometric Patterns. London: Thames & Hudson. ISBN 978-0-500-28721-7.
  8. ^ a b c d e f Rosser-Owen, Mariam (2010). Islamic Arts from Spain. V&A Publishing. ISBN 9781851775989.
  9. ^ Team, Almaany. "تعريف و شرح و معنى زليج بالعربي في معاجم اللغة العربية معجم المعاني الجامع، المعجم الوسيط ،اللغة العربية المعاصرة ،الرائد ،لسان العرب ،القاموس المحيط - معجم عربي عربي صفحة 1". www.almaany.com. Retrieved 2020-05-29.
  10. ^ "azulejo – definition of azulejo in Spanish". Oxford Living Dictionaries. Oxford University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pril 2019. Retrieved 8 April 2020.
  11. ^ "Azulejos: gallery and history of handmade Portuguese and Spanish tiles". www.azulejos.fr. Retrieved 8 April 2020.
  12. ^ Degeorge, Gérard; Porter, Yves (2002). The Art of the Islamic Tile. Random House Incorporated. p. 24. ISBN 978-2-08-010876-0.
  13. ^ Bloom, Jonathan; Toufiq, Ahmed; Carboni, Stefano; Soultanian, Jack; Wilmering, Antoine M.; Minor, Mark D.; Zawacki, Andrew; Hbibi, El Mostafa (1998). The Minbar from the Kutubiyya Mosqu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Ediciones El Viso, S.A., Madrid;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 Royaume du Maroc.
  14. ^ a b c d e f Lintz, Yannick; Déléry, Claire; Tuil Leonetti, Bulle, eds. (2014). Maroc médiéval: Un empire de l'Afrique à l'Espagne. Paris: Louvre éditions. ISBN 9782350314907.
  15. ^ Touri, Abdelaziz; Benaboud, Mhammad; Boujibar El-Khatib, Naïma; Lakhdar, Kamal; Mezzine, Mohamed (2010). Le Maroc andalou : à la découverte d'un art de vivre (2 ed.).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 du Royaume du Maroc & Museum With No Frontiers. ISBN 978-3902782311.
  16. ^ a b c d e f g h i j Degeorge, Gérard; Porter, Yves (2001). The Art of the Islamic Tile. Translated by Radzinowicz, David. Flammarion. ISBN 208010876X.
  17. ^ a b López, Jesús Bermúdez (2011). The Alhambra and the Generalife: Official Guide. TF Editores. pp. 146, 195–196. ISBN 9788492441129.
  18. ^ Makovicky, Emil (2016). Symmetry: Through the Eyes of Old Masters.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ISBN 978-3-11-041719-7.
  19. ^ a b Charpentier, Agnès (2018). Tlemcen médiévale: urbanisme, architecture et arts (in French). Éditions de Boccard. ISBN 9782701805252.
  20. ^ Charpentier, Agnès; Terrasse, Michel; Bachir, Redouane; Ben Amara, Ayed (2019-12-31). "Palais du Meshouar (Tlemcen, Algérie) : couleurs des zellijs et tracés de décors du xive siècle". ArcheoSciences. Revue d'archéométrie (in French) (43): 265–274. doi:10.4000/archeosciences.6947. ISSN 1960-1360. S2CID 242181689.
  21. ^ "sgraffito art Britannica". Encyclopedia Britannica. 16 May 2014. Retrieved 2022-10-06.
  22. ^ a b c d e Cambazard-Amahan, Catherine (1992). "Zillīǧ: Origines et Schémas de Composition au Temps des Mérinides". Zillīǧ: L'Art de la Céramique Marocaine (in French). Garnet Publishing Limited. pp. 135–155. ISBN 1873938497.
  23. ^ Ekhtiar, Maryam D.; Soucek, Priscilla P.; Canby, Sheila R.; Haidar, Navina Najat, eds. (2011). Masterpieces from the Department of Islamic Art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SBN 9781588394347.
  24. ^ "Panel of 4 cuenca tiles". MET Museum. Retrieved 2022-10-06.
  25. ^ Campbell, Gordon, ed. (2006). The Grove Encyclopedia of Decorative Arts. Oxford University Press. pp. 293, 471. ISBN 9780195189483.
  26. ^ Frothingham, Alice Wilson (1969). Tile Panels of Spain, 1500-1650. order of the trustees, Hispanic Society of America. pp. xiii. ISBN 978-0-87535-110-0.
  27. ^ a b Salmon, Xavier (2016). Marrakech: Splendeurs saadiennes: 1550-1650. Paris: LienArt. ISBN 9782359061826.
  28. ^ Marçais, Georges (1927). L'architecture: Tunisie, Algérie, Maroc, Espagne, Sicile (in French). A. Picard. p. 741.
  29. ^ a b c d Shafer, Ann (2019). "No man is an island: globalisation and resilience in the Fez zillīj tradition". The Journal of North African Studies. 24 (5): 758–785. doi:10.1080/13629387.2018.1483877. S2CID 149949424.
  30. ^ a b c Erzini, Nadia (1992). "L'École de Tétouan". Zillīǧ: L'Art de la Céramique Marocaine (in French). Garnet Publishing Limited. p. 174. ISBN 1873938497.
  31. ^ Damluji, Salma Samar (1992). "Zillīǧ: Espaces architecturaux". Zillīǧ: L'Art de la Céramique Marocaine (in French). Garnet Publishing Limited. pp. 242–349. ISBN 1873938497.
  32. ^ a b c d e f g Bonner, Jay (2017). Islamic Geometric Patterns: Their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ditional Methods of Construction. Springer. ISBN 978-1-4419-0217-7.
  33. ^ a b Petersen, Andrew (1996). "tilework".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pp. 279–280. ISBN 9781134613663.
  34. ^ Blair, Sheila; Bloom, Jonathan (2011). "Tiles as Architectural Decoration". In Hattstein, Markus; Delius, Peter (eds.). Islam: Art and Architecture. h.f.ullmann. pp. 448–451. ISBN 9783848003808.
  35. ^ Werner, Louis (2001). "Zillij in Fez". Saudi Aramco World. Retrieved 2022-10-02.
  36. ^ Mack, Rosamond E. (2001). Bazaar to Piazza: Islamic Trade and Italian Art, 1300-160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Chapter 1. ISBN 0-520-22131-1.
  37. ^ Calcatinge, Alexandru (2014). Critical Spaces: Contemporary Perspectives in Urban, Spatial and Landscape Studies. LIT Verlag Münster. pp. 55–56. ISBN 978-3-643-90495-9.
  38. ^ Hvidsten, Michael (2016). Exploring Geometry. CRC Press. ISBN 978-1-4987-6098-0.
  39. ^ Hoffmann, Frank (2020). Introduction to Crystallography. Springer Nature. ISBN 978-3-030-35110-6.
  40. ^ 양식에서 내용으로: 이미지 시각화를 위한 형상 문법의 사용, 제9차 국제 정보 시각화 회의 자료 IV 보관 절차 – 제00권, IEEE 컴퓨터 학회 워싱턴 DC, 미국
  41. ^ a b c El Ouahabi, Meriam; Daoudi, L.; Fagel, Nathalie (2014). "Mineralogical and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of clays from northern Morocco for their potential use in the ceramic industry". Clay Minerals. 49 (1): 35–51. Bibcode:2014ClMin..49...35O. doi:10.1180/claymin.2014.049.1.04. S2CID 131441497.
  42. ^ "Lonely Servitude Child Domestic Labor in Morocco". Human Rights Watch. 2012-11-15. Retrieved 2019-05-22.
  43. ^ "Crafting mosaic tile is an endangered tradition. Here are the folks keeping it alive". USA TODAY. Retrieved 2019-05-22.

추가열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