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토프 리피터

Kalthoff repeater
칼토프 리피터
Kalthoff-type flintlock rifle (1600s) at Livrustkammaren
리브러스트캄마렌의 칼토프형 플린트락 라이플(1600대)
원산지 솔링겐
서비스 이력
가동중c.1657–c.1696
사용자 덴마크
전쟁
생산이력
디자이너칼토프 건스미스
설계된c. 1630년
사양
칼리버.40-.80인치
액션브리치 하중
화재율30-60라운드/분
공급 시스템별도 컴포넌트 매거진, 5~30라운드

칼토프 리피터는 1630년경 켈토프 가문의 일원이 고안한 반복 화기의 일종으로, 군 복무에 투입된 최초의 반복 화기가 되었다.[1][2] 적어도 19명의 총잡이들은 칼토프 디자인에 따라 무기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초기 켈토프 총 몇 자루는 휘장이었지만 나머지는 부싯돌이었다.[3][4][5] 용량은 잡지의 스타일에 따라 5~30라운드까지 다양했다.[1] 1-2초 만에 할 수 있는 방아쇠 가드의 전방과 후방 단 한 번의 움직임이 무기를 발사하기 위해 재점검했다.[6] 칼토프 포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0.4인치와 0.8인치 사이에 다양했지만,[5] 3구경 예 또한 존재한다.[7]

출처 및 생산

칼토프 계통은 1630년경 솔링겐에서 칼토프 가문의 무명의 일원이 만든 총에서 유래한다.[1] 그 가족의 구성원들은 나중에 덴마크,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러시아를 포함한 유럽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1] Kalthoff 시스템의 첫 번째 특허는 Louis X에 의해 프랑스에서 발행되었다.III는 1640년 기욤 켈토프에게.[1] 이 특허는 표준 화기의 무게, 길이, 손놀림을 유지하면서 8-10발의 화살을 한 번에 쏠 수 있는 사향총과 권총을 명시했다.[1][8] 1년 후인 1641년, 피터 켈토프는 재장전 전에 29발을 발사할 수 있는 소총에 대한 네덜란드 특허를 획득했다.[5][1][9] 이 특허는 총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1년 안에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 그 해 말, 헨드릭 바트만이라는 개인에게 또 다른 네덜란드 특허가 주어졌다.[1] 이 특허는 화약과 공에 대한 별도의 잡지, 30발의 사격능력, 무기를 재장전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방아쇠 가드가 달린 총을 명시했다.[1] 바트만스는 1642년경 특허에 따라 잡지 소총을 만들었는데, 이 소총은 비록 지금은 총에서 사라졌지만, 스냅록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1] 1645년 피터 켈토프는 윌록 매거진 소총을 만들었다. 이 무기에는 '다스 에르스테'(첫 번째)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1] 그는 1646년에 또 다른 반복적인 화기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그의 이전 무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 휘장이다. 이 무기는 30개의 둥근 능력을 주장하는 바리새 바로 앞 통에 새겨진 글씨를 지니고 있다.[4] 그 해에 그는 또한 반복적인 부싯돌 자물쇠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덴마크 왕자 프레데릭에게 주어졌다.[1] 이 무기는 플렌스부르크에서 제작되었으며, 독일에서 제작된 최초의 플린트락 무기였다.[10] 피터가 만든 대부분의 반복기는 후방 트리거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 부드럽고 둥근 트리거 가드를 사용한다. 덴마크에서도 근무했던 마티아스 칼토프가 만든 리피터는 처음에는 캐리어에 의해 형성된 직각의 직각 트리거 가드를 갖고 있다.[3] 해제 트리거가 없으며 레버를 고정하기 위해 직선 로드를 사용한다.[3] 마티아스의 총은 1650년에서 1679년 사이의 날짜를 가지고 있다.[11]

Flintlock Kalthoff Repeater by Mathias Kalthoff, 1656-1694[12]
1656-1694년[12] 마티아스 켈토프의 플린트록 켈토프 리피터
얀 플럼즈의 원통형 브릿지 총의 자물쇠 부분. 이 무기는 원래11세[13] 소유했던 것이다.

1649년, 칼토프라는 성을 가진 총잡이가 만든 반복 권총 한 쌍이 프레데릭 3세에게 보내졌다고 보고되었다.[1] 덴마크 국립박물관에서 칼토프 시스템을 사용하는 권총 2개가 보관돼 있지만, 언급된 권총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1]

독일에서 윌록 반복기는 '고트르프의 주인'(Hinrich Habrecht라는 이름의 총잡이였을 가능성이 높은)으로 불리는 개인이 만들었다.[14] 각각 1645년과 1650년경에 만들어진 두 개의 윌록 매거진 총은 하브레히트의 소행으로 추정된다.[14] 이 총들은 다른 경륜 시스템을 사용한다; 경륜은 1/4경량이고, 경륜과 평행한 축으로 회전한다.[14] 이 옷자락에는 방이 한두 개 있었다.[3] 네덜란드의 총기제조업자 알렉산더 하팅크가 나중에 쏜 총은 비슷한 갈고리를 사용한다.[3] 이 총은 1670년경 Karl XI를 위해 만들어졌다.[15] 하팅크의 무기는 통의 오른쪽에 자리 잡은 두 번째 파우더 잡지를 사용하여 프라이팬을 만든다.[15]

알렉산더 하팅크가 쏜 잡지 총. 분말 캐리어는 방아쇠 가드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분말 캐리어의 해치와 1차 분말 매거진이 누락되어 있다. 프라이밍 매거진은 통에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652년에 새겨진 칼토프 총에는 코넬리우스 코스터 위트레흐트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다.[1] 이 무기에는 볼 매거진 두 개가 있는데, 하나는 포스톡에, 하나는 엉덩이에 있다(파우더 매거진 외에).[1] 브릿지 블록 뒤쪽의 원통형 튜브에는 브릿지 블록을 밀어내는 강한 코일 스프링이 달려 있다.[1]

Caspar Kalthoff는 1654년과 1665년 사이에 런던에서 부싯돌 모양의 반복 총을 만들었다.[3] 이 총은 회전목마를 사용하였고, 1818년 이즈키엘 베이커에 의해 수리되었다.[16] 카스파르의 동일한 총도 Tøjhusmuseet에 있다.[10] 1658년 카스파는 슬라이딩 박스브릭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소총을 만들었고 7발의 용량을 가졌다.[17] 하만 반스도 런던에서 잡지 총을 만들었는데, 그의 총 중 하나는 방 두 개가 달린 직사각형의 미닫이 블록을 사용했고(용량은 5개였고), 또 다른 총은 실린더 [17]브릭 시스템을 사용했다(용량은 6개였다).[18] 후자의 총은 1651년 이전에 완성되었을 가능성은 낮지만 1650년경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19] 이 총은 Hendrick Bartmans의 한 총에서 발견된 많은 특징들을 공유한다.[19] 이 총은 단순히 네덜란드에서 수입되었고 반스가 서명했으며 그에 의해 제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19] 원통형 바지를 사용한 칼토프 총도 위트레흐트의 얀 모둠이 만들었는데, 이 중 일부는 1668년 그가 판매 광고를 냈다.[1] 무기당 가격은 최소 260파운드였다.[1]

캐스파르 칼토프의 아들인 캐스파르 칼토프는 러시아에서 반복 무기를 만들었다.[17] 그는 1664년과 1665년 사이에 러시아에 도착했고, 1665년에 러시아에서 반복적으로 총을 발사했다.[17]

마티아스 켈토프의 제자 한스 보링홀름은 사냥용 반복총을 만들었다.[5] 1670년과 1671년에 제작된 보링홀름 소총 2발이 현재 덴마크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0][21] 보링홀름의 제자 안데르스 모텐센도 반복 화기를 만들었다.[5] '모텐센'이 서명한 칼토프 총에서 분말 통로는 자물쇠의 일부가 되기보다는 별도의 구성 요소다.[3]

1710년경 찰스사촌은 칼토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총을 만들었다. 이 무기는 15개의 용량을 가지고 있었고 프랑스에서 만들어졌다.[22]

메카니즘과 운영

Kalthoff 리피터 실린더 브릿지 타입의 하중 사이클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슬라이딩 박스-브라이치 칼토프 리피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Kalthoff 리피터에는 크게 두 가지 변형이 있었다.[1] 처음은 방 2, 3개의 방이 있는 직사각형 바람막이를 사용했으며, 그 안에 파우더 매거진이 들어 있었으며, 최대 30발까지 용량이 있었다.[1] 이런 종류의 적어도 한 개의 총은 그것과 통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역할을 하는 바람막이의 뒤에 코일 스프링이 있었다.[1] 두 번째 변형은 수직 원통형 브릭 블록을 사용했고, 자물쇠 아래에 파우더를 저장했으며, 최대 10발의 용량을 가졌다.[1] 이 총들은 갈고리 위에 탈부착이 가능한 뚜껑이 달려 있어서 갈고리들을 쉽게 닦을 수 있었다.[1] 켈토프의 추가 변형은 보어에 평행한 축에서 회전하는 원통형 경풍을 사용했다.[6] 볼 매거진은 통 밑의 재고 속에 있는 원통형 구멍 속에 놓여 있었다.[6] 많은 칼토프 총은 램로드 캐비티에 위치한 잡지를 사용했으며, 램로드의 끝부분처럼 보이도록 고안된 캡을 특징으로 했다.[1] 이 스타일의 잡지는 길이가 약 1미터였고 60개의 14mm 공을 담을 수 있었다.[3] 그러나 완전히 장전했을 때 그 공은 약 1킬로그램의 무게에 달해 무기의 무게중심을 바꾸었다.[3] 직사각형 바람개비형의 총은 바람개비가 움직이면 오른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평평한 샘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바람개비가 오른쪽으로 움직일 때 잡지의 공들을 고정시켰다.[1] 만약 파우더 매거진이 잠금장치 아래에 위치한다면, 매거진의 파우더는 파우더 캐리어 밑면의 해치를 통해 재장전될 수 있다.[23][1] 매거진을 비축해 둔 칼토프 총에 매거진은 엉덩이 판의 미닫이 뚜껑에 가려진 구멍을 통해, 또는 왼쪽 사이드 판의 나사를 제거하여 드러난 구멍을 통해 리필되었다.[1] 엉덩이에 파우더 매거진을 꽂은 일부 총기에는 스톡의 작은 안쪽에 볼트가 있어 화약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돌릴 수도 있었다.[1] 대부분의 총의 캐리어에는 주전과 프라이밍 팬에 필요한 충분한 분말(한 예에 5ccs)[23]이 들어 있었다.[6] 캐리어와 파우더 매거진에 스프링이 장착된 커버는 캐리어가 매거진이나 파우더 통로와 정렬되었을 때만 파우더가 흐를 수 있도록 했다.[5] 많은 칼토프 포의 메커니즘이 보통 메인 스프링으로 예약된 공간을 점령했다.[1] 이것은 재고에 넣고 막대기를 사용하여 [23][1]콕에 연결하거나 외부에 장착하여 작업해야 했다.[1]

위에서 본 얀 플뢰드의 칼토프 리피터 중 두 명. 맨 아래 예는 그것의 통과 브릿지 캡을 놓친 것이다. 이 때문에 주식의 볼 매거진이 눈에 띈다. 원통형 바람개비 윗부분도 드러난다.
아래에서 얀 플럼즈 총 두 자루. 하단 총은 두 개의 해치가 있는데, 왼쪽은 파우더 매거진을 리필할 수 있고, 오른쪽은 볼 매거진용이다. 상부 총이 볼 매거진 해치를 놓치고 있다.

주둥이가 위를 향하도록 하여 좌우로 약 155° 회전하는 방아쇠 가드는 볼과 분말 하중을 오른쪽과 뒤쪽에 침전시키고 총에 콕을 박았다(또는 총이 위쪽으로 향하면 바퀴를 감았다).[6][23] 어떤 총에서는 방아쇠 가드를 돌리기 전에 작은 방아쇠를 눌러야 했다.[24][10] 방아쇠 가드에 부착된 캐리어 한 대가 잡지에서 분말을 미끄럼틀로 가져갔기 때문에 예비역에서 우발적인 발화 위험이 없었다.[6][25] 방아쇠 가드는 크로스핀으로 원통형 미끄럼틀에 연결하거나 톱니바퀴를 이용해 미끄럼틀을 움직였다.[23][5] 레버를 전방으로 완전히 회전시키면 캐리어가 잠금판 전면에 있는 구멍과 정렬되었다. 그리고 나서 그 가루는 자물쇠 판의 터널을 통해, 그리고 통풍구로 흘러 들어갈 수 있었다.[23] 가루는 직사각형 경포의 경우 그 뒤에 있는 충치로 직접 흘러 들어가거나, 직사각형 경포의 중간실(또는 가장 오른쪽의 2홀 변종)으로 흘러들어갔다.[1] 원통형 통풍포의 경우 레버가 뒤로 회전하면서 총 왼쪽에 있는 하중 팔이 분말 앞 통풍에 공을 앉혔다.[23] 슬라이딩 브릭 블록 칼토프 포스에서는 총이 위쪽으로 향할 때 총알이 맨 왼쪽 챔버로 떨어지고 플런저가 왼쪽 챔버가 배럴과 정렬할 때 볼을 배럴에 앉히곤 했다.[5] 실린더 브릭 총은 레버가 뒤로 회전할 때 여전히 몇 개의 파우더를 브릭 탭 안에 가지고 있었다; 이 파우더는 공이 삽입되었을 때 프라이밍 팬으로 흘러들곤 했다.[23] 직사각형 바람총에는 분말 통로에 남은 가루가 남아 있을 것이고, 분말 통로는 그것이 왼쪽으로 다시 이동하면서 가장 오른쪽 방으로 떨어져서 팬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1] 대신, 만약 그 가루가 두 개의 방만 가지고 있다면, 그 가루는 통로에서 팬으로 직접 흐를 것이다.[1] 메카니즘을 코칭하고 프리젠을 닫는 것은 레버에 부착된 톱니바퀴와 인터페이스한 톱니바퀴에 의해 달성되었다.[1]

사용하다

1648년 프레데릭 3세가 아버지의 뒤를 이은 후, 그는 스캐니안 가드에게 칼토프 리피터를 장착할 것을 명령했다.[5] 이 명령은 피터와 마티아스 켈토프(그리고 아마도 몇 명의 다른 총잡이들)에 의해 이행되었고, 총기는 1657년에 발사되었다.[5] 근위대는 약 백여 발의 총기를 받았다(생존하는 총기의 일부는 국고에 새긴 것을 통해 번호가 매겨지고, 108과 110이 가장 높다).[5]총기는 코펜하겐 포위전(1658~59)과 스캐니안 전쟁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2][26] 1696년까지 그 총들은 서비스에서 제외되었다.[5] 1775년 로열 아머리의 목록에는 여전히 133개의 반복 총기가 나열되어 있었는데, 이때쯤에는 이미 골동품으로 간주되고 있었다.[5]

1659년 코펜하겐 공방전 당시 찰스 9세의 왕실 경호원에게는 켈토프 리피터스가 장착되었다. 이 총은 50발 정도를 담을 수 있다.[24][27]

결함

당시 화력이 현저히 빨랐음에도 불구하고, 칼토프는 비용 때문에 표준적인 군 화기가 될 수 없었다.[2] 이 기계 장치는 기술과 주의로 조립되어야 했고, 일반적인 주둥이로더보다 조립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2] 또한, 모든 부품은 상호의존적이었다; 만약 기어가 고장나거나 걸리면, 총 전체를 사용할 수 없었고 오직 전문 총기제작자만이 그것을 수리할 수 있었다.[2] 그것은 특별한 관리가 필요했다; 파우더 파울링, 또는 심지어 약간 젖은 파우더도 그것을 막힐 수 있었다.[2] 이 무기를 반복적으로 발사하면 분말 반칙이 쌓여 레버가 점점 작동하기 어려워졌다.[5] 사고 유지하는 것이 너무 비싸서 부유한 개인과 엘리트 군인만이 감당할 수 있었다.[2]

파생상품

클렛 시스템

Klett 시스템은 총기를 반복하는 데 사용되는 또 다른 시스템이었고, Kalthoff 시스템의 개선이었다.[10]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총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날짜는 1652년이다. 클렛 리피터스는 수평으로 회전하는 트리거 가드도 사용해 무기를 작동시킨다.[28] Klett 시스템은 퍼거슨 라이플의 경적처럼 기능하는 두 개의 회전식 스크류 브릿지를 특징으로 한다. 방아쇠 가드를 돌리면 바지들이 내려가고 뒤 실린더는 엉덩이에 있는 잡지에서 가루를 채취하고 앞 실린더는 앞주머니에 있는 잡지에서 공을 수집한다. 클렛 카빈은 라이문트 몬테쿠콜리 왕자의 회고록에서 "30발 또는 40발"을 발사하는 것으로 묘사된다.[10]

1683년 마이클 도틀로(Michaal Dottlo)에 서명한 반복 소총

1683년 미샬 도르틀로 서명한 부싯돌로크 리피터는 칼토프 시스템의 많은 요소들을 사용한다. 브릭은 수직으로 회전하는 실린더로, 방아쇠 가드는 측면 회전시켜 무기를 재장전할 수 있다. 그러나 칼토프 포에서 발견된 분말 운반선이 부족하고 대신 엉덩이에 분말과 공 모두를 넣어둔다. 이 총은 프라이밍을 위해 별도의 잡지를 사용하지만 수동으로 개폐된다.[1]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Hoff, Arne. (1978). Dutch firearms. Stryker, Walter Albert, 1910-. London: Sotheby Parke Bernet. ISBN 0-85667-041-3. OCLC 4833404.
  2. ^ a b c d e f g h Peterson, Harold (1962). The Treasury of the Gun. New York: Crown Publishers Inc. p. 230.
  3. ^ a b c d e f g h i Tøjhusmuseet (Denmark) (1951). Ældre dansk bøssemageri især i 1600-tallet. With summary and captions in English ... Thesis, etc. [By Arne Hoff.]. OCLC 559324918.
  4. ^ a b Hoff, Arne (1956). Royal Arms at Rosenborg. Chronol. Coll. of the Danish Kings at Rosenborg. OCLC 834973513.
  5.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Rausing, Gad (1991). "Kalthoff's Flintlocks..the Repeaters of 1657". Gun Digest 1991 45th Annual Edition: 62–64.
  6. ^ a b c d e f Peterson, Harold (1962). The Book of the Gun. Paul Hamlyn Publishing Group.
  7. ^ "8,1mm Magasinriffel med flintelås". Nationalmuseets Samlinger Online (in Danish). Retrieved 2020-08-19.
  8. ^ Waffenkunde, _, Verein Für Historische (1897). "Zeitschrift für historische Waffen- und Kostümkunde". Zeitschrift für historische Waffen- und Kostümkunde. doi:10.11588/DIGLIT.37713.
  9. ^ Georg, Lauber. "Kalthoff-Repetiersystem". Deutches Waffen-Journal. September 1974: 940–941.
  10. ^ a b c d e Hayward, J. F. (John Forrest), 1916-1983. (1965). The art of the gunmaker. Barrie and Rockliff. OCLC 3652619.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1. ^ BOHEIM, WENDELIN. (2016). Meister der waffenschmiedekunst vom xiv. bis ins xviii. jahrhundert. HANSEBOOKS. ISBN 3-7428-4462-8. OCLC 1007047488.
  12. ^ Seitz, Heribert, 1904- (1946). Danica : en Bildsamling med text. Kungl. Livrustkammaren. OCLC 25017973.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3. ^ "LSH Flintlåsmagasingevär J Flock". emuseumplus.lsh.se. Retrieved 2020-07-24.
  14. ^ a b c Blackmore, Howard L. (1965). Guns and rifles of the world. London: Chancellor Press. ISBN 0-907486-01-0. OCLC 9447119.
  15. ^ a b "LSH flintlåsmagasingevär Hartingk". emuseumplus.lsh.se. Retrieved 2020-08-21.
  16. ^ Blackmore, Howard L. (1968). Royal sporting guns at Windsor.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p. 36. OCLC 837604998.
  17. ^ a b c d Britannia & Muscovy : English silver at the court of the Tsars. Dmitrieva, O. V. (Olʹga Vladimirovna), Abramova, N. Ė. (Natalii︠a︡ Ėduardovna), Yale Center for British Art., Gilbert Collection. New Haven, CT: Yale Center for British Art. 2006. ISBN 0-300-11678-0. OCLC 64230140.CS1 maint: 기타(링크)
  18. ^ "Bonhams : An Exceptional 38-Bore Six-Shot Flintlock Breech-Loading Magazine Carbine On The Kalthoff Principle". www.bonhams.com. Retrieved 2020-07-02.
  19. ^ a b c Neal, W. Keith (William Keith) (1984). Great British gunmakers : 1540-1740. Back, D. H. L. (David Henry Lempriere). Norwich: Historical Firearms. ISBN 0-9508842-0-0. OCLC 12973229.
  20. ^ "11,3mm Magasinriffel med flintelås udført af Hans Boring Holm". Nationalmuseets Samlinger Online (in Danish). Retrieved 2020-07-10.
  21. ^ "12,3mm Magasinriffel med flintelås, med løb udført af Hans Boringholm". Nationalmuseets Samlinger Online (in Danish). Retrieved 2020-07-10.
  22. ^ "Hunting Magazine-fed Fifteen-shooter Gun (the Kalthoff System)". The State Hermitage Museum.
  23. ^ a b c d e f g h Lugs, Jaroslav (1973). Firearms Past and Present. Bonhill Street London EC2A 4DA: Grenville Publishing Company Limited. pp. 165, 166. ISBN 9780903243056.CS1 maint: 위치(링크)
  24. ^ a b Ellacott, S.E. (1955). Guns. London: Methuen Educational. pp. 24–25.
  25. ^ Blackmore, Howard L. (2000). Hunting weapons : from the Middle Ages to the twentieth century. Dover Publications. ISBN 0-486-40961-9. OCLC 247473483.
  26. ^ Historie a vojenství. Magnet. 1954. p. 129.
  27. ^ Hoff, Arne (July 18, 1936). "OLD FIREARMS IN WHICH TECHNIQUE LAGGED BEHIND INVENTION". The Illustrated London News.
  28. ^ Grancsay, Stephen. "Cornel Klett, Hofbuchsenmacher". The Gun Digest. 9: 5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