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룽장성 수포
Heilongjiang hand cannon헤이룽장성 손대포는[a] 1288년 이전에 제작된 청동 손대포로[1]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2]무기입니다.몸무게는 3.55kg (7.83파운드)이고 길이는 34cm (13.4인치) 입니다.헤이룽장 손대포는 1970년대 중국 [3]헤이룽장성 아청 구 반라청쯔에서 발굴됐습니다.그것은 여진족의 양식으로 만들어진 [2]다른 청동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습니다.손대포는 아마도 1287년과 [2]1288년에 반라청지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사용되었을 것입니다.원의 역사는 1288년 리팅이라는 이름의 여진족 지휘관이 원나라를 [4]위한 반반란 운동의 일환으로 손대포를 장착한 한 무리의 병사들을 이끌고 군영으로 들어갔다고 말합니다.이 대포는 현재 중국 [5]하얼빈의 헤이룽장성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묘사
헤이룽장 대포의 길이는 손잡이 없이 34센티미터이며 무게는 3.55킬로그램입니다.배럴 끝의 내부 직경은 2.6cm(1.02인치)[5]입니다.그 통은 대포의 가장 긴 부분이고 [6]길이가 17.5 cm입니다.손대포에는 글씨가 없습니다.[3]
손대포는 발사체를 밀어내는 폭발이 일어나는 야오시(藥室 () 또는 화약고라고 불리는 브리치(ch called)에 구근 모양의 베이스를 가지고 있습니다.헤이룽장성 권총 화약고의 지름은 6.6cm(2.6인치)[2]입니다.화약실의 벽은 [7]화약의 폭발 압력을 더 잘 견디도록 눈에 띄게 두꺼워졌습니다.화약실에는 [8]화약에 불을 붙이는 퓨즈를 위한 작은 구멍인 터치홀도 있습니다.화약실 뒤에는 손대포의 손잡이가 [6]꽂히는 트럼펫 모양의 소켓이 있습니다.구근 모양의 기단은 중국과 서양의 대포들에게 꽃병 같은 모양이나 배 같은 모양을 주었는데, 야금 기술의 발전이 구근 기단을 [9]쓸모없게 만들었을 때 점차 사라졌습니다.
역사적 맥락
화약은 9세기에 [10]중국에서 발명되었습니다.화약에 대한 최초의 언급 중 하나는 800년대 중반에 작곡된 Zhenyuan miaodao yaolüe(1984)로 알려진 도교의 화학적 문헌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화약의 사용을 언급하는 구절을 포함합니다.12세기에 이르러 송나라 군대는 화기, 수류탄,[11] 금속 폭탄과 같은 화약 무기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1126년 경에 여진족이 송나라의 수도 카이펑을 포위했을 때 폭발한 화약 폭탄이 사용되었습니다.송나라 수비대는 [12]포위군을 향해 필리포(pilpao)라고 불리는 폭발물을 발사했습니다.
손대포의 전신인 불창은 발사체를 [13][14]발사할 수 있는 대나무나 종이통으로 묶은 창이었습니다.화룡포와 손대포 사이의 전환은 점진적이었기 때문에 문학적으로 후통(huotong, "fire tube")이라고 불리는 무기를 지칭하는 것은 화룡포 또는 금속 배럴 [15]화기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1230년에 작성된 《신전수지》(新田守志, "장군 사령관이 알아야 할 것")에는 화통(火通)을 다른 화약 무기로 열거하고 있지만, 화통이나 [15]손대포를 지칭할 수도 있습니다.이것은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16]중국에서 살아남은 금속 대포와 손 대포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
발굴된 대포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227년의 [17]우웨이 대포입니다.간쑤성 우웨이시에서 발견되었으며 서하시대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우웨이 대포의 무게는 108.5 킬로그램(239 파운드), 지름은 12 센티미터(4.7 인치), 길이는 1.6 미터입니다.1미터(3피트 3+3인치 8인치).우웨이 [17]유적지에서도 철제 대포알과 소량의 화약이 발견됐습니다.
제작 연대가 새겨진 최초의 대포는 청동 대포입니다.파그스파 [17]문자의 비문에 따르면 그것은 12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고고학적 발견물 이외에, 중국 예술에서 대포의 모습은 대포가 [10]일찍이 12세기에 발명되었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대포의 가장 오래된 예술적 표현은 1128년의 돌 부조 조각입니다.이 조각품은 1985년 [18]충칭 다즈시에 있는 다즈 암각화의 149호 동굴 벽에서 조각된 것으로 발견되었습니다.
헤이룽장 권총은 1288년으로 [19]거슬러 올라갑니다.3.55kg(7.83파운드)으로 폭발물을 [20][5]발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부피가 큰 트레부셰와 같은 오래된 발사체 장치보다 상당히 가볍습니다."후총", 즉 "화관"에 대한 최초의 문헌 언급은 12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손 대포는 1288년까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손 대포의 발명은 13세기 [4]중반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중국에서 금속 배럴 손 대포의 발명은 초기 대나무 배럴 불 랜스의 인기를 떨어뜨리지 않았습니다.화룡포는 수포보다 값이 싸고 휴대성이 뛰어났으며, 16세기에 머스킷이 [21]화룡포를 대체할 때까지 중국에서 여전히 사용되었습니다.
발굴 및 연대측정
손대포는 1970년 7월 반라청지 마을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습니다.[8]이 마을은 하얼빈의 아청 [3]구에 있는 아시 강 연안에 위치해 있습니다.
고고학자들은 [2]손대포와 함께 발굴된 몇몇 청동 물체들을 발견했습니다.출토된 유물은 청동 화병, 청동거울, 청동솥입니다.모든 청동 유물은 여진족의 [2]양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1234년 몽골군이 카이저우를 포위하고 점령한 후 진나라는 멸망하였는데,[22] 이는 헤이룽장성의 권총이 늦어도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헤이룽장 권총의 연대는 고고학자들이 [2]권총을 발견한 장소 근처에서 벌어진 1287년과 1288년의 전투를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이 전투는 몽골 왕자 나얀이 만주에서 원나라의 [23]황제 쿠빌라이 칸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의 일부였습니다.1287년과 1288년의 전투에 대한 기록은 원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데,[3] 손 대포의 사용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1287년, 사령관 리팅(李李庭)이 이끄는 손대포를 장착한 한 무리의 병사들이 나얀의 진영을 공격했습니다.원 역사는 손 대포가 "큰 피해를 입혔을 뿐만 아니라" "적병들이 서로 공격해 죽일 정도의 혼란을 초래했다"고 보도했습니다.[20] 손 대포는 1288년 초에 다시 사용되었습니다.원의 역사에 따르면 리팅의 "총병" 또는 총자(銃卒子)는 손 대포를 "등에" 들고 다닐 수 있었습니다.1288년 전투에서 금속통 화기에 대한 총(銃)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만든 대목이기도 합니다.총(Chong)은 이전의 모호한 용어인 huo tong(후통) 대신 사용되었는데, 이 용어는 불의 랜스, 원형 대포 또는 신호 [4]플레어의 관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대포를 발굴하고 연대를 측정한 고고학자는 위궈종(魏國忠國宗)입니다.그는 1973년 학술지 '역사 [24][b]고고학 참고자료'에 실린 '헤이룽장성 아청셴의 반라청지에서 발굴된 청동 폭격'이라는 글에서 고고학적 발견에 대한 설명을 썼습니다.위는 반라청지에서 발견된 손대포와 인근 전투지와의 연관성을 제시했습니다.역사학자 조지프 니덤은 웨이의 발견이 "지금까지 발견된 거의 확실한 13세기의 [20]금속 배럴 권총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자본의 중요성으로 남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a: 권총은 대포의 대체 명칭이므로 현대의 권총과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특히 영국 영어에서 핸드건(hand-gun)이라는 용어는 작은 [25]크기 때문에 한 사람이 들고 다닐 수 있었던 역사적인 대포를 말합니다.
^b: 이 학술지는 나중에 문화유적(文物文物)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참고문헌
- ^ 니덤 1987, 페이지 290; 니덤 1987, 페이지 304.
- ^ a b c d e f g 체이스 2003, 페이지 32.
- ^ a b c d e f 니덤 1987, 페이지 293.
- ^ a b c 니덤 1987, 페이지 304.
- ^ a b c 니덤 1987, 페이지 290.
- ^ a b 체이스 2003, 페이지 32; 니덤 1987, 페이지 293.
- ^ a b 니덤 1987, 페이지 289.
- ^ a b Lorge 2008, p. 69; Needham 1987, p. 293.
- ^ 니덤 1987, 페이지 289; 니덤 1987, 페이지 330.
- ^ a b 파커 1995, 페이지 106.
- ^ 파커 1995, 페이지 106; 체이스 2003, 페이지 31.
- ^ Haw 2013, 페이지 448.
- ^ 체이스 2003, 페이지 31-32.
- ^ 니덤 1987, 220쪽.
- ^ a b 니덤 1987, 페이지 222.
- ^ 니덤 1987, 페이지 284.
- ^ a b c Haw 2013, 페이지 450.
- ^ Haw 2013, 페이지 451.
- ^ Lorge 2008, p. 8; Needham 1987, p. 580.
- ^ a b c 니덤 1987, 페이지 294.
- ^ 니덤 1987, 페이지 251.
- ^ Franke 1994, pp. 264-265; Needham 1987, p. 293
- ^ 로사비 1988, 페이지 222.
- ^ 니덤 1987, 페이지 610.
- ^ 니덤 1987, 페이지 276.
서지학
- Chase, Kenneth Warren (2003). Firearms: A Global History to 17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2274-9.
- Franke, Herbert (1994). "The Chin dynasty". In Twitchett, Denis C.; Herbert Franke; John King Fairbank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710–13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5–320. ISBN 978-0-521-24331-5.
- Haw, Stephen G. (July 2013). "The Mongol Empire – The First 'Gunpowder Empir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3 (3): 441–469. doi:10.1017/S1356186313000369. S2CID 162200994.
- Lorge, Peter (2008). The Asian Military Revolution: From Gunpowder to the Bo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4682-0.
- Needham, Joseph (1987).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Military Technology: The Gunpowder Epic, Volume 5, Part 7.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0358-3.
- Parker, Geoffrey (1995). "The Gunpowder Revolution".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Warfa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06–119. ISBN 978-0-521-73806-4.
- Rossabi, Morris (1988).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67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