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담 유로비전

Kdam Eurovision
크담 유로비전
Kdam Eurovision 2009.jpg
Kdam Eurovision 로고 (2009)
장르. 음악 등
장소이스라엘
액티브 년수1981–2014
설립자이스라엘 방송국(IBA)

The Kdam Eurovision (Hebrew: קדם אירוויזיון, transliteration "Kdam-Erovizyon", translation "Pre-Eurovision") in short known as the Kdam (Hebrew: קדם, lit. "Pre") was the Israeli national preselection of the Eurovision Song Contest.이 대회는 1981년에 처음 도입되어 2014년까지 운영되었다.

이스라엘의 선곡 역사

1960년대

1960년대에, 특히 196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이스라엘 가수들은 이스라엘에 텔레비전 방송이 있기 전처럼 그들의 모국이 아닌 다른 유럽 국가들을 대표할 수 있었다.그 해에 이스라엘은 스위스에서는 에스더 오파림이, 오스트리아에서는 카르멜라 코렌이 대표로 참가했다.이스라엘의 정규 텔레비전 방송은 1968년 5월에 시작되었다.

1970년대

1972년 일라니트슬로모 자크는 이스라엘 방송국이 유럽 방송 연합(EBU)의 회원이기 때문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할 자격이 있다고 주장했다.IBA는 일라니트가 1972년 에든버러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이스라엘 대표로 참가하도록 동의하고 요청했다.그러나 1972년 대회 등록 기간이 이미 끝나 이스라엘의 첫 참가가 1년 늦어졌다.1973년 일라닛은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이스라엘 대표로 입선하여 이스라엘 최초의 유로비전 공식 참가자가 되었다.선곡은 IBA 위원회가 맡았다.에후드 마노르누리트 히르쉬는 히브리어로 "Ey Sham"을 작곡했지만, 비록 그 해 대회에서 참가자들은 자국어로 노래할 필요가 없었다.Manor는 그 노래가 히브리어로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것의 중요성을 알았지만, 그 단어의 어조가 유럽 청자들의 귀에 거슬리지 않을 것을 우려했다고 설명했다.Ilanit는 사상 첫 이스라엘 참가국 순위에서 4위를 차지했다.

이후 몇 년 동안 "나타티카야이"(7위), "왓 바아니"(11위), "에모르 샬롬"(6위)의 3인조 쇼콜라트, 멘타, 마스티크 등 이스라엘을 대표해서 보낼 공연을 선정하는 위원회가 계속되었다.1977년 이스라엘은 '아하바 하이 쉬르 리슈나임'(11위)과 함께 두 번째로 이라니트를 돌려보냈다.

1977년 2차 일라닛 상영 이후 투표 방식이 바뀌었다.1978년과 1979년 이후 2년 동안 이스라엘의 유로비전 참가자가 이스라엘 송 페스티벌(히브리어로는 Festival Hazemer VeHaPizmon)의 우승자가 되었다.두 경우 모두 유로비전 타이틀을 거머쥐었다.1978년 이즈하르 코헨의 'A-Ba-Ni-Bi'와 1979년 밀크와 허니의 '할렐루야'였다.

1980년대

'할렐루야' 우승 후 이스라엘은 제25회 유로비전 대회를 개최할 권리를 갖게 됐지만, 이스라엘 예산은 2회 연속 대회를 개최할 만큼 많지 않았다(아일랜드가 유일하게 2회 연속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나라이다).그 대신 그 해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대회가 열렸고, 비록 선발대회가 조직되었고 "피즈몬 초저"라는 우승곡이 선정되었고 하이마차요트(Ha'imachayot, 영어로 "Refrain"이라는 뜻)에 의해 해석될 예정이었지만, 이스라엘은 참가하지 않을 수 없었다.영어로는 형제자매).

1981년에는 이스라엘 아티스트의 주요 선발 과정을 Kdam Eurovision(또는 Eurovision 이전)의 경쟁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첫 번째 대회는 1981년 3월 3일에 열렸다.

하콜 오버 하비비는 1981년 더블린에서 열린 제26회 유로비전 콘테스트에서 "Halayla"라는 곡으로 우승했다.경쟁곡으로는 Sexta의 "신데렐라", Avi Toledano의 "호라", 그리고 Yigal Bashan의 "에스테이트 I"가 있었다.

1984년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다시 욤 하지카론 기념일로 정해졌고 이스라엘은 다시 참가 신청을 취소했다.이스라엘은 이미 가수 일라니트의 '발랄라이카'를 올해의 콩쿠르에 선정했지만 유로비전 이전 대회는 실시하지 않았다.

Kdam Eurovision Song Contest는 1985년, 1986년, 1987년에 돌아왔다.이 시기에 유명한 아티스트로는 야데나 아라지, 아비 톨레다노, 오프라 하자, 스비카 픽, 일라나 아비탈, 이즈하르 코헨, 도론 마자르, 트리오, 이갈 바산, 우지 히트만, 요나탄 밀러, 이즈르, 앙상블이 있다.

1988년 IBA는 비용 절감 차원에서 Kdam 대회를 중단하고 이전 대회들의 성과에 비추어 야데나 아라지를 유로비전에 파견하기로 결정했다.야데나 아라지는 선곡곡 "Ben Adam"으로 4곡을 불렀다.크담은 1989년에 "Derekh Hamelkh"와 함께 Gili & Galit와 함께 돌아왔지만, 1990년에 Rita(실제로는 Rita Kleinstein)는 경쟁 없이 다시 한번 선발되었다.

1990년대

1991년, 1992년, 1993년, 1995년 및 1996년에 Kdam Eurovision 대회가 개최되었다(1994년에는 이스라엘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지 않았다).1993년 Kdam은 Sarah'le Sharon과 콩쿠르를 위해 특별히 결성된 The Shiru Group이 수상했다.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24위를 차지했다.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동유럽 국가들이 대거 참가)의 정책 변경으로 이스라엘이 유로비전콘테스트 1994에 참가할 수 없게 된 것은 24위였다.1996년에 Kdam은 당시 무명의 가수 Galit Bell에 의해 수상되었는데, 그의 노래는 유로비전 결승에 오르지 못했다.이는 그 해에 유럽 방송 연합이 초기 선곡 과정을 재정립하여 그들이 가장 나쁘다고 느꼈던 7개의 노래를 삭제했기 때문이다.이스라엘 노래 "Hello World"는 그 일곱 곡 중 하나였다.

1997년에는 유로비전이 Yom HaShoah에서 열릴 예정이었다.몇 달 전 크네셋은 유대인 안식일인 토요일이 되면 홀로코스트 기념일을 하루 연기하는 수정안을 통과시켰다.IBA는 크네셋 결정 이후 대회 등록을 시도했지만 등록이 늦어지면서 이스라엘이 출전할 수 없게 됐다.

1998년 IBA는 위원회를 통해 이 곡을 선정하기로 결정했다.그 해에 이스라엘은 다나 인터내셔널의 "Diva"라는 곡으로 우승을 차지했다.이듬해인 1999년 예루살렘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에덴의 이스라엘 출품작 "Yom Hleedet (Happy Birthday)"와 함께 열렸다.

2000년대

2000년 IBA 위원회는 두 명의 저널리스트 로이 아라드와 가이 아시프로 구성된 밴드 핑퐁이 소녀 Yifat Giladi와 Tahal Aden과 함께 부른 곡 "Sameach"를 선정했다.선정 과정은 라디오 연예인/작가 중 한 명인 이리트 리노르가 무관심하다고 선언한 후 논란을 일으켰다.리노르가 핑퐁의 노래에 가망이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라이노르는 "누가 신경써요?"라고 대답했다.이 밴드의 공연은 주로 오이로 공연된 뮤직 비디오와 도발적인 속임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게다가, 이 가사들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천박하고, 피상적이고, 멍청하다고 여겨졌다.핑퐁 밴드 멤버들은 또한 스톡홀름에서 이스라엘시리아국기를 게양할 의향을 표명했다(노래는 "나는 이제 다마스쿠스에서 온 새로운 친구가 있다; 나는 그와 함께 하루 종일 그것을 하고 싶다."라는 가사를 언급했다).반대자들은 이 밴드에 시리아가 적국이라고 주장했고, 따라서 이스라엘 국기를 게양하는 것은 당혹스러운 일이다.다른 사람들은 논란이 되는 두 번의 키스, 즉 두 남자 사이의 키스, 그리고 두 여자 사이의 키스 때문에 신경이 쓰인다고 말했다.유로비전 송 콘테스트가 열리기 일주일 전, 이 밴드는 공연을 하기 위해 스톡홀름의 시리아 커뮤니티를 방문했다.이 밴드는 마침내 이스라엘과 시리아 국기를 들고 스톡홀름의 무대에 등장했다.이스라엘은 24곡 중 22위를 차지했다.

2001년 크담은 " 다바르"와 함께 16위에 오른 탈 손닥을 1년 더 뽑았다.2002년부터 2004년까지 이스라엘은 1988년 야데나 아라지의 선발과 유사한 선발 절차에서 사릿 하다드, 리오르 나르키스, 데이비드 도르선택했다.

크담 유로비전 대회는 2005년에 다시 열렸고 쉬리 마이몬이 우승했다.그녀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4위를 했다.2006년에는 에디 버틀러가 Kdam을 수상했다.2007년 모르데차이 슈클라는 예산상의 이유로 대회를 취소했다.

2008년 2월 25일부터 26일까지 영국 팝 아이돌과 아메리칸 아이돌을 모델로 한 이스라엘 리얼리티 텔레비전 쇼 "코하브 놀라드"와 채널 2의 사업권자인 "케셰"에 의해 크담 유로비전이 방송되었다.사전 선곡 아티스트(Boaz Mauda)가 시청자의 선곡에 따라 심사위원단 앞에서 4곡의 곡을 선보이는 사전 제작 형식을 갖췄다.노래 'Ke'ilu Kan'이 선택되었습니다.2009년에 Kdam Eurovision은 IBA에 의해서만 제작되기 위해 돌아왔다.노아와 팔레스타인 출신 미라 아와드는 듀오로 미리 선발되어 히브리어로 "There Must Be Another Way" (Einaych)라는 네 곡을 불렀다.2010년에는 IBA에 의해 하렐 스카트가 선정되었고 4곡을 발표하면서 "Milim"이 선정되었습니다.

2011년에는 가수와 노래가 모두 대중들에 의해 선택되었다.IBA는 에이전트를 통해 다양한 아티스트에게 참여를 요청했습니다.전국 결승전은 2011년 3월 8일 리숀 레지옹의 문화홀에서 방송되었다.우승자는 다나 인터내셔널과 그녀의 노래 "딩동"[1]이었다.

쟁쟁한 가수들

즈비카 픽

Kdam Eurovision 대회에 가장 많이 등장한 이스라엘 아티스트는 Zvika Pick이다.픽은 7번 출전했지만 우승하지 못했다.그러나 그가 작곡한 곡은 유로비전 자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Diva"는 Dana International이 불렀다.

야데나 아라지

가수 야데나 아라지는 이스라엘 대표로 유로비전에 3번 참가했고 1979년 예루살렘에서 열린 유로비전을 주최했다.그녀는 1982년 "Shimrit Or and Henry Barter"라는 곡으로 Kdam Eurovision Song Contest에 처음 출연했다.그녀는 2등을 했다.In 1983, she performed the song "שירו שיר אמן" also by Shimrit Or and Henry Barter, again coming second and just one point shy of the winning song.몇 년 후 아라지는 개표에서 오류가 있었고, 그녀가 Ofra Haza가 아닌 진정한 예선자라는 것을 밝혔다.아라지는 "비통한 패배자"로 비춰지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그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1984년 아라지는 경쟁 없이 이스라엘 대표로 뽑혔지만, 하지카론에게 대회가 열리면서 그해 이스라엘이 철수하면서 권리를 포기해야 했다.1985년 아라지는 크담에서 에후드 매너아비 톨레다노작곡한 곡 "We'll get"으로 세 번째로 참가하여 3위에 올랐다.1987년에 그녀는 Kdam을 주최했다.1988년에는 4곡의 선곡으로 ' 아담'이 1위를 차지했지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7위에 그쳤다.

아비 톨레다노

가수 겸 작곡가 아비 톨레다노는 1981년 "카니발"이라는 곡으로 처음 참여했다.1982년에는 "Hora"로 우승을 차지했으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이스라엘 대표로 출전해 2위를 차지했다.둘 다 그의 작품이었다.1983년에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2위를 차지한 Ofra Haza의 "Hi"를 작곡했다.1985년에 그는 야데나 아라지의 노래를 썼다.1986년에 그는 3등을 했다.1989년에 그는 작곡가 겸 연주자로 돌아와 2위를 했다.1991년에는 우리 파인만이 부른 '하바 나길라 디스커버리'를 작곡했다.

Kdam Eurovision에서 경쟁하는 다른 유명한 가수들:

이스라엘 유로비전

참가자

테이블 키
2
2등
3
3위
X
선택되었지만 경쟁하지 않은 항목
연도 입장자 노래 선발 과정 호스트 최종 포인트 세미 포인트
1981 하콜오버하비비 '할라일라'
( ייל ( )
원캄 유로비전 1981 다니엘 피어 7 56 준결승전 없음
1982 아비 톨레다노 '호라
( רた )
원캄 유로비전 1982 다니엘 피어 2 100
1983 오프라 하자 '카이'
( י ( )
원캄 유로비전 1983 다니엘 피어 & 달리아 마조르 2 136
1985 이즈하르 코헨 올레
( ( ( ) 、 [ ] ) ]
원캄 유로비전 1985 Dalia Mazor & Nathan Datner 5 93
1986 Moti Giladi & Sarai Tzuriel 야보염
( ווא ( ( ( )
원캄 유로비전 1986 다니엘 페어 & 리브카 미카엘리 19 7
1987 데이터너 & 쿠쉬니르 쉬르 하바틀라님
(일본어판)
원캄 유로비전 1987 야르데나 아라지 & 요람 아르벨 8 73
1988 야데나 아라지 아담
( אאא ( ( )
IBA 위원회가 선정한 아티스트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우승곡
리브카 미카엘리 7 85
1989 길리 & 갤릿 데렉 하멜레흐
(이것들)
원캄 유로비전 1989 시라 게라와 모셰 베커 12 50
1991 Duo Datz
( א ( )
원캄 유로비전 1991 시라 게라 & 대니 룹 3 139
1992 다프나 데켈 '제락스포츠'
(「」 「」 「」 「이행'」
원캄 유로비전 1992 로니 요벨 & 노암 아비람 6 85
1993 사라르 샤론
& 더 시루 그룹
'시루'
( רた )
원캄 유로비전 1993 네이선 대트너 24 4
1995 리오라 '아멘'
( מ ( )
원캄 유로비전 1995 아키 아브니 & 미카엘라 베르쿠 8 81
1996 갤릿 벨 샬롬 올람
(이러다)
원캄 유로비전 1996 론 로웬탈과 탈맨 X의 자격 미달 28 12
2001 탈손닥 "En Davar" (אין דבר) 원캄 유로비전 2001 오르나 & 모셰 다츠 16 25 준결승전 없음
2002 사릿 하다드 나드릭 비야흐하드 네르
(일본어판/영어)
Hadad는 IBA 위원회에서 선정되었고, 노래는 Kdam 2002를 수상했다. 12 37
2003 리오르 나르키스 밀림 라아하바
(일본어판)
IBA 위원회가 선정한 나키스
4곡 중 가장 좋은 곡으로
크담 유로비전 2003
이든 해럴 19 17
2004 데이비드 도르 레하민
(일본어)
2004년 '이스라엘 선곡' 수상
(Kdam Eurovision 개최 없음)
메라브 밀러 자격 미달 11 57
2005 쉬리 마이몬 하셰케트 셰니샤르
(일본어판)
원캄 유로비전 2005 모란 아티아스 4 154 7 158
2006 에디 버틀러 ' 하즈만'
( ההה ( ( ( )
원캄 유로비전 2006 야엘 바르 조하르
& Eden Harel
23 4 전년도 상위 11개
2007 티팩스 "버튼을 누르세요"
(일본어판)
내부적으로 선정된 티팩스, 위원회에서 선정한 4곡 중 베스트송 (Kdam Eurovision 개최 없음) 나탈리 아티아, 노아 바락 자격 미달 24 17
2008 보아즈 마우다 케이루칸
(일본어)
보아즈는 내부적으로 선발되었고
5곡의 베스트송을 선정
크담 유로비전 2008
즈비카 하다르 9 124 5 104
2009 노아 & 미라 아와드 '이네이치'
(일본어)
Noa & Mira는 내부적으로 선정되었고,
4곡 중 가장 좋은 곡
크담 유로비전 2009
이든 해럴 16 53 7 75
2010 하렐 스카트 '밀림'
( ללי ( )
하렐은 내부적으로 선택되었고
4곡 중 가장 좋은 곡
크담 유로비전 2010
오퍼 셰흐터 14 71 8 71
2011 다나 인터내셔널 '딩동'
(이러다)
Won Kdam Eurovision 아키 아브니와 쉬리 마이몬 자격 미달 15 38
2013 모란 마조르 '락 비슈빌로'
('아저씨')
원캄 유로비전 2013 론 샤하르와 오르나 다츠 14 40
2014 메이 파인골드 '같은 마음' 메이는 내부적으로 뽑혔고
베스트 3곡 선곡
크담 유로비전 2014
오페르 나흐손 14 19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레퍼런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