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 (단위)
Ken (unit)![]() | 무료 사전인 위키트리노리에서 켄, け, 또는 間을 찾아보자. |
켄 | |
---|---|
단위계 | 일본 단위 |
단위 | 길이 |
기호 | 間 |
전환 | |
1 間 in ... | ...은 ...와 같다. |
일본 단위 | 6 尺 |
SI 단위 | 1.818m |
제국/미국 단위 | 5.965피트 71.58인치 |
켄(間)은 일본 전통의 길이 단위로서, 일본식 6피트(샤쿠)에 해당한다. 정확한 값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졌지만 일반적으로 2m(6피트 7인치)보다 약간 짧았다.[1][2] 현재는 1.82m로 표준화되었다.[3]
주로 미터법으로 대체되지만, 이 단위는 일본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측정치로, 전통 양식의 건물의 기둥 사이의 간격에 대한 비율로 사용된다. 이런 맥락에서, 그것은 일반적으로 "베이"로 번역된다. 그 길이는 일본 무술에서 보 스탭의 표준 길이, 다다미 매트의 표준 치수 등 다른 맥락에서도 나타난다. 대부분의 일본 주택의 바닥을 덮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바닥 표면은 여전히 평방미터가 아니라 평방 켄의 절반에 해당하는 "타타미"로 측정된다.
단어
일본어 유래 영어 외래어 중 켄과 ma는 모두 같은 글자 間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칸지는 門 "문"과 日 "태양"을 그래픽으로 결합한 것이다. 앞선 변종 문자 閒은 '태양'이 아닌 '달'로 쓰여 '달빛이 비치는 틈새로 문'을 그렸다.[4]
The diverse Japanese pronunciations of 間 include on'yomi Sino-Chinese readings (from jian 間 or 间 "room; between; gap; interval") of kan "interval; space; between; among; discord; favorable opportunity" or ken "six feet"; and kun'yomi native Japanese readings of ai "interval; between; medium; crossbred", aida or awai "space; interval; gap; between; 중간; 도중; 도중; 거리; 시간; 주기; 관계; 또는 ma "공간; 방; 간격; 휴식; 시간; 여가; 운, 타이밍; 조화"[5]
역사
켄은 중국 지안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한국칸과 같은 한자를 쓴다.
건물의 비율은 켄에서 측정되었는데, 예를 들어 11×6베이(37.60m × 23.92m)를 측정하는 엔랴쿠지의 콘폰추도(본관)의 경우처럼, 이 중 11×4는 예배자에게 바친다. 건물 내부에서는 흔히 사용 가능한 공간이 가로 1칸의 제곱으로 나뉘었고, 그 후 각 광장은 켄과 같은 한자로 쓰여진 용어인 마(馬)라고 불렸다.[1] 전통적인 건물들은 보통 3×3이나 5×5와 같이 홀수 베이 수를 측정한다. 로몬이라고 불리는 사찰의 문에는 5×2 베이에서 3×2 베이까지, 심지어 1×1 베이까지 치수가 있을 수 있다.[6] 그림의 젠 부투덴은 3×3 켄 코어(moya)가 히사시라고 불리는 1-켄 통로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외부적으로 5×5 켄을 측정한다.
켄의 가치는 건물마다 바뀔 수 있지만, 대개 같은 구조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예외는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스가 타이샤의 작은 경적 치수는 켄에서는 1×1이지만, 미터에서는 1.9×2.6이다.[1] 이즈모 타이샤의 경우 켄은 6.32m(20.7ft)로 기준치를 훨씬 웃돈다.[7]
기둥 사이의 거리는 매우 일찍 표준화되었고 측정 단위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토지 면적은 켄을 기준으로 측정되었다. 그 부대는 토지 표면을 측정하여 세금을 산정할 필요성에서 탄생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16세기) 당시 겐은 약 1.97m(6.5ft)이었으나, 1650년경 도쿠가와 막부는 세금을 올리기 위해 특별히 1.818m(5.96ft)로 줄였다. 에도 시대 이후, 켄은 교마(京馬)라고 불리기 시작했다.[1][2]
참조
인용구
- ^ a b c d 자아누스
- ^ a b 이와나미코우지엔
- ^ Magazine, Wallpaper* (May 22, 2021). "Modern Japanese houses inspiring minimalism and avant-garde living". Wallpaper*.
- ^ 베른하르트 칼그렌, 중·일 분석사전, 폴 근스너, 1923, 페이지 130.
- ^ 1997년 1132페이지, The New Nelson Japan-English Character Dictionary, Tuttle.
- ^ Fujita Masaya, Koga Shūsaku, ed. (April 10, 1990). Nihon Kenchiku-shi (in Japanese) (September 30, 2008 ed.). Shōwa-dō. p. 79. ISBN 4-8122-9805-9.
- ^ 2009년 12월 1일 JAAANCE, Taisha-Zukuri 접속
참고 문헌 목록
- 일본 미술 네트 사용자 시스템(JAANUSE) 일본 건축·미술사 용어 사전, 기사 가스가주쿠리, 켄, 곤도. 2009년 5월 6일 접속
- 이와나미코지엔(広広苑) 일본어 사전, 제6판(2008년), DVD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