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제스타니아랍인

Khuzestani Arabs
쿠제스타니아랍인
عرب خوزستان
총인구
1,600,000[1] ~ 4,000,000[2]
인구가 많은 지역
이란 쿠제스탄
언어들
아랍어(쿠제스타니 아랍어), 페르시아어
종교
이슬람 (시아 이슬람, 수니 이슬람)

쿠제스탄 아랍인(, 아랍어: عرب خوزستان)은 쿠제스탄 지방에서 아랍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주로 쿠제스탄의 서쪽 절반에 거주하는 이란에서 가장 큰 아랍 공동체입니다. 이 지역은 아랍 공동체에 의해 아흐와즈로 알려져 있으며, 쿠제스탄의 수도는 아흐바즈입니다.[4] 2010년 현재, 쿠제스타니 아랍인의 수는 약 160만 명입니다.[1]

소수 민족 권리 단체인 국제 인권 단체를 포함한 여러 인권 단체들은 후제스탄 지방에 있는 이란 아랍인들의 인구가 1-4백만 명이라고 열거했습니다.[2]

역사

16세기부터 쿠제스탄은 바누 카브와 같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랍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정착민들로 인해 서서히 아랍화되고 있었습니다.[5]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방벽 역할을 하기 위해 사파비족에 의해 초대된 시아파 아랍 부족들의 유입으로 인해, 쿠제스탄의 서부 지역은 아랍인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6] 이란 학자루디 매튜에 따르면, 이 이름 변경은 샤 압바스 1세 r.(1588–1629)의 통치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고 합니다.[7][a] 쿠르디스탄로레스탄 지방처럼, 아랍의 이름은 "국가적"인 의미를 갖지 않았습니다.[6]

후에, 쿠제스탄 지방 전체가 아라베스탄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변화가 언제 발생했는지는 불확실합니다. Rudi Matthee에 따르면, 이것이 처음 일어난 것은 아프리카의 통치자 Nader Shah r.(1736–1747)의 통치 기간 중이었다고 합니다.[11] 이란 학자 후창 체하브(Houchang Chehab)는 이 일이 18세기 후반에 일어난 것으로 생각합니다.[6]

또 다른 이란학자 로저 세이버리(Roger Savory)는 이러한 변화가 19세기 후반에 일어난 것으로 생각합니다. 1925년[12] 레자 샤는 1930년대에 많은 도시와 마을의 이름을 바꾸라는 중앙 정부의 명령을 포함한 그의 캠페인 하에 쿠제스탄으로 이름을 되돌렸습니다; 이 명령들은 많은 마을의 이름을 그들의 고유 이름에서 페르시아어 이름으로 바꾸었고, 레자 칸의 새로운 이름으로 바꾸었습니다. 팔라비 문자를 기리기 위해 팔라비라는 이름을 지었고, 특히 이란에서 아랍 자치권이 붕괴된 후 아랍인들이 이란의 더 많은 부분을 느끼도록 격려하기 위해 아랍 마을의 이름을 페르시아 이름으로 바꾸는 것을 포함하여 역사적인 페르시아 이름으로 변경했습니다. [13]

카즈 ʽ 이븐 자비르를 자치적으로 통치했던 무함마라 토후국으로 알려진 쿠제스탄의 고대 항구 도시는 셰이크가 쫓겨나고 그의 석유 토지가 정부에 의해 몰수된 후 아랍어 이름에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레자 칸 샤는 인간이 할 수 있는 한 아랍어의 사용을 없애고 부족들을 지방의[14] 다른 곳으로 이주시켰습니다.

하미드 아마디(Hamid Ahmadi)는 아랍어이슬람교의 확산과 함께 아랍어와 정체성을 채택한 쿠제스탄 주의 아랍인들이 이 지역의 고대 비 아랍 인구의 직접적인 후손이라고 지적했습니다.[15][16] 후일의 팔랴 ī야와 오늘날의 샤데간, 호비제, 바누 타밈, 그리고 이라크 남부에서 온 무샤인들.

언어

거의 모든 쿠제스타니 아랍인들은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이 나라의 공용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 사용자들입니다.[1] 쿠제스탄의 북부와 동부 도시에서는 페르시아어 외에도 루리어가 사용되며, 이 지역의 카마리 아랍인들의 아랍어는 루리어의 영향을 "놀라울 정도로" 받았습니다.[1]

지리학

아랍어 사용자는 루르어, 바흐티아리스어, 카울리스어, 페르시아어 사용자와 공유하는 쿠제스탄 주 면적의 65%에 걸쳐 흩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3] 아랍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은 도시에는 아흐바즈, 호람샤르, 아바단, 샤데간, 호비제, 수생게드 등이 있습니다.[3]

인구통계학

2010년 조사에 따르면 아랍인은 쿠제스탄 주 인구의 33.6%를 차지하며,[1] 이는 전국적으로 가장 큰 규모입니다.

샤바즈 샤나바즈(Shahbaz Shanavaz)는 쿠제스탄의 아랍어 사용 인구가 "페르시아인의 피가 상당히 많이 유입된 혼혈 인종"[18]이라고 언급하고, "수 세대에 걸친 접촉의 결과, 쿠제스탄의 아랍인들은 오스만 영토의 국경 너머에 있는 그들의 형제들보다 그들의 동료 페르시아인들과 더 많은 공통점을 가졌다"[16]고 관찰했습니다. 그는 쿠제스탄의 아랍인들이 이란의 관습, 예절, 의식적인 행사, 심지어 (헤드기어를 제외하고) 옷을 입었다고 썼습니다.[19]

종교

쿠제스탄의 아랍인 대다수는 이슬람시아파 분파를 따르고 있지만, 수니파 이슬람교도, 기독교도, 유대인, 만대인도 적지 않습니다.[3]

부족

부족주의는 쿠제스탄의 아랍 인구의 중요한 특징입니다.[20] 부족 간의 유대는 20세기 동안 약화되었지만 여전히 중요한 것으로 여겨집니다.[20] 쿠제스타니 아랍인들 사이의 사회적 단위는 베이트(가계 또는 가족 집단), 하물(클랜), 샤셔(부족), 타이에페카빌레(부족 연합)를 포함합니다.[20]

존 고든 로리머(John Gordon Lorimer)에 따르면, 20세기 말에 가장 중요한 아랍 부족은 다음과 같습니다.

번체명 아랍어로 된 이름 준주 추정인구(1908)
알에 카 ṯī르 آل کثیر 카르헤카룬[21] 사이 8,000[21]
바누람 بنی لام 카르헤이라크 국경[21] 사이 45,000[21]
ʿ압드 알 ḵ얀 عبدالخان 카르헤[21] 헤이라바드 근처 [21] 수 없음
살라마트 سلامة 압곤지하드담[21] 사이 가르가르 동쪽 1,600[21]
베이트-에사 ʿ드 بیت سعد 데즈[21] 양안 14,100[21]
ʿ아나페 ǰ라 عنافجة 데즈 두 은행, 카룬[21] 오른쪽 은행 5,000[21]
ḥ아마이드 حمید ʿ 아나페 ǰ아의 영토의 남쪽에 6,000[21]
Āl-e Bū Rawāya آل بو رواية around Ḡoreyba on Karkheh[21] 700[21]
바누 ṭ로프 بنی طرف 카르헤의 남쪽 고리와 쿠트 나흐르 하셈의[21] 서쪽 소택지 20,000[21]
ʿ에크레시 عکرش 아바즈 북쪽과 호비제[21] 도시 사이, 5,000[21]
ḥ아르단 حردان 아바즈의 서쪽과 북쪽, 도시와 호비제 사이, 카룬[21] 오른쪽 둑, 2,500[21]
자르칸 زرقان 아흐바즈[21] 북동쪽 1,500[21]
바누살라 بنی سالة 아흐바즈 남서쪽 카르헤 습지대[21] 15,000[21]
바브 ī야 باویة 바비[21] 20,000[21]
바누탐 ī름 بنی تمیم 호비제아바즈 사이에서 남쪽으로[21] 10,000[21]
알 ḵ암 ī스 آل خمیس 람호르모즈[21] 남서쪽 2,500[21]
모 ḥ라이센 محیسن 카룬이라크 국경[21] 사이 12,000[21]
바누카 ʿ브 بنی کعب 아바단 남동쪽 반은 마샤르[21], 55,000[21]
샤르 ī파트 شریفات 자라히[21] 좌안 1,000[21]
가나왓 قنواتی 마샤르[21] 주변 5,250[21]

유전학

HLA 클래스 II 대립유전자와 일배체형 빈도를 연구한 파르자디안과 가데리에 따르면, 쿠제스타니 아랍인들은 다른 아랍인들과 유전적으로 다를 수 있으며 다른 이란인들과의 유전적 친화성은 "그들의 공통 조상의 결과일 수 있다"고 합니다.[22] Hajjeje et al. 는 Khuzestani 아랍인들이 Gabesian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23] 하플로그룹 J1-M267쿠제스탄의 표본에서 33.4%에 달해 이란의 다른 지역보다 높습니다. 또한 쿠제스타니 아랍인의 경우 31.6%에 달합니다.[24]

차별혐의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아흐와지 아랍인들은 정치, 고용, 문화적 권리와 관련하여 당국에 의해 차별을 받고 있는 [25]반면, 이란은 그러한 비난을 완전히 거부하고, 그러한 비난이 과장되었다고 생각합니다.[26][27] 영국 활동가 피터 타첼에 따르면, 이란에서 범죄로 여겨지는 수니파 이슬람교로 개종한 아흐와지 아랍인들의 체포도 많이 있었습니다.[28] 한편,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 따르면, 수니파로 개종한 것에 대한 그러한 범죄나 처벌은 법에 없습니다.[29][30]

수니파 이슬람으로의 개종이 증가한 것은 부분적으로 반 아랍 차별, 이 지역의 아랍 정체성에 대한 인식된 단속, 그리고 수니파 이슬람이 아흐와지 아랍인들의 아랍 뿌리에 더 가깝다는 관점의 결과입니다.[31][32][33] 국제 이란 수니파 수감자 운동(ICSPI)에 따르면, 이 같은 단속은 이란 정부가 "전통적으로 시아파가 다수인 쿠제스탄 지방의 아흐와지 아랍인들 사이에서 수니파 이슬람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한 데 따른 것입니다.[34] 이러한 전환의 결과로 중동 전역의 수니파 아랍인들은 점점 더 아흐와지 대의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었습니다.[35]

정치

영국과 바트당 이라크와 같은 외국 행위자들은 민족적 정서를 지렛대로 이용하고 퍼뜨리려 했습니다.[36]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쿠제스타니 아랍인들은 사담 후세인이 이라크 편을 들어달라고 요청한 것을 거절하고 그의 침략에 저항했습니다.[37]

Yadullah Shahibzadeh에 따르면, 1990년대 후반 모하마드 하타미가 집권했을 때, "쿠제스탄의 아랍 활동가들은 개혁 운동을 정체성의 아랍 정치의 동원 능력을 보여주는 표로 이용했습니다."[38] 2003년 이란 지방선거는 쿠제스탄주 남서부에서 아랍 정체성 정치를 지지하는 사람들의 승리를 의미했습니다.[39]

몇 달 후, 쿠제스탄의 아랍 공동체를 옹호하는 이슬람 화해당은 두 개의 파벌로 분열되었습니다. 개혁 운동과 그 민주화 강령에 헌신한 민주파, 급진적인 아랍 민족주의 성향을 가진 전통파.[40] 이슬람 이란참여전선과 함께 활동을 조율하던 구파가 탈당해 알아팍당을 창당하면서 아랍 민족주의 파가 이슬람 화해당을 장악하게 됐습니다.[40] 아랍의 정체성 정치는 더 급진적이 되었고, "모든 정치적, 시민적 권리를 가진 이란 시민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대신" 정치적 주체성의 자기 패배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모든 시민들을 위한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다른 단체들에 이의를 제기했고 아랍인들과 비 아랍인들 사이의 지역 공적 영역의 양극화를 초래했습니다.[41] 2005년과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가 취임할 무렵, 아랍의 정체성 정치는 더 이상 후제스탄 지방의 지역 정치 세력으로 존재하지 않게 되었습니다.[42]

메모들

  1. ^ P와 같은 다른 현대 역사가들. 루프트와 E.J. van Donzel도 아랍어는 이 시기에 쿠제스탄의 서부 지역에서만 사용된 것으로 간주합니다.[8][9] 이란학자 윌렘 플로어는 사파비 영역의 관할권 중 아랍과 쿠제스탄을 별도로 포함하고 있습니다.[10]

참고문헌

  1. ^ a b c d e Bahrani, Nawal; Modarresi Ghavami, Golnaz (August 2021). "Khuzestani Arabic".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51 (2): 299–313. doi:10.1017/S0025100319000203. S2CID 235915108.
  2. ^ a b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in Iran: Arabs".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Retrieved 19 October 2023.
  3. ^ a b c d 엘링 2013, 페이지 36
  4. ^ "Iran: Defending Minority Rights: The Ahwazi Arabs". Amnesty International. 17 May 2006.
  5. ^ Matthee 2015, 450쪽.
  6. ^ a b c Chehab 2012, 209쪽.
  7. ^ Matthee 2003, p. 267 (참고 2 참조).
  8. ^ 루프트 1993, 673쪽.
  9. ^ 밴 돈젤 2022, 212쪽.
  10. ^ 2021년 218페이지.
  11. ^ Matthee 2003, p. 267 (주 2 참조).
  12. ^ Savory, R.M. (1986). "5. Khe - Mahi". Encyclopaedia of Islam. ISBN 978-90-04-07819-2.
  13. ^ Lewis, Peter G. (January 1982). "The Politics of Iranian Place-Names". Geographical Review. 72 (1): 99. doi:10.2307/215071.
  14. ^ Lewis, Peter G. (January 1982). "The Politics of Iranian Place-Names". Geographical Review. 72 (1): 99. doi:10.2307/215071.
  15. ^ Ahmadi, Hamid (2013). "Political Elites and the Question of Ethnicity and Democracy in Iran: A Critical View". Iran and the Caucasus. 17 (1): 82. doi:10.1163/1573384X-20130106.
  16. ^ a b c "ʿARAB iv. Arab tribes of Iran". iranicaonline.org. Retrieved 2022-09-25.
  17. ^ Towfīq, F. "ʿAŠĀYER "tribes" in Iran". Encyclopædia Iranica. Retrieved 14 April 2012.
  18. ^ Shanavaz 2005, 페이지 121
  19. ^ Shanavaz 2005, 123쪽
  20. ^ a b c 엘링 2013, 페이지 37
  2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오버링 & 아워케이드 1986
  22. ^ 파르자디안 & 가데리 2007
  23. ^ Hajjej et al. 2018
  24. ^ Kivisild, Toomas (18 July 2012). "Ancient Migratory Events in the Middle East: New Clues from the Y-Chromosome Variation of Modern Iranians". PLOS ONE. 7 (7): e41252. doi:10.1371/journal.pone.0041252. PMC 3399854. PMID 22815981.
  25. ^ "Ahwazi-Arabern droht unfaires Verfahren und Folter". Amnesty International. Retrieved 2014-04-17.
  26. ^ Ahvaz people yjc.ir 2018년 6월 26일 검색
  27. ^ Ahwaz cloob.com 2018년 6월 26일 검색
  28. ^ Peter Tatchell (27 October 2007). "Iran's anti-Arab racism". The Guardian. Retrieved 28 December 2015.
  29. ^ 시아파 시위 공식주의 farsnews.com 2018년 6월 266건 회수
  30. ^ 시아파 Mdhab 공식주의 khabarfarsi.com 2018년 6월 26일 검색
  31. ^ Millichronicle (2020-03-23). "Iranian regime keeps Ahwazi women prisoners locked, despite coronavirus fears worsen". Retrieved 2021-06-08.
  32. ^ Mamoon Alabbasi (28 February 2015). "Iran's Ahwazi Arab minority: dissent against 'discrimination'". Middle East Eye. Retrieved 28 December 2015.
  33. ^ ISABEL COLES (15 Aug 2013). "Insight: Iran's Arab minority drawn into Middle East unrest". Reuters. Retrieved 28 December 2015.
  34. ^ Peter Tatchell (22 January 2015). "Sunni Muslims living in fear in Iran as state-sponsored persecution ramps up".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Retrieved 28 December 2015.
  35. ^ ISABEL COLES (15 Aug 2013). "Insight: Iran's Arab minority drawn into Middle East unrest". Reuters. Retrieved 28 December 2015.
  36. ^ 2013, 페이지 38
  37. ^ 엘링 2013, 페이지 112, 143
  38. ^ 샤히브자데 2015, 페이지 128
  39. ^ Shahibzadeh 2015, pp. 130–131
  40. ^ a b Shahibzadeh 2015, 페이지 132
  41. ^ Shahibzadeh 2015, 페이지 136
  42. ^ Shahibzadeh 2015, 페이지 134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