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나나

Kinana
키나나
بَنُو كِنَاَنَة
무도리 아랍 부족
Kinana.svg
시핀 전투의 키나나 기나나 기의 기치(657년)
니스바알키나누
الْكِنَانِيّ
위치메카 주변의 티하마헤자즈의 지역(5세기-현재)

팔레스타인 (7-12세기)

다미에타 및 인근(12~13세기)
의 후손키나나 이븐 쿠자이마 이븐 무드리카 이븐 일리아스 이븐 무다르
나뭇가지
종교이슬람교

키나나(아랍어: كَََِ,, 로마자: 키나나)는 티하마 해안 지역과 헤자즈 산맥의 메카 주변에 근거지를 둔 아랍 부족이었다.[1]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부족인 메카의 쿠라이쉬는 키나나의 한 발이었다. 아랍 세계의 많은 현대 부족들은 그들의 혈통을 그 부족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

위치

키나나의 전통적인 부족 영토는 메카 근처의 티하마 해안선 부분에서 북동쪽으로 부족 친척인 바누 아사드의 영토 국경까지 확장되었다.[3]

역사

기원과 가지

이슬람의 새벽 아라비아 반도의 몇몇 중요한 부족들의 대략적인 위치 (서클 600 CE)

아랍 족보전통에서 부족의 어원적 조상은 키나나 이븐 쿠자이마 이븐 무드리카 이븐 일리아스였다.[4]이슬람 이전에, 그 부족은 알라타, 우자, 마나타 같은 메칸 여신들의 숭배자들로부터 혈통을 얻었다. 이슬람화 이후 이 부족은 이스마엘까지 조상을 추적했는데, 이스마엘은 이슬람 전통에 따라 아랍 쥬르움족의 여성과 결혼해 메카 인근에 정착했다.[5] 키나나는 다신교 신자였고, 그들의 숭배는 알-우자 여신을 중심으로 했다. 그들은 북부 아라비아를 넘어 이라크, 이란, 아프가니스탄의 현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이슬람 전통은 키나나와 이스마엘의 다른 후손들이 점차 북부 아라비아 전역에 흩어져서 원래의 신앙을 잃고 우상 숭배에 빠졌다고 한다.[5]

그 부족에는 나드르, 말리크, 밀란, 아미르, 아므르, 아므르, 압드 마나트 등 6개의 원칙적인 지파가 있었다. 나드르족은 키나나족과는 독립적으로 집계된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부족인 쿠라이쉬족의 부모 부족이었다. 마나타 여신의 숭배자인 압드 마나트는 바크르 이븐 압드 마나트의 특히 강한 하위그룹을 포함했는데, 이들의 주요 지점은 무들리, 두일, 레이트, 담라였다. 기파르 부분군은 담라에 속하거나 압드 마나트에서 직접 유래했다. 또 다른 지부 하리스 이븐 압드 마나트는 아하비시 집단의 핵심을 이루었는데, 이 집단은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크고 작은 가문들의 집합체였다.[3]

쿠라이슈의 조상인 피르 이븐 말리크 이븐 나드르남아라비아히말라야인 지파와의 대결에서 승리한 기나나의 지도자로 언제 등장했는가. 그의 후손인 쿠사이 이븐 킬랍Kaaba의 본거지인 성소도시 메카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키나나의 지원을 받았다. 부족민들 사이에서의 쿠사이의 지위는 레이트 그룹의 키나니 족장 야마르 이븐 암르의 지지로 더욱 힘을 얻었다; 바크르는 쿠사이에 대체로 반대했다. 피야르 전쟁은 키나니 알-바라드 이븐 케이족에 의해 바누 킬랍 족장이 살해됨으로써 촉발되었는데, 키나니 알-바르드 이븐 케이족은 그의 부족에 의해 추방되었지만 두일족의 보호를 받고 쿠라이시테 족장 하르브 이븐 우메이야와 연합 관계를 유지하였다. 킬랍과 그들의 하와진 부족 혈족들은 보복으로 쿠라이시족에 대항하여 움직였고, 바크르족을 포함한 키나나는 쿠라이시족의 후원으로 왔다. 바크르족은 쿠라이시족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했고, 바크르족 족장이 쿠라이시트족 청년의 키나니족 살해에 대한 보복으로 살해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부족 관습은 젊은이들에게 쿠라이시족으로서의 동등한 지위를 주지 않았다.[3]

초기 이슬람 시대

이슬람 역사학자들은 키나나가 이슬람의 형성과 확산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지만, 무함마드 시대에 연합된 부족으로서의 행동에 주목하지 않았다.[2] 쿠라이쉬는 처음에는 무함마드와 그의 일신교적 메시지에 반대했지만, 이전의 바크르와의 긴장 때문에 624년 키나나의 안전 보장 없이 바드르에서 그와 그의 추종자들을 상대로 움직이는 것을 주저했다. 무드리히 일당은 후방에서 쿠라이쉬를 공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고, 따라서 그들은 무함마드에 대항하여 움직였고, 무함마드는 그 교전에서 그들을 격파했다. 이후 마호메트의 동맹국인 쿠자에 대한 바크르의 공격으로 무함마드는 630년 메카 정복에 착수했다. 이 안에서 그는 기파르, 라이트, 담라의 후원을 받았다.[6]

메카 정복에 이어 키나나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두일의 중요한 부족인 아부아스와드 알 두알리는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인 칼리프 알리의 동맹자로 간주되었다.[6] 키나나는 630년대에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정복된 이후, 아랍 부족의 준드 필라스틴(팔레스타인의 군사 지역)의 수비대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였으며, 다른 주요 구성 요소는 저드함, 라흐름, 쿠자아, 하담, 아즈드였다.[7] Caliph Umar (r. 634–644) appointed two men of the Kinana, Alqama ibn Mujazziz and Alqama ibn Hakim as dual governors of Palestine, with the former based in Jerusalem and the latter based likely in Lydda, around 638/639;[8] the latter remained governor until being replaced by Mu'awiya ibn Abi Sufyan by Caliph Uthman (r. 644–656). 우마야드 칼리프 야지드 2세(r.720–724)의 노래소녀 하바바는 키나나의 팔레스타인 주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운문으로 언급했다.

내 주위에 있는 키나나의 부대
팔레스타인에서 빠르게 그들의 기지에 올라탄다.[9]

키나나는 844/45년에 메카 주변에서 약해졌지만 존재감을 유지했다고 기록되었다.[6]

이슬람 중기

1153년 십자군에 의해 항구도시 아스칼론을 점령한 뒤 팔레스타인 남부 키나나의 armer와 fief-holder들은 파티미드 이집트로 떠났다. 파티미드 비지에르 탈라이 이븐 루지크는 다미에타와 그 주변 지역에 있는 부족민들을 다시 정착시켰고 그곳에서 키나니야로 알려지게 되었다. 아유비드 휘하에서 키나니야는 어학적으로 2군 부대로 집계되어 쿠르드족, 터키인, 투르크만족 군인의 비율의 절반을 지불했지만, 아랍 보조군보다 훨씬 더 많은 금액을 지불했다.[10] 키나니 족속들은 살라딘의 군대가 대패한 람라 근처의 몽기사르 전투에서 아유비드 술탄 살라딘의 지휘관인 카디파딜과 십자군과 싸웠다.[11] 이들은 팔레스타인 남부 람라 주변 지역에 익숙해 활용됐을 가능성이 높다.[11]

1249년 6월, 약 700척의 배의 강자인 루이 9세의 해군 병력은 제7차 십자군의 일환으로 다미에타에 상륙했다. 그때까지 용맹하기로 유명한 이 도시의 키나니 수비대는 파흐르 알딘이 이끄는 이집트 수비대와 함께 십자군이 도착하는 광경을 보고 도망쳤다.[12] 아유비드 술탄은 살리 아유브로서 결과적으로 키나니 탈영병들의 지휘관들을 처형하였다.[13][14]

참조

  1. ^ Watt, W. Montgomery. "Kinana". Brill. Retrieved 22 October 2018.
  2. ^ a b M. Th. Houtsma, ed. (1993). "Kinana".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Volume 4. pp. 1017–1018. ISBN 9789004097902.
  3. ^ a b c 와트, 페이지 116.
  4. ^ Ibn Ishaq (1955). The Life of Muhammad: A Translation of Ibn Isḥāq’s sīrat. Translated by Alfred Guillaume. London. pp. 3, 38–41, 52–53. ISBN 0195778286.
  5. ^ a b Peters, Francis E. Muhammad and the Origins of Islam. pp. 5–15.
  6. ^ a b c 와트 1986, 페이지 116.
  7. ^ 크론 1980, 225 페이지 노트 210.
  8. ^ 1997, 페이지 116.
  9. ^ 제이유시 2010 페이지 98-99.
  10. ^ Gibb, 페이지 76.
  11. ^ a b Gibb, 페이지 86, 참고 25. (
  12. ^ 레인-풀 2013, 페이지 238.
  13. ^ Runciman 1951, 페이지 221. (
  14. ^ Lane-Poole 2013, 페이지 . 오류: 대상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