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무라 코이치
Koichi Nakamura나카무라 코이치 | |
---|---|
태어난 | |
국적. | 일본인입니다 |
직종. |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
액티브 년수 | 1982년 ~ 현재 |
고용주 | 스파이크 춘소프트 |
로 알려져 있다 | 비디오 게임 회사인 Chunsoft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취임 |
주목할 만한 일 | 드래곤퀘스트 미스터리 던전 |
나카무라 고이치(中村光一, 1964년 8월 15일 ~ )는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이다.프로그래밍 신동 나카무라는 고교 재학 중 유명세를 탔고 1982년 에닉스의 첫 전국 프로그래밍 콘테스트에 참가하여 참가작인 도어(Door)로 준우승을 차지했다.1984년, 그는 비디오 게임 회사인 춘소프트를 설립했고,[1] 그곳에서 그는 여전히 사장직을 맡고 있다.
직업
아마추어 프로젝트
나카무라는 일본 가가와현에 있는 마루가메 고등학교 수학부 회원이었다.그곳에서 그는 비디오 게임 갤럭시 워즈를 탠디 TRS-80으로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식했다.
게이무 쿄진이 I/O매거진에서 NEC PC-8001로 이식한 갤럭시안 등의 게임을 하기 위해 나카무라는 신문배달로 모은 돈으로 PC-8001을 구입했다.그 PC-8001에서 프로그램 제출을 개발했습니다.1981년 2월호 I/O 매거진에 기계코드 입력 툴을 투고해 데뷔 출판물로 2만엔을 받았다.
그 경험으로부터 고등학교 1학년 봄 방학에 나카무라는 1981년 5월호에 게재된 아케이드 게임 스페이스 패닉을 ALIEN Part II로 포팅하고 있었다.그 프로그램은 카세트 테이프로 발매되어 20만 파운드의 로열티 수입을 올렸다.그 후 1982년 1월호에서는 스크램블(나중에 법적 문제로 어택터로 개명)도 카세트로 발매되어 1백만 파운드의 로열티를 받았다.게다가 리버 패트롤의 항구 「리버 레스큐」가 마이콘 게임 북 4 I/O 스페셜 에디션에 게재되어 나카무라의 I/O 제출에 의한 고교 총수입은 [2]200만엔이 넘었다.I/O에 대한 활동으로 그는 젊은 PC [3]마니아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나카무라는 로열티 수입으로 PC-8801을 구입해 프로 비디오 게임 개발자가 되기로 결심해 1982년 에닉스가 고등학교 3학년 때 개최한 제1회 취미 프로그램 콘테스트에 참가했다.최초의 오리지널 게임 「도어 도어」를 제출하고, 나카무라는 프로그래밍 우수상 2위로 선정되어 상금 [4]50만엔을 받았다.
에닉스
1983년 나카무라는 도쿄로 건너가 전기통신대학에 입학했다.수상 경력이 있는 Door Door를 다양한 PC 플랫폼에 이식하면서 대학생 시절 연간 로열티 [5]1000만엔이 넘었습니다.그 후 나카무라는 대학 2학년 봄방학인 1984년 4월 9일 두 번째 PC게임 뉴트론을 출시하고 5인용 춘소프트를 창업했다.그는 도쿄 조후시의 한 콘도에서 일을 시작했다.첫 번째 Chunsoft 릴리즈는 1985년 PC-6001 버전의 도어 mk입니다.Ⅱ. 그 후 Enix on the Famicom에 합류하면서 Junsoft는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 [6]개발을 시작했습니다.PC 버전은 8만 부가 팔린 반면 패미컴 버전은 20만 부가 팔려나갔고, 이후 개발은 가정용 콘솔에 집중되었다.거기서, 동료 에닉스 프로그램 콘테스트의 우승자 호리 유지가 나카무라씨와 함께, 「포르토피아 연쇄 살인 사건」의 패미콤 항구에서 콜라보레이션에 참가.
당시 나카무라와 호리이는 컴퓨터 롤플레잉 게임인 위저드리와 울티마의 팬이었고, 그래서 드래곤 퀘스트라고 불리는 본격적인 패미컴 [7][8]RPG 개발에 착수했다.발매에 앞서 나카무라는 액션 롤플레잉 게임 '드루가 타워'의 제작자인 엔도 마사노부를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 [9]디자이너로 꼽았다.나카무라는 에닉스 제품에서 탈피하기 전에 드래곤 퀘스트 V: Hand of the Heaven Bridge까지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개발을 계속했다.
에닉스 후
오토기리소는 춘소프트의 데뷔 브랜드였다.그 후, 연속 장르를 개척하는 타이틀 「Torneko no Daiboken」 후시키노 던전, 가마이타치노 요루, 방랑자 시렌이 회사의 명성을 확립했다.나카무라 자신도 회사를 [10]운영하기 위해 프로그래밍에서 손을 떼야 했다.
한때 이 회사의 제품은 평범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3-Nen B-Gumi Kinpachi Sensei: 회복의 조짐을 보인 히트는, 덴세쓰의 「교단니 다테!」였다.
세가×춘 프로젝트
2005년부터 2010년까지, Junsoft는 Sega의 홈 비디오 게임 사업과 제휴해, Sega가 자금을 조달해, Junsoft와 [11]함께 8개의 게임을 퍼블리싱 했다.그 중 한 편에서 나카무라는 Wii 게임 428의 프로듀서 시부야 스크램블을 맡았다.
게임 크레딧
연도 | 제목 | 원래 플랫폼 | 프로그래머 | 감독. | 프로듀서 | 다른. | Ref. |
---|---|---|---|---|---|---|---|
없음 | 도어 mkII | - | - | - | - | ||
뉴트론 | - | - | - | - | |||
1983 | 문짝 | ![]() | - | - | 디자이너 | ||
포르토피아 렌조쿠 사쓰진 직영점 | - | - | - | - | |||
1986 | 드래곤퀘스트 | ![]() | ![]() | - | - | ||
1987 | 드래곤 퀘스트 II: 전설의 라인의 조명자 | ![]() | ![]() | - | - | ||
1988 | 드래곤 퀘스트 III:구원의 씨앗 | - | ![]() | - | - | ||
1990 | 드래곤 퀘스트 IV: Chapters of the Chosen | - | ![]() | - | - | ||
1991 | 패미컴 점프 II 사이쿄노 시치닌 | - | ![]() | - | - | ||
테트리스 2 + 봄블리스 | - | ![]() | - | - | |||
1992 | 드래곤 퀘스트 V: 천상의 신부 | - | - | - | 감독관 | ||
오토기리소 | - | ![]() | ![]() | - | |||
1993 | 토르네코의 대모험:미스터리 던전 | - | - | ![]() | - | ||
1994 | 가마이타치노요루 | - | - | ![]() | - | ||
엘리베이터 액션 리턴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1995 | 미스터리 던전 2: 방랑자 시렌 | - | - | ![]() | - | ||
스페이스 인베이더: 가상 컬렉션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1996 | 방랑자 시렌 GB: 달빛마을 괴물 | - | - | ![]() | - | ||
퍼즐 보블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1997 | 초코보의 신비로운 던전 | - | - | - | 상임이사 | ||
1998 | 마치: 운메이의 고사텐 | - | - | ![]() | - | ||
초코보의 던전2 | - | - | - | 상임이사 | |||
1999 | 토르네코:라스트 호프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00 | 방랑자 시렌 2: 악마의 침입!시렌 성!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01 | 방랑자 시렌 GB2: 사막의 마법의 성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02 | 가마이타치노요루2 간고쿠지마의 와라베 우타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드래곤 퀘스트 캐릭터:토르네코의 대모험 3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방랑자 시렌의 곁이야기: 검객 아스카가 도착! | - | - | - | 상임이사 | |||
2004 | 3-Nen B-Gumi Kinpachi 선생님:덴세쓰의 교단니 다테! | - | - | ![]() | - | ||
샤렌 몬스터:넷살 | - | - | ![]() | - | |||
드루가의 악몽:후시기의 던전 | - | - | - | 특별히 감사합니다. | |||
2005 | 포켓몬스터 미스터리 던전: 레드 구조대와 블루 구조대 | - | - | ![]() | - | ||
홈랜드 | - | - | ![]() | - | |||
2006 | 가마이타치노요루×3 : 미카츠키지마 지켄노신소 | - | - | ![]() | - | ||
2007 | 이마비키소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포켓몬스터 미스터리 던전: 시간의 탐험가와 어둠의 탐험가 | - | - | ![]() | - | |||
2008 | 428: 시부야 스크램블 | - | - | ![]() | - | ||
방랑자 시렌 3: 잠자는 공주와 카라쿠리 저택 | - | - | ![]() | - | |||
2009 | 포켓몬스터 미스터리 던전: 하늘의 탐험가 | - | - | ![]() | - | ||
포켓몬 미스터리 던전:어드벤처 팀 | - | - | ![]() | - | |||
9시간, 9인, 9도어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10 | 방랑자 시렌 4: 신의 눈과 악마의 배꼽 | - | ![]() | - | - | ||
방랑자 시렌 5: 운명의 탑과 운명의 주사위 | - | - | ![]() | - | |||
트릭 × 로직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12 | 포켓몬 미스터리 던전: 게이트 투 인피니티 | - | - | ![]() | - | ||
제로 이스케이프:미덕의 마지막 보상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단간론파2: 굿바이 데스펙션 | - | - | - | 감독관 | |||
2013 | 콘셉트 II: 칠성의 아이들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타이탄 공격:쇠사슬에 묶인 인간성 | - | - | - | 감독관 | |||
2014 | Danganronpa 다른 에피소드:울트라 데스프 걸스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15 | 포켓몬스터 슈퍼 미스터리 던전 | - | - | ![]() | - | ||
에트리아 미스테리 던전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미스터리 크로니클:단방향 히어로틱스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그랜드 킹덤 | - | - | ![]() | - | |||
2016 | 제로 타임 딜레마 | - | - | - | 감독관 | ||
2017 | 제로 이스케이프:노나리 게임즈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단간론파 V3: 킬링 하모니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18 | 잔키 제로: 라스트 비긴스 | -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2019 | Tech Tech Tech Tech | - | - | ![]() | [12] | ||
2020 | 포켓몬 미스터리 던전:구조대 DX | - | - | - | 특별히 감사합니다. |
레퍼런스
- ^ "中村光一", Wikipedia (in Japanese), 2022-01-22, retrieved 2022-01-27
- ^ 에이큐 호존반 민나가 코레 데 모에타! NEC 8비트 PC-8001/6001, 2005, ASCII, 페이지 62-65 인터뷰 (Nakamura 포함)
- ^ 게임 마에스트로 제1권: 프로듀서/감독판 시다 히데쿠니(2000년), 138쪽 인터뷰 / 호리이 유지
- ^ 에이큐 호존반 민나가 코레 데 모에타! NEC 8비트 PC-8001/6001, 2005, ASCII, 페이지 65
- ^ 에이큐 호존반 민나가 코레 데 모에타! NEC 8비트 PC-8001/6001, 2005, ASCII, 페이지 66
- ^ Terebi Geemu no Camigami : RPG wo 츠쿠타 오토코타치의 Risou to Yume by Yutaka Tama, 1994, Koei, 페이지 102-104
- ^ 오오코쿠 일본: 가미가미노코부, 2000년, 세이순 출판사, 페이지 102-104
- ^ 게임 마에스트로 제2권: 프로듀서/감독판 시다 히데쿠니(2000년), 나카무라 코이치와의 인터뷰 페이지 16
- ^ "59 Developers, 20 Questions: 1985 Interview Special". Beep. October 1985.
- ^ 게임 마에스트로 제2권 제작자/감독판 (2) 시다 히데쿠니, 2000년, 페이지 24
- ^ "セガ・チュンソフトプロジェクト セガXチュンプロジェクトとは?". Chun Sega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8, 2012. Retrieved January 2, 2021.
- ^ ""歩くドラクエ"だった『テクテクテクテク』が『ポケモンGO』と共存する"一生歩けるRPG"になるまで──『不思議のダンジョン』生みの親・中村光一×麻野一哉が贈る"リアルな冒険"の開発秘話". 電ファミニコゲーマー (in Japanese). Retrieved November 2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