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 퀘스트 6호
Dragon Quest VI드래곤 퀘스트 6: 요한계시록 | |
---|---|
![]() 슈퍼 패미컴 원작의 박스아트 | |
개발자 | 하트비트 |
게시자 | |
감독자 | 야마나 마나부 |
프로듀서 | 지다 유키노부 |
디자이너 | 호리 유지 |
프로그래머 | 야마나 마나부 |
아티스트 | 도리야마 아키라 |
작성자 | 호리 유지 |
작곡가 | 스기야마코이치 |
시리즈 | 드래곤퀘스트 |
플랫폼 | |
해제 | |
장르 | 역할극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유럽에서 드래곤 퀘스트 VI: Realms of Reversie로 알려진 [a]드래곤 퀘스트 VI: Realms of Reversie는 하트비트가 개발하고 에닉스가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일부로서 그리고 제니스 3부작의 마지막 드래곤 퀘스트 게임으로 출판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다.[2][3]1995년 12월에 일본에서 출시되었고 [4]하트비트가 개발하였다. 반면에 이전의 드래곤 퀘스트 게임은 춘소프트가 개발하였다.[5]2011년 드래곤 퀘스트 4세, 드래곤 퀘스트 V와 함께 리메이크한 게임이 닌텐도 DS용으로 전 세계에 출시되어, 이 게임이 영어로 발매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6]안드로이드와 iOS 기기용 게임의 또 다른 버전이 2015년 6월에 일본에서 출시되었다.[7][8]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6번째 편으로 그래픽과 게임 플레이는 다른 게임들과 가깝게 유지되며 약간의 추가와 업그레이드가 있다.[9]그래픽은 슈퍼 패미컴용이었던 드래곤 퀘스트 V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지만 콘솔의 초기 게임으로 인해 초보적인 그래픽이 더 많았다.내비게이션은 이전 경기와 큰 변화가 없고 턴 기반 전투는 여전히 1인칭이다.Dragon Quest III의 클래스 시스템이 사소한 조정으로 되돌아온다.[9]드래곤 퀘스트 6세는 일본에서 300만 부 이상이 팔리며 1995년의 베스트 셀링 게임이 되었다.[10]DS 버전은 2010년 3월까지 100만 부가 팔렸다.[11]
이 이야기는 세계를 구하기 위한 탐구에 관한 전통적인 드래곤 퀘스트 "영웅"을 따른다.이 특별한 작품에서 영웅들은 또한 기억상실증에 대한 개인적인 투쟁을 견뎌야 하는데, 많은 주인공들이 처음에 그들이 누구인지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일련의 퀘스트를 마친 후 플레이어는 현실세계 외에도 사람들의 꿈으로 이루어진 드림월드가 있고, 두 가지 모두를 정복하고 싶어하는 거대한 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영웅과 그의 신당은 점점 커지는 위협으로부터 두 세계를 구하기 위해 협력한다.
게임플레이
드래곤 퀘스트 6는 턴 기반의 전통적인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무작위 전투와 히어로와 그의 당원들이 새로운 기술과 철자를 습득하는 캐릭터 클래스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영웅은 그의 모험 내내 파티를 열며 전 세계를 여행한다.이야기가 진전되려면 특정 보스 몬스터를 물리치거나 특정 깃발을 발동시켜야 한다.상사를 물리치려면 선수도 성격과 계급의 격차에서 싸움에서 경험치를 얻어 파티를 연마하는 데 시간을 보내야 한다.[9]
몬스터들이 공격할 때 활기를 띠는 것과 같은 다른 새로운 특징들이 이 시리즈에 추가되었다.[9][12]슬라임 아레나와 베스트 드레서 경연대회는 이전의 드래곤 퀘스트 게임에서 돌아온 새로운 미니 게임이었다.[13]이전 경기와 마찬가지로 미니 메달은 전 세계에 숨겨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고 아이템과 교환할 수 있다.[14]메인 스토리 라인을 제치고 보너스 던전과 몇 명의 추가 등장인물들이 있다.일부 이전 분할에서와 같이 주야제가 있다; 어떤 줄거리 행사는 밤에 일어난다.몬스터 마스터 클래스가 슈퍼 패미컴의 오리지널 버전에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지만, 그것은 게임의 주요 부분이 아니다.[9]지난 두 게임에서 돌아온 또 다른 특징은 마차의 사용으로, 세계 지도에서 등장인물을 다른 마차로 바꿀 수 있다.[15]
드래곤 퀘스트 III, 드래곤 퀘스트 VII와 비슷한 이 드래곤 퀘스트는 클래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9][12]일단 그 파티가 올트레이즈 애버리에 도착하면, 그들은 몇 개의 스타터 클래스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 된다.[16]각 학급은 8개의 레벨이 있는데, 이것은 특정한 수의 전투(경험 점수를 획득하여 얻는 성격 수준과 달리)에서 승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며, 레벨의 진보는 학급 변화 전반에 걸쳐 유지되는 새로운 주문과/또는 기술을 등장인물에 가르친다.한 캐릭터가 2, 3개의 스타터 클래스로 구성된 특정 세트를 숙달하면, 예를 들어, 워리어와 무술 아티스트를 숙달하면 강력한 물리 공격을 배우는 글래디에이터 클래스를 잠금 해제하고 특정 하이브리드 클래스를 숙달하면 히어로 클래스가 잠금 해제되는 등, 자신의 테마를 바탕으로 한 하이브리드 클래스로 변화할 수 있다.[17]매회 전투 후 당 수입에 약간의 보너스를 주는 상인,[9] MP 비용을 할인받는 세이지 등 자신의 통계와 능력을 뛰어넘는 특별 보너스를 주는 계층도 있다.한 클래스를 마스터하려면 캐릭터가 그 클래스와 같이 정해진 수의 전투를 치러야 한다.특정 하이브리드 클래스가 숙달되면 해당 클래스와 관련된 통계는 영구적으로 상승할 것이다.소모성 서적을 통해 잠금해제가 가능한 드래곤(하카사우루스)과 리퀴드 메탈 슬라임 [9]두 가지 비밀 클래스도 있다.드래곤 퀘스트 6는 시리즈 중 처음으로 인간 당원을 위한 능력이나 기술(トク,, 토쿠기)을 포함한 게임이었다.이 특별한 기술들은 후에 III, IV, V의 리메이크에 추가되었다.
플롯
설정
시리즈의 다른 드래곤 퀘스트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드래곤 퀘스트 6세의 설정은 성, 기사, 마법이 완비된 중세풍이다.[9]메인 세계는 '현실세계'와 '드림월드'로 나뉘는데, 각각 별개지만 비슷한 지도를 가지고 있다.한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가기 위해, 그 당은 세계 지도에서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하거나 '꿈의 세계'의 구멍을 통해 "실제 세계"로 떨어지는 등, 특별한 워프(우물 등)를 사용한다.'리얼 월드'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이 있다면, 게임 중간에 슈피겔스피어와 같은 '드림 월드'에 등장할 수도 있다.
이야기
드래곤 퀘스트 6세는 영웅과 그의 일행인 신비한 여성과 덩치 큰 남자가 악마 왕의 성인 머다우에게 다가갈 때 문을 연다.[18]여자가 오카리나를 이용해 용을 소환한 뒤 일행은 성 안으로 들어가 머도우(일본판 무도 '무도' '魔王ムドーー')와 마주하게 된다.3인조를 제압한 악마의 왕은 일행 각자를 파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갑자기 히어로가 산촌 위버의 봉우리에서 깨어난다.위버 봉우리 출신의 젊은 여성 타니아는 자신이 나쁜 꿈을 꾸고 있었다고 주장하며 자신을 여동생이라고 소개한다.[19]
침대에서 일어나면 마을 장로들은 영웅에게 매년 열리는 산신령 축제인 해글턴에 갈 준비를 하면서 왕관을 얻도록 일한다.영웅은 왕관을 만들어야 할 사람이 마을 북서쪽 어딘가로 나갔다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영웅은 그 방향으로 향하면 왕관 제작자가 간신히 매달려 있는 커다란 구멍을 발견한다.영웅은 그를 구하려 하고 성공하지만 그 과정에서 미끄러져 아래의 세계로 떨어진다.이 신비로운 세상에서 영웅은 마을 사람들이 자신을 볼 수 없는 가까운 마을을 발견한다.영웅은 마을 사람들 중 한 사람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제보를 받는다.북쪽에는 들어가는 사람들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특별한 우물이 있다. 영웅은 그 방향으로 나아가 우물 안으로 들어가 그의 세계로 돌아온다.
영웅은 목숨을 건진 후 왕관 제작자로부터 무상으로 의례적인 왕관을 받은 후 축제가 시작되기 바로 직전에 맞춰 위버스봉으로 다시 향한다.축제 기간 동안, 영웅은 큰 악이 세계를 점령할 것이라는 신비로운 비전을 받는다; 장로는 그에게 이 재앙에 대비하여 마을을 떠나라고 한다.다음 날, 영웅은 우연히 마주친 세계가 '팬텀 월드'라는 것을 알게 되고, 장로로부터 왕을 만날 수 있는 솜니아에 들어갈 수 있는 출입증을 받는다.
솜니아에서 영웅은 영웅을 기억하지 못하는 카버를 만난다.그 후 영웅은 잠재적인 군인 후보자들에게 타워에서 특별한 아이템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주는 소니아 군대의 리더인 블레이드 대위를 만난다.영웅은 이 아이템을 성공적으로 찾아내고 정식으로 솜니아 군인이 된다.임무를 마친 후, 영웅과 카버는 함께 일하여 늙은이를 위한 말을 얻는다.카버도 솜니아의 군인이 된다.영웅과 카버는 왕에게 말하는데, 왕은 머도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라의 거울이 필요하다고 알려준다.히어로와 카버는 해글턴 근처의 것과 비슷한 또 다른 포탈을 발견하는데, 이것은 결국 그들을 볼 수 없는 또 다른 마을인 포트 헤이븐으로 이끈다.또한 기억을 잃은 것처럼 보이는 밀리는 루카 마담의 도움을 통해 그들을 보고 그들이 잘 보이도록 돕는다.
이 파티는 "팬텀 월드"에서 솜니아 성을 발견하고 영웅처럼 보이는 왕자가 없어진 것을 알게 된다.그들은 또한 블레이드 선장과 현저하게 닮은 러스티 선장을 만난다.문미러 타워에 진입한 일행은 처음에는 '팬텀 월드'에서 보이지 않던 여성 애슐린도 만나 함께 라의 거울을 찾는다.일행은 원세계의 머도의 성으로 이동한다.무르도를 물리친 후 영웅은 그에게 거울을 사용한다.그리고 나서 머도는 혼란스럽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한 채 솜니아 왕으로 변한다.왕은 원래의 세계가 사실 꿈의 세계이고 팬텀 세계는 실제 세계라고 밝힌다.현실세계로 돌아온 솜니아왕은 꿈에서 머도를 물리친 일행에 감사하지만, 진짜 머도는 살아있고 머도의 은신처로 가려면 배를 되찾기 위해 겐트로 가야 한다.겐트에서는 힐러인 네반(Nevan)이 당에 합류하여 겐트 클랜의 배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진짜 머도와의 싸움 동안 영웅은 다시 위버의 봉우리로 보내진다.그러나 라의 거울과 함께 영웅은 다시 전투에 뛰어들어 머도를 무찌른다.
솜니아 여왕은 영웅에게 그가 진짜 누구인지 발견하라고 말한다.이 탐구는 일행들을 아크볼트로 인도하는데, 그곳에서는 끔찍한 괴물이 근처의 동굴을 막고 있다.괴물을 물리친 것에 대한 보상은 유명한 선더볼트 블레이드지만, 일행이 최후의 일격을 가하기 전에 테리라는 이름의 전사가 괴물을 죽이고 검을 얻는다.양쪽 세계를 여행한 후, 일행은 머도가 이 세상에서 유일하게 악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여러 다른 괴물들과 싸운 적이 있다.
소세리아에서 일행은 여기가 애슐린의 집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20]장로들은 애슐린에게 악마 로드가 그녀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하고 그와 싸울 수 있는 강력한 마법의 마법을 그녀에게 준다.당은 또한 악마주도로 가는 유일한 길은 제니스탑을 통해서라는 것을 배우지만 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설의 칼, 갑옷, 방패, 투구를 모아야 한다.그러는 동안 영웅은 겁에 질린 레알 위버의 봉우리에서 자신의 더블을 만나 'Y-Y-You.Y-Y-Yo.Y-M-M-Me!'를 말하며 권력에 합세하려면 가족에게 충실해야 한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고 말한다.진짜 솜니아로 돌아온 왕과 왕비는 영웅에게 그가 정말 왕자라고 말한다.[21]그가 그의 클론과 융합했을 때, 영웅은 이전의 애슐린과 카버처럼 기억을 되찾았다.
일행은 클라우드게이트 시타델에 이르러 성을 점령했다고 주장하는 두란( (デラ)을 만난다.그는 테리를 불러 당과 싸우게 한 다음 직접 당과 싸운다.그러자 두란은 일행이 맞닥뜨린 적들은 모두 아르키엔드인 모타모르의 졸개일 뿐이라고 폭로한다.밀리는 테리가 그녀의 오빠라는 것을 밝히고 테리는 파티에 참가하여 모타모르와 싸우기로 결심한다.
일단 클라우드게이트 시타델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일행은 모타모르의 행적과 드레드 왕국에 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제니스 왕에게 말한다.모타모르는 두 세계를 합병할 계획이다.[22]당의 말은 페가수스와 퓨즈를 맺어 당이 드레드 왕국으로 날아갈 수 있게 한다.드레드 왕국에는 몇 가지 도전이 기다리고 있는데, 그 중에는 당의 세력이 갑자기, 그리고 예기치 않게 곤두박질치는 것도 포함된다.베냐민과 이삭이라는 두 명의 최고 현자 형제의 도움으로 일행은 모타모르의 성으로 들어간다.많은 퍼즐을 푼 후, 그들은 모타모어와 대면하여 그를 물리친다.이삭은 드레드 왕국이 무너지고 있다고 밝히고 페가수스는 그들이 탈출하는 것을 돕는다.[23]현실세계로 돌아온 후, 애슐린은 자신의 현실세계 자신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드림월드로 돌아가야 하는 등, 모든 사람들이 헤어진다.모타모르의 현실 세계와 꿈 세계의 연결이 끊긴 가운데, 현실 세계에서는 클라우드게이트 성만 남아 있는 드림 월드가 사라진다.그런 다음 애슐린이 성에 나타나 새로 부화한 제니스안 드래곤을 돌본다.
개발
생산
이전의 모든 드래곤 퀘스트 게임에서처럼 시나리오 디자이너는 호리 유지였다.마찬가지로 리드 아티스트는 토리야마 아키라였고 소리는 스기야마 고이치가 작곡했다.[24]이번 경기는 제니스티아(ia (の, 텐쿠 노 시로가 점등)에서 마지막으로 선보이는 경기다."스카이 캐슬") 3부작.[25][26]
전편 드래곤워리어 몬스터(드래곤 퀘스트 몬스터: 테리의 원더랜드 in Japan)는 1998년에 발매되었다.이 게임은 드래곤 퀘스트 VI의 사건 몇 년 전 테리와 밀리를 특집으로 다루었다.드래곤 퀘스트 6세는 북미에서 개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듬해 북미에서 개봉되었다.[27]테리, 밀리와 함께 모타모르를 비롯한 여러 주요 적들이 다시 나타난다.하지만 그들의 이전 역할은 없어졌고, 그들은 그저 평범한 적으로 보이게 되었다.[28]하지만 모타모어와 머도우는 매우 도전적이고, 매우 늦은 경기 감독으로 보인다.[28]
해제
에닉스가 그들의 게임을 더 발전시키고 싶어했기 때문에 초기 발매가 1년 이상 지연되었다.[9]이 게임은 결국 1995년 11월 쇼싱카이에서 상영되었다.드래곤 퀘스트 6호는 몇 주 후인 12월 9일에 출시되었는데, 매우 가파른 가격은 11,400엔(약 100달러가 훨씬 넘는다)이었다.[9]그 게임은 320만 부 이상 팔렸다.[29]일본에서는 2005년 한 일본 학생이 어떤 드래곤 퀘스트가 최고인지에 대한 논쟁으로 다른 학생을 위협하자, 그 학생은 드래곤 퀘스트 6세를 선호하는 협박을 했다.[30]
드래곤 퀘스트 6호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비용대비 효과가 없어 영어 현지화를 받지 못했다.4MB의 이 게임은 슈퍼 패미컴을 위해 만들어진 가장 큰 게임들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에 은행 교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도 콘솔이 지원할 수 있는 가장 큰 게임들 중 하나였으며, 그것을 번역하는 것은 훨씬 더 크고 더 비싼 ROM이 필요했을 것이다. 게다가, 이 게임은 슈퍼 패미컴에게는 늦은 출시였고, 영국 현지인에게는 늦은 출시였다.아이제이션은 끝날 수 있었다. 에닉스는 이미 북미에서 콘솔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이동했다.
닌텐도 DS 리메이크
드래곤 퀘스트 6는 2007년 말 스퀘어 에닉스에 의해 닌텐도 DS에 대한 리메이크 소식을 발표했고 아르테피아자가 개발했다.[6]이 게임은 2010년 1월 28일 일본, 2011년 2월 14일 북미, 2011년 5월 20일 유럽에서 발매되었다.
이 버전은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 전투 후 몬스터 모집이 없어졌다.1995년 초패미컴 버전의 드래곤 퀘스트 6에서는 특정 유형의 몬스터가 파티에서 몬스터 마스터로 패배할 경우 임의로 영입할 수 있다.2010년 DS 리메이크에서는 이 시스템이 제거되었으며, 대신 특정 작업을 수행하면 합류할 특정 Slimes가 있다.리지는 여전히 모집할 수 있다.
- 이 버전은 화면 상단에 양 세계의 지도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지도와 마법 지도가 제거되었다.
- 두 DS 시스템 간 무선 통신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드래곤 퀘스트 IX의 '태그 모드' 시스템이 구현됐다.
- 슬라임 컬링 미니 게임이 추가됐다.
- 드래곤 퀘스트 IX에서는 이 게임의 다음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밀리로 미렐리(미레유), 카버로 하산, 애슐린으로 바바라(바바라), 솜니아로 레다흐(레이다쿠), 포트헤이븐으로 산마리노.
2008년 4월 28일 스퀘어 에닉스가 미국 특허상표청에 '환상의 나라'라는 상표권을 출원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 게임의 국산화 타이틀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31]2008년 5월 20일, 스퀘어 에닉스는 북아메리카에서의 개봉 확인과 함께 공식 자막으로 Realms of Reverseie를 인정하면서 드래곤 퀘스트 DS 리메이크 3편을 담은 북미 사이트를 오픈했다.[32]이후 개봉 직전 제목이 '계시의 실체'로 바뀌었다.가격표 등을 포함한 일부 상점의 목록은 여전히 "리버리" 제목을 사용한다.
마크 프랭클린 닌텐도 홍보부장은 "드래곤 퀘스트 6: Realms of Discovery"를 통해 "팬들에게 일본 밖 최초로 시리즈 클래식 게임에 대한 독특한 접근을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했다.[33]
iOS와 안드로이드 버전은 오케스트레이션된 음악을 도쿄 메트로폴리탄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타이틀 화면의 합성 MIDI 음악으로 대체했다.
관련 매체
사운드트랙
모든 드래곤 퀘스트와 마찬가지로 스기야마 고이치도 음악을 작곡하고 관련된 모든 스핀오프들을 지휘했다.드래곤 퀘스트 6세의 음악을 위해 3개의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다.첫 번째는 관현악 연주와 OST가 포함된 2디스크 사운드트랙이었다.두 번째 사운드 트랙은 2000년 8월 23일에 발매되었고, 방금 관현악 버전을 가지고 있었다.이 버전은 SPE Visual Works(현 애니플렉스)에서 발매되었으며, Dragon Quest VI ~The Dream World ~ Symphonic Suite로 명명되었다.[34]이 버전은 드래곤 퀘스트 음악을 편집한 드래곤 퀘스트 다에네슈 2권에 실렸다.[35]OST의 두 번째 심포닉 스위트 에디션은 2005년 3월에 공연되었고 2006년 7월 19일에 발매되었으며, 또한 애니플렉스도 발매하였다.[36]심포닉 스위트 트랙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망가
A 10-volume manga adaptation of the game was also made, which titled Dragon Quest Maboroshi no Daichi (ドラゴンクエスト 幻の大地, lit. 드래곤 퀘스트: 환상의 나라).간자키 마사오미가 저술하고 에닉스가 1997~2001년 월간 쇼넨강간에서 출간했다.[37]줄거리는 대략 비디오 게임의 내용을 따랐지만, 점박이 슬라임인 키즈 부치의 등장인물 포함과 같은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리셉션
애그리게이터 | 점수 |
---|---|
메타크리트어 | DS: 78/100[38] iOS: 86/100[39] |
출판 | 점수 |
---|---|
1Up.com | B |
파미쓰 | SNES: 34/40[40] DS: 34/40[41] |
G4 | 4/5 |
게임 정보 제공자 | 8.5/10 |
게임레이더+ | 8/10 |
게임트레일러스 | 8.5/10 |
닌텐도 월드 리포트 | 8.5/10 |
ONM | 9/10[38] |
PALGN | 9/10 |
포켓 게이머 | ![]() ![]() ![]() ![]() ![]() |
터치아케이드 | ![]() ![]() ![]() ![]() ![]() |
가마수트라의 쿠르트 칼라타는 이 게임의 줄거리, 특히 혁신적인 시나리오를 높이 평가했다.드래곤 퀘스트 6세는 젤다의 전설: 과거와의 연결이라는 밝은 암흑의 세계 설정에 비견되지만, 그가 제안한 독특한 현실 세계와 꿈의 세계 설정이 후기 스퀘어 롤플레잉 게임 크로노 크로스, 파이널 판타지 X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칼라타는 또한 클래스 시스템을 포함한 게임 플레이의 개선을 칭찬했다.드래곤 퀘스트 III를 개선하여 현재는 Final Fantasy V와 더욱 유사하며, 이전 게임의 재고 관리를 개선하는 백을 추가하였다.그는 이것이 "아직도 환상적인 경기"[44]라고 결론짓는다.
판매의
드래곤 퀘스트 VI는 11,970원(127.26달러)이라는 매우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12월에만 127만 4,857개의 판매고를 올리며 250만 달러의 판매고를 올렸다.[4][45][46]일본에서 320만 부가 팔리면서 1995년 베스트셀러 게임이 되었다.[47][10]2010년, 닌텐도 DS용 드래곤 퀘스트 6는 일본에서 첫 주에 거의 100만 부가 팔렸다.[11]이 게임은 2010년 3월까지 120만 부 이상이 팔렸다.[48]
닌텐도파워에 따르면 드래곤 퀘스트 VI는 원래 1996년 봄 '드래곤 워리어 V'라는 제목으로 북미 개봉을 목표로 기획됐다.[49]하지만 에닉스는 이미 미국 시장을 포기한 상태여서 슈퍼 NES의 현지화는 이뤄지지 않았다.[3]아직도 미국에 콘솔 역할극 비디오 게임을 기꺼이 가지고 올 수 있는 유일한 회사 중 하나인 스퀘어도 여전히 미국에서 게임을 팔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고, 따라서 드래곤 퀘스트 6세는 위험을 감수할 만한 회사가 없었다.[3]닌텐도 파워 81에서, 스태프는 드래곤 퀘스트 6에 대한 기사를 썼는데, 이 게임이 북미에서 출시되는 것을 찾기를 희망한다.그들은 또한 왜 이 시리즈가 미국 관객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은지 제안했다: 너무 많은 싸움이 있고 충분한 출현이 없다는 것이다.[9]다른 비평가들은 클래스 구축이 지루해지고 이중 세계가 너무 압도적이라고 언급했는데, 둘 다 미국 개봉에 반대하는 이유일 수 있다.[3]드래곤 퀘스트 VI는 2005년 5월호에 게임프로 매거진이 미국에서 발매한 베스트 일본 게임 10위 중 7위에 올랐다.[50]
메모들
참조
- ^ "Welcome to Nintendo of America's Media Site". Nintend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3, 2010. Retrieved December 20, 2010.
- ^ "Experience Dragon Quest in the Palm of Your Hand Zenithia Trilogy Announced for Europe" (Press release). Square Enix. 2008-05-21. Retrieved May 21, 2008.
- ^ a b c d Kalata, Kurt (2008-02-04). "The History of Dragon Quest". Gamasutra. Gamasutra. Retrieved 2008-07-20.
- ^ a b "Dragon Quest VI Official Page". Square Enix. Retrieved June 4, 2007.
- ^ "Enix Comments on DQVIII As Heartbeat Steps Away". RPGfan.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7, 2012. Retrieved July 20, 2007.
- ^ a b "Dragon Quest 4 to 6". Square Enix. Retrieved 2007-08-01.
- ^ "SQUARE ENIX announces Dragon Quest titles including Dragon Quest VIII for smartphones (For Japan)" (in Japanese). Square Enix. 2013-10-08. Retrieved 2013-10-08.
- ^ "'Dragon Quest 6' Hits the New Zealand App Store, Coming to US Tonight". 2015-06-24. Retrieved 2015-06-24.
- ^ a b c d e f g h i j k l 닌텐도 파워 81, 페이지 64–67.1995년 미국의 닌텐도.2007-4-6 검색됨
- ^ a b "販売本数ランキング". Game Ranking. Retrieved April 27, 2009.
- ^ a b Gantayat, Anoop (2010-02-01). "DQM: Joker 2 Announced". IGN. IGN. Retrieved 2010-02-10.
- ^ a b "Super Famicom Games Roll Out the New Year!". GamePro. No. 67. IDG. February 1995. p. 160.
- ^ 카지노 소유자:내 지하 카지노에 온 걸 환영해!즐거운 시간 보내세요!Enix (2007-07-27).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메달왕:나는 전 세계에 흩어져 있던 작은 메달들을 수집한다.Enix (2007-07-25).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Wednesday's News".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0, 2019. Retrieved July 20, 2007.
- ^ 사제: 여기는 올트레이즈의 사당이다.여행하면서, 당신은 수업의 기술을 배울 것이다.누가 수업을 바꾸길 원하니?Enix (2007-07-25).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M: 정규 수업의 기술을 결합한 상위 수업들이 있어.만약 누군가가 먼저 전사와 마법사의 수업을 마스터한다면...그러면 그는 무차별주의자가 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Enix (2007-07-25).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악마의 왕을 처치해야 해!Enix (2007-08-03).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타니아: 일어나, 형!Enix (2007-08-03).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칼베 부인: 하지만 애슐린, 너는 여기 새로운 장로로서 남아 있어야 해.마법사의 후예로서, 그것은 너의 의무다.Enix (2007-07-26).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셰라: 이제 너는 솜니아의 왕자로서 너의 정당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어.Enix (2007-07-25).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소년: 왕의 말에 따르면, 모타모르는 두 세계를 합병하고 싶어해...Enix (2007-07-26).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수프림 세이지 아이작:빨리 거기서 나와!이 세상이 무너지고 있어! 네가 모타모르를 이겼다고?바로 그거야!Enix (2007-07-27). Dragon Quest VI (Super Famicom). Enix.
- ^ Kalata, Kurt. "The History of Dragon Quest". Features. Gamasutra. p. 1. Retrieved 2009-09-20.
- ^ Jonathan Creswell (2007). "Dragon Quest IV, V, V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7, 2009. Retrieved September 17, 2007.
- ^ "Dragon Quest IV, V, VI confirmed". Siliconera. 2007-07-30. Retrieved September 17, 2007.
- ^ Jose Lopez (2007). "Dragon Quest Monsters DS: Enix's Pride & Joy". N-next. Retrieved July 21, 2007.
- ^ a b Prima Games, ed. (2000). Dragon Warrior Monsters Official Strategy Guide. Prima Publishing. pp. 44–45. ISBN 0-7615-2730-3.
- ^ "Japan Platinum Game Chart". The Magicbo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3, 2007. Retrieved July 23, 2007.
- ^ David Jenkins (February 23, 2005). "Student Arrested In Dragon Quest Death Threat". Gamasutra. Retrieved July 21, 2007.
- ^ Siliconera (April 28, 2008). "Dragon Quest VI: The Realms of Reverie for North America?". Silconera. Retrieved April 28, 2008.
- ^ "DRAGON QUEST". Square Enix.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3, 2008. Retrieved May 20, 2008.
- ^ "Nintendo announces North American debut of Dragon Quest VI: Realms of Revelation". Business Wire.
- ^ "Dragon Quest VI ~The Dream World~ Symphonic Suite". Play-Asia. Retrieved July 20, 2007.
- ^ Damien Thomas (2007). "Dragon Quest Game Music Super Collection Vol. 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9, 2007. Retrieved July 23, 2007.
- ^ Patrick Gann (2007). "Symphonic Suite Dragon Quest VI Maboroshi no Daichi". Retrieved July 19, 2007.
- ^ "Dragon Quest Manga".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7, 2013. Retrieved July 24, 2007.
- ^ a b "Dragon Quest VI: Realms of Revelation for DS Reviews". Metacritic. CBS Interactive. Retrieved 2018-11-12.
- ^ "Dragon Quest VI for iPhone/iPad Reviews". Metacritic. CBS Interactive. Retrieved 2018-11-12.
- ^ Ashcraft, Brian (July 17, 2009). "How Do Dragon Quest's Famitsu Scores Stack Up?". Kotaku. Retrieved 21 September 2011.
- ^ Gifford, Kevin (2010-02-03). "Japan Review Check: Dragon Quest VI, Reginleiv". 1UP.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12. Retrieved 21 September 2011.
- ^ Thrower, Matt (2015-06-30). "Dragon Quest VI - Full of charm". Pocket Gamer. Steel Media. Retrieved 2019-07-14.
- ^ Musgrave, Shaun (2015-06-26). "'Dragon Quest 6: Realms Of Revelation' Review – Pinch Me, I Must Be Dreaming". TouchArcade. Retrieved 2018-11-12.
- ^ 쿠르트 칼라타(2008년 2월 4일), 드래곤 퀘스트 6세: 마보로시노다이치, 가마수트라
- ^ Williams, Mike (2 August 2017). "Dragon Quest XI's 3DS/PS4 Split Release Takes The Series To Uncharted Sales Territory". USgamer. Retrieved 18 February 2021.
- ^ "1996年ゲームソフト年間売上TOP100" [1996 Game Software Annual Sales Top 100]. Famitsū Gēmu Hakusho 1997 ファミ通ゲーム白書1997 [Famitsu Game Whitebook 1997] (in Japanese). Tokyo: Enterbrain. 199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2-27. Retrieved 17 February 2021.
- ^ "February 2, 2004 - February 4, 2004" (PDF). Square Enix. February 4, 2004. p. 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6-05-06. Retrieved 17 February 2021.
- ^ 【ゲームソフト販売本数ランキング TOP30】集計期間:2010年3月15日〜3月21日 – ファミ通.com.Famitsu.com (2010-01-04)2013-01-07에 검색됨
- ^ "Epic Center: The Epic Calendar". Nintendo Power. Nintendo (76): 51. September 1995.
- ^ GamePro staff, ed. (2005). GamePro Magazine, May 2005. IDG Entertainment. p. 4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5-19. Retrieved 2007-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