쿰바야

Kumbaya
J. Cutting이 H. Willie의 노래에서 발췌한 "Come By Here"는 1926년 작사하였다.

"쿰바야" ("Come by Here")는 논란이 되는 기원의 흑인 영적인 것이지만, 서아프리카인들을 노예로 만드는 것과 관련이 있는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조지아 섬들굴라 문화에서 노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노래는 섬에서 다른 남부 주와 북부는 물론 세계의 다른 곳까지 퍼진 것으로 생각된다. H로만 알려진 사람의 첫 번째 녹음. 굴라 사투리로 노래한 윌리는 1926년 민속학자 로버트 윈슬로우 고든이 녹음했다. 이후 스카우팅여름캠프에서 표준적인 캠프파이어가 되었고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민속 부흥기에 폭넓은 인기를 누렸다.

이 곡은 원래 하나님께서 오셔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도우시라는 호소였다.[1]

오리진스

의회 도서관 편집자인 스티븐 위닉에 따르면, 이 곡은 미국 남동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거의 확실히 유래되었고, 비록 그 방언에서 유래하지 않았더라도 역사 초기에 굴라 버전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1] 출생 연도가 확실한 것으로 알려진 두 개의 가장 오래된 버전은 둘 다 1926년에 수집되었고, 둘 다 도서관의 미국 민속 생활 센터에 거주하고 있다. 어느 버전에도 정확한 월이나 날짜가 기록되지 않았으므로, 어느 것이든 이 곡의 가장 이른 알려진 버전일 수 있다. 하나는 미니 리라는 학생이 자신의 스승 줄리안 P에게 고등학교 수집 프로젝트로 제출한 것이다. 나중에 프린스턴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이자 미국사학회 회장인 보이드. 노스캐롤라이나주 얼라이언스에서 수집된 이 버전은 가사는 넣었지만 음악은 넣지 않은 원고다. 다른 1926년 버전은 미국민속생활센터가 된 의회도서관의 포크송 아카이브로 시작된 것의 창시자인 로버트 윈슬로우 고든에 의해 왁스 실린더에 기록되었다. 그 가수의 이름은 H였다. Willie, 그리고 이 곡은 Georgia Darien의 차로 몇 시간 거리 내에 녹음되었지만, Gordon은 정확한 위치를 알아채지 못했다. 1926년과 1928년 사이에 고든은 "이리 와" 또는 "헤아로 와"라는 후렴구와 함께 전통적인 영성의 세 버전을 더 녹음했다. 그 중 하나는 사자의 소굴에서 다니엘의 이야기를 다룬 다른 노래다. 나머지 2개 중 1개는 분실됐고, 1개 실린더는 고장 났기 때문에 '쿰바야' 버전인지 판별할 수 없다.[1]

Lum Chee-hoo의 Kodaly 사절 기사에 따르면, 1922년에서 1931년 사이에, 영적[2] 보존 협회 회원들은 사우스 캐롤라이나 해안에서 온 버전을 수집했다.[3] 그들이 부르는 대로 '유'는 바하마뿐만 아니라 사우스캐롤라이나조지아씨아일랜드에 살고 있던 노예들이 말하는 크리올 언어인 굴라어로 불려졌다.[4] 1926년 이전에 수집되었다면 이것이 가장 초기 버전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협회의 간행물에 수록된 개별곡은 연대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1931년 이전까지는 연대를 확실하게 할 수 없다.[1]

1936년 5월, 고든의 후계자로 포크송 아카이브의 수장 존 로맥스플로리다주 라이포드에서 그룹과 함께 "Come by Here"를 노래하는 에텔 베스트라는 여성을 발견했다.[5]

이러한 사실들은 마빈 5세 목사의 오랜 저작권 및 저작자 귀속과 모순된다. 프리([3]1918~1992)는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가게 전도사 더핀이 전한 기도에 영감을 받아 1936년경 "Come By Here"라는 제목으로 이 곡을 작곡했다고 말했다. 마빈 5세의 리바이벌 초루스에서 이 버전에 처음 등장했다. 프레이, 1939년 그 도시에서 인쇄된 서정시지. 위닉이 인용한 의회도서관의 인터뷰에서 프레이는 1946년 커닝햄이라는 선교사 가족이 아프리카에서 돌아와 프레이의 버전을 불렀을 때 제목이 '쿰바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1] 프레이에 따르면, 그들은 부분적으로 번역된 버전을 가지고 돌아왔고, "쿰바 야"는 앙골라(특히 루발레)에서 온 아프리카어 구절이었다. 프레이는 커닝햄이 "쿰바 야"라는 문구와 함께 노래를 부르며 미국을 순회했다고 말했다.[1]

이 구절의 아프리카 기원에 대한 이야기는 앙골라에서 미국으로 "쿰바 야"를 가져왔다고 말한 부흥 단체인 Peoplemiths에 의해서도 퍼졌다.[1] 그러나 위닉은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프레이에 따르면 당시 '쿰바야'라는 발음은 앙골라와 자이레의 루발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이리로 와라'를 언어로 번역하면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것은 주로 루베일로 번역된 "Come by Here"가 "Kum Ba Yah"가 아닐 것이라는 몇 가지 수준의 신뢰성을 제약한다. 실제로 "Come by Here"가 "Kum Ba Yah"로 번역하기 위해서는 목표 언어는 영어를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하는 크레올이어야 하며, 앙골라(당시에도 여전히 포르투갈 식민지)에서는 그러한 언어가 흔하지 않았다. 자이르(이전에는 벨기에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는데, 그의 주된 식민 언어는 프랑스어였다)는 1930년대. 더구나 AFC의 H. Willie의 원통 녹음은 우리가 그런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굴라의 한 형태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윌리의 방언에서 "여기"라는 단어는 "야"로 발음되어, 이 곡의 가장 반복된 대사인 "야로 와라"를 음운적으로 "금바야" 또는 "금바야"로 나타낼 수 있는 구절이다.[1]

흔히 이 곡이 굴라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지만, 위닉은 이 곡의 초기 버전일 수도 있는 보이드 원고는 아마도 굴라 스피커에서 수집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더 지적한다.[1]

1958년 리틀 슈가와 하이타워 브라더스가 사보이 레이블("금문"으로 뒷받침하는)에 "Come by Here"로 현대적인 복음 양식의 45rpm 녹음이 발매되었다.[6]

민속 음악 부흥과 민권 운동

조 히커슨을 포함한 Peoplemiths는 1958년의 Pete Seeger처럼 1957년에 이 노래를 녹음했다.[7][8] 히커슨은 당시 셰이커 빌리지 워크 캠프의 노래 리더였던 토니 살레탄에게 "쿰바야"를 소개한 것에 대해 인정한다.[1] 살레탄은 캠프 송북 출판사 협동 레크리에이션 서비스의 부인 캐서린과 공동 수용자로 월드 어라운드 송의 전신인 린 로브에게 그것을 배웠다.([3][5][9][10]히커슨은 후에 미국 포크라이프 센터에서 고든과 로맥스의 뒤를 이어 포크송 아카이브의 뒤를 이었다)[11] 이 곡은 196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미국 민속음악이 부흥하는 동안 새롭게 인기를 누렸으며,[12] 1962년 이 의 녹음으로 인해 그 10년 동안의 시민권 운동과 연관되었다. 예를 들어 1965년 셀마투 몽고메리(알라바마)의 투표권 행진 때 'Come By Here'로 노래를 부르는 행진자들의 녹음도 있다.[13]

정치적 용법

1990년대에 시작되어 그 후 수십 년 사이에 "쿰바야"나 "쿰바야를 노래하다"에 대한 언급은 미국 정치에서 관용적인 용어로 들어갔는데, 종종 발언자 이외의 누군가가 너무 유화적이거나 타협에 열심이라는 것을 암시한다.[14][15] 리차드 바츠는 이 곡에 대한 언급이 "논쟁을 조사하지 않거나 냉담한 낙관론을 즐긴 것으로 알려진 합의에 대한 비꼬는 비평"이라고 설명했다."[14]

를 들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논의하면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당사자 사이의 실질적인 의견 불일치는 "모두 손을 잡고 '쿰바야'를 부를 수 있는 문제로 전락할 수 없다"고 논평했다.'''[16] 다른 많은 유명 정치인들은 이 곡의 노래 부르기를 잠재적인 타협에 대한 의심이나 폄훼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조롱하듯이 언급해 왔다.[15] 마이크 허커비아칸소 주지사2012년 공화당 대선 예비선거에서 이념적으로 연계된 후보들이 단일 개인을 중심으로 결집할 것이라는 회의론을 설명하면서 "이들 중 서너 명이 캠프파이어 마시멜로 주변에 앉아 '쿰바야'를 부르는 마법 같은 순간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들의 경쟁자 중 한 명에게 고개를 끄덕이게 했다."[17] 사업가 겸 정치 후보인 허먼 케인은 2011년 한 집회에 참석해 '쿰바야'를 부르는 것은 외교 정책 전략이 아니다고 말했다.[14]

가사

버전 1번[18] 버전[19] 2 버전 3 버전[20] 4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주여, 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하십니다.
주여, 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하십니다.
주여, 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하십니다.
오, 주여, 이리 오십시오.

하늘에 떠오르는 태양을 위해
떨어지는 빗줄기의 리듬을 위해
크든 작든 모든 삶을 위해
그 모든 것이 사실이고, 당신이 하는 모든 일들에 대해.

누가 웃으시네, 주여, 금만야!
누가 웃으시네, 주여, 금만야!
누가 웃으시네, 주여, 금베야
오, 주여, 금베야.

내 울음소리를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내 울음소리를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내 우는 소리를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자, 주여, 이리로 오십시오.
죄인들은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 주님, 이리로 오십시오.
죄인들은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 주님, 이리로 오십시오.
오, 주여, 이리 오십시오.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누군가 울고 있습니다, 주인님, 금베야;
누군가 울고 있습니다, 주인님, 금베야;
누군가 울고 있습니다, 주인님, 금베야
오, 주여, 금베야.

내 노래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내 노래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제 노래 들으세요, 주여, 금베이야
오, 주여, 금베야.

이리 오십시오, 주님, 이리 오십시오.
이리 오십시오, 주님, 이리 오십시오.
이리 오십시오, 주님, 이리 오십시오.
오, 주여, 이리 오십시오.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누군가 기도하고 있습니다, 주여, 금만야.
누군가 기도하고 있습니다, 주여, 금만야.
누군가 기도하고 있습니다, 주인님, 금베야
오, 주여, 금베야.

기도하는 거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기도하는 거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기도하는 거 들으시오,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아침 일찍, 주여, 이리 오십시오.
아침 일찍, 주여, 이리 오십시오.
아침 일찍, 주여, 이리 오십시오.
오, 주여, 이리 오십시오.

네가 만든 이 세상에서 두번째는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사랑을 위해
기쁨으로 심장이 뛰는 한 순간
우리가 느끼는 모든 것을 위해, 진짜를 위해.

누군가가 노래하고 있습니다, 주인님, 금베이야;
누군가가 노래하고 있습니다, 주인님, 금베이야;
누군가가 노래하고 있습니다, 주인님, 금베이야
오, 주여, 금베야.

오, 주여, 당신이 필요합니다, 금베이야;
오, 주여, 당신이 필요합니다, 금베이야;
오, 주여, 쿰베이야,
오, 주여, 금베야.

주님, 이리로 오십시오
주님, 이리로 오십시오
주님, 이리로 오십시오
오, 주여, 이리 오십시오.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오, 죄인들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 주님, 이리 오십시오.
죄인들은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 주님, 이리로 오십시오.
죄인들은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 주님, 이리로 오십시오.
오마이갓, 이리 오지 않겠소.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금만야야, 주여, 금만야야.
오, 주여, 금베야.

아침-아침, 이리로 오지 않을래?
모닝-아침, 이리로 오지 않을래?
아침이 되면 여기로 오지 않을래?
오, 주여, 이리 오십시오.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Winick, Stephen (Summer–Fall 2010). "The World's First 'Kumbaya' Moment: New Evidence about an Old Song" (PDF). Folklife Center News,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March 1, 2014.
  2. ^ "Gullah Spirituals".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Spirituals. Retrieved December 23, 2018.
  3. ^ Jump up to: a b c Jeffery, Weiss (November 12, 2006). "'Kumbaya': How did a sweet simple song become a mocking metaphor?". The Dallas Morning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4, 2008. Retrieved July 17, 2008.
  4. ^ "Mama Lisa'a World-Kumbaya". Retrieved November 1, 2008.
  5. ^ Jump up to: a b Stern, Gary (June 27, 2009). ""Kumbaya, My Lord:" Why we sing it; why we hate it". The Journal News. Retrieved February 1, 2010.
  6. ^ "Savoy Records Catalog: 45 rpm Gospel 1000/1100 series - single index". Jazz Discography Project. jazzdisco.org. Retrieved September 24, 2018.
  7. ^ 스미스소니언 포크웨이즈 FW02407, 우리는 노래할 것이 좀 있다
  8. ^ Ruhlmann, William. "Pete Seeger and Sonny Terry at Carnegie Hall (1958)". AllMusic. Netaktion, LLC. Retrieved January 31, 2021.
  9. ^ 에이미, 어니스트 F.(1957) 공동 레크리에이션 서비스: 독특한 프로젝트. 중서부 민속 7 (4, 겨울): 202–6. ISSN 0737-7037. OCLC 51288821.
  10. ^ "World Around Songs: Our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8, 2013. Retrieved July 5, 2012.
  11. ^ Zorn, Eric (August 31, 2006). "Someone's dissin', Lord, kumbaya". Chicago Tribune. Retrieved January 11, 2008.
  12. ^ Semioli, Tom. "Joan Baez in Concert, Pt. 1 (1962)". AllMusic. Netaktion, LLC. Retrieved January 31, 2021.
  13. ^ "Freedom Songs: Selma, Alabama". Smithsonian Folkways Recordings. Smithsonian Institution. Retrieved July 10, 2020.
  14. ^ Jump up to: a b c Weeks, Linton (January 13, 2012). "When Did 'Kumbaya' Become Such A Bad Thing?". NPR.org. Retrieved July 19, 2019.
  15. ^ Jump up to: a b Waldman, Katy (March 29, 2016). "How "Kumbaya" Went From Sincere Protest Song to Drippy Punch Line". Slate Magazine. Retrieved July 19, 2019.
  16. ^ "Obama says Netanyahu differences go beyond 'Kumbaya'". USA TODAY. Retrieved July 19, 2019.
  17. ^ Stephanopoulos, George (January 8, 2012). "Mike Huckabee Says Mitt Romney May Run Table to Nomination". ABC News. Retrieved July 19, 2019.[데드링크]
  18. ^ Mitra (September 6, 2009). "Kumbaya" (in English and Persian). YouTube.
  19. ^ "Kumbaya, my Lord" (PDF). evangeliser.nu. Retrieved December 2, 2015.
  20. ^ Sacro Capo (March 11, 2009). "Kumbaya my Lord". YouTube.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