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보린케냐

La Borinqueña
라보린케냐

푸에르토리코의 국가
가사마누엘 페르난데스 준코스, 1901년[1][2]
음악펠릭스 아스톨 아르테스, 1867[a] (원본)
루이스 미란다, 1922년 (현재 버전)
입양1952년 (악기로서)
Readopted1977년 7월 27일 (1977-07-27) (가사 포함)
오디오샘플
미 해군 군악대가 연주하는 악기 버전

"라 보린케냐" (푸에르토리코, 보린켄 또는 보리켄의 토착어 이름에서 유래). 스페인어 발음:[la βo ɾi ŋˈke ɲa])는 푸에르토리코의 공식 국가입니다.

1952년 푸에르토리코가 "푸에르토리코 연방"으로 알려진 후,[4] 초대 주지사 루이스 무뇨스 마린은 1952년 7월 24일 "라 보린케냐"로 알려진 음악 작곡의 변경된 버전을 국가로 만든 법률 제2호에 서명했습니다. 작곡과 관련된 단어들은 1977년 7월 27일 카를로스 로메로 바르셀로 주지사에 의해 법률 제123호에 따라 승인되었습니다.[3]

어원

이 이름은 푸에르토리코의 섬인 보린켄의 원주민 타이노 이름을 의미합니다.

역사

현재 공식 채택된 "라 보린케냐" 가사의 작가 마누엘 페르난데스 준코스

이 음악은 원래 1867년 펠릭스 아스톨 아르테스(Félix Astol Artés)에게 낭만적인 가사와 함께 하바네라 단자(habanera danza)로 인정받았지만, 샌저먼 출신인 프란시스코 라미레스(Francisco Ramírez)가 1860년에 이 음악을[3] 작곡하여 "라 알모야바나(La Almojábana)"라고 이름 지었다는 일부 증거가 있습니다.[6] 1868년, 롤라 로드리게스 데 티오(Lola Rodríguez de Tió)는 푸에르토리코 혁명을 지지하는 시를 썼으며, 이 시는 라미레스/아스톨 음악을 배경으로 합니다. 스페인 정부의 조사를 두려워한 라미레스는 애스톨에게 카탈루냐 출신이기 때문에 그 음악의 저작권을 주장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3]

미국에 반환된 후, 롤라 로드리게스티오의 대중적인 혁명 가사는 공식적인 채택을 하기에는 너무 전복적이라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1903년 아스투리아스 태생의 마누엘 페르난데스 준코스가 대립적이지 않은 가사를 썼습니다. 이 곡은 1952년 루이스 무뇨스 마린 주지사에 의해 푸에르토리코의 국가로 공식 채택되었으며 1977년 카를로스 로메로 바르셀로 주지사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연주되는 "라 보린퀘냐"의 버전은 원래 곡조의 초기 파세오 없이 느린 템포 행진으로 연주됩니다. 새 정부의 요청에 따라 라몬 콜라도는 1952년에 음악을 좀 더 군대적인 곡조로 편곡했습니다.[4] 푸에르토리코 65 보병 연대 악단의 음악 감독인 루이스 미란다는 이 곡을 1922년 행진곡으로 연주하도록 각색했습니다. 1977년 공식적으로 이 단어를 채택한 법은 "라 보린퀘냐"를 행진곡으로 연주한다고 명시했을 뿐, 템포가 "무술적인 방식"으로 모호하게 묘사되었을 뿐, 음악에 대한 공식적인 편곡은 확립하지 않았습니다. 2003년에 만들어진 공식적인 개정은 이 곡을 행진곡으로 남깁니다.

2012년, 우주비행사 지망생인 Yajira Sierra Sastre 박사는 National Nanotechnology Infrastructure Network 및 Cornell Nanoscale Facility와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협력했으며, 여기에는 지금까지 쓰여진 가장 작은 "국가" 노래인 "La Borinquena Más Pequena"를 작곡하는 것이 포함됩니다.[7]

1952년 7월 24일 푸에르토리코 법 제2호에 따르면, "라 보린퀘냐"와 "성조기"는 모두 공식 행사에서 연주됩니다.[8] 올림픽 등 국제 스포츠 대회 때는 '라보린퀘냐'만 진행됩니다.[9]

혁명적인 가사와 함께 이 노래는 스티븐 스필버그2021년에 각색한 무대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영화에 등장했는데, 영화 초반에 푸에르토리코 갱단인 샥스가 불렀습니다. 이 영화 이전에는 무대 버전이나 1961년 영화에서 사용된 적이 없습니다.[10]

가사

현재가사

다음은 마누엘 페르난데스 준코스(Manuel Fernández Juncos)가 작곡하고 1903년 채택한 가사입니다.

스페인어 원본[1] IPA 전사[b] 영문 번역

보린켄 주
돈 헤나시오요
에스 선 자딘 플로리도
드 마기코 원시인

Un cielo siempre nítido
존경심을 품다
y dan arrullos plácidos
고추냉이 같은 것

쿠안도 아수스가 롤레고 콜론 역을 맡음
(𝄆) exclamó, lleno de admiración: (𝄇)
오! 오! 오! 오!

에스타스라린다티에라
큐 버스코우;
에스 보린켄 라히야,
lahija del mary el sol,
𝄆 델리아 엘솔,
delamel el sol. del

[la ˈtje.ra ðe βo.ɾ이 ŋ.ˈ켄]
[ˈ돈.데 ‿리나.ˈsi. ðo ʝo]
[에선 크사 ɾ]ˈð플로에ˈɾi.ðo]
[de ˈma.xi.ko pɾi.ˈ모 ɾ]

[un ˈsje.lo ˈsjem.ɾ ˈ니티ðo]
[르 ˈ시 ɾ]βe ð ð오.ˈ셀]
[나는 a. ˈ루를 ð합니다.ʝos ˈpla.si.ðos]
[las ˈo.las a sus pjes]

[ˈkwan.do‿a sus ˈpla.ʝ를 ʝ으로.ˈɣ코코.ˈlon]
(𝄆) [e ɣs.kla]ˈmo ˈʝe.no ðe‿að.mi.ɾa. ˈsjon] (𝄇)
[o ǀ o ǀ o ǁ]

[ˈes.ta‿ez la ˈlin.da ˈtje.ra]
[케 ˈβus.ko ʝo]
[에즈 βo.ɾiŋ.ˈken la ˈi.xa]
[la ˈi.xa ðel maɾ i‿el sol]
𝄆 [ð엘마 ɾ 아이 ‿엘솔]
[ðel maɾ i‿el sol] 𝄇

보린켄 땅
내가 태어난 곳
꽃이 만발한 정원입니다.
마성의 아름다움을 지닌

끊임없이 맑은 하늘
캐노피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잔잔한 자장가가 울려 퍼집니다.
발밑의 파도에

그녀의 해변에 도착했을때 콜럼버스는
(𝄆로 쓸 때) 그는 감탄으로 가득 찬 소리를 질렀습니다 (𝄇로 쓸 때).
오! 오! 오!

이곳은 아름다운 땅입니다.
제가 찾는.
보린켄은 딸이고
바다와 태양의 딸
𝄆 바다와 태양의
바다와 태양의

1868년의 독창적인 혁명가 가사

Lola Rodríguez de Tió, 원작 가사의 저자
스페인어 원본[11][12] 영문 번역

I
¡Despierta, borinqueño
퀸한다돌라세얄!
¡Despierta de ese sueño
quees hora de luchar!

에셀라마르 파트리오티코
¿no arde tu corazón?
'벤! 노세라 심파티코'
엘루이도 델 카욘

미라, 야엘쿠바노
libre sera;
𝄆 라엘 마체테
subertad. su

야엘탐보르게레로
주사위를 던지세요
ques la manigua el sitio,
엘시티오 데 라 레우니옹,
𝄆 데 라 레우니옹,
데 라 레우니옹

(엘 그리토라레스)
해드 리피터,
사브레모스를 음미하다
목사님.)[13]

II
벨리시마 보린켄,
쿠바 헤이크 세귀르
tú tienes bravos hijos
조용한 전투원

야 포르마스 티엠포 임파비도
포드모스타는 없고,
야노 케레모스, 티미도스.
dejarnos subyugar.

노소트로스케레모스
seribreya,
𝄆 누에스트로마케트
afilado está. 𝄇

¿포르케, 억양, 노소트로스
헤모스 디스타,
황갈색 도르미도스
y sordos a esa señal?
𝄆 a esa señal,
a esa señal? 𝄇

III
헤이퀘스터 금지, 리케뇨스
알루이도 델 카논,
ques salvar a la patria
에스데버 델 코라존!

아니 케레모스 데스포타스,
caiga el tiranoya,
las mujeres in dómitas
탐비엔 사브란 루차르

노소트로스케레모스
la libertad,
𝄆 누에스트로마케트
노 라 다라

Vámonos, borinqueños,
바모노시야,
quenospera ansiosa,
안시오살라 라 리베르타드
𝄆 '라 리버타드'
라 리베르타드!

I
일어나, 보리쿠아!
무기를 부르짖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잠에서 깨어나면,
싸울 시간입니다!

이건 애국적이지 않습니까?
전화가 당신의 마음을 밝게 해주나요?
이리와! 우리는 잘 어울립니다.
대포의 굉음

자, 자, 쿠바인들이
곧 풀려납니다.
𝄆 칼은 그에게 줄 것입니다.
그의 자유. liberty

이제 전쟁의 북소리.
그들의 음악으로 말합니다.
정글이 바로 그 장소라는 것을
회합 장소
𝄆 회의,
회의. meeting.

(레레스의 울음소리)
반복해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알게 될 것입니다.
이기든 죽든.)

II
아름다운 보린켄
쿠바를 따라가야 합니다.
당신에게는 용감한 아들들이 있습니다.
싸우고 싶은 사람들.

이제는 더 이상 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감동하지 않습니다.
이제 우리는 소심하게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우리에게 복종하도록 내버려 두려고요

우리는 원합니다.
지금은 자유롭지만,
𝄆 그리고 우리의 마체트.
날카로워졌습니다. sharp

왜, 그럼.
지금까지
너무 졸려서 귀가 들리지 않는
전화에 귀머거리라고요?
𝄆 부름에 따라,
부름에?

III
두려워할 필요는 없지만,
리칸, 대포의 굉음.
나라를 구하는 것은
심장의 의무

우리는 더 이상 전제군주를 원하지 않습니다.
폭정은 이제 무너질 것입니다.
정복할 수 없는 여자들도 그럴 것입니다.
싸울 줄 압니다

우리는 원합니다.
자유,
𝄆 그리고 우리의 마체트.
우리에게 줄 것입니다. it

이리와, 보리쿠아스
지금 오세요,
우리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걱정스럽게도, 자유,
𝄆 자유,
자유!

숏버전

혁명가 가사의 짧은 버전이 부르기도 하는데, 1절의 전반부와 3절의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4][15]

스페인어 원본 영문 번역

I
¡Despierta, borinqueño
퀸한다돌라세얄!
¡Despierta de ese sueño
quees hora de luchar!

에셀라마르 파트리오티코
¿no arde tu corazón?
'벤! 노세라 심파티코'
엘루이도 델 카욘

III
노소트로스케레모스
la libertad,
y nuestro machete
nos la dará.

Vámonos, borinqueños,
바모노시야,
quenospera ansiosa,
안시오살라 라 리베르타드
𝄆 '라 리버타드'
라 리베르타드!

I
일어나, 보리쿠아!
무기를 부르짖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잠에서 깨어나면,
싸울 시간입니다!

이건 애국적이지 않습니까?
전화가 당신의 마음을 밝게 해주나요?
이리와! 우리는 잘 어울립니다.
대포의 굉음

III
우리는 원합니다.
자유,
그리고 우리의 마체트.
우리에게 줄 것입니다.

이리와, 보리쿠아스
지금 오세요,
우리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걱정스럽게도, 자유,
𝄆 자유,
자유!

메모들

  1. ^ 아니면 프란시스코 라미레스.[3]
  2. ^ 도움말 참조:IPA/스페인어, 스페인어 음운론푸에르토리코어 스페인어.

참고문헌

  1. ^ a b "Leyes de la Bandera; Escudo; Gran sello e Himno de Puerto Rico" [Laws of the Flag; Shield; Great Seal and Anthem of Puerto Rico]. LexJuris de Puerto Rico (in Spanish). Retrieved 18 March 2021.
  2. ^ "Central America: Puerto Rico". CIA Factbook. Retrieved 8 January 2019.
  3. ^ a b c d "라 포르탈레자, 심볼로스 파트리오스: Himnode Puerto Rico" 2006-06-14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검색됨: 2008년 2월 23일.
  4. ^ a b c "Himnos Nacionales" [National Anthems]. PR.GOV - Portal Oficial del Gobierno de Puerto Rico (in Spanish). Government of Puerto Ri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rch 2022. Retrieved 18 March 2021.
  5. ^ Quintanilla, Ray (January 9, 2006). "From rebel to peacemaker". The Chicago Tribune.
  6. ^ "borinq.html". Coqui 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03. Retrieved 2008-12-15.
  7. ^ "'La Borinqueña' más pequeña". El Nuevo Dia. March 28, 2012.
  8. ^ "Ley Núm. 93 de 2005 -Ley para añadir las Secciones 5 y 6 a la Ley Núm. 1 de 1952: Departamento de Estado, Uso Conjunto de Banderas". LexJuris (Leyes y Jurisprudencia) de Puerto Rico (in Spanish). Retrieved 17 September 2020.
  9. ^ 푸에르토리코의 자랑거리인 올림픽 참가. 션 젠슨. 스포츠 엔진 주식회사 2018년 10월 3일 2022년 2월 1일 접속. 보관.
  10. ^ New West Side Story의 새로운 내용: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에서 우리는 전후 미국에 대한 훨씬 더 포괄적인 시각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노동자 계급의 부족주의에 대한 결함 있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는 영화를 얻습니다. 에드 모랄레스. 더 네이션. 2021년 12월 20일. 2022년 2월 1일 접속. 보관.
  11. ^ Teresa Babin, Maria (1958). Panorama de la cultura Puertorriqueña: Prólog por Andres Iduarte (in Spanish). Las Américas Publishing Company. p. 235.
  12. ^ Aparicio, Frances R. (1998). Listening to Salsa: Gender, Latin Popular Music, and Puerto Rican Cultures. Wesleyan University Press. p. 22. ISBN 978-0-8195-6308-8.
  13. ^ Malavet Vega, Pedro (1992). Historia de la canción popular en Puerto Rico (1493-1898) (in Spanish). P. Malavet Vega. p. 273.
  14. ^ ILovebeingPR (2015-09-26). "La Borinqueña - Himno Revolucionario (con letras)". YouTube. Retrieved 2022-02-24.
  15. ^ Delia Rivera (2019-07-20). "Himno Revolucionario de Puerto Rico cantado por miles de personas en la Plaza del Quinto Centenario". YouTube. Retrieved 2022-02-2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