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chit Borphukan

Lachit Borphukan
Lachit Barphukan
인도 아삼요르하트에 있는 그의 시녀에 있는 라칫 바르푸칸의 조각상
태어난(1622-11-24)1622년 11월 24일
아홈 왕국 차라이데오
죽은1672년 4월 25일 (1672-04-25) (49세)
Kaliabor,[1]Nagaon
파묻힌
인도 아삼호롱가파르 주 라칫 보르푸칸의 마담과
얼라이언스아홈 왕국
서비스/지점아홈군
순위보르푸칸 (일반)
총사령관
전투/전쟁
메모리얼스인도 아삼 주 요르갓 주 홀롱가파르
배우자청다라 아이두
고하인 에이디우
아이들.청담
아이당
아이당
관계모마이 타물리 보르바루아(아버지)
쿤티 모란(어머니)
라룩솔라 보르푸칸(형)
파카리 가바루(여동생)
라마니 가바루(니체)

라칫 보르푸칸(, 1622년 11월 24일 ~ 1672년 4월 25일)은 아홈보르푸칸으로, 람싱 1세가 지휘하는 무굴군의 침공을 저지한 사라이갓 전투(1671년)에서 승리한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습니다.[2] 그는 약 1년 후인 1672년 4월에 사망했습니다.[1]

오늘날 라칫 보르푸칸에 대한 현대적인 관심이 뜨겁습니다. 그는 아삼의 역사적 자치의 강력한 상징으로 떠올랐습니다.[3][4] 아삼에서 BJP가 부상한 이후, 당은 대신 그를 무슬림의 침략에 대항하는 전사로 투사하기를 열망해 왔습니다.[5] 라칫 브로푸칸과 사라가트 전투의 공동화는 라칫 자신이 힌두교가 아니며,[6] 그의 아래에 무슬림 지휘관들이 있으며,[7] 힌두교의 무굴족 지휘관 람 싱 1세와 싸웠다고 주장하는 역사학자들에 의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8]

전기

라치트는 프라탑 싱하(Pratap Singha,r. 1545–1641)의 통치하에서 보르바루아의 지위에 오른 평민 모마이 타물리 보르바루아(Momai Tamuli Borbarua) 사이에서 막내로 태어났습니다.[9][10] 그의 여동생은 아홈 왕 자야드화즈 싱하, 차크라드화즈 싱하, 사마구리아 라자의 왕비인 파하리 가보루였고, 그의 조카딸은 길라하리갓 조약의 일부로 무굴족에게 주어졌던 아홈 공주 라마니 가보루였습니다. 몇몇 부란지들은 라칫의 삶과 교육에 대해 자세히 알려줍니다.[11][a] 그는 디카우무크에서 미르 주믈라의 군대와 전투에 참여하여 아홈 공국의 계급인 고라 바루아, 둘리아 바루아, 시말루기리아 푸칸, 돌라카샤리아 바루아의 계급을 높였다고 합니다.[12] 차크라드화즈가 구와하티를 재탈환할 준비를 하고 행진 전날, 라칫은 보르푸칸(서쪽의 아홈 총독)과 아홈 부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13][14]

구와하티 운동

1667년 8월에는 2개의 사단으로 나뉘어 구와하티에 진격했고,[15] 1667년 11월에는 이타쿨리의 함락과 함께 구와하티를 탈환했습니다.[16]

죽음.

요르하트의 훌룽가파라에 있는 라칫 바르푸칸의 시녀.

몇몇 부란지(Buranji)들은 사라가트 해전에서 람 싱(Ram Singh)이 이끄는 무굴(Mughal) 해군 함대에 대한 라칫의 승리를 간략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17] 그는 곧 칼리아보르에서 죽었고,[18][1] 아홈 왕족과 귀족들의 매장지인 마담에 있는 요르하트의 에 묻혔습니다.[19]

동시대서사

식민지 이전 시대에는 부란지를 대중적으로 소비할 수 없었습니다.[20] 20세기 초부터 어퍼 아삼의 몇몇 지역에서는 11월 24일을 라칫 디복스(Lachit Dibox, 트랜스)로 기념하기 시작했습니다. 라칫데이).[21][22] 당시 샤링가온에서 라치트의 축하와 사용에 대한 설명은 라치트가 아사메의 상징이 되었던 1970년대의 것과는 매우 달랐습니다.[23] 역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동시에 급부상함에 따라 바르푸칸의 전설은 세기의 1/4분기까지 "상징적인 지위를 얻었다"는 것이 확실해졌고 수리야 쿠마르 부얀은 그를 시바지와 비교하는 기사를 발표했습니다.[24] 그러나 라치트는 아사메 엘리트들에 의해 전용된 많은 역사적 아이콘 중 하나에 불과했습니다. 다양한 정치 문화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인기는 후에 Joymoti Konwari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능가되었습니다.[9]

1947년, 부얀은 아홈과 무굴 제국의 갈등을 배경으로 라칫의 전기를 출판했습니다. 이 작품은 전설에 "학문적 존경심"을 부여했을 뿐만 아니라 아사메 정신에 대한 그의 업적을 "신화"하기도 했습니다.[9][21] 그러나 식민지 후 아쌈의 국가 건설에서 라치트와 같은 문화 영웅들은 대부분 반식민주의 운동가들에 의해 대체되었습니다. Jayeeta Sharma는 라치트의 전설이 "행동주의에서 벗어나 지식의 영역으로 은퇴"했다고 언급합니다.[9][b]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전설은 독립적이고 주권적인 아삼의 창설을 추구하는 분리주의 단체인 연합해방전선(ULFA)이 라치트의 이미지를 선전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면서 아삼 하위 민족주의의 뒷전에서 살아남았습니다.[21][c]

라치트의 기억은 오직 스리니바스 쿠마르 신하의 통치하에서만 국가에 의해 상당히 전용될 것입니다.[d] 2004년 현재 샤르마는 그를 유명하게 만들기 위해 가장 많이 노력한 것은 ULFA가 아니라 아쌈 정부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9][21] 주에서 바라티야 야나타당의 부상과 함께, 라치트는 무슬림의 침략에 맞서 방어한 힌두교 군사 영웅으로서 힌두 민족주의 문법의 틀 안에 들어섰습니다.[21][9][26]

사라가트 전쟁에서 그의 동료 지휘관들은 "가리야"로도 알려진 아사메 무슬림들을 포함했고, 그들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현지에서 바그 하자리카로 알려진 이스마일 시디케였습니다.[27] 하지만, 무굴 세력은 람 싱이라는 이름의 힌두교 라지푸트가 이끌었습니다.[26]

메모들

  1. ^ 파브: 푸라니 아삼 부란지, 에드, 헴 찬드라 고스와미, 스마브: 수쿠마르 마한타 가문에서 얻은 아삼 부란지, BKK: 쿤룽과 쿤라이에서 얻은 타이아옴 부란지, AB: 아홈 부란지, tr., G. C. 바루아; TB: 퉁쿤기아 부란지, Ed., S. K. 부얀; 라칫 바푸칸과 그의 시대
  2. ^ 아삼 정부가 바르푸칸의 기억을 제도화하려는 유일한 시도는 아마도 1962년 사라이갓 다리의 이름을 짓는 것이었을 것입니다.
  3. ^ 1968년 ULFA는 모든 외국인을 쫓아내기 위해 라칫 세나(Lachit Sena)를 설립했지만 효과는 없었습니다. 로부터 몇 십 년 후, 수레쉬 푸칸은 Moidamor Pora Moi Lachite Koiso (트랜스)를 썼습니다. 이 분은 ULFA 간부들과 동조자들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라칫(Lachit)입니다. 바르푸칸은 내레이터의 가운을 입고 원주민들의 이익을 배반하고 분리주의 대의를 찬양하는 아삼의 정치 계급을 훈계했습니다.[21]
  4. ^ 신하는 1998년 고하티 대학에서 매년 "라칫 바르푸칸 기념 강의"를 시작하여 국방부에 로비하여 국방 아카데미에서 최고의 졸업생에게 동명의 메달을 수여하고, 주에서 수습 IAS 간부들이 무굴족을 물리치는 라칫을 제정하도록 요구했습니다.[21][25]

참고문헌

  1. ^ a b c "말 그대로 목숨과 명예를 걸었던 라칫 바르푸칸은 곧 1672년 4월 칼리바에서 숨을 거두었습니다." (Sark 1992:228)
  2. ^ "1671년 그는 사라가트 전투에서 아메르의 라자 람 싱이 이끄는 엄청나게 우세한 무굴 군대를 무찌른 아홈 군대를 지휘했습니다."(바루아 2020:146)
  3. ^ "라칫 보르푸콘은 아삼의 많은 사람들에게 아삼의 자치적 과거의 강력한 상징입니다."(바루아 2020:146)
  4. ^ "그 사건은 그 후에 현대 아사메 민족주의에 의해 자랑스러운 주장의 근거가 되었습니다. 부란지족이 인도의 심장부에서 정복자가 될 사람들을 분류했기 때문에 아삼은 방갈족이나 야바나족에 의한 '외계인' 통치를 피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였습니다."(샤르마 2004:176)
  5. ^ "그러나 아쌈에서 BJP가 부상한 이후로, 당은 그를 국가적으로 중요한 전사로 투사하기를 열망해 왔습니다. 사르마는 보르푸칸이 "무슬림 침략자들"을 물리친 것을 자주 칭찬했습니다. (자만 2022)
  6. ^ "게다가, 역사학자이자 구와하티 면화 대학의 전 교장인 우다야디티야 바랄리는 보르푸칸 자신은 힌두교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라치트는 타이 종교에서 왔다"고 말했습니다. "역사는 뜻대로 억지로 쓸 수 없습니다. 힌두교는 십 싱[1714-1744]의 통치 기간 동안에만 우세한 종교가 되었습니다. 라it 휘하의 많은 병사들은 부족 신앙 출신이었습니다."(자만 2022)
  7. ^ 역사학자이자 구와하티 면화 대학의 전 교장인 우다야디티야 바랄리는 무슬림들이 아홈 군대에서도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해군 장군 이스마일 시디케, 바그 하자리카(Bagh Hazarika)라고도 합니다. (자만 2022)
  8. ^ 아삼의 디브루가르 대학에서 강의하고 언론사를 전문으로 하는 자나비 고고이는 "라치트는 외부인이거나 침략군이었기 때문에 무굴족과 싸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라칫이 싸웠던 무굴의 장군은 앰버의 라자 람 싱 카흐와하였기 때문에 종교적인 의미는 없습니다. 오랑제브의 군대에는 힌두교 군인들이 많았습니다.'(자만 2022)
  9. ^ a b c d e f 샤르마 (2004)
  10. ^ "원정의 최고 지휘권은 자한기르와 샤자한의 무굴족과 싸워 명성을 얻은 프라탑 심하 시대의 장군 모마이 타물리 바르바루아의 막내 아들 라칫 데카에게 위임되었습니다."(Sark 1992:205)
  11. ^ "PAB, 104 (날짜); SMAB: 91; BKK, ii, 26-0; AB, 196-7; KB 91; TB, 4; Lachit, 17-24, MS. 7, 8, 12호는 Lachit의 가정 배경, 교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제공합니다."(Sarkar 1992: 206f)
  12. ^ "라칫 자신은 디카우무크와 여러 직책에서 미르 주믈라의 부하들을 밝히는 데 있어 그의 능력과 지도력을 충분히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고라 바루아(왕의 관리자), 둘리아 바루아(돌라의 관리자 또는 왕의 가마를 메는 자), 시말루구리아 푸칸(주로 수도 인근 시말루구리에 부임하는 부담금 지휘관)과 돌라카샤리아 바루아(왕을 수행하는 무장경호대 총경, 사실상 오늘날의 경찰총경)."(Sarkar 1992:205)
  13. ^ "그러므로 그는 상당한 수색과 적법한 시험을 거쳐 선발되었고, 로어 아삼의 민정을 담당하는 육군 총사령관과 바르푸칸을 임명했습니다."(Sarkar 1992:205)
  14. ^ "라치트 자신은 오늘날 구와하티 근처의 로어 아삼의 아홈 영토를 담당하며 바르푸칸의 지위에 올랐습니다."(샤르마 2004:176)
  15. ^ "1667년 8월 22일, 실패의 결과에 경고를 받은 대규모 군대가 수도에서 브라마푸트라 강을 따라 내려왔습니다. 칼리아바르에 기지를 고정시킨 라칫은 2개 사단으로 나눠 과하티를 향해 진격했습니다.(Sark 1992:205–206)
  16. ^ "이타훌리의 함락에 이어 구와하티의 수비대가 도망쳤습니다. 사예드 피루즈 칸 파우즈다르와 사예드 살라르 칸 미르 바흐시("Sana")도 몇몇 추종자들과 함께 옛 아홈-무굴 경계인 마나 강을 향해 도망쳤습니다. 승리자들은 1667년 11월 중순경 수도에 입성했습니다."(Sark 1992:207); "라칫이 승리하고 마나스까지 캄룹의 회복을 암시하는 구와하티에서의 승리는 아홈-무굴 관계의 중대한 한 장이었습니다. 그것은 무굴족을 상대로 전세를 역전시키는 첫 번째 라운드였습니다. 4년 만에 아홈 부부는 1663년에 잃어버린 위신을 되찾았습니다." (Sarkar 1992:208)
  17. ^ "아홈 방갈족과의 만남에 대한 그들의 설명에서, 이 연대기들 중 일부는 아홈족의 상대인 라칫 바르푸칸의 해전에서 무굴족 사령관 람 싱에게 아슬아슬하게 승리한 것을 잠깐 암시했습니다." (샤르마 2004:176)
  18. ^ "라칫은 사라이갓에서 무굴군에게 패배한 직후 사망한 자신의 승리를 구원하기 위해 살지 않았습니다."(샤르마 2004:176)
  19. ^ "모이담은 왕족과 귀족들의 아홈 매장지입니다." (바루아 2020:230f)
  20. ^ "식민지 이전의 부란지스가 매력적인 독서 주제로서 갖는 사회적 기능은 극히 제한적이었고, 심지어 의심스럽기까지 했습니다. 식민지 이전의 엘리트들과 귀족들을 제외하고는, 그 누구도 이러한 작품들을 읽을 수 있는 범위나 특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사이키아 2008:489)
  21. ^ a b c d e f g (바루아 2020:147)
  22. ^ "이와 병행하여 라치트는 라치트 디와스로 선언된 날짜에 연례 멜라를 통해 비슷한 방식으로 기념되었습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라칫 디와스 기념식은 훨씬 더 지역화되어 차링 가온의 진원지보다 훨씬 더 멀리 퍼지지 못했습니다."(샤르마 2004:179–180)
  23. ^ "그 유명한 '자유 투사'이자 서지학자인 베누다르 사르마의 자서전적인 글들이 1970년대에 출판되었을 때, 그와 다른 사람들이 그의 생가인 십사가르의 차링 마을에서 조직했던 라칫 디위스의 기념식과 라칫 세나의 기념식에 대한 그의 회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우 다른 용어로 라치트를 알고 있는 새로운 세대에게, '이름-기호'로서 이용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Sarma, 1960)"(Sarma, 2004:187)
  24. ^ "부얀은 1935년 푸네에서 열린 인도 역사 회의의 첫 번째 세션에서 발표된 논문에 앞서 라칫 바르푸칸의 전기를 썼습니다. 주제에 대한 그의 선택과 회의 장소와의 중요한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부얀은 후에 그의 논문이 시바지의 경력을 추구하는 현대의 마라타 학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되었다고 말했습니다. Bhuyan, Lachit Barphukan 참조." (사이키아 2008:501f)
  25. ^ "Lachit Borphukan gold medal award: NDA ideal platform for grooming of cadets: Gogoi - Regional News Post". Newslivetv.com. 18 Febr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December 2012. Retrieved 3 April 2013.
  26. ^ a b Zaman, Rokibuz. "Why Assamese historians and writers are protesting against the BJP's celebration of Lachit Borphukan". Scroll.in. Retrieved 27 November 2022.
  27. ^ "Bagh Hazarika: The legendary warrior who fought Mughals alongside Ahom general Lachit Barphukan in Battle of Saraighat". Northeast Now. Retrieved 25 August 2023.

서지학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