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라 B2K/10

Lola B2K/10
롤라 B2K/10[1]
A Lola B2K/10 currently used in Historic Sportscar Racing.
카테고리LMP900/SR1
생성자롤라 카 인터내셔널
기술 사양
길이4,570mm(15ft 3인치)
1,990mm(6ft 6인치)
액슬 트랙전방 1,520mm(5ft 5인치)
1.580mm(5ft 2인치) 후면
휠베이스2,800mm(9피트 2인치)
엔진 JuddGV4 4.0L N/AV10
루쉬 레이싱-포드 6.0L N/A V8
Porsche 3.6L 트윈 터보차지Flat-6mid-enged, 종방향 장착
전송6단 순차 설명서
무게900kg(2,000lb)
타이어미슐랭
경기이력
데뷔2000년 12시간 세브링
인종이김.폴스
75[2]52

롤라 B2K/10롤라 자동차 인터내셔널이 2000년 '르망 24시간'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그랜드 아메리칸 로드레이싱 챔피언십' '스포츠레이싱 월드컵' 등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르망 프로토타입이다.이전 롤라 B98/10의 대체품이었고, 일부 요소들을 더 작은 변종인 롤라 B2K/40과 공유했다.

개발

완전히 새로운 차보다 B98/10이 더 진화하면서, B2K/10은 많은 디자인 요소들을 공유했고, 특히 차의 앞부분에서 가장 두드러졌다.특이한 펜더와 헤드라이트는 그대로 남아 있었고, 코는 더 높은 발박스를 수용하기 위해 올려져 있었다.그러나 보통 코에 공기 흡입이 가능한 지점까지 오는 다른 프로토타입과 달리 B2K/10의 코는 발 상자가 끝나는 곳에서 멈추기만 했을 뿐 큰 수직 돌출부를 남겼다.그 안에는 지구력 경주에서 더 잘 볼 수 있도록 세 번째 헤드라이트를 장착했다.

코에 흡입을 하지 않는 이유의 일부는 자동차의 모든 냉각 공기를 아래에서 끌어들이기 위한 결정 때문이었다.그러나 이 설계는 1998년 BMW V12 LM을 유사하게 괴롭혔던 선로 온도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B98/10의 롤바 아래에 장착된 대형 공기 흡입구 또한 제거될 수 있었지만, 모든 자동차가 이렇게 한 것은 아니다.제거될 경우 흡입구를 조종석 측면으로 작은 나셀로 이동시켜 롤바 밑에서 뒷날개로 더 깨끗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했다.

사이드팟과 조종석 사이에 큰 구멍이 생겨 코 위로 공기가 차 옆구리를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등 옆구리가 급격하게 바뀌었다.코에서 멀리 떨어진 공기로부터 부분적으로 공급된 측면의 라디에이터 흡입구 또한 B98/10보다 컸다.

롤라는 Roush Racing이 디자인한 Ford 6.0L V8인 B98/10s와 동일한 엔진을 가지고 있었다.그러나 이전과 마찬가지로 저드 GV4 V10과 포르쉐 트윈 터보차지 플랫-6 등 다양한 엔진들이 팀별로 선택됐다.

단지 6개의 B2K/10s만이 지어졌다.

레이싱 히스토리

2000년 초, 라파넬리 팀이 저드 동력 섀시를, 필립 크리톤 모터스포츠가 포드 동력 섀시를, 챔피온 레이싱이 포르쉐 동력 섀시를 받는 등 처음 3개의 B2K/10s가 고객들에게 납품되었다.크라이튼 모터스포츠의 섀시가 아직 준비가 덜 된 사이 나머지 두 팀은 '12시간 세브링'에서 데뷔했다.하지만, 두 차 모두 결승선을 통과하지 못했으며, 챔피온은 종료 시간에 정지를 당했고 라파넬리는 일찍 하차했다.

라파넬리와 챔피언이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에 남아 있는 동안, 그들은 나중에 인터스포트 레이싱에 합류했다. 인터스포트 레이싱은 두 대의 자동차 팀을 위해 그들의 B98/10과 함께 저드 동력 B2K/10을 추가했다.라파넬리는 샤를로테 모터 스피드웨이에서 3분의 1로 시즌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비록 인터스포트가 왓킨스 글렌 인터내셔널에서 짧은 시리즈 출전을 하는 동안 2위를 차지하긴 했지만, 크리톤 모터스포츠는 미드 오하이오 스포츠 카 코스에서 2위를 차지하며 그랜드 아메리칸 로드 레이싱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한편 콘래드 모터스포트는 포드 발전소와 함께 다른 섀시를 구입해 시즌 후반에 스포츠레이싱 월드컵을 운영하면서 B98/10을 대체했다.이 차는 뉘르부르크링에서 열린 단 한 번의 경주에서 점수를 얻어 3위를 차지했다.마침내 2000년 르망 24시간 동안 라파넬리와 콘라드는 차대 안으로 들어갔지만 두 차 모두 끝내지 못했다.

2001년에는 인터스포트가 유일하게 2000년과 같은 포지션을 유지하며 그랜드 아메리칸 로드 레이싱 챔피언십 레이스를 선별적으로 운영하면서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에 잔류하는 등 팀 내 조정이 있었다.챔피언 레이싱은 영구적으로 GARRC로 이동했고 라파넬리는 페라리 550 마라넬로를 샀다.콘래드 레이싱은 그랜드 투어 레이싱에 집중하기 위해 움직였고, 그들의 차로 몇 번밖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필립 크리톤 모터스포트는 하차하기 전에 24시간 데이토나를 운영했다.올 시즌 인터스포트 레이싱의 피닉스 인터내셔널 레이스웨이에서 열린 GARRC에서 B2K/10이 첫 승을 거둔 데 이어 미드오하이오 스포츠카 코스에서도 두 번째 승리를 거뒀다.

2002년까지 B2K/10의 설계 결함은 경쟁사보다 훨씬 뒤쳐져 있었다.인터스포트는 ALMS와 GARRC에서 모두 2개의 섀시를 운영하고 있으며, 페가수스 레이싱은 GARRC용 챔피온 레이스 포르쉐 파워 B2K/10을 구매했다.인터스포트가 GARRC를 위해 홈스테드-미아미 스피드웨이에서 2위를 차지한 가운데, 이 팀들은 그 시즌에 B2K/10을 경마하는 유일한 팀이었다.

그러나 2003년 B2K/10은 다시 부활했다.인터스포트는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에만 집중했고, 신인 타우러스 스포츠레이싱은 ALMS종목 선정뿐만 아니라 전 라파넬리 승용차로 FIA 스포츠스카 챔피언십에 진출했다.타우러스 스포츠 레이싱은 오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자에서 3분의 1로 올해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마침내, 2004년에 B2K/10은 최종 대회를 보았다.12시간의 세브링에서 실망스러운 실패 후, 타우러스 스포츠 레이싱은 디젤 기술을 24시간의 르망으로 되살리기 위해 출발했다.타우루스는 일반 저드 동력 B2K/10 외에도 캐터필러 튜닝 폭스바겐 트윈 터보차지 V10 엔진으로 구동되는 두 번째 섀시를 추가했다.맨 처음 몬자에서 열린 르망 인텐더스 시리즈 개막전을 치르려고 시도했던 이 팀은 디젤이 현재 경쟁자들과의 경기라고 믿고 르망에게 왔다.그러나 엔진의 토크로 디젤 구동 B2K/10의 변속 장치가 단 35바퀴 만에 파괴되었다.그 팀의 다른 가솔린 엔진 B2K/10은 20위를 차지하며 경기를 마쳤다.Silverstone Circuit에서 디젤 동력의 자동차가 마지막으로 등장한 이후, 최종 활성 B2K/10은 경쟁에서 물러났다.

B2K/10은 2001년에 롤라 B01/60(MG-롤라 EX257)으로 부분적으로 교체되었다가 2006년에 롤라 B06/10으로 완전히 교체되었다.

섀시 이력

2000년에 총 6개의 B2K/10s가 건설되어 2004년까지 경쟁적으로 운영되었다.[3]

#HU-01

  • 라파넬리 팀, 저드 발전소(2000년)
  • 타우러스 스포츠 레이싱, 저드 발전소(2003)
  • 타우러스 스포츠 경주, 캐터필러 발전소(2004)
  • 팀 유로레이싱 저드 발전소(2008)

#HU-02

  • 필립 크라이튼 모터스포트, 포드 발전소(2000-2001)

#HU-03

  • 챔피언 레이싱, 포르쉐 발전소(2000-2001)
  • 페가수스 레이싱, 포르쉐 발전소(2001)

#HU-04

#HU-05

  • 인터스포트 레이싱, 저드 발전소(2002-2003)
  • 타우러스 스포츠 레이싱, 저드 발전소(2004)
  • 유로레이싱 포드 동력장(2015년) 팀

#HU-06

  • 인터스포트 레이싱, 저드 발전소(2000-2003)
  • 팀 유로레이싱 저드 발전소

참조

  1. ^ Michael J. Fuller (2002). "2000 Lola B2K/10". Mulsanne's Corner. Retrieved 25 May 2013.
  2. ^ "Lola B2K/10". Racing Sports Cars. Retrieved 25 May 2013.
  3. ^ "Lola Sports Racing chassis numbers". World Sports Racing Prototyp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February 2012. Retrieved 25 Ma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