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크 15

Luke 15
루크 15
16장
CodexGigas 527 Luke.jpg
Codex Gigas (13세기)의 루크 14:30–19:7의 라틴어 본문
루크의 복음서
카테고리복음서
기독교 성경 부분신약성서
기독교 부분의 질서3

루크 15기독교 성경신약성서에 나오는 루크 복음서의 15장이다. 이 장을 수록한 책은 익명이지만 초기 기독교 전통은 한결같이 루크사도행전뿐만 아니라 이 복음을 작곡했다고 단언했다.[1] 이 장에서는 잃어버린 양, 잃어버린 동전, 잃어버린 혹은 '사초'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세 가지 비유를 기록한다.[2][3] 성서 해설가 하인리히 마이어바리새인과 예수의 반응이 그들과 제자들에게 중얼거림으로써 연결된 "새롭고 중요하며 대부분 포물선적인 담론 집합"으로 이 장과 다음 장, 그리고 루크 17:1-10을 언급한다.[4]

텍스트

원문은 코인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이 장은 32절로 나뉜다.

문자증인

본 장의 본문을 수록한 일부 초기 원고는 다음과 같다.

바리새인과 낙서자의 중얼거림

2절

그리고 바리새파 사람들과 낙서자들은 이렇게 불평했다.
"이 사람은 죄인을 받들어 그들과 함께 밥을 먹는다."[5]

마이어는 바리새파 사람들과 서기관들(역자 1-2)의 중얼거림을 엑소더스 16:1-817:3의 황야에서 이스라엘 자손 공동체의 중얼거림과 비교하고 있다.[4] 에릭 프랭클린은 그들과 함께 식사하면서 "예수님은 그들이 하나님 나라에 편입되기를 기대하고 있다"[6]고 제안한다.

잃어버린 양의 비유

18세기 후반의 바우어 성경에서 따온 목동의 의기양양한 귀환을 보여주는 얀 루이켄의 에칭

3-7절에는 이 우화가 기록되는데, 이는 신약성경의 두 성서뿐 아니라 토머스의 비천문 복음서에도 나타난다.[7] 복음서에 따르면, 양치기는 길을 잃은 양 한 마리를 찾기 위해 99마리의 양떼를 떠난다. 바리새파 사람들과 종교 지도자들이 그를 "죄인"[8]과 함께 환영하고 먹었다고 비난한 후 예수가 전하는 속죄에 관한 3부작 중 첫 번째 멤버다. 마태복음 이 비유에 비하면 루크는 손실에 대한 목자의 책임([6]제3절: 하나를 잃으면 그 중 하나가 잘못되어 버린다)을 강조한다.[9] 마태복음에서는 그 중 하나가 잘못되어 간다), 수색의 무조건적인 성격, 죄인의 회개로 인해 생긴 기쁨.

이 구절들은 미국에서 흑인의 생명체 운동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미국에서 흔히 기독교 신자인 정치적 권리에 대한 일반적인 거부감은 흑인에 대한 폭력에 대한 관심을 줄이기 위해 "모든 생명 물질"을 반박하는 것이다. 그러나 길 잃은 양의 비유는 당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먼저 배려가 주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잃어버린 동전의 비유

이 우화에서 한 여자가 잃어버린 동전을 찾아 어두운 집을 쓸고 있다(존 에버렛 밀레스의 찬사).

8-10절의 이 우화는 오직 루크의 복음서만 나타난다. 은화 열 닢(그리스 드라크매)을 가진 여자가 한 닢을 잃었다는 이야기를 다룬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기름 램프에 불을 붙이고 그것을 찾을 때까지 집을 쓸면서, 그럴 때면 기뻐한다. 바리새파 사람들과 종교 지도자들이 그를 "죄인"[8]과 함께 환영하고 먹었다고 비난한 후 예수가 전하는 속죄 3부작의 일원이다. 제임스 버젼은 기혼 여성들이 10부짜리 화환에서 그런 동전을 자주 입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0]

탕자의 비유

폼페오 바토니방탕자 아들 귀환(1773년)

'두 아들', '잃어버린 아들', '달려가는 아버지',[11] '사랑하는 아버지'로도 알려진 '방탕자'는 루크의 복음서(11~32절)에만 등장하는 예수의 비유 중 하나이다. 두 아들 중 어린 아들에게 죽기 전에 유산의 몫을 나눠주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은 아들은 재산을 낭비한 후('prodigal'이라는 단어는 '쓰레기처럼 사치스러운' 것을 의미함) 기근 중에 굶주리게 된다. 그리고 나서 그는 취직해 달라고 애원하고 아버지에게 친족관계를 포기할 생각으로 회개하고 집으로 돌아온다. 어쨌든 아버지는 즉시 아들이 되어 돌아온 것을 환영하고 잔치를 열어 그의 귀환을 축하한다. 큰 아들은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 일해 온 내내 친구들과 축하할 염소조차 주지 않았다며 참가를 거부한다. 그의 아버지는 큰아들에게 아버지가 가진 모든 것이 큰아들의 것이지만, 작은아들이 그들에게 돌아온 것을 축하해야 한다고 상기시킨다. 이 책은 '잃어버린 양의 비유'와 '잃어버린 동전의 비유'에 이어 구제에 관한 사이클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부분이다.

리트러시 사용법

서양의 가톨릭 전통에서 이 우화는 보통 사순절의 네 번째 일요일(C년)[12]에 읽히는 반면 동방 정교회에서는 탕자의 일요일에 읽힌다.

참고 항목

참조

  1. ^ Holman 일러스트레이션 성경 핸드북. 테네시주 내슈빌에 있는 홀맨 성경 출판사 2012.
  2. ^ New International VersionNew King James Version의 섹션 제목
  3. ^ 핼리, 헨리 H. 할리의 성경 편람: 축약된 성경 해설. 23판. 1962년 존더반 출판사
  4. ^ a b 마이어, H. A. W. 마이어의 루크 15에 대한 NT 해설 2018년 6월 29일에 접속
  5. ^ 루크 15:2 NKJV
  6. ^ a b Franklin, E, Luke in Barton, J.와 Muddiman, J. (2001) 옥스퍼드 성서 해설, 947 페이지
  7. ^ 토마스 복음서: 107 람 번역패터슨/마이어 번역.
  8. ^ a b 리차드 롱게너커, 2000년 에르드만, 예수님의 비유대한 도전 ISBN0-8028-4638-6, 페이지 201–204.
  9. ^ 매슈 18:12–14
  10. ^ 뉴 킹 제임스 버전(1982년), 루크 15:8의 각주 c
  11. ^ 2012년 9월 5일에 출간된 성경 연합 '달려가는 아버지'는 2020년 8월 3일에 접속했다.
  12. ^ TextWeek.com. "Lent 4C". Retrieved 2013-09-12.

외부 링크

선행자
루크14길
성경의 장
루크의 복음서
성공자
루크16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