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크22번길
Luke 22루크 22장은 기독교 성경의 신약성서에 나오는 루크 복음서의 22장이다. 그것은 유월절이나 무교절 직전에 시작되며, 예수 그리스도를 죽이려는 음모와 주의 만찬 기관, 예수의 체포와 산헤드린 앞에 그의 재판을 기록한다.[1] 이 장을 수록한 책은 익명이지만 초기 기독교 전통은 한결같이 루크가 사도행전뿐만 아니라 이 복음을 작곡했다고 단언했다.[2] 에릭 프랭클린에 따르면, 21장의 종말론적 담론이 "왕국의 현실에 대한 모든 생각을 포기한다"고 한다면, 그것은 또한 "어떻게 그것이 세워졌는지를 보여주는 열정적인 이야기"로 바로 옮겨간다.[3]
텍스트
원문은 코인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이 장은 71절로 나뉜다. 복음서 가운데 구절 수로 보면 두 번째로 긴 장이다.[4]
문자증인
본 장의 본문을 수록한 일부 초기 원고는 다음과 같다.
- 파피루스 75 (175-225)
- 파피루스 69 (3세기; 현존하는 구절 41,45-48, 58-61)
- 구절 0171(~300, 구절 44-50,52-56,61,63-64)
- 코덱스 바티칸투스 (325-350)
- 코덱스 시나티쿠스 (330-360)
- 코덱스 베재 (~400)
- 코덱스워싱턴아누스 (~400)
- 코덱스 알렉산드리누스 (400-440)
- 코덱스 에브라에미 레스크립투스 (~450; 구절 1-18)


1-6절
루크 22:1–6은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유다 이스카리오트와 협력하여 예수를 죽이려는 음모를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또한 Mark 14:1–2, 10–11 및 Matthew 26:1-5, 14–16에도 설명되어 있다. 요한복음 11장 45-57에도 예수를 죽이려는 음모가 기록되어 있다.
3절
- 그 때에 사탄은 열두 사람 가운데 번호가 매겨진 이스까리어트라는 유다로 들어갔다.[5]
시놉틱 작가들의 루크 혼자만이 열정의 지상의 사건들을 사탄과의 종말론적 전투의 맥락에서 설정한다.[3]
7-13절
루크 22:7–13은 예수가 어떻게 베드로와 요한에게 유월절 식사(최후의 만찬이 될 것임)를 준비하라고 보냈는지(12절)를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준비는 마크 14:12–16과 매튜 26:17-25에도 설명되어 있다. 루크의 계정은 사도들의 이름을 짓는 유일한 계정이다.
고별사

루크 22장 14절–38절은 그레코로만형 및 성경적 전통의 다른 고별사를 본떠서 "예수님의 고별사"로 묘사되어 왔다.[6]
15절
-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고통을 겪기 전에, 이 유월절을 너와 함께 먹고 싶구나.[7]
예수는 자신의 사도들에게 "열한 욕망으로"(그리스어: επιμμαα εεμμηα, 에피투미아 에피투메스)와 함께 이 유월절을 축하하고 싶다고 선언한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이런 말을 사용했다(라틴어: 데시데리오 데시데라비)는 1274년 제2차 라이온스 평의회에서 교회들의 단결에 관한 설교에서 그의 본문처럼 말했다.[8]
40-42절
-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기도하라(New International Version)
- 내 의지가 아니라 네 의지가 되어라 (뉴 킹 제임스 버전)
이 말은 기도하는 방법에 대해 예수가 제자들에게 이전에 지시했던 것을 반영한다(주기도, 루크 11:2–4) 비록 "하늘에 있는 것처럼, 지상에서 행해질 것"이라는 말은 루크 주기도의 초기 버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9] 설교단 논평은 "문제의 유혹은 곧 제자들이 몰락한 도덕적 비겁함의 중대한 죄였다"고 시사한다.[10]
제43-44절
- 그 때에 하늘에서 천사가 그에게 나타나서, 그를 강하게 하였다. 그리고 괴로워하면서 더욱 간곡히 기도했다. 그러자 그의 땀은 마치 커다란 피방울이 땅으로 떨어지는 것 같았다.[11]
루크의 진위 여부는 19세기 후반부터 학자들에 의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구절들은 그리스어 본문의 현대판에서는 이중괄호로 배치되어 있으며, 개정된 표준본의 각주에 수록되어 있다.
45절
- 예수께서 기도에서 일어나셔서, 제자들에게 오셨을 때에, 그들이 슬픔에서 잠든 것을 발견하셨다.[12]
루크는 마태복음이나 마크의 설명에 나타나지 않는 단어인 "슬픔으로부터"를 덧붙인다.
70절
- εἶπαν δὲ πάντες Σὺ οὖν εἶ ὁ Υἱὸς τοῦ Θεοῦ; ὁ δὲ πρὸς αὐτοὺς ἔφη Ὑμεῖς λέγετε ὅτι ἐγώ εἰμι.
- 에이판 드 팬츠, "수온스 에이호 후이오스 투 테우?";; 호 드 프로스 오토 에프, "Humeis legete hoti ego ehimi."
- 그들 모두가 물었다. `그렇다면,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냐 ?'
- 그는 그들에게 "당신은 내가 그렇다고 말한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개정 표준 버전)
- "나라고 하는 게 옳다"[13]
비슷하게, J. B. Phillips는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옳다. 내가 옳다.'[14]
강단 논평은 이곳의 스타일을 랍비닉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런 대답에 의해 심문받은 사람은 자신에게 던져진 질문 전체를 자신의 확언으로 받아들인다."[10]
참고 항목
참조
- ^ 핼리, 헨리 H. 할리의 성경 편람: 축약된 성경 해설. 23판. 1962년 존더반 출판사
- ^ Holman 일러스트레이션 성경 핸드북. 테네시주 내슈빌에 있는 홀맨 성경 출판사 2012.
- ^ Jump up to: a b Franklin, E, Luke in Barton, J.와 Muddiman, J. (2001) 옥스퍼드 성경 해설 954페이지
- ^ 1장은 80절이다.
- ^ 루크 22:3
- ^ 쿠르츠, W.S.(1985), 루크 22:14-38 및 그레코로만·성서 이별주소, 성서문학저널 104권, 제2권(1985년 6월), 페이지 251-268이 2018년 7월 19일에 접속했다.
- ^ 루크 22시 15분
- ^ 가톨릭 백과사전(1913), 제2차 라이온스 협의회(1274), 2018년 7월 19일 접속
- ^ 루크 11에 대한 설교단 논평, 2018년 7월 20일에 접속
- ^ Jump up to: a b 루크 22에 대한 설교단 논평, 2018년 7월 20일에 접속
- ^ 루크 22:43–44
- ^ 루크 22시 45분
- ^ 루크 22:70 - NKJV
- ^ 루크 22:70 - J.B. 필립스 신약성서
외부 링크
- Luke 22 King James 성경 - Wikisource
- 병렬 라틴어 벌게이트를 사용한 영어 번역
- GospelHall.org(ESV, KJV, Darby, American Standard Version, Basic English)의 온라인 성경
- 성경 게이트웨이에서 다중 성경 버전(NKJV, NIV, NRSV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