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는 슬픔의 사나이

Man of Constant Sorrow
"지속적인 슬픔의 남자"
딕 버넷의 노래
출판된1913
녹음된1927년(기울기)
장르.포크
라벨컬럼비아
작곡가전통적인

'상속적인 슬픔의 남자'(I Am a man a continent sorrow)는 켄터키 출신의 일부 시각장애인 바이올리니스트버넷이 처음 발표한 미국 전통 민요다.이 곡은 원래 1913년경 버넷의 노래책에 수록된 "Farwell Song"이라는 제목이었다.1928년에 Emry Arthur에 의해 녹음된 버전은 이 노래에 현재 제목을 붙였다.

가사와 멜로디가 다른 몇 가지 버전이 있다.이 노래는 1950년대에 이 노래를 녹음한 스탠리 브라더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많은 다른 가수들은 1960년대에 버전을 녹음했는데, 특히 밥 딜런이 가장 두드러지게 불렀다.곡의 변주곡도 조안 배즈의 '연속적인 슬픔의 소녀', 주디 콜린스의 '연속적인 슬픔의 소녀', 피터, 폴, 메리의 'Sorrow'라는 제목으로 녹음되었다.진저 베이커 공군데니 레인의 보컬로 싱글로 발매했다.

이 곡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플롯의 중심 역할을 하는 2000년 영화 O Brother, Where Art Thou?가 개봉되면서 새롭게 바뀌었고, 가출한 3명의 주인공들은 '소기 바텀 보이즈'로 대중의 인정을 받았다.댄 타이민스키의 리드보컬이 들어간 이 곡은 이 영화의 매우 성공적이고, 여러 장의 플래티넘을 판매하는 사운드 트랙에 수록되었다.이 음반은 2002년 제44회 그래미 시상식에서 그래미상을 수상했다.[1]

기원

곡은 1913년 딕 버넷의 6곡 노래집 R. D. 버넷이 부른 노래들—에 수록된 "Farwell Song"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되었다.시각장애인—켄터키 몬티첼로.[2]딕 버넷이 원작자인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그는 말년에 한 인터뷰에서 이 노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다.

찰스 울프('파리 노래') : "이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다' 라는 말은 어떻게 썼나?"리차드 버넷 : "아니, 나는 누군가로부터 발라드를 받은 것 같아 - 나도 몰라.아마 내 노래일 거야..."[3]

버넷이 원작자였든 아니든, 그의 곡에 대한 그의 작품은 1913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2절의 가사는 '아, 내가 장님으로 지낸 지 6년이 지났구나, 친구들'으로 1907년에 장님이 된 그 해와 맞아떨어졌을 것이다.버넷은 자신의 실명에 맞게 이미 존재하는 곡을 맞춤 제작했을지도 모르며, 1907년경 '하얀 장미'와 '테네시 계곡의 다운 인 더 테네시'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나왔다.[4]버넷은 또한 그가 "Wandering Boy"[2]로 기억되는 오래된 침례교 찬송가를 바탕으로 멜로디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그러나 찬송가학자인 존 가스트에 따르면, 이 노래나 이와 비슷한 제목을 가진 어떤 노래도 '콘스탄트 설움'[5]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곡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가스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사 일부가 선행 찬송가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슬픔의 남자'라는 용어는 본래 종교적인 것이며 이사야 53:3에 나타난다고 언급했다.[5][6]이 곡은 '나는 슬픔의 가난한 순례자'라고도 알려진 찬송가 '가난한 순례자'와 비슷한 점이 있는데, 조지 풀렌 잭슨은 '레아의 초록색 모시 둑'이라는 제목의 영어 민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했다.[7]

버넷의 친구인 에리 아서는 1928년 이 곡의 녹음 파일을 공개했고, 이 곡도 작곡했다고 주장했다.[5]아서는 자신의 음반에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다'라는 제목을 붙였는데, 이 노래가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는 이름이었다.버넷과 아서의 가사는 작은 변주곡과 매우 비슷하다.버넷의 버전은 1927년 초에 녹음되었지만, 컬럼비아 레코드는 버넷의 레코드를 발매하는 데 실패했다.[2] 따라서 아더의 싱글은 발매되는 곡의 가장 초기 녹음이었고, 아서 버전의 곡조와 가사는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후기 버전들이 파생되는 원천이 되었다.[5]

20세기 초에 켄터키와 버지니아에서 비슷한 노래들이 많이 발견되었다.1917~1918년 영국 민요 수집가 세실 샤프는 1932년 남부 애팔래치아인들의 영어 민요에 수록된 'In Old Virginny'로 이 곡의 4개 버전을 수집했다.[2]가사는 버넷과 디테일은 다르지만 음색은 비슷했다.아마도 아버지로부터 배웠을 프랜시스 리처즈 부인의 1918년 판본에서 1절은 버넷의 가사와 거의 동일하며, 버지니아와 같은 사소한 변화들이 켄터키를 대신하고 있다.[4][8]이 곡은 "이스트 버지니아 블루스"와 같은 여러 곡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8]버지니아의 노먼 리 바스는 그의 형 매트가 1890년대에 이 곡을 썼다고 주장했고, 버지니아 버전은 그의 멜로디와 대부분의 그의 시구들이 독특하긴 하지만 바스의 버전과 어느 정도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이 변종은 "Come All You Fair and Tender Ladies"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작은 참새".[4][5]

알메다 리들(Almeda Reiddle)이 설명한 구본은 1850년 경으로 날짜가 잡혔으나, 첫 번째 줄 이후로는 상당히 다른 텍스트가 있다.[5]존 가스트는 이 노래의 요소를 1800년대 초 찬송가로 거슬러 올라가 '텐더-하트 크리스천'과 '심판 찬송가'와의 곡조가 유사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그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였다/ 그는 하루 종일 상복을 입었다'[9]는 대사를 포함한 '크리스도 고통'의 가사와 유사함을 암시했다.

2009년 10월 13일, 다이앤 렘 쇼에서, 자서전 제목이 끊임없는 슬픔의 사나이스탠리 브라더스랄프 스탠리는 이 노래와 그 유래, 그리고 그것을 되살리기 위한 그의 노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토론하였다.[10][11]

"지속적인 슬픔의 남자"는 아마도 이삼백 살일 것이다.하지만 내가 그것을 처음 들었을 때, 작은 소년처럼, 나의 아빠 - 나의 아버지가 - 그는 그 단어를 가지고 있었고, 나는 그가 그 단어를 부르는 것을 들었다. 그리고 우리 - 나의 남동생과 나는 - 우리는 그 단어를 몇 개 더 넣었고, 그리고 그것을 다시 존재하게 했다.내 생각엔 그게 없었더라면 영원히 사라졌을 것 같아.나는 그 노래를 다시 불러낸 사람이 자랑스럽다. 왜냐하면 나는 그것이 멋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서정적 변주곡

이후 많은 가수들이 이 노래에 새롭고 다양한 가사를 붙였다.대부분의 버전들은 그가 아름답고 황금빛 해안가에서 그의 친구나 연인을 다시 만날 것이라는 약속과 함께 말썽을 피하며, 그의 옛 사랑을 보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그의 미래의 죽음을 심사숙고하는 기차를 타는 것이다.[4]대부분의 변형은 1913년 버넷의 버전과 같은 1절의 유사한 선으로 시작하며, 일부는 성별, 가정 상태와 같은 변형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몇몇 사소한 변화도 있다.[12]

난 슬픔이 끊이지 않는 사람이야
난 하루 종일 말썽을 피웠다.
켄터키에 작별을 고하고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

1928년 에리 아서의 녹음은 버넷의 가사와 대체로 일치하며, 다만 사소한 차이만 있을 뿐이다.[12]그러나 버넷의 2절의 시각장애에 대한 언급인 "6년 장님"은 "6년 장님"으로 바뀌었는데, 이 구절을 수록한 다른 후기 버전에서도 변화가 발견된다.[13]

1936년경 사라 오간 구닝은 전통적인 "남자"를 좀 더 개인적인 "여자"로 다시 썼다.구닝은 산속에서 몇 년 전에 들었던 78rpm의 언덕배기 음반(Emry Arthur, 1928년)의 멜로디를 기억했지만, 그녀가 쓴 가사는 1절 이후의 원곡과는 상당히 달랐다.[12][14]성별의 변화는 조안 배즈의 "Continent Sorrow"와 그녀의 앨범 "A Maid of Constant Sorrow"의 타이틀 곡인 주디 콜린스의 노래와 비슷한 또 다른 변종에서도 발견된다.[15]

1950년에 스탠리 브라더스는 아버지로부터 배운 노래의 버전을 녹음했다.[13][15]스탠리 브라더스' 버전은 가사를 일부 수정하여 버넷 버전의 전체 구절이 제거되고, 마지막 구절도 달라지며, 2절의 '부모님'이 '친구'로 바뀌었다.[12]스탠리 브라더스와 마이크 시거의 이 곡의 연주는 50~60년대의 미국 민속음악 부흥기에 도시민요계에서 이 곡이 인기를 끄는 데 기여했다.[14]

밥 딜런은 1961년에 자신의 버전을 녹음했는데, 이것은 Joan Baez와 Mike Seeger와 같은 다른 포크 가수들이 공연한 버전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6][17]스탠리 판의 한 구절은 삭제되었고, 다른 구절들은 현저하게 재배열되어 다시 쓰여졌다.딜런은 또 당시 여자친구였던 수제 로톨로의 어머니를 언급하며 '네 엄마는 내가 이방인이라고 말한다'는 대사에서 '친구'를 '엄마'로 바꾸면서 개인적인 요소를 더했다.[18]딜런의 버전에서, 켄터키콜로라도로 변경되었다;[13] 이러한 원산지 변경은 흔한 일인데,[4] 예를 들어, 켄터키는 조안 배즈의 "Continent Sorrow"와 주디 콜린스의 "Continent Sorrow"에서 캘리포니아로 바뀐다.

가사를 제외하고도 이 버전들 중 많은 부분에서 곡의 선율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다.[15]

녹음 및 커버 버전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
에브리 아서 노래
방출된1928년 1월 18일 (1928-01-18)
장르.구시
길이3:18
라벨보컬리온
작곡가알 수 없는

버넷은 1927년에 컬럼비아와 함께 그 노래를 녹음했다; 이 버전은 공개되지 않았고 마스터 레코딩은 파괴되었다.[2]상업적으로 공개된 최초의 음반은 1928년 1월 18일 에리 아서가 만들었다.그는 기타를 연주하면서 이 노래를 불렀고 밴조이스트인 독 보그스와 함께 불렀다.[19]이 음반은 보컬리온 레코드(Vo 5208)가 발매하여 잘 팔렸으며,[20] 1931년에 다시 녹음하였다.[21]이 곡의 첫 번째 발매된 녹음으로서, 이 곡의 멜로디와 가사가 후속 버전과 변주곡의 기초를 형성하였다.[5]비록 몇몇 가수들도 이 노래를 녹음했지만, 스탠리 브라더스가 1950년에 그들의 버전을 녹음하고 1960년대에 이 노래를 대중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전까지 그것은 상대적으로 무명으로 희미해졌다.

2000년 영화 O Brother, Where Art Thou?에서 이 곡을 사용한 것이 21세기에 다시 인기를 끌게 되었다.이 곡은 이후 노르웨이의 걸그룹 캣젠자머부터 보이스소여 프레데릭스8번째 시즌 우승까지 많은 가수들이 커버했다.[15][22]

스탠리 브라더스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
스탠리 브라더스 노래
방출된1951년 5월 (1951-05)
녹음된1950년 11월 3일 (1950-11-03)
장르.
길이2:56
라벨컬럼비아
작곡가알 수 없는
공식 오디오
유튜브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

1950년 11월 3일, 스탠리 브라더스는 내슈빌의 캐슬 스튜디오에서 컬럼비아 레코드와 함께 그들의 버전의 노래를 녹음했다.[8]스탠리 부부는 이 노래를 그들의 아버지 리 스탠리로부터 배웠는데, 그는 이 노래를 찬송가로 바꾸었다. 그는 원시 침례교 전통에서 아카펠라불렀다.그러나 녹음에서 곡의 편곡은 그들만의 것이었고 그들은 더 빠른 템포로 곡을 연주했다.[8]'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다'[23]라는 제목의 이 녹음은 1951년 5월 '쓸쓸한 강'과 함께 싱글로 발매되었다(콜럼비아 20816).버넷도 아서도 이 곡의 저작권을 인정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카터 스탠리는 이 곡의 저작권을 자신의 작품으로 인정받게 되었다.[21]

1959년 9월 15일 스탠리 브라더스는 그들의 앨범 "Every's Country Favorite"로 킹 레코드에 이 노래를 다시 녹음했다.1950년 버전에서는 랄프 스탠리가 솔로를 불렀지만 1959년 버전에서는 다른 밴드 멤버들과 함께 합창단을 추가했다.초본의 바이올린과 만돌린도 기타로 대체되었고, 한 구절이 생략되었다.[24][25]이 버전(킹 45-5269)은 1959년 10월 싱글로 '마운틴 걸스가 사랑할 수 있는 방법'과 함께 발매되었다.[26]

1959년 7월, 스탠리 브라더스가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에서 이 노래를 선보여 다른 포크 가수들의 주목을 받았다.[27]이 곡은 1960년대에 조안 배즈(1960),[28] 밥 딜런(1961), 주디 콜린스(1961), 피터, 폴, 메리(1962) 등의 곡을 녹음한 것으로 이어졌다.[29]

밥 딜런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
밥 딜런노래
방출된1962년 3월 19일 (1962-03-19)
녹음된1961년 11월 (1961년-11월)
장르.
길이3:10
라벨컬럼비아
작곡가알 수 없는

1961년 11월 밥 딜런은 그의 1962년 데뷔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Man of Constant Sorrow"[13][30]를 수록했다.딜런의 버전은 1960년대조안 배즈, 뉴로스트 시티 램블러스(마이크 시거 밴드) 등이 부른 버전을 다시 쓴 것이다.[16]딜런은 1963년 봄에 처음으로 미국 TV에 출연하는 동안 이 곡을 연주하기도 했다.[31]딜런의 이 곡은 로드 스튜어트, 진저 베이커 공군 등 1960~70년대 다른 가수와 밴드가 사용했던 곡이다.

딜런은 1988년 네버엔딩 투어에서 스탠리의 가사를 새롭게 각색한 다른 버전의 곡을 선보였다.[13]1990년대 간헐적으로 이 곡을 연주했고, 2002년 유럽 투어에서도 이 곡을 연주했다.[16]2005년 딜런, 노 디렉션 홈에 관한 마틴 스콜세지 PBS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와 함께 수록된 사운드트랙 앨범 《The Bootleg Series Vol. 7: No Direction Home》에서 공연이 발매되었다.[32][33]

진저 베이커 공군

"지속적인 슬픔의 남자"
송 바이 진저 베이커 공군
진저 베이커 공군 앨범에서
방출된1970년 3월 (1970-03)
장르.
길이3:31
라벨ATCO 레코드, 폴리도르
작곡가알 수 없는

이 곡은 1970년 진저베이커 공군이 녹음해 공군 기타리스트 겸 보컬(그리고 미래 윙스 멤버였던 전 무디스 블루스) 데니 레인이 불렀다.[34]이 싱글은 스튜디오로 녹음되었지만, Royal Albert Hall에서 녹음된 라이브 버전은 그들의 1970년 데뷔 앨범에 포함되었다.이 밴드는 딜런과 비슷한 멜로디를 사용했으며, 대부분의 경우 딜런의 가사(그러나 '버밍햄'을 '콜로라도'로 대체)도 썼다.주로 A, D, E의 주요 음계에 머물렀지만 바이올린, 전기 기타, 색소폰으로 편곡은 크게 달랐다.그것은 그 밴드의 유일한 차트 싱글이었다.

차트

차트(2008) 피크
포지션
US 빌보드100[35] 85
캐나다 탑 싱글(RPM)[36] 64

소기 보텀 보이즈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
Man of Constant Sorrow by The Soggy Bottom Boys - single cover.jpg
바이 더 눅눅한 보텀 보이즈
앨범 O Brother, Where Art Thou?
방출된2000년 12월 5일 (2000-12-05)
장르.
길이4:20
라벨머큐리 내슈빌
작곡가알 수 없는
프로듀서T 본 버넷
공식 오디오
유튜브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밴드와 함께)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다"라는 제목의 주목할 만한 표지는 영화 "오 형제, 어디 예술인가?"[2]의 가상의 포크/블루그래스 그룹 "Sugy Bottom Boys"에 의해 제작되었다.프로듀서 티 버넷은 앞서 스탠리 브라더스의 녹음을 코엔 형제의 영화 '빅 레보스키'의 곡으로 제안했으나 컷 통과는 못했다.그들의 다음 콜라보레이션인 O Brother, Where Art Thou?를 위해 그는 이 노래가 주인공에게 잘 어울릴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2][37]초기 계획은 이 노래를 이 영화의 주연 배우인 조지 클루니가 부르는 것이었지만, 그의 녹음은 요구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38]버넷은 나중에 클루니와 함께 작업할 시간이 2, 3주밖에 남지 않았다고 말했는데, 클루니는 믿을 만한 히트 컨트리 레코드의 녹음을 준비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37]

이 곡은 할리 알렌과 팻 엔라이트와 함께 댄 타이민스키(주인공)가 스탠리 버전을 바탕으로 녹음한 곡이다.[15]타이민스키도 편곡의 기타 부분을 작사, 연주, 변경했다.[37]사운드트랙 앨범에는 타이민스키의 두 버전이 수록되어 있으며, 백업 악기가 서로 달랐다.이 영화에서 이 영화는 소기 바텀 보이즈에게 히트를 쳤고, 나중에 스크린 밖에서 진짜 히트를 쳤다.타이민스키는 론 블록과 함께 크로스로스 기타 페스티벌에서 이 곡을 공연했고 앨리슨 크라우스와 함께 라이브로 라이브를 했다.

이 곡은 2001년 'Single of the Year'로 CMA상을, 2002년 'Best Country Collaboration with Vocals'로 그래미상을 받았다. 곡은 2001년 국제 블루그래스 음악 협회에 의해 올해의 노래로 선정되기도 했다.[39]그것은 빌보드 컨트리 송 차트에서 35위로 정점을 찍었다.[15]2016년 11월까지 미국에서 100만 부 이상이 팔렸다.[40]

인원

출처:

차트

차트(2002) 피크
포지션
프랑스(SNEP)[42] 167
미국컨트리 노래(빌보드)[43] 35

다른이들

  • 1920년대 – 미국 델타 블루스 아티스트 델타 블라인드 빌리(Delta Blind Billy)의 곡 "Hidden Man Blues"에는 '내 하루 종일 슬픔의 남자 / 내가 자란 집을 떠났다'[44]는 대사가 있었다.
  • 1937년 – 앨런 로맥스는 사라 오간 구닝이 미국민요 도서관 자료실에서 자신의 버젼인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소녀다"를 공연한 것을 녹음했다.그녀의 버전도 페기 시거(그러나 그녀의 멜로디는 아서 버전과 더 비슷하다), 토시 애런, 바바라 데인과 같은 다른 가수들에 의해 다루어졌다.1964년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에서 이 곡을 다시 녹음했고, 1965년 앨범 《Continent Sorrow》에서도 음반을 발매했다.[14]
  • 1947년 – Lee와 Juanita Moore의 라디오 방송국 WPAQ에서의 공연은 녹음되었고 이후 1999년에 발매되었다.그들은 1939년에 이 노래의 취급으로 새로운 저작권 등록을 허가받았다.[2][45]
  • 1960 – 이 곡의 버전인 "Continent Sorrow"는 조안 배즈에 의해 1960년 여름에 녹음되었다.[28]이 버전은 1960년 뱅가드 레이블에 데뷔 앨범인 조안 배즈의 발매 원본에서 제외되었지만 2001년 발매된 앨범의 CD 버전에서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46][47]배즈 역시 성별에 변화가 없는 '상속적인 슬픔의 남자'를 기록했다.[48]
  • 1961 – Judy Collins의 1961년 데뷔 앨범인 A Maid of Constant Sorrow는 앨범에 수록된 곡의 변종에서 이름을 따왔다.[49]
  • 1961년 – Roscoe Holcomb는 버전을 녹음했다.[4]
  • 1962 – Mike Seeger의 앨범 Old Time Country Music, Folkways FA 2325에 등장한다.[50]마이크 시거는 이 곡의 세 가지 버전을 녹음했다.[4]
  • 1962년 – 1962년 자칭 데뷔 앨범에서 피터, 폴, 메리는 "Sorrow"[51]로 또 다른 버전을 녹음했다.
  • 1966년 – Waylon Jennings가 1966년 메이저 레이블 데뷔 포크 컨트리(Folk-Country)[52]에 녹음했다.
  • 1969년 – Rod Stewart데뷔 솔로 앨범에서 이 노래를 다루었다.딜런의 버전에 기초한 것이었지만, 딜런의 자체적인 편곡을 가지고 있었다.[53]
  • 1972아카펠라 버전은 딜라드의 1972년 LP 뿌리와 가지에 나타난다.[54]이 버전은 단 두 구절만 가지고 있었고 켄터키 주를 미주리로 대체했다.
  • 1993년 – "Man of Constant Sorrow"는 제리 가르시아, 데이비드 그리스만, 토니 라이스가 1993년 2월 어느 주말 주말에 녹음한 많은 노래 중 하나이다.제리의 녹음된 세션 카피는 후에 그의 피자 배달부에 의해 도난당했고, 결국 언더그라운드 클래식이 되었고, 마침내 편집되어 2000년에 The Pizza Tape로 발매되었다.[55]
  • 2003 - Skewiff "Man of Constant Sorrow"는 볼륨 11 디스크 1 트랙 20에서 발표된 트리플 J Hott 100, 2003에서 96위에 올랐다.[56]
  • 2012 - Charm City Devils는 다양한 빌보드 록 차트에 오른 "Man Of Constant Sorrow"[59]를 발매했다 - 액티브 록에서 메인스트림 노래[57] 22위,[58] 핫 록 노래에서 48위.
  • 2015년 – 드와이트 요아캄은 앨범 Second Hand Heart에서 이 노래를 다루었다.요아캄의 연주는 '로카빌리' 소리를 내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60][61]
  • 2015 – Blitzen Trapper는 두 번째 시즌의 "Rinoceros" 에피소드의 크레딧을 넘나들며 연기한 블랙 코미디 범죄 드라마 시리즈 Fargo의 전용 곡을 다루었다.[62]
  • 2018 – Home Free, 한 나라/카펠라 스타일로 노래를 커버했다.그것은 또한 그들의 앨범 Timeless에서도 발매되었다.[63]
  • 2021 - 채널4 시트콤 We Are Lady Parts에서 주인공 아미나는 자신의 상황에 맞게 가사가 바뀐 곡의 변주곡을 부른다.[64]

패러디

2002년, Cleedus T. Judd는 자신의 앨범 Cleedus Sublish다이아몬드 리오와 함께 "Continuous Borrow의 남자"라는 제목의 패러디를 녹음했다.[65]

참조

  1. ^ "'O Brother' Soundtrack Rules 44th Annual Grammy Awards". BMI. February 27, 2002.
  2. ^ a b c d e f g h Steve Sullivan (October 4, 2013). Encyclopedia of Great Popular Song Recordings, Volume 2. Scarecrow Press. pp. 254–255. ISBN 978-0810882959.
  3. ^ "Man of Constant Sorrow – Richard Burnett's Story," 올드 타임 뮤직, No.10 (Autumn 1973), 페이지 8.
  4. ^ a b c d e f g Todd Harvey (2001). The Formative Dylan: Transmission and Stylistic Influences 1961-1963. Scarecrow Press. pp. 65–67. ISBN 978-0810841154.
  5. ^ a b c d e f g John Garst (2002). Charles K. Wolfe; James E. Akenson (eds.). Country Music Annual 2002.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p. 28–30. ISBN 978-0-8131-0991-6.
  6. ^ "Isaiah 53:3". Bible Gateway.
  7. ^ George Pullen Jackson (1943). Down-East Spirituals and Others. pp. 70–71.
  8. ^ a b c d Steve Sullivan (October 4, 2013). Encyclopedia of Great Popular Song Recordings, Volume 2. Scarecrow Press. pp. 296–297. ISBN 978-0810882959.
  9. ^ John Garst (2002). Charles K. Wolfe; James E. Akenson (eds.). Country Music Annual 2002.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p. 30–37. ISBN 978-0-8131-0991-6.
  10. ^ "Dr. Ralph Stanley: "Man of Constant Sorrow: My Life and Times" autobiography due out Oct 15". www.bluegrassjourna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9, 2012.
  11. ^ StanleyWayback Machine(오디오 프로그램 웹 페이지 링크)에서 2009-10-16년 Diane Rem Show Archived 2009-10-16에서 노래의 기원에 대해 논의한다.
  12. ^ a b c d "Folk Telephone: "Man of Constant Sorrow"". The Music Court. June 18, 2010.
  13. ^ a b c d e Paul Williams (December 15, 2009). Bob Dylan: Performance Artist 1986-1990 And Beyond (Mind Out Of Time) (Kindle ed.). Omnibus Press. ISBN 978-0857121189.
  14. ^ a b c "Sarah Ogan Gunning - Girl of Constant Sorrow". Folk Legacy.
  15. ^ a b c d e f Evan Schlansky (June 30, 2011). "Behind The Song: "Man Of Constant Sorrow"". American Songwriter.
  16. ^ a b c Oliver Trager (2004). Keys to the Rain: The Definitive Bob Dylan Encyclopedia. Billboard Books. pp. 411–412. ISBN 978-0823079742.
  17. ^ Robert Shelton (4 April 2011). No Direction Home: The Life and Music of Bob Dylan. Omnibus Press. ISBN 978-1849389112.
  18. ^ Robert Shelton (4 April 2011). No Direction Home: The Life and Music of Bob Dylan. Omnibus Press. ISBN 978-1617130120.
  19. ^ Greil Marcus (2010). Bob Dylan by Greil Marcus: Writings 1968-2010. PublicAffairs,U.S. p. 394. ISBN 9781586489199.
  20. ^ Charles K. Wolfe (November 26, 1996). Kentucky Country: Folk and Country Music of Kentucky (Reprint ed.).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 36. ISBN 978-0813108797.
  21. ^ a b David W. Johnson (24 January 2013). Lonesome Melodies: The Lives and Music of the Stanley Brother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pp. 23–24. ISBN 978-1617036460.
  22. ^ "Sawyer Fredericks Auditions For The Voice With "I Am A Man Of Constant Sorrow"". The San Francisco Globe. March 20, 2015.
  23. ^ "Stanley Brothers, The & Clinch Mountain Boys, The* – The Lonesome River / I'm A Man Of Constant Sorrow". Discogs.
  24. ^ Gary B. Reid (December 15, 2014). The Music of the Stanley Brother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 103. ISBN 978-0252080333.
  25. ^ David W. Johnson (24 January 2013). Lonesome Melodies: The Lives and Music of the Stanley Brother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p. 169. ISBN 978-1617036460.
  26. ^ "Stanley Brothers". Bluegrass discography.
  27. ^ Gary B. Reid (December 15, 2014). The Music of the Stanley Brother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 100. ISBN 978-0252080333.
  28. ^ a b Tom Moon (August 4, 2008). 1,000 Recordings to Hear Before You Die. Workman Publishing Company. p. 39. ISBN 978-0761139638.
  29. ^ Richard Middleton (September 5, 2013). Voicing the Popular: On the Subjects of Popular Music (ebook ed.). ISBN 9781136092824.
  30. ^ Jerry Hopkins (September 20, 1969). "'New' Bob Dylan Album Bootlegged in L.A." RollingStone.
  31. ^ Michael Gray (21 September 2006). The Bob Dylan Encyclopedia. Bloomsbury Academic. p. 76. ISBN 978-0826469335.
  32. ^ John Nogowski (15 July 2008). Bob Dylan: A Descriptive, Critical Discography and Filmography, 1961-2007 (2nd Revised ed.). McFarland & Co Inc. ISBN 978-0786435180.
  33. ^ Vince Farinaccio (2007). Nothing to Turn Off: The Films and Video of Bob Dylan. p. 246. ISBN 9780615183367.
  34. ^ "Ginger Baker's Air Force". AllMusic.
  35. ^ "진저 베이커 공군 차트 히스토리 (핫 100)"빌보드.
  36. ^ "최고 RPM 싱글: 발행 3828."RPM. 캐나다 도서관자료실.2021년 1월 30일 회수
  37. ^ a b c T Bone Bennett (August 22, 2011). "O Brother, Where Art Thou?". Huffington Post.
  38. ^ Ben Child (January 29, 2014). "Ten things we learned from George Clooney's Reddit AMA". The Guardian.
  39. ^ "Recipient History". IB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1-03. Retrieved 2015-06-04.
  40. ^ Bjorke, Matt (November 28, 2016). "Top 30 Digital Singles Sales Report: November 28, 2016". Roughstock.
  41. ^ 오 형제여, 어디 예술인가?(2000년), 머큐리 레코드, 170 069-2
  42. ^ "Sumgy Bottom Boys Feat. 댄 타이민스키 나는 끊임없는 슬픔의 남자다.(프랑스어)레즈 클라스싱 싱글.
  43. ^ "Sumgy Bottom Boys 차트 히스토리(핫 컨트리 송)"빌보드.
  44. ^ "Delta Blind Billy - Hidden man blues". Archive.org.
  45. ^ "WPAQ: Voice of the Blue Ridge Mountains". AllMusic.
  46. ^ 조안 배즈 올뮤직 링크
  47. ^ James E. Perone (October 17, 2012). The Album: A Guide to Pop Music's Most Provocative, Influential, and Important Creations. Praeger. ISBN 978-0313379062.
  48. ^ "Joan Baez – Very Early Joan". Discogs.
  49. ^ Trent Moorman (February 11, 2015). "Judy Collins Has Done Everything (Except Busking)". The Stranger.
  50. ^ Bill C. Malone (24 October 2011). Music from the True Vine: Mike Seeger's Life and Musical Journey.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p. 119. ISBN 978-0807835104.
  51. ^ Craig Rosen (30 September 1996). The Billboard book of number one albums: the inside story behind pop music's blockbuster records. Billboard Books.
  52. ^ Vladimir Bogdanov; Chris Woodstra; Stephen Thomas Erlewine (November 1, 2003). All Music Guide to Country: The Definitive Guide to Country Music. Backbeat Books. p. 376. ISBN 978-0879307608.
  53. ^ Eric v.d. Luft (October 9, 2009). Die at the Right Time!: A Subjective Cultural History of the American Sixties. Gegensatz Press. ISBN 9781933237398.
  54. ^ John Einarson (2001). Desperados: The Roots of Country Rock. Cooper Square Press. p. 206. ISBN 978-0815410652.
  55. ^ Vladimir Bogdanov; Chris Woodstra; Stephen Thomas Erlewine (19 December 2003). All Music Guide to Country: The Definitive Guide to Country Music (2nd Revised ed.). Backbeat Books. ISBN 978-0879307608.
  56. ^ "Hottest 100 - History - 2003". www.abc.net.au.
  57. ^ "Mainstream Rock songs: August 4, 2012". Billboard.
  58. ^ "Active Rock: June 30, 2012". Billboard.
  59. ^ "Hot Rock Songs: June 9, 2012". Billboard.
  60. ^ "Review: Dwight Yoakam, 'Second Hand Heart'". NPR.org.
  61. ^ Sterling Whitaker (February 5, 2015). "Dwight Yoakam Announces Details of 15th Studio Album". Taste of Country.
  62. ^ "Review: 'Fargo' - 'Rhinoceros': Assault on precinct Luverne?". HitFix. November 17, 2015.
  63. ^ "Home Free's Roots Run Deep In "Man of Constant Sorrow" Video". The Country Note. 29 September 2018. Retrieved 6 April 2019.
  64. ^ "We Are Lady Parts". Channel 4. Retrieved 2021-05-24.
  65. ^ Cledus Envy (CD liner notes). Cledus T. Judd. Nashville, Tennessee: Monument Records. 2008. 85897.{{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