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프레드 시발트

Manfred Siebald
맨프레드 시발트
출생명맨프레드 시발트
태어난1948
기원독일.
장르
직업싱어송라이터, 대학교수
년 활동1970 –
웹사이트http://www.siebald.org/

맨프레드 시발트(Manfred Siebald, 1948년 10월 26일 알하임바움바우바흐 출생)는 독일의 싱어송라이터 겸 마인츠에서 미국학 강사다.

시발드는 현대 예배음악을 쓰고 연설하는 기독교 싱어송라이터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가 부른 Neues Geistliches Lied(NGL) 장르의 노래는 많은 다양한 기독교 교파의 노래책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독일 전역의 펠로우쉽과 청소년 단체에서 불려지고 있다.

예술적, 음악적 경력

어렸을 때 맨프레드 시발드는 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 등 여러 악기를 연주하는 법을 배웠다. 그는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공부한 것과 함께 조화 및 노래 교육을 받았다. 1970년 초에 그는 그리스도의 합창단을 지휘하고 그리스도 성가대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그는 또한 그 당시 자신의 첫 싱글곡인 "Meinst du wirkrich, es genügt?"를 발표했다. 1972년에 그는 그의 첫 솔로 앨범을 출판했다. "Da steh ich nun"이라는 제목이다. 시발드는 브뤼셀빌리 그레이엄 조직에 의해 조직된 국제 청소년 회의와 복음주의 운동인 유로페스트에서의 75년 공연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시발드는 종종 그의 스타일 때문에 싱어송라이터인 라인하르트 메이와 비교되었고, 때때로 그의 나라에서 기독교 음악에 대한 영향 때문에 그레이엄 켄드릭과 비교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독일 기독교 가수 중 가장 유명한 작곡가가 되었고,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는 무엇보다도 2003년 앨범 In deinem Haus – A Crevant to Manfred Siebald의 발매로, 다른 유명한 기독교 음악가들(그룹 Beatbetriebde Michael Janzde 등)이 시발트에서 가장 사랑한 곡들을 재해석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이 앨범은 플로리안 시츠만이de 편곡하고 아르네 코퍼만이de 프로듀싱을 맡았다.

시발드는 또한 영어 노래를 번역하고 다른 가수들을 위해 가사를 쓴다. 예를 들어, 그는 Cae Gaunt의 앨범de Welt von 1000 Wegen의 모든 가사를 썼다. 그는 종종 특별한 회의나 회의를 위한 주제가를 써 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1992년 성경를 맞아 "Von Deinen Worten Könen Wir Leben"(We Can Live Off Your Words)을 썼을 때도 그랬다. 지금까지 시발드는 약 350곡의 곡을 펜으로 썼고, 19개의 앨범을 제작했으며, 7권의 시집을 출판했다.

Manfred Siebald는 다양한 어쿠스틱 기타에 동행하면서 매년 약 30회의 콘서트를 연다. 이를 위해 그는 독일 전역과 해외를 여행한다.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스리랑카를 포함한 해외 콘서트를 위해, 그는 그의 노래를 영어 버전으로 제작했다.

학력

1967년, 시발드는 카셀의 중등학교를 졸업했다. 독일 청소년 합창단과 함께 미국 투어를 하던 중 1969년 인디애나 노스 맨체스터맨체스터 칼리지에서 공부했다. 그 후 그는 마르부르크의 필립스 대학에서 독일어와 영어 언어학을 읽었다. 그는 1972년 첫 주 졸업장 시험을 치르면서 영어와 독일어 중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 훈련했다. 1973년 결혼 후 3년간 학업을 중단하면서 1976년 2차 국가고시를 치르면서 교사 연수를 마쳤다.

1977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에서 미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논문Auflehnung im Werk Herman MelvillesHerman Melvilles 소설 속의 반란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 1983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의 미국학 부교수(텐더드)로 임명되어 박사과정을 마친 후 학업을 계속하였다. 그는 휴튼 칼리지 (Illinois)에서 안식년 휴가를 보내고 (1992년 클라이드 S. 킬비 교수) 애틀랜타 조지아 주립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1996년과 1997년)를 지내면서 마인츠에서의 업무를 중단했다. 첫 해(1996년)에 시발드는 2003년에 출판된 《아메리카니스첸 리터쳐》에서 모노그래프 《더 베를로렌 손》을 제작하였다. 그는 2002년에 마인츠에서 미국학 부교수로 임명되었고 현재까지 그곳에 남아있다.[1]

기타 활동

맨프레드 시발드는 독일 대학대학 크리스천 펠로우십(UCCF)에 해당하는 독일의 SMD(Schoolenmission of Deutschland)의 믿음과학연구소 큐레이터다. 1979년, 전국 텔레비전 특집 "내 노래가 시끄러운지 부드러운지"가 그의 작품에 대해 방송되었다. 같은 해 웨츨라르에 기독교 예술 단체인 다스 래드(The Wheel)를 공동 창립했으며, 다른 50여 명의 기독교인들도 예술에 종사하고 있다.

그는 의사 크리스틴 시발트(네 스토스버그)와 결혼했으며, 그들은 1984년에 태어난 아들 벤자민을 두고 있다.

2008년 호르스트 쾰러 대통령은 국내외에서 지칠 줄 모르는 자선 활동에 대해 자신과 부인에게 연방 공로훈장을 수여했다.[2]

음악

대중가요

  • "A Stone Drops in the Ponder" - "A Stone Drops in the Ponde,"
    원문("스파크만 있으면 된다")과 음악: 커트 카이저de
    (현재의 독일 개신교 찬송가 에반게리시스 게상부치에서 그의 가장 잘 알려진 노래)
  • 【에스 게트 오네 고트 인 다이 던켈히트】 – "신이 없으면 어둡다"
  • "Dein Dainem Haus" – "주님, 집으로"
  • "예수님, 주디르 칸 이흐로 코멘 위 이찌 빈" – "나 있는 그대로 예수님, 너에게 갈 수 있다."
    (음악: 요하네스 니치de)
    (이것은 매일 저녁de 프로크리스도 십자군원정 때 불려졌다.)
  • „굿, 다스 위르 아난데르 하벤 - "우리 둘이 같이 있어서 좋다."
    (크리스찬 펠로우쉽의 장점에 대한 노래)
  • "Friede sie mit dir" – "e와 함께 평화" (베네딕션)
  • „Du bist mein Rabe - "You are my caven"(러브송)
  • ü베르 나흐트 - "밤을 넘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독일 통일 1989/90에 대한 노래)
  • "Mit Federleichter Hand" – "With a Soft Touch"(러브송)
  • "Wenn der Mund summ ist" – "만약 내가 혀를 참으면"
    (2001년 9월 11일 공격에 대한 노래)
  • „Die Weihnachtsfreude - "크리스마스 기쁨"
    (만화 Die Stadt, die Weihnachten vergaß크리스마스를 잊은 마을)의 주제곡으로 잘 알려진 캐롤.
  • "Wenn Wir Gott in der Höhe Ehren" – "만약 우리가 가장 높은 곳에서 하나님을 찬양한다면" (크리스마스 캐롤)

음반 목록

싱글

  • "Meinst du wirklich, es genügt?"(1970)
    정말 충분하다는 말인가?"

비닐앨범

  • 다 스테 이흐 수녀 (1972)
    난 여기 서 있다
  • Ich Gehe weiter (1974년)
    내가 누를게.
  • Das ungedünte Feld (1976년)
    유기농 식품 분야
    참고 항목: 토론
  • Zeitpunkte(1978년)
    시점
  • 우베랄 모자 고트 세인 르우트(1983) ("맨프레드 시발트와 친구들")
    신은 어디에나 그의 백성이 있다.
    제목은 맨프레드가 안드레이 크라우치의 곡 "Through it all"을 번역한 데서 따온 것이다.
  • 크루즈슈나벨(1985)
    크로스빌
  • 알레스 아우프 세인 와이즈 리버시디어(1986)
    자신만의 방식으로 모든 것을 – Love song

컴팩트 디스크

  • Gib mir die richtigen Worte(1987) (샘플러)
    현명하지만 간단한 단어
    참고 항목: 토론
  • 스푸렌 (1988)
    트레이스
  • 폰 베겐 (1991년
    말도 안돼
  • 아마세먼트
    (Tom Keene이 마련한 기구)
  • Du Bist mein Rabe – Lieder von der Liebe(1993)
    You are my caven – Love songs
  • Worte Wie Brot Lieder für den Gottesdienst (1994년) ("Manfred Siebald and friends")
    빵과 같은 단어 – 예배 노래
  • Lass uns Freunde sein (어린이를 위한 노래)(1996) ("Manfred Siebald and children")
    우리 친구가 되도록 하자.
  • 니콜트 베르게센(1998)
    잊지 않음
  • 웰트베게겐데 윈치키텐(2000년)
    세상을 돌아가게 하는 작은 것들
  • Die Engel uns sagen (2000) ("Manfred Siebald and friends") – 크리스마스를 위한 노래
    천사들이 우리에게 하는 말
  • 비엘리히트 콤스트미트(2001)
    어쩌면 너도 따라올지도 몰라.
  • Morgenmantelmorgen(2004)
    드레싱 가운 모닝
  • Singen Sie 대머리 mit? (2005) (샘플러) 맨프레드 시발드의 회합곡
    따라 불러줄래?
  • Ich lass dich nicht fall (2006)
    나는 너를 넘어뜨리지 않을 것이다.
  • 처음 네 장의 비닐 앨범은 4-CD 팩으로 컴팩트 디스크에서 다시 발매되었다.

출판물

학술 간행물의 광범위한 목록은 [1]을 참조하십시오.

시집

  • Schon ales gesagt (1976) 시집은 모든 것이 말해졌는가?
  • Worauf noch warten (1980) 시 모음 Why Wait Wait
  • 크뢰즈슈나벨(1983) 시집 크로스빌(안드레아스 펠거de 목판화 포함)
  • 위르 브라우첸 돌연변이(1992) 시집 우리에겐 용기가 필요하다
  • 렌 디크 주뤼크(1992) 시 모음집 린
  • 아우겐 아벨레센(1993) 시집 《내을 읽다》
  • Du Bist mein Rabe (1993) 시집 You Are My Raven (Christine Siebald와 함께)

다른 책들

  • Auflehnung im Werk Herman MelvillesHerman Melvilles 소설 속의 반란 (1979년) (탈교)
  • Eine Handvoll shöner Gedanken 진언 모음집 – 한 줌의 아름다운 생각(1985)
  • Das Leben ist eine Bouleban – 인생은 볼링장(2003)
    ISBN3-417-24724-1
  • 데어 아메리카니셴 리터쳐의 베를로렌 손(Der Verlerne Son)
    ISBN3-8253-1302-6(모노그래프)
  • 다이간즈 웨이트: 아인 아메리카-리스부치 - 큰 그림: 미국 프라이머(2004)
    ISBN3-87630-525-X
  • Gib mir den 리치티겐 톤. Lauter Liedergeschicten – 올바른 소리를 내라. 명곡 이야기(2006)
    ISBN3-7751-4355-6
  • 도로시 L. 세이어스: 레벤 베르크 게단켄 – 그녀의 삶, 일, 생각(2007)
    ISBN978-3-937896-51-9
  • Pitti léchelt und Andere Geschicten – Pitti는 미소 지었고 다른 이야기(2008)
    ISBN978-3-7655-1982-6

기사들

  • Americanisierung des Des Starames und Dramatisierung Amerikas – Americanization of Dramas and Dramatization of America and Dramatization of America)
    Hans Helmke의 결혼 연구, Horst Immel과 Manfred Siebald의 기고.
  • "지구의 소금." 영문학의 성서전통사전에 실린 글. 데이비드 라일 제프리 편집국장 그랜드 래피드: W.B. 에르드만, 1992.
    ISBN0-8028-3634-8.

참조

  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06. Retrieved 15 September 2009.{{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2. ^ http://www.uni-mainz.de/presse/22189.php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