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다토시' (오라토리오)
Laudato si' (oratorio)라우다토시' | |
---|---|
아인프란지스카니쉬 마그니피카트 | |
피터 룰레인의 오라토리오 | |
본문 | 헬무트 슐레겔 |
언어 |
|
에 기반을 둔 | 매그니피랏 |
수행했다 | 2016년 11월 6일 ( |
출판된 | 2016년 뎀 베를라그 |
채점 |
라우다토시'는 2016년 피터 룰레인이 헬무트 슐레겔의 리브레토에 작곡한 오라토리오입니다. 부제인 "아인 프란시스카니스 마그니피카트"는 "아시시의 클레어", "아시의 프란시스", "아시의 프란시스", "교황 프란시스"의 글로 확장된 "그 마그니피카트"의 라틴어 전문을 포함합니다. 작곡가는 5명의 솔리스트, 어린이 합창단, 코랄촐라, 혼성 합창단, 교향악단, 오르간을 위해 그것을 정했습니다. 2016년 뎀 베를라그에 의해 출판되었고, 2016년 11월 6일 림부르크 대성당에서 작곡가에 의해 초연되었습니다.
역사
이 작품은 림부르크 교구의 교회음악 분과인 RKM(Referat Kirchenmusikim Bistum Limburg)에 의해 조직의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의뢰되었습니다.[1][2] 이 작품은 그레고리오 성가, 어린이와 어른의 합창, 오르간 솔로 음악, Neues Geistliches Lied와 같은 교구의 교회 음악가들의 활동을 나타내기 위해 많은 다양한 음악 그룹과 스타일을 포함하도록 요청되었습니다. 본문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도권고 에반젤리 가우디움(2013)과 그의 회칙적인 라우다토시(2015), 마그니피카트가 전통 라틴어로 쓴 글들을 담기 위해 계획되었습니다.[1] 자유주의자인 프란치스코회 헬무트 슐레겔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와 아시시의 클레어의 추가 저술을 소개하고 2016년 자비의 특별한 주빌리에 해당하는 자비에 초점을 맞췄습니다.[3] 피터 룰레인은 작곡을 의뢰 받았습니다. 오라토리오는 2016년에 Dehm Verlag에 의해 출판되었습니다. 작곡가는 2016년 11월 6일 림부르크 대성당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초연을 지휘했습니다.[4]
구조.
작품은 프롤로그와 다섯 장면으로 구성됩니다.[5]
- 프롤로그: 에르ü티스트 디 자이트 (시간 충족)
- 장면 1: Die Schöpung tantt – Die Schöpung klagt (창작춤 – 창작 애도)
- 장면 2: 고테스 노이베긴(신의 새로운 시작)
- 장면 3: 에르가브 디르 아템, 가브 디르 뷔르데 (그는 당신에게 숨을 주고, 당신에게 존엄성을 주었습니다)
- 장면 4: Das Leben Feiert Aufstand (인생은 소란을 축하합니다)
- 장면 5: 아인제더 오겐블리키스트 안팡 (모든 순간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테이블
다음 표에서는 문자를 축약하고 배경색은 마그니피카트 텍스트(녹색), 이탈리아어 텍스트(갈색), 히브리어 텍스트(파란색)를 강조합니다.
장면 | 제목 | 천사 | 메리 | 클레어 | 프란시스 | 교황 | 합창단 | 스콜라 | 마킹 | 원천 |
---|---|---|---|---|---|---|---|---|---|---|
프롤로그 | 알스디 자이트르 war트 전쟁 | A | 차 | 슈 | 렌토미리오소 | |||||
1 | 라우다토시의 미 시뇨레 | C | F | P | 칠드런 치 | 알레그로그라치오소 (타란텔라) | ||||
다이스라이에 | 슈 | 알레그로콘푸오코 | ||||||||
인 클라겐트 트라우어 샤우엔 위르 주루크 | P | 아다지오 (탕고 드 라 라 라만타시온) | ||||||||
Aufbrechen wollen wir, nicht klagen | 차 | 렌토콘체인지 | ||||||||
2 | 데어 엥겔워의 | A | M | 온건돌체 | ||||||
삼각형 카로팩터um | 슈 | 렌토 | ||||||||
매그니피아트 애니마메아 | M | 차 | 알레그로페스티보 | 누가복음 1:46-47 | ||||||
퀴아레스펙시트휴일테임 | M | 렌토 | 누가복음 1장 48절 | |||||||
에코하임 엑소시움 | M | 차 | 렌토 | |||||||
글라우벤 쾨넨위 뒤 | 차 | 모데라토 칸타빌레 | ||||||||
3 | 가나의 에스와르 | M | 미스테리오소 | |||||||
샬롬알레켐 | 칠드런 치 | 알레그로(클레즈머) | ||||||||
Seht, Unent Berhlichist as Weibliche Talent | P | 차 | 언포콜렌토 준레시타티보 | |||||||
Du, Gott, mergsagt가 있습니다. | A | M | 콘모토 | |||||||
키아 분변 미히마그나 | M | 차 | 안단테콘토 | 누가복음 1장 49절 | ||||||
에트미세르디아 | M | 차 | 안단테 칸타빌레 | 누가복음 1:50 | ||||||
4 | 스타바트 마터 | SchM | 빌려주었다. | |||||||
위르스덴은 크로이츠의 임기를 채우지 못하였습니다. | M | 라르모소에페산테 | ||||||||
회르트 고테스 러프 | P | 레치타티보 | ||||||||
분변포텐티엄 | 차 | 알레그로콘푸오코 | 누가복음 1:51 | |||||||
Du Mensch, gedenke | C | F | 렌토레치타티보 | |||||||
예금 포텐셜 | 차 | 알레그로 콘브리오 | 누가복음 1:52 | |||||||
아만데어뉴엔우체 | M | 렌토레치타티보 | ||||||||
Etaltavit humiles | 차 | 안단테 마에스토소 | ||||||||
에수리엔테스 | M | 차 | 안단테 마에스토소 | 누가복음 1:53 | ||||||
수셉트 이스라엘 | 슈 | 메노모소 | 누가복음 1:53 | |||||||
할렐루야 | A | M | C | F | P | 칠드런 치 | 알레그로 (아프리카 노래 부름과 응답) | |||
5 | Sicut locutus est | 슈 | 준레치타티보 | 누가복음 1:53 | ||||||
고트, 뒤비스트 하일리그 | P | 안단테그라치오소 (탕고 데 라 컨피덴시아) | ||||||||
듀비스트 다이 프로이드 | C | F | P | |||||||
글로리아 패트리 | 차 | 알레그로페스티보 | 독스학 | |||||||
아인제더 태그 | 칠드런 치 | 찬송가 | ||||||||
아멘, 할렐루야 | 차 | 안단테 칸타빌레 in stile barocco | ||||||||
라우다토시' | A | M | C | F | P | 칠드런 치 |
장면들
마그니피카트의 구절에 대해 다양한 행동이 언급됩니다. 프롤로그는 하나님이 시간이 성취되었을 때 아들을 보냈음을 알리는 천사를 소개하고, 코랄촐라는 아들이 자비의 얼굴을 보여준다고 강조하며, 합창단은 시간이 성취되었음을 마무리합니다.[5]
장면 1은 아시시의 클레어와 프란치스코가 타란텔라 리듬으로 "라우다토시"를 부르는 것을 소개하고, 결국 합창단이 합류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다지오에서 인간에 의해 야기된 환경의 슬픈 상황을 노래하면서 확장한 '디세이라'를 논하고 있습니다. 교황의 고국을 기리기 위한 탱고 드 라 라 타라시옹. 이 장면은 Neues Geistliches가 거짓말한 "Aufbrechen wollen wir, nicht klagen"[5]으로 끝납니다.
장면 2에서, 메리는 자신의 출애굽기에 대한 경험을 말하고 합창단과 함께하는 마그니피카트를 시작합니다. 이 장면은 2009년 슐레겔의 "Glauben könen wie du"와 요아힘 라베(Limburg의 지역 부분 GL 885)의 멜로디로 마무리됩니다.[5]
장면 3은 클레즈머 음악으로 묘사된 카나에서의 결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사회와 교회에서 여성의 목소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메어리는 현재 마그니피카트에서 합창단과 함께 부르는 "Et misericordiaeius" (그리고 그의 자비)를 부릅니다.[5]
장면 4는 스콜라가 십자가형을 마주하며 스타바트 마터를 노래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가난, 전쟁, 난민, 강제 성매매 등 2016년 드라마를 낭송적으로 연결합니다. 정의를 창조하는 하나님의 강한 팔에 초점을 맞춘 마그니피카트의 구절은 합창하는 푸가들에게 주어지는데, 클레어와 프란시스는 이를 중단시켜 듣는 사람에게 그가 누구인지 성찰하도록 상기시킵니다. 아이들은 할렐루야를 모든 솔리스트와 혼성 합창단이 함께하는 아프리카의 부름과 응답으로 엽니다.[5][6]
장면 5는 스콜라가 마그니피카트의 마지막 구절인 "Sicut locutus est"(말한 대로)를 부르며 시작하는데, 프란치스코와 교황, 클레어는 신을 찬양하는 탱고 드 컨피덴시아로 화답합니다. 합창단은 이전 장면의 모티브를 회상하는 독스톨로지 "Gloria Patri"로 답합니다. 새로운 요소는 세 번째 곡인 "Einjeder Tag and Augenblickist Neuland"로 청중들이 노래에 참여합니다.[6] 작품은 아멘/할렐루야의 스틸 바로코에 있는 이중 푸가로 마무리됩니다.[5]
채점
오라토리오는 등장인물, 어린이 합창단, 코랄촐라, 최대 8부로 나뉜 대형 혼성 합창단, 교향악단, 오르간을 대표하는 5개의 솔로 목소리에 대해 점수를 매깁니다.[7]
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엔젤(소프라노)
- 마리아 (소프라노)
- 클레어 오브 아시시 (알토)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 프란치스코 교황
이 오케스트라는 플루트, 클라리넷, 오보에, 바순, 두 개의 트럼펫, 두 개의 호른, 트롬본, 튜바(애드리브), 팀파니, 타악기(탬버린, 드럼, 매달린 심벌, 트라이앵글, 차임, 튜닝 글라스, 마림바, 젬베, 글로켄슈필), 하프, 현악기를 포함합니다.[5]
초연 및 리셉션
초연에서 어린이와 청소년 합창단은 카린 메일-폴리브카가 [8]지휘하는 마리아 로젠크란츠 출신이었습니다.[9] 이 혼성 합창단은 작곡가 리브프라우엔, 프랑크푸르트, 성악 합주단과 청소년 합창단 카푸치니스에서 2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2개의 4개의 그룹을 합쳤습니다. 마틴, 이드스타인, 초르 세인트 마틴과 청소년 합창단 마르티니스.[8] 스콜라는 프란츠 핑크가 지휘하고 [9]성당 뒤편에 있는 오르간 로프트에서 노래를 부른 교구 내 그룹 가수들에 의해 결성되었습니다. 종종 장기를 소개하고 동반하기도 합니다.[8] 이 자리를 위한 오케스트라는 앙상블 컬러리토였고, 대성당 오르간은 웨스터벨더 돔의 오르간 연주자인 [9]요하네스 슈뢰더가 연주했습니다.[10] 솔리스트는 소프라노 마리나 헤르만(메리)과 야니나 뮐러(엔젤), 메조소프라노 안나 메첸(아시시의 클라레), 테너 안드레 하마스미(아시의 프란시스), 바리톤 요하네스 힐(프란치스코 교황)이었습니다.[8] 250명 이상의 음악 연주자들이 초연에 기여했습니다.[4][7][8]
Nassauische Neue Presse의 한 평론가는 성공적인 초연에 주목하며, 이 작품을 성경 구절, 행동, 명상적 충동의 음악적 콜라주("musikalische collage mit Bibelversen, erzählerischen Elementen, undmeditiven Impulsen")[8]로 묘사했습니다. 많은 연주자들을 나열하고 여러 장면을 평한 평자는 마지막 찬송가를 평화와 기쁨의 메시지라고 말했습니다.[8]
참고문헌
- ^ a b Großmann, Andreas (2016). "50 Jahre Referat Kirchenmusik / Auftragskomposition Laudato si' / Die Entstehung des Oratoriums" (PDF). Kirchenmusik Im Bistum Limburg (in German). Roman Catholic Diocese of Limburg: 5–6. Retrieved 9 January 2017.
- ^ Gottwals, Gernot (2 April 2016). "Bezirkskantor Peter Reulein / Musikalisch gibt er den Ton an". Frankfurter Neue Presse (in German). Retrieved 19 October 2016.
- ^ Schlegel, Helmut (2016). "50 Jahre Referat Kirchenmusik / Auftragskomposition Laudato si' / Der Text des Oratoriums Laudato si'" (PDF). Kirchenmusik Im Bistum Limburg (in German). Roman Catholic Diocese of Limburg: 6–8. Retrieved 9 January 2017.
- ^ a b ""Laudato Si' – Ein franziskanisches Magnificat" / Franziskanisches Musikerlebnis im Limburger Dom – Premiere bereits ausverkauft" (in German). Deutsche Franziskanerprovinz. 17 October 2016.
- ^ a b c d e f g h Reulein, Peter; Schlegel, Helmut (2016). Laudato si' / Ein franziskanisches Magnificat. Limburg an der Lahn: Dehm Verlag. p. 230. ISBN 978-3-943302-34-9. ISMN 979-0-50226-047-7.
- ^ a b Reulein, Peter (2016). "50 Jahre Referat Kirchenmusik / Auftragskomposition Laudato si' / Die Musik zum Oratorium Laudato si'" (PDF). Kirchenmusik Im Bistum Limburg (in German). Roman Catholic Diocese of Limburg: 6–8. Retrieved 9 January 2017.
- ^ a b "Oratorium Laudato si' / Ein franziskanisches Magnificat in 5 Bildern – Für Soli, Chor und Orchester" (in German). Dehm Verlag. 2016. Retrieved 19 October 2016.
- ^ a b c d e f g Bohnhorst-Vollmer, Anken. "Bewegende Uraufführung / Chöre, Solisten und Orchester musizieren zum Jubiläum des Referats für Kirchenmusik". Nassauische Neue Presse (in German).
- ^ a b c Laudato si' / Ein franziskanisches Magnificat (program book). Roman Catholic Diocese of Limburg. 6 November 2016.
- ^ "Vita" (in German). Johannes Schröd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October 2016. Retrieved 10 January 2017.
외부 링크
- Laudatosi' (Schlegel/Rulein) Prolog & Bild 1 in YouTube
- 라우다토시' (슐레겔/룰레인) 빌트 2: 유튜브의 고테스 노이베긴
- 라우다토시' (슐레겔/룰레인) 빌트 3: 에르가브디르 아템, 가브디르 뷔르데 온 유투브
- Laudatosi' (슐레겔/룰레인) Bild 4: Das Lebenfeert Aufstand on YouTube
- '로다토시': 할렐루야! 유투브에서
- Arendt, Gerda (2017). "Laudato si' im Limburger Dom – Idsteiner Chöre waren bei der Uraufführung des Oratoriums beteiligt" (PDF). Martinsfeuer Januar 2017 (in German). St. Martin, Idstein. p. 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 February 2017. Retrieved 21 January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