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우 분기선
Marlow branch line말로우 분기선 | |||
---|---|---|---|
![]() 2006년 본 엔드와 말로 사이를 달리는 최초의 그레이트 웨스턴 클래스 165 DMU. 이 서비스는 현지에서 "마로우 당나귀"로 알려져 있다. | |||
개요 | |||
상태 | 운영 | ||
소유자 | 네트워크 레일 | ||
로캘 | 버크셔 주 버킹햄셔 남동 잉글랜드 | ||
터미 | 메이든헤드 말로우 | ||
스테이션 | 5 | ||
서비스 | |||
유형 | 헤비 레일 | ||
시스템 | 내셔널 레일 | ||
연산자 |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 ||
롤링 스톡 | 165급 "터보" 클래스 166 "터보 익스프레스" | ||
역사 | |||
열린 | 1854 | ||
기술 | |||
트랙 길이 | 10개 체인 7마일(11.5km) | ||
트랙 수 | 싱글 트랙 | ||
캐릭터 | 지선 | ||
트랙 게이지 | 4ft 8+1⁄2 in (1,435 mm) 표준 게이지 | ||
구 게이지 | 7피트(2,520 mm) | ||
|
말로우 분기선 | ||||||||||||||||||||||||||||||||||||||||||||||||||||||||||||||||||||||||||||||||||||||||||||||||||||||||||||||||||||||||||||||
---|---|---|---|---|---|---|---|---|---|---|---|---|---|---|---|---|---|---|---|---|---|---|---|---|---|---|---|---|---|---|---|---|---|---|---|---|---|---|---|---|---|---|---|---|---|---|---|---|---|---|---|---|---|---|---|---|---|---|---|---|---|---|---|---|---|---|---|---|---|---|---|---|---|---|---|---|---|---|---|---|---|---|---|---|---|---|---|---|---|---|---|---|---|---|---|---|---|---|---|---|---|---|---|---|---|---|---|---|---|---|---|---|---|---|---|---|---|---|---|---|---|---|---|---|---|---|
|
말로우 지선은 버크셔의 메이든헤드와 본엔드, 버킹햄셔의 말로우 사이에 있는 영국의 단선 철도 노선이다. 그것의 길이는 7마일 10 체인(11.5km)이다.[1] 여객서비스는 그레이트웨스턴철도가 165급과 166급 디젤열차를 이용해 운행한다. 이 노선은 메이든헤드 역의 그레이트 웨스턴 본선과 연결되며, 구 와이콤브 철도에서 하이웨이컴으로 가는 구 와이콤브 철도 구간을 구 그레이트 마로우 철도와 함께 이용한다.
지선을 달리는 열차는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말로우 당나귀라고 알려져 있다. 카라우와 터너는 "강가로 물건을 나르는 짐꾸러기 말, 노새, 당나귀의 기차는 지역 주민들에게 대마로 철도를 타고 세례명을 지어주었는데, 이 기차는 오늘날까지 존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초대 회장의 증손자인 앤서니 웨터드 회장은 라인의 이름임을 시사하고 있다.[2] 세 번째 전통은 특정한 기관차를 나타낸다. 말로우의 펍은 그것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4]
열차 운행
오프피크 서비스는 메이든헤드와 말로우 사이의 각 방향에서 시간당 1대의 열차다. 아침과 저녁의 피크 시간 동안 두 개의 열차를 이용하여 시간당 두 개의 열차를 운행한다. 하나는 말로와 본 엔드를 왕복하는 열차와 또 다른 하나는 본 엔드와 메이든헤드 사이의 왕복 열차다. 이것은 본 엔드 스테이션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두 개의 플랫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말로우에서 출발하는 모든 기차는 본 엔드에 정차하고 후진해야 하는데, 말로우행 노선은 후행 연결부가 있고, 운전자는 이 노선의 두 번째 구간을 위해 종점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말로우 지부가 본 엔드 역에 진입하는 위치에 따라 말로우를 운행하는 열차의 길이는 165급 롤링 스톡 2개 코치로 제한된다. 이 노선의 대부분의 오프피크 열차는 말로우에서 시작하여 메이든헤드에서 종착한다.
지선이 제공하는 정산은 다음과 같다.
역사
건설
1846년 7월, 와이콤베 철도 회사는 의회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법은 메이든헤드의 원래 GWR(Great Western Trail) 역에서 하이 와이콤베까지 단일 노선을 건설하는 것을 승인했다. 1852년에 공사가 시작되었고, 1854년 8월 1일에 마침내 하이 와이콤베로 가는 완성된 노선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현재의 메이든헤드 역의 부지에 있는 GWR 본선을 떠났는데, 그 첫 번째 정류장은 메이든헤드(위컴베 분기점)로 1860년대에 이름이 바뀐 보이네 힐이었다. 이 역은 1871년 11월 1일 현재의 메이든헤드 역이 개통되면서 폐쇄되었다. 와이콤베 철도 회사는 1867년 2월 1일 GWR에 인수되었다.
1867년 8월 그레이트 말로우의 사업가들이 GWR 와이콤베 지선과의 연계를 논의하기 위해 만났고, 그 후 역에서 말로 로드(현 본 엔드)라고 불렀다. 대 마로우 철도법은 1868년 7월 13일 인가된 자본금 1만 8천 파운드로 왕실의 승인을 받았다. 이것의 약 3분의 1만이 현지에서 조달되었고 GWR은 나머지를 공급했다. 1873년 6월 27일 2.75마일(4.43km)의 노선이 개통되었고, 마로우 로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1874년 본 엔드로 개칭되었다.[2] 말로사는 노선을 유지하여 역무원을 공급하였고, GWR은 롤링 스톡을 공급·운영하였다. 522호인 GWR 517 클래스 0-4-2 안장탱크 기관차(Wolverhampton 1868년 울버햄프턴에 건설)는 다정하게 말로우 당나귀로 알려져 있었다. 1884년 스윈든웍스에서 522호가 재건되었고, 1935년 자동차 전용차들이 도입될 때까지 유사한 메트로 2-4-0급 기관차가 운행되고 있었다.[2]
1873년 본엔드 역과 말로우 역을 연결하는 지점이 추가되었다.
GWR은 1897년부터 나머지 수도를 인수하여 그 노선을 소유하였다.
노선의 최대 정지 수는 다음과 같다.
- 메이든헤드(최근에 메이든헤드 보이네 힐로 개칭하여 현재의 메이든헤드 역으로 사실상 대체)
- 쿡햄,
- 말로우 로드(최근에 본 엔드(Bourne End)로 개칭됨)
- 우번 그린 씨.
- Loudwater,
- 하이 와이콤비
1937년 (쿡햄 역 이전) 메이든헤드 외곽에 퍼제 플랫 역이 추가되었다.
부분폐쇄
하이와이콤베와 런던을 연결하는 이 노선의 원래 이유의 일부는 1906년 제라드 크로스를 통해 하이와이콤베에서 런던 패딩턴과 당시 새로 생긴 런던 메리본까지 직접 연결해주는 그레이트 웨스턴과 그레이트 센트럴 공동 철도의 개통으로 제거되었다. (Marylebone 노선은 경미한 변경으로 현재의 칠턴 본선(Chiltern Main Line)을 형성한다. 새로운 노선은 하이 와이콤비와 런던 사이의 교통의 대부분을 본 엔드 노선에서 빼앗아 갔다. 1962년 7월 증기 기관차는 디젤 복수 유닛으로 교체되었다. 이 서비스는 1969년까지 점차 축소되었고, 그 무렵에는 말로우 역이 철거되고 이전 물품 마당의 부지에 있는 작은 역으로 대체되었다. 라우드워터와 우번 그린은 매표소를 잃었고, 라우드워터는 단일 트랙 정지로, 쿡햄은 통과 루프를 잃었다.
마침내, 1970년 5월 2일, 본 엔드에서 하이 와이콤브까지 이어지는 노선은 당시 교통부 장관이 본 엔드에서 하이 와이컴브까지 노선이 개통되도록 하기 위해 6만 파운드의 영국 철도 위원회 허가를 거절한 후 승객들에게 폐쇄되었다.[5] 그 결과 우번그린과 라우드워터의 중간역들은 서비스가 없어 문을 닫았다.
Bourne End to High Wycombe 구간의 대체 버스 서비스는 Arriva Shires & Essex 서비스 37과 35에 의해 제공된다.[6]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구 노선이 점령한 토지의 상당 부분이 매각되고 구 철도의 경로에 다수의 건물이 건설되었다. 7개 교량 중 5개 교량, 즉 고든 로드, 현재 선로가 공장을 대체하는 주택지로 진입하는 구 E검메(G Plan가구) 공장 진입, 스프링 가든의 A40, 바셋베리 레인, 스프링 레인 등이 철거되었다. 보우든 레인의 다리(지금은 이 지점의 오솔길)가 남아 있고, 애비 반 레인의 밑바닥에는 그 다리가 구선 부지를 넘어 도로를 계속 나르고 있다. 향후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콤베의 본엔드, 우번 그린, 라이다워터, 와이콤베 마쉬 지역을 통과하는 노선의 경로가 도보/사이클 노선이나 버스 노선으로 따로 정해져 있어 현지 계획에 명시되어 있다. 본 엔드 석탄 야드 사이딩과 함께, Loudwater Station과 물품 마당은 현재 산업 및 사무 단위다.
미래
지역 보존 단체인 하이위컴비 소사이어티는 이 노선의 공학적 조사로 타당성이 확인된 경전철 복원에 대한 캠페인을 벌여왔다.[7] 2008년 9월, 버킹엄셔 카운티 의회는 복직 제안을 지지하고 민간 사업자에게 재건 사업에 재원을 요청했다.[8] 와이콤베 구의회는 그해 말 기획청문회에서 복직 가능성을 우번그린 와이컴베 레인의 선로 위에 주택을 건설하려는 계획 신청을 거부한 이유로 지목했다. 동일한 개발에 대한 이전 신청은 2006년에 거부되었고, 위원회의 결정은 계획 검사관에 대한 항소심에서 유지되었다.[9] 2009년 1월, 철도 노선 건설에 대한 두 번째 시도가 계획 감사원에 의해 거부되었는데, 이는 특히 향후 철도 노선 복원의 가능성을 동의 거부 이유로 들었다.[10]
2009년부터 윈저 링크 철도는 중전철을 위해 이 노선의 개통을 제안했다. 그들은 이것이 슬러에서 워털루로 연결되는 새로운 링크와 결합되어, 긍정적인 사업 사례와 런던 서부의 큰 시설 궤도 철도 연결을 가질 것이라고 주장한다.[citation needed] 그러나 이러한 계획들은 2018년 교통부에 의해 거부되었다.[11]
전기화
이 회선의 리마인더는 정부의 제어기간 5 철도 고출력 규격(2014년 4월~2019년 3월)에서 전기화를 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2] 2016년 1월, 서부 대본선의 21세기 핵심 현대화 지연으로 지부의 전기화는 배제되었다.[13]
경로 설명
메이든헤드 역의 그레이트 웨스턴 본선과 갈라져 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그렌펠 로드와 A4 캐슬 힐 아래를 지나 A308 말로우를 지나 다음 정류장인 푸르제 플랫을 바로 직전에 해로우 레인을 가로지르는 수평 교차로를 지나 절단작업에 들어간다. 푸르제 플랫에서 B4447 가드너 로드 아래를 지나 마을을 빠져나갈 때 옛 메이든헤드 로드와 나란히 지나며, 시골을 잠시 지나다가 두 번째 정류장인 쿡햄을 다시 건너게 된다. 쿡햄을 떠난 직후, 스테이션 힐에서 수평 교차로가 있고, 테리의 레인 아래를 약간 절단한 부분이 지나, 템즈강을 건너기 전에 코카르쉬 상공의 고가도로를 타고 올라가서, 본 엔드에 바로 도착한다. 여기서 운전기사는 말로우의 종말을 고하고, 수처리공사의 남쪽을 지나 스페이드 오크에 의해 템즈강 북쪽 둑을 따라 돌아가며, A404 말로우 우회도로와 마지막으로 선이 끝나는 말로우 역에 따라 돌아간다.
참고 항목
참조
- ^ 51°34′17″N 0°45′59″w / 51.5713°N 0.7663°W
- ^ a b c Paul Karau; Chris Turner (c. 1987). The Marlow Branch. Wild Swan Publications, Oxon.
- ^ "The Great Marlow Railway". Retrieved 10 Jun 2010.
- ^ "The Story of the Marlow Donkey". (from Summer 2003 Newsletter). The Marlow Society. 22 April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6-22. Retrieved 2009-08-22.
- ^ "Local History". Marlow–Maidenhead Passengers' Association. Retrieved 2014-07-20.
- ^ "Bus Timetables 1-100". Buckinghamshire County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1-13. Retrieved Nov 2, 2015.
- ^ 벅스 프리 프레스, 2008년 9월 26일 "본 엔드 철도 노선을 정상 궤도에 올려준 엘사에게 감사하다"
- ^ 2008년 9월 11일, 런던 지역 "철도 연결의 재개설 지원 위원회" 입니다.
- ^ Bucks Free Press, 2008년 11월 19일 "철도시설 재개설"
- ^ 2009년 1월 26일 "개발자가 우번 그린 하우스의 매력을 잃다"는 런던 지역이다.
- ^ Smale, Katherine (7 December 2018). "Windsor to Heathrow rail scheme 'rejected outright'". New Civil Engineer. Retrieved 3 February 2019.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8-13. Retrieved 2012-07-17.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2-04. Retrieved 2016-07-2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추가 읽기
- Mitchell, Vic & Smith, Keith (2002). Branch Lines to Henley, Windsor and Marlow. Middleton Press. ISBN 1-901706-77-X.
- Leigh, Chris (7–20 May 1997). "The 'Donkey' and the 'Turbo'". RAIL. No. 304. EMAP Apex Publications. pp. 32–36. ISSN 0953-4563. OCLC 49953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