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드 쿠니 하레

Maud Cuney Hare
마우드 쿠니 하레
Maud Cuney Hare facing page 132 Norris Wright Cuney 1913.jpg
태어난(1874-02-16)1874년 2월 16일
죽은1936년 2월 13일 또는 14일, 61세
미국 보스턴, 매사추세츠
휴게소갤버스턴 레이크뷰 묘지
29°16′52″N 94°49′33″w/29.28111°N 94.82583°W/ 29.28111; -94.82583
기타 이름마우드 쿠니
모교뉴잉글랜드 음악원
로 알려져 있다.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 문서화
배우자윌리엄 파커 헤어
상위 항목노리스 라이트 쿠니, 아델리나 다우디 쿠니

마우드 쿠니 하레(Née Cuney, 1874년 2월 16일 ~ 1936년 2월 13일[1][2]: xvi )[2]: xxviii [3]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있는 미국의 피아니스트, 음악학자, 작가, 흑인 활동가였다.그녀는 재건시대 이후 텍사스 공화당을 이끌었던 유명한 민권 지도자 노리스 라이트 쿠니(Norris Wright Cuney)와 그의 부인 아델리나(Née Dowdie)의 인 갤버스턴에서 태어났다.1913년 쿠니헤어는 그녀의 아버지의 전기를 출판했다.[4]

본질적으로 해방 후 2세대의 일부였던 쿠니 헤어는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공부했고 뛰어난 피아니스트가 되었다.그녀는 성인 생활의 대부분을 보스턴의 이웃인 자메이카 평원에서 살았다.음악학자였던 그녀는 민속학 연구로 남부와 카리브해 전역에서 음악을 수집했고, 크리올 음악을 처음으로 연구했다.그녀는 아프리카계 미국 음악의 발전을 기록한 마지막 작품인 '네그로 뮤지션과 그들의 음악'(1936년)으로 가장 기억되고 있다.[2]: xv

조기생활과 교육

모드는 1874년 2월 16일 텍사스 갤버스턴에서 아델리나(도비, 또는 대체 철자 다우디)와 남편 노리스 라이트 쿠니 사이에서 태어났다.양친은 혼혈인이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대다수의 백인 혈통이었다.그녀의 어머니는 미시시피주 우드빌 출신이다.그녀의 아버지의 조상은 아프리카계, 인도계, 유럽계, 스위스계 미국인이었다.쿠네이 아이들은 장군이 이끄는 크고, 부유하며, 정치적으로 강력한 백인 가문과 관련된 "제2의 가족"이었다.루이지애나에서 태어난 텍사스 오스틴 카운티의 필립 마이너 쿠니.[2]: xix 노리스 쿠니는 쿠니와 그의 혼혈 노예 가정부 아델린 스튜어트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8명 중 한 명이었다.필립 쿠니는 남북전쟁 전에 아이들과 스튜어트를 인정하고 석방했다.1850년까지 쿠니는 2,000 에이커에 100명 이상의 노예를 거느린 텍사스에서 가장 큰 계획자와 노예 소유자들 중 한 명이었다.그에게는 자신의 '법적'인 백인 아내에게서 태어난 백인 자녀 8명이 있었는데, 두 번째 아내 엘리사 쿠네이(웨어)가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난 세 자녀와 세 번째 아내 아달린(스퍼록) 쿠니(Spurlock) 쿠네이가 낳은 다섯 자녀였다.

필립 쿠니는 혼혈아들인 조셉과 노리스는 전쟁 전에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로 교육을 위해 보냈다.그 후 노리스는 미시시피 강에서 증기선을 타고 일했다.전쟁이 끝난 후, 그는 텍사스 공화당의 확립된 지도자가 되었다.그는 세관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갤버스턴 항구의 세관 수집가로 임명되었다.[5][6]그는 부두에 500명 가량의 사람을 고용하고 노조를 조직하는 등 조타수 일꾼으로 사업을 시작했다.[7]: xii

셰익스피어와 다른 위대한 작가들에 관심이 있는 노리스 라이트 쿠니는 노래하고 바이올린을 연주했다;[4]: 4 아델리나 다우디 쿠니는 소프라노 가수였고 피아노를 연주했다.[5]Maud와 그녀의 오빠 Lloyd는 음악과 문학으로 가득한 집에서 자랐다.[2]: xix–xx

1890년 갤버스턴의 중앙 고등학교에서 학교를 마친 뒤, 모드 쿠니는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공부하기 위해 보스턴으로 갔다.그곳에서 그녀는 에드윈 클라레와[8] 함께 피아노, 마틴 로더와 함께 음악 이론을 공부했다.[2]: xx 그녀는 또한 하버드 로웰 문학 연구소에서 공부했다.[7]: xii

백인 학생들이 Maud Cuney와 또 다른 아프리카계 미국인 Florida L을 알게 되었을 때.데스 버니는 캠퍼스 기숙사에 살고 있었고 그들 중 일부는 젊은 여성들을 제외시키려 했다.남부 백인 가정의 경제적 압박을 우려해, 음악원은 여성들에게 다른 숙소를 찾을 것을 요청했고, 이는 그들의 안전이 보장될 수 없음을 암시했다.마우드 쿠니는 학교에 이사하기를 거부한다고 말했다.그녀의 아버지도 그녀의 이사를 거부하면서, 편견에 맞서 싸웠던 매사추세츠 주의 '귀족 남녀' 폐지론자들을 불명예스럽게 만든 학교를 비난했다.보스턴 흑인 사회의 구성원들은 하버드 캠브리지 학생인 W.E.B. 듀보이를 포함한 흑인 학생들도 음악원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유색민족연맹이 이 문제를 떠맡았고, 결국 음악원은 입장을 번복했다.데스 버니는 이사를 갔지만, 모우드 쿠니는 머물렀다.[7]: 100–101 이후 그녀는 "나는 기숙사 퇴사를 거부했고, 이 때문에 사소한 모욕을 많이 당했다.제대로 된 처우를 고집했다고 말했다.[4]

보스턴은 활기찬 흑인 공동체를 가지고 있었다.보스턴에서 공부하는 동안 쿠니는 조세핀 세인트의 집에서 만나면서 찰스 스트리트 서클(또는 웨스트 엔드 세트)의 일부가 되었다.피에르 러핀.[7]: 98 그녀는 W. E. B.의 친한 친구가 되었다. 한동안 매사추세츠에 본사를 둔 두보이스는 잠시 약혼을 했다.[9]두보이스는 마우드를 "금동피부와 빛나는 눈과 검은 머리카락의 코일을 가진 키가 크고 거만한 갈색 머리"[7]: 98 라고 생생하게 묘사했다.

음악원을 졸업한 후, 쿠니는 오스틴에서 피아니스트 에밀 루드비히와[2]: xx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텍사스로 돌아왔다.그녀는 1897년과 1898년에 텍사스 색소 청소년을 위한 청각장애인 연구소에서 가르쳤다.그녀는 오스틴 오페라 하우스 경영진이 그녀의 공연을 보러 오는 관객들의 흑인들을 분리해서 발코니에 앉혀야 한다고 요구하자 인종적 편견에 반대하기로 선택했다.그녀와 에밀 루드비히는 계획된 콘서트를 취소하고 대신 색의 구분이 적용되지 않는 텍사스 유색인종 연구소에서 공연을 했다.[7]: 103–104

결혼

모드의 어머니 아델리나 다우디 쿠네이는 1895년 10월 1일 결핵으로 사망했다.그녀의 아버지는 1898년 3월 3일 항생제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불치병으로 여겨졌던 같은 질병으로 사망했다.[7]: 95 그해 말, 모드는 20년 선배인 J. 프랭크 맥킨리와 결혼했는데, 모드는 혼혈인종이었다.[7]: 104

맥킨리 부부는 시카고로 이사를 갔고, 그 곳에는 닥터도 있었다.맥킨리는 스페인계 미국인으로서 "통과"를 주장했다.그들의 딸 베라가 1900년에 태어났을 때, 그녀의 출생 증명서는 그녀를 스페인계 미국인이라고 확인했다.자신의 흑인 유산을 주장하기 위해 길러진 모드는 그 속임수가 고통스럽다고 생각했다.한동안 그녀는 시카고의 아프리카 감리교 성공회에서 정착운동에 종사하는 것으로 보상하며 남편이 요구하는 대로 신분을 숨겼다.결국 그녀는 어린 딸을 데리고 텍사스로 돌아가면서 남편을 떠났다.그녀는 역사적으로 흑인 대학인 프레리뷰 농업기계대학에서 교수직을 얻었다.맥킨리는 1902년에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모드는 눈에 잘 띄는 양육권 싸움을 위해 시카고로 돌아왔고, 그 결과 법원은 이 시대의 전형적인 딸에 대한 양육권을 남편에게 수여하게 되었다.[7]: 105–106 [9]

이혼 후, Maud는 보스턴으로 돌아왔다.그녀는 1904년 8월 10일 윌리엄 파커 헤어와 결혼했고,[10] 그때부터 공동 성 "쿠니 헤어"[9]를 사용했다.이 커플은 자메이카 평원의 쉐리던가 43번지에 정착했다.[11]그들의 집은 보스턴 여성 유산 트레일의 일부로 보스턴 협회의 명판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12]1906년, 모드는 여름 동안 그녀의 딸과 접촉할 수 있었지만, 베라는 1908년에 죽었다.[7]: 105–106

쿠니 하레는 정치적으로 활동했으며,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단체인 1907년 나이아가라 운동에 참여한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었다.[10]1909년 설립된 전국유색인종발전협회(NAACP)의 전신이다.[9]교사, 연주자, 음악학자로서의 경력을 통틀어 쿠니 헤어는 그녀의 작품이 그녀의 민족의 "인종적 향상"에 기여했다고 믿었다.[7]: 137

경력

음악 교사로서 쿠니는 1897년과 1898년 텍사스 농아, 덤, 시각장애 유색 청소년 연구소에서, 1900년과 1901년 시카고 제도 교회의 정착촌 프로그램, 1903년과 1904년 텍사스 프레리뷰에서 가르쳤다.[6]

쿠니 하워드는 1913년경부터 캐나다 바리톤 가수 윌리엄 하워드 리처드슨과 협연했다.그들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음악에 관심을 가지고 20년 동안 함께 순회공연을 했다.[9][13]1919년, 그들은 보스턴 공공 도서관에서 열린 콘서트-강연 시리즈에서 공연한 최초의 색채 음악가였다.[11]

쿠니 하레는 예술 분야의 교육과 공연을 장려하기 위해 보스턴에 연합 예술 센터를 설립했다.자금 제공과 매니저 역할 외에도 그녀는 그곳에서 공연과 강연을 했다.[9]이 센터에는 '리틀 극장' 그룹이 있었고, 미술, 음악, 연극 수업과 공연을 제공했다.누구에게나 열려 있지만, 그것의 초점은 젊은 흑인 연주자, 작곡가, 극작가들의 발전과 지원이었다.[13]쿠나이 하레는 이슬람 이전의 시인인 안타르 샤다드에 관한 연극 아라비의 안타르(1929년)를 쓰고 감독했다.서곡은 클라렌스 카메론 화이트가 작곡하고 부수음악은 몬태규 링이 작곡했다.[13][14]

쿠니 하레는 음악학자로서 광범위한 연구를 했다.그녀는 민속과 음악적 전통을 수집하고 연구하기 위해 멕시코, 쿠바, 버진아일랜드, 푸에르토리코를 여행했다.그녀는 "크롤레 음악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지휘한 최초의 음악 학자"로 1921년에 논평과 함께 6개의 크리올 민요집을 출판했다.[6]그녀의 개인 소장 음악 및 유물은 광범위하여 전시의 기초로 사용되었다.[13]

쿠나이 하레는 흑인 음악과 예술에 관한 수많은 기사를 썼다.그녀는 평생 동안 유명한 작가이자 활동가인 W. E. B의 친구였다. 두보이스.그녀는 두보이스가 전국 유색인종 선진화 협회(NAACP)에서 편집한 잡지 <위기를 위한 음악과 예술> 칼럼을 편집했다.[15]그녀는 또한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뮤지컬 분기별, 뮤지컬 옵서버, 뮤지컬 아메리카에 이러한 주제에 관한 기사를 기고했다.[7]: 95

음악에 대한 그녀의 글은 그녀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네그로 뮤지션과 그들의 음악(1936년)에서 절정을 이루었다.그 속에서 쿠니 하레는 아프리카계 미국 음악의 발전을 기록하여, 국내외적으로 상황을 설명하였다.그녀는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흑인 음악의 시작부터 디아스포라를 거쳐 미국 등지에 이르기까지 흑인 음악의 역사, 흑인 영가들의 미국 전통의 발전, 그리고 마지막으로 블루스와 재즈의 새로운 형태에 대해 설득력 있게 글을 쓴다.그녀는 래그타임을 싫어했고, 재즈 음악의 구조화되지 않은 본성을 불신했으며, 그녀가 훈련받은 고전적인 전통을 더 좋아했다.이 책의 지표에는 듀크 엘링턴, 스콧 조플린, 루이 암스트롱에 대한 언급이 들어 있지 않다.

이 책에는 미국과 해외의 흑인 음악가들의 삶과 음악에 대한 방대한 내용이 본문뿐만 아니라 풍성한 각주로 담겨 있다.네그로 음악을 다룬 두 번째 책이자 음악학자가 쓴 첫 번째 책인 Josephone Harreld Love는 "완전한 문서화의 귀중한 유산... 꼼꼼하고 예민한 장학금, 분별력, 헌신적인 데 귀중한 것"[2]: xv 이라고 묘사하고 있다.쿠니 하레는 출판된 책을 본 적이 없다.피아노 연주를 방해하는 암에 시달렸지만 원고를 교정하지 못한 그녀는 원고가 출간되기도 전에 세상을 떠났다.[2]

Maud Cuney Hare는 1936년 2월 13일이나 14일 메사추세츠 보스턴에서 사망했다.1936년 2월 17일 보스턴에서 추도식이 열렸다.[3]Maud Cuney Hare는 텍사스 갤버스턴의 레이크뷰 묘지에 있는 그녀의 아버지와 어머니 옆에 있는 무표정한 무덤에 매장되어 있다.[16]

작동하다

쿠나이 하레의 많은 예술작품과 문학작품은 다음과 같다.

  • 노리스 라이트 쿠니: 흑인의 트리뷴(1913), 그녀의 아버지의 전기.[4]
  • 나무의 메시지: 쿠니 하레가 편집한 자연시 모음집인 나뭇잎과 가지에 관한 문집(1918년).[7]: 95
  • 6곡 크리올 민요: 독창적인 크리올과 번역된 영어 텍스트(1921년)
  • "포르투갈어 포크송스, 프로빈스타운, 메사추세츠 케이프 코드에서 온," 뮤지컬 계간지[0027-4631], 1928, vol:14 iss:1, 페이지 35–53
  • 아랍의 안타르(1929년)는 노예로서의[7]: 95 [9] 지위를 '밸러'가 능가하는 아랍/아비스시니안 시인의 삶을 돌아보는 연극이다.
  • 흑인 음악가그들음악(1936년)[17]은 아프리카에서 미국 재즈 시대에 이르는 흑인 음악 전통의 역사다.

참고 항목

참조

  1. ^ White, Clarence Cameron (1936). "Instroduction". Negro Musicians and Their Music. Washington, D.C.: The Associated Publishers, Inc.
  2. ^ a b c d e f g h i Love, Josephine Harreld, ed. (1996). "Introduction". Negro Musicians and Their Music. New York: G. K. Hall & Co.
  3. ^ a b Hales, Douglas (2000). The Cuneys: a Southern Family in White and Black. Texas Tech University (Dissertation).
  4. ^ a b c d Hare, Maud Cuney (1913). Norris Wright Cuney: A Tribune of the Black People. Crisis Publishing Company. ISBN 0-7838-1397-X.
  5. ^ a b Maud Cuney Hare 신문, 1843-1936, Robert W.애틀랜타 대학 센터의 우드러프 도서관
  6. ^ a b c McArthur, Judith N. "Cuney-Hare, Maud". Handbook of Texas Online.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Retrieved December 9, 2013.
  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Hales, Douglas (2003). A Southern Family in White & Black: the Cuneys of Texas. Texas A&M University Press. ISBN 1-58544-200-3.
  8. ^ Bacon, Edwin M.; Herndon, Richard (1896). Men of progress; one thousand biographical sketches and portraits of leaders in business and professional life in the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Boston: New England Magazine. p. 783.
  9. ^ a b c d e f g Hussen, Aida Ahmed (2009). "Cuney-Hare, Maud". In Gates, Jr., Henry Louis; Higginbotham, Evelyn Brooks (eds.). Harlem Renaissance lives from the African American national biograp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38–140. ISBN 978-0195387957. Retrieved September 24, 2015.
  10. ^ a b Bracks, Lean'tin L.; Smith, Jessie Carney (2014). Black women of the harlem renaissance era. [S.l.]: Rowman & Littlefield. pp. 56–58. ISBN 978-0810885424. Retrieved September 24, 2015.
  11. ^ a b "African-American Women in Jamaica Plain History". Jamaica Plain Historical Society. Retrieved September 24, 2015.
  12. ^ "Historic Markers: Jamaica Plain". The Bostonian Society. Retrieved September 24, 2015.
  13. ^ a b c d Wintz, Cary; Finkelman, Paul (2004). Encyclopedia of the Harlem Renaissance. New York: Routledge. pp. 281–282. ISBN 9781579584573. Retrieved September 24, 2015.
  14. ^ Peterson, Jr., Bernard L. (1990). Early Black American Playwrights and Dramatic Writers : A Biographical Directory and Catalog of Plays, Films, and Broadcasting Scripts (1st ed.). New York: Greenwood Press. p. 56. ISBN 978-0313266218.
  15. ^ Beaulieu, Elizabeth Ann (2006). Writing African American Women : An Encyclopedia of Literature by and about Women of color (1st ed.). Westport: Greenwood press. ISBN 978-0313331961.
  16. ^ "Maud Cuney-Hare". The Texas Underground. Retrieved September 15, 2015.
  17. ^ Hare, Maud Cuney (1936). Negro Musicians and Their Music. Washington, D.C.: The Associated Publishers, Inc.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