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마우로로마 왕국

Mauro-Roman Kingdom
무어인과 로마인 왕국
레그넘 마우로룸 외 로마노룸
c. 477
The approximate extent of the Mauro-Roman Kingdom[citation needed]
마우로-로마 왕국의[citation needed] 대략적인 범위
자본의알타바
공용어베르베르, 아프리카 로맨스
종교
기독교[1]
정부군주제
c. 477
(unknown)
c. 508
마스나
c. 541
마스티가스
• 545–546
존.
• 546 – c. 570
(unknown)
c. 570 – 578
가물
역사시대고대 후기
서로마 제국으로부터의 군사적 독립
429
가이세릭의 죽음
477
• 거절
578-599
앞에
성공자
서로마 제국
반달 왕국
동로마 제국
알타바 왕국
우아르세니스 왕국
호드나 왕국
오늘 일부알제리
모로코

마우로-로마 왕국([2]라틴어: Regnum Maurorum et Romanorum)[3]알타바의 마수나 왕국으로도 알려져 있는 기독교 베르베르 왕국으로, 고대 로마의 수도인 알타바에서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지방의 대부분을 지배했습니다. 학자들은 이 정책이 왕국으로서의 독립을 목표로 한 것인지 아니면 베르베르 부족 동맹에 대한 맥락적 지식에서 도출된 대안적 가설인 느슨한 연합의 일부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합니다.[4][5] 5세기에 로마의 지배력은 약화되었고 제국의 자원은 다른 곳으로 집중되어야 했습니다. 특히 게르만족의 침입으로부터 로마 이탈리아 자체를 방어하기 위해 말입니다. 마우레타니아의 무어인들과 로마인들은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역 지도자들이 로마인들에게 반드시 버림받았다고 느끼지는 않았을 것입니다.[4]

이 지역의 통치자들은 로마의 아프리카 지방의 반달족 정복 이후 세워진 이웃 반달족 왕국반달족과 계속해서 충돌했습니다. 이 정치의 창시자인 마수나는 반달릭 전쟁에서 북아프리카를 재탈환하는 동안 동로마 제국의 군대와 동맹을 맺었습니다. 동로마가 반달족에게 승리한 후, 지역 지도자들은 동로마 제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며 아우레 왕국과 같은 다른 부족과 왕국의 베르베르 침입에 대한 전쟁을 도왔습니다.

결국 동로마 제국과 알타바 정치의 외교 관계는 파탄이 났습니다. 일부 역사학자들이 마수나의 국가의 후계자로 지목한 군사 지도자 가르물은 로마의 영토를 점령하기 위해 아프리카의 동로마 프레토리아 현을 침공했습니다. 더 작은 알타바 왕국은 마수나의 국가의 지속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알타바와 주변 왕국들은 7세기와 8세기에 우마이야 칼리파에 의해 이 지역이 정복될 때까지 마그레브를 계속 지배했습니다.

역사

배경

로마 제국 내의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지방.

이전에 로마의 고객 왕국이었던 마우레타니아와 서부 누미디아는 서기 40년에 로마 제국에 완전히 합병되었고,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통치하에 두 개의 속주인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Tangerine Mauretania")와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Caesaria Mauretania")로 분리되었고, 분리된 국경은 물루야 강으로 지정되었습니다.[6] 북부 아프리카는 게르마니아페르시아에 대한 공격처럼 자주 공격을 받는 국경만큼 방어가 잘 되지는 않았지만, 아프리카 지방의 경제적 중요성 때문에 그들은 유지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도랑, 돌담 및 기타 요새로 구성된 750km 길이의 선형 방어 구조물인 포사툼 아프리카에(Fossatum Africae)와 같은 국경을 따라 방어 구조물이 건설되었습니다. 이 구조물은 반달아프리카 지방을 정복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7] 아프리카 변경지역만큼 잘 지켜지지 않은 마우레타니아 변경지역은 림스 마우레타니아로 알려져 있었습니다.[8]

5세기에는 서로마 제국의 붕괴와 몰락이 있었습니다. 마우레타니아의 내륙 영토들은 이미 4세기부터 베르베르의 지배하에 있었고, 로마의 직접적인 지배는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셉템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카이사리아와 같은 해안 도시들에 국한되어 있었습니다.[9] 내륙 영토의 베르베르 통치자들은 지역 도시와 정착지를 포함한 로마 문화의 정도를 유지했고, 종종 명목상으로 로마 황제들의 종주권을 인정했습니다.[10]

이탈리아와 같은 이전에 안전했던 지방에서도 야만족의 침입이 더 흔해짐에 따라, 서로마 군대는 제국의 북부 지역의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점점 더 점령되었습니다. 알라리크 휘하의 이탈리아에 침입하는 서고트족 군대를 방어하기 위해 게르마니아에 대항하는 중요한 라인 변경지역조차 군대를 빼앗겼습니다. 부족한 국경선으로 인해 서기 406년에 반달족, 알란족, 수에비족과 같은 여러 부족들이 라인강을 건너 로마 영토를 침략할 수 있었습니다.[11]

마우레타니아에서는 지역 베르베르 지도자들과 부족들이 오랫동안 동맹국, 푸데라티, 변경군 사령관으로 제국 체제에 통합되었고, 로마의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이 지역에 자신들만의 왕국과 정책을 수립했습니다. 지방의 변경 지역을 따라 로마화된 공동체가 존재한다는 것은 베르베르 족장들이 베르베르인과 로마인 둘 다로 구성된 인구를 통치한 경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12]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붕괴 이후, 마우로-로마 왕국은 이전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생겨난 것과 완전히 다르지 않은 완전한 바바리아 왕국으로 성장했습니다. 서고트 왕국과 반달 왕국과 같은 대부분의 다른 바바리아 왕국들은 완전히 옛 로마 제국의 국경 내에 있었지만, 마우로-로마 왕국은 공식적인 제국 변경 지역을 넘어 로마인들이 지배하지 않는 베르베르 영토까지 포함했습니다.[12]

동로마 역사가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무어인들은 서기 477년 강력한 반달 왕 가이세리크가 죽은 후에야 진정으로 그들의 권력을 확장하고 공고히 하기 시작했고, 그 후 반달 왕국에 많은 승리를 거두었고 모레타니아의 이전 지방에 대해 거의 완전한 통제권을 확립했습니다. 가이세릭을 두려워한 반달의 지배하에 있는 무어인들은 그의 후계자 후네릭아리아 기독교로 개종하려는 시도와 개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가혹한 처벌을 받자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오레스 산맥에서, 이것은 독립된 오레스 왕국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 오레스 왕국은 484년 후네리크가 사망할 때까지 완전히 독립했고 다시는 반달의 통치를 받지 않았습니다. 후네릭의 후계자 군타문트트라사문트의 통치하에서 베르베르족과 반달족 사이의 전쟁은 계속되었습니다. 트라사문트의 통치 기간 동안, 반달족은 도시 트리폴리스를 통치하는 카바온이라는 베르베르 왕의 손에 처참한 패배를 당했고, 그는 도시를 정복하기 위해 파견된 반달족 군대를 거의 완전히 파괴했습니다.[13]

무어인과 로마인의 왕

마우레타니아의 베르베르 통치자 중 한 명인 마수나(Masuna)는 자신을 렉스겐티움 마우로룸 에 로마노룸(Rex gentium Maurorum et Romanorum)이라고 칭했습니다. 많은 베르베르 군벌들이 자신들을 묘사하기 위해 렉스 또는 "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이 제목이 발견된 전체 비문은 역사학자들에 의해 논의된 더 큰 야망을 암시합니다. 마수나는 자신을 느슨한 연합의 우두머리, 또는 특정 민족을 연합하는 왕국의 설립자라고 여겼을지도 모릅니다.[5][14] 그레그 피셔와 알렉산더 드로스트에게 북아프리카에 대한 로마의 통제력 상실의 역사적 맥락은 렉스라는 라틴어 용어가 로마 제국의 명령을 완전히 수용하거나 그것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로마화된 언어와 문화 내의 부족 정체성의 표현이었음을 시사합니다.[15]

이 독특한 비문은 서기 508년경 알타바(오늘날 오란 지역오을 미문)의 요새에 위치해 있습니다. 마수나가 알타바와 카스트라 세베리아나, 사파르 등 적어도 두 도시를 소유하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그가 임명한 관리들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고대 후기에 번성했던 고대 주교령인 카스트라 세베리아나 교구(Castra Severiana 교구)의 소재지로서, 카스트라 세베리아나의 통제는 특히 중요했을 것입니다.[16]

전체적으로 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습니다: "Pros sal(ute) et in col(umitate) reg(is) Masunae gent(ium) Maur(orum) et Romanor(um) castrum edic(atum) a Masgivini pref(ecto) de Safar. Lidir proc(uratore) castra Severian(a) quem Masuna Altava posuit, et Maxim(us) pr(ocurator) Alt(ava) prefec(it). 카스트라는 마수나 왕과 마우리와 로마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마수나가 알타바와 막시무스에 설치한 카스트라 세베리아나의 검사인 리디르 사파르의 현감 마스기븐이 건설했습니다. 도 369년에 설치된 것입니다.") 임명된 세 명의 관리는 마스기네(사파르의 총독), 리디르(카스트라 세베리아나의 검사), 막시무스(알타바의 검사)입니다. '도성의 해'는 도성이 세워진 날부터 세어졌기 때문에 서기 508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17][18]

역사학자 앨런 러시워스는 마수나가 알타바에 있는 비문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왕국을 실제로 소유하고 있었다고 제안했습니다.[3] 대조적으로, 앤디 메릴은 "어떤 개인이나 가족도 군사력에 대한 독점을 누렸다"는 생각을 거부하고, 마수나가 더 큰 연방의 일부였으며, 그의 카스트럼 건설로 축적된 위신을 나타내기 위해 그 칭호를 채택했다고 제안합니다.[4]

마수나가 그의 정치에 붙인 이름은 그것이 두 개의 별개의 인구, 즉 해안 지역과 정착 지역 로마니(로마인)와 옛 로마 국경 주변과 그 너머에 위치한 부족 마우리(무어스 또는 베르베르)의 영토 경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5세기에 로마인들이 제정한 혁명 정책들은 이런 이중적인 통치를 위해 지역 통치자들을 준비시켰을 것입니다.[19] 로마 도시의 시민들은 마수나가 임명한 사람들과 같은 임명된 관리들이 이끄는 공식적이고 조직적인 행정의 대상이었습니다. 군사 인력은 베르베르 부족들로부터 유래되었고, 베르베르 부족들은 그들에게 명예와 영지를 수여함으로써 부족 지도자들과 같은 주요 개인들의 통제를 통해 통제를 유지했습니다.[12] 마수나의 정책은 이 지역의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로마 제국의 군사, 종교 및 사회 문화 조직을 채택함에 따라 서부 라틴 세계 내에서 완전히 계속되었습니다. 왕국의 통치자들이 사용한 행정 구조와 작위는 이 지역의 로마화된 정치적 정체성을 암시합니다.[20] 이 로마의 정치적 정체성은 이 지역의 다른 작은 베르베르 왕국들에 의해서도 유지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마스티스 왕이 서기 516년경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임페라토르의 칭호를 주장하면서, 그가 베르베르나 로마의 신하들과 신뢰를 깨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21]

동로마 제국과 반달족

마스티가스 덕스모노그램.

동로마의 기록들은 아프리카의 옛 로마 지방과 모레타니아의 해안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반달 왕국을 언급하는데, 반달족, 알란족, 무어족, 그리고 일부 베르베르족들은 반달족의 아프리카 정복을 도왔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베르베르의 확장주의, 반달족에 대항하여 마우로-로마 왕국과 이 지역의 다른 베르베르 왕국(오레스 왕국 등)의 확장을 이끌었습니다.[2]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프로코피우스에 의해 서기 535년 반달 전쟁 동안 반달 왕국에 대항하여 동로마 제국의 군대와 동맹을 맺은 마소나스로 확인된 베르베르 왕.[22] 몇몇 작가들은 마소나스와 마수나를 혼동했지만 가브리엘 캠프와 다른 역사가들은 그들이 별개의 사람들이라고 믿습니다.[23] 벨리사리우스와 동로마 군대가 이 지역에 대한 로마의 통치를 회복하기 위해 북아프리카에 도착했을 때, 지역 베르베르 통치자들은 그들의 사무실의 상징인 은관, 은금으로 된 지팡이, 튜닉과 금화로 된 부츠를 돌려달라고 요구하며 기꺼이 제국의 통치에 굴복했습니다. 본질적으로 의뢰인 왕들인 베르베르의 많은 통치자들은 고집불통임을 증명했습니다. 제국 영토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통치자들은 명목상으로는 여전히 제국의 신하들이었지만, 제국과 직접적으로 국경을 맞대고 있는 통치자들보다 훨씬 더 많은 예우를 받으며 그들을 줄을 잇게 했습니다.[24]

마지막 반달 왕인 겔리머는 베르베르 왕국을 모집하여 그를 위해 싸우려고 했지만, 베르베르 군대는 반달 쪽을 위해 싸우는 데 참여한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반달족은 베르베르 왕들에게 로마가 공급한 것과 유사한 그들의 사무실의 상징을 공급했지만, 베르베르 왕들은 반달족이 그 권력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반달릭 전쟁 동안, 대부분의 베르베르 통치자들은 패배하는 쪽을 위해 싸우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전쟁을 기다렸습니다.[21]

동로마가 반달 왕국을 재탈환한 후, 지방 관리들은 지역 베르베르 부족들과 문제를 겪기 시작했습니다. 바이자세나 지방은 침공당했고 가이나스와 루피누스를 포함한 지역 수비대는 패배했습니다. 새로 임명된 아프리카의 프레토리아 총독 솔로몬은 이 베르베르 부족들을 상대로 여러 전쟁을 벌였고, 약 18,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바이자세나로 들어갔습니다. 솔로몬은 그들을 물리치고 카르타고로 돌아왔지만, 베르베르인들은 나중에 다시 일어나 바이자세나를 제압했습니다. 솔로몬은 다시 한번 그들을 물리쳤고, 이번에는 베르베르 군대를 흩뜨렸습니다. 살아남은 베르베르 병사들은 누미디아로 후퇴하여 아우레족 이압다스와 힘을 합쳤습니다.[25][26]

동방 제국과 동맹을 맺은 마수나와 또 다른 베르베르 왕 오르타이아스([27]모레타니아 시티펜시스 지방의 한 왕국을 통치했던)는 솔로몬에게 적 베르베르를 누미디아로 추격할 것을 종용했고, 그는 이를 실행했습니다. 그러나 솔로몬은 동맹국의 충성을 믿지 않고 이압다스와 전투를 벌이지 않고, 대신 바이자세나와 누미디아를 연결하는 길을 따라 요새화된 초소를 건설했습니다.[28][26]

마수나는 서기 535년까지 마스티가스 (Mastigas, 일명 Mastinas)의 뒤를 이었습니다.[29] 피에르 모리조는 위에서 언급한 오레 왕국의 지도자 마스티스와 마스티스를 동일시했습니다.[30] 프로코피우스는 마스티가스가 반달족의 지배를 받고 있던 옛 지방 수도 카이사레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지방을 지배했던 완전히 독립적인 통치자였다고 말합니다.[31] 그러나 마스티가스에게 귀속된 동전에는 그를 듀스, 즉 로마군 사령관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의 베르베르 정치의 통치자들은 자신들을 콘스탄티노플에서 동로마 황제의 신하로 계속 여겼습니다. 베르베르의 통치자들은 그와 전쟁을 하거나 제국의 영토를 급습할 때에도 duxrex와 같은 칭호를 사용했습니다.[27]

가능한 연속성

알타바와 틀레멘에 연대가 오래된 라틴어 비문의 대규모 그룹을 가리키며, 피셔와 드로스트는 마수나에서 유래한 "일부 국가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정치적 실체"가 대략 589-599년까지 그곳에서 계속되었다고 제안합니다.[32]

가브리엘 캠프(Gabriel Camps)는 아프리카의 동로마 통치에 저항한 군사 지도자 가르물(Garmules)을 마수나 왕국을 계속 유지한 후대의 왕으로 간주합니다.[33] 560년대 후반, 가르물은 로마 영토를 급습했고, 중요한 도시를 점령하지는 못했지만, 세 명의 장군들, 즉 Praetorian 현령 테오도르 (570년)와 두 명의 치안판사 군사 테오도시스투스 (570년)와 아마빌리스 (571년), 비클라로의 서고트 역사가 이 가르물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34] 그의 활동은 특히 동시다발적인 스페인서고트 공격과 함께 고려될 때, 그 지방 당국에 명백한 위협이 되었습니다. 가르물은 단순한 반유목민 부족의 지도자가 아니라 상비군을 거느린 완전한 야만족 왕국의 지도자였습니다. 그리하여 새로운 동로마 황제 티베리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는 토마스를 아프리카의 프리토리아 현감으로 다시 임명하였고, 유능한 장군 겐나디우스는 가르물의 왕국을 축소하려는 분명한 목적으로 마기스터 밀리툼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준비는 길고 조심스러웠지만 서기 577-78년에 시작된 캠페인 자체는 짧고 효과적이었으며, 겐나디우스는 가르물의 신하들에 대한 테러 전술을 사용했습니다. 가물은 서기 578년에 패배하고 죽었습니다.[35]

Garmul은 패배했지만,[33] Gabriel Camps는 그 왕국이 7세기 아랍의 침략까지 지속되었다고 제안합니다. 가르물 이후의 이 지역의 통치자들은 역사적 자료에서 증명되지 않았지만, 티아렛 남쪽에 위치한 제다르스라고 불리는 묘소 그룹과 다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33] 베르베르-로마 도시 볼루빌리스에 있는 이울리우스라는 다양한 지도자들과 알타바의 이울리아 로가티아나라는 여성에게 바쳐진 묘비 라인과도 다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36] 제다 족과 묘비의 연대는 불분명하며, 다른 학자들은 제다 족이 다른 왕국이나 적 부족에 속한다고 제안했습니다.[14]

법인화?

지금까지 알타바 지역이 아니면 적어도 해안 지역이 동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37] 오직 게나디우스에 의한 비잔티움 요새의 확장만이 논의될 뿐,[38] 그 위치는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어쨌든 알타바 왕국의 일부가 동로마 지배권에 편입되는 문제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논문에 대한 찬반 주장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original research?]

더이상의 확장은 없습니다. 해안지역 편입 전영토 정복/하복
- 비잔틴 요새의 건설에 대한 자료는 없습니다.

- 알타바 제국의 지역 정복에 관한 원천 상황은 열악합니다.

- 비잔티움 마그레브의 이 지역에서 더 이상의 전투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알타바의 로마-베르베르 제국과 동로마 제국 사이의 이전의 평화적인 관계에 대한 연결은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동로마 제국이 572년부터 페르시아와 다시 전쟁을 벌였기 때문에, 특히 평화 협상을 좋아하던 페르시아 대왕 호스로 1세가 579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가능한 지원군을 동쪽으로 철수시키기 위한 정착이 가능해 보입니다.

- 더 서쪽에 있는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로마의 성격을 보존하는 것은 로마 통치의 회복에 대한 어떤 결론도 도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특히 고대에는 이런 현상이 드물지 않았기 때문에, 심지어 존재가 입증된 국가들 사이에서도 긴밀한 문화적, 경제적 유대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비잔티움의 요새 유적이 없다고 해서 비잔티움의 통치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세티프와 토브나 서쪽에는 폐허가 된 요새가 존재하지 않지만, 비잔티움의 통치가 카이사르 지역을 넘어 더 서쪽으로 확장되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 모리스를 포함한 동로마 황제들의 통치하에서, 이전의 모든 서로마 지역들을 제국의 지배하로 되돌리자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이는 실현 가능성의 영역에서도 구현되었습니다.

- 해안가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함대가 필요했는데, 이 함대는 비잔티움 제국이 마음대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 더 큰 로마-베르베르 국가의 지속적인 존재는 영구적인 위협으로 남아 더 많은 분쟁의 원인이 되었을 것입니다. 이 위협은 제거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에 대한 약화는 이미 충분했습니다.

− 비잔티움 마그레브의 다른 지역에서 아랍인들이 처음으로 진격할 때까지 싸운 것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겐나디우스는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많은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병력은 구제국에서 보강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그는 황제의 병력 증원의 중심이었던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시기 동로마 제국이 페르시아와 다시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주목할 만한 일입니다.

- 광범위한 준비로 판단했을 때 캠페인은 놀랍게도 성공적이었습니다.

- 584년까지 베르베르인들과의 이후 전투에 대한 정보는 알타비아 왕 가르물레에 대한 짧고 빠른 전투와 시간적 연관성을 보여주며 저항 주머니들의 제거를 언급할 수 있습니다.

− 아마도 겐나디우스는 알타바 제국을 무너뜨리고 분열된 국가들에게 자신의 우월성을 인정받는 것에 만족했을 것입니다.

레거시

나중에 아프리카 북부의 로마노-베르베르 왕국을 묘사한 지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알타바, 오우아르세니스, 호드나, 아우레스, 네멘차, 캡수스, 도르살, 트리폴리스.

알타바는 로마화된 베르베르 왕국의 수도로 남아있었지만, 알타바 왕국은 마수나와 가르물 왕국보다 훨씬 작았습니다.[39] 5세기 말과 6세기 초에 기독교전통적인 베르베르 종교로부터 혼합적인 영향을 받아 베르베르 알타바 왕국에서 완전히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수도 알타바에 새로운 교회가 세워졌습니다.[40] 알타바와 다른 지역 왕국들인 우아르세니스 왕국호드나 왕국도 경제적으로 성장했고, 몇몇 새로운 교회와 요새들을 건설했습니다. 동로마의 아프리카의 프레토리아 현과 후에 아프리카의 대주교청은 약간의 추가적인 베르베르 반란들을 보았지만, 이것들은 진압되었고 많은 베르베르 부족들은 과거에 여러 번 그랬듯이 푸데라티로 받아들여졌습니다.[12]

알타바에서 통치한 것으로 알려진 마지막 로마화된 베르베르 왕은 쿠사일라였습니다. 그는 서기 690년에 이슬람교의 마그레브 정복에 맞서 싸우다가 사망했습니다. 그는 또한 베르베르인의 아와라바 부족의 지도자였으며 아마도 사냐 연합의 기독교 지도자였을 것입니다. 그는 680년대 우마이야 칼리파의 마그레브 정복에 맞서 베르베르족의 효과적인 군사적 저항을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기 683년, 우크바 이븐 나피비스크라 근처의 베스세라 전투에서 쿠사일라에 의해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고, 쿠사일라는 모든 아랍인들에게 그들이 막 세운 카이로우안을 피난시키고 키레나이카로 철수하라고 강요했습니다.[41] 그러나 서기 688년에 압드말리크 이븐 마르완의 아랍 지원군이 주하이 이븐 카이즈 아래에 도착했습니다. 쿠사일라는 690년 맘마 전투에서 동로마 군대의 지원을 받아 그들을 만났습니다. 수적으로 열세였던 아와라와 로마군은 패배했고 쿠사일라는 전사했습니다.[42]

쿠사일라의 죽음으로 저항의 횃불은 제라와 부족으로 알려졌는데, 제라와 부족은 아우레스 산맥에 그들의 고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가 죽은 후 그의 기독교 베르베르 군대는 아우레스 왕국의 여왕이자 로마화된 베르베르족의 마지막 통치자인 카히나 아래에서 나중에 싸웠습니다.[42]

제안된 무어-로마 왕 목록

모나크 재위 메모들
알 수 없는 자 마우로-로마 왕국의 최초의 기록된 통치자는 마수나이며, 서기 508년으로 추정되는 비문에 처음 기록되어 있습니다.
마스나 c. 508 스스로를 렉스라고 묘사했습니다. 아마도 동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고 반달 왕국을 상대로, 나중에 아우레 왕국이 모은 베르베르 동맹을 상대로 한 군사 지도자 마소나스와 같은 인물일 것입니다.[22][28][26]
마스티가스 c. 541 마스티나스라고도 합니다. 스스로를 dux라고 묘사했습니다. 옛 수도인 카이사레아를 제외한 거의 고대 지방인 모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전체를 지배했습니다.[31]
알 수 없는 자 가브리엘 캠프스는 마스티가스 이후에도 왕국이 지속되었다고 제안하지만, 가르물 이전에는 어떤 이름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가물 c. 570 – 578 가르물(Garmules)이라고도 합니다. 570년대에 북아프리카의 동로마 지방을 침공했습니다.
알 수 없는 자 고고학적 증거에서 가능한 후대의 통치자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는 589-599까지 지속되었을 수도 있고 더 오래 지속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인용

  1. ^ Isichei, Elizabeth (1995).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fric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Wm. B. Eerdmans Publishing. p. 42. ISBN 978-1-4674-2081-5.
  2. ^ a b Wolfram 2005, 페이지 170.
  3. ^ a b 러쉬워스 2000, 95쪽.
  4. ^ a b c 메릴 2022, 327쪽.
  5. ^ a b 모데란 2010.
  6. ^ 탈버트 2000, 페이지 457.
  7. ^ 바라데즈 1949, 162쪽
  8. ^ 프랭크 1959, 68쪽
  9. ^ Wickham 2005, p. 18.
  10. ^ 위컴 2005, 페이지 335.
  11. ^ 헤더 2005, 페이지 195.
  12. ^ a b c d 2017년 메릴.
  13. ^ 프로코피우스.
  14. ^ a b 메릴 2022년 326쪽.
  15. ^ Fisher & Drost 2016, 페이지 49.
  16. ^ 모르첼리 1816, 페이지 130.
  17. ^ 그레이엄 1902, 페이지 281.
  18. ^ Conant 2004, pp. 199–224.
  19. ^ Merrills 2017, pp. 87–8.
  20. ^ Conant 2012, 페이지 280.
  21. ^ a b 루소 2012.
  22. ^ a b 마틴데일 1980, 734쪽.
  23. ^ 캠프 1984, 198쪽.
  24. ^ 그리어슨 1959, 페이지 127.
  25. ^ 마틴데일 1992, 1171쪽.
  26. ^ a b c 1958년, 143쪽을 묻습니다.
  27. ^ a b Grierson 1959, 페이지 126.
  28. ^ a b 마틴데일 1992, p. 1172
  29. ^ 캠프 1984.
  30. ^ Morizot, Pierre (1989). "Pour une nouvelle lecture de l'elogium de Masties". Antiquités africaines. 25 (1): 263–284. doi:10.3406/antaf.1989.1164.
  31. ^ a b 마틴데일 1992, 851쪽.
  32. ^ Fisher & Drost 2016, 페이지 52.
  33. ^ a b c 캠프 1984, 217쪽.
  34. ^ 마틴데일 1992, 504쪽.
  35. ^ Aguado Blazquez 2005, pp. 45–46.
  36. ^ 러쉬워스 2000, 96쪽.
  37. ^ 베하헨드 프란시스코 아구아도 블라스케스: 엘 아프리카 비지안티나: 레콘키스타 오카소. p. 47.
  38. ^ Averil Cameron: 반달과 비잔틴 아프리카. 인: 에이벌리 카메론, 브라이언 워드 퍼킨스, 마이클 휘트비(편집자): 케임브리지 고대사. 밴드 14: 고대 후기. 제국과 후계자. AD 425–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0, ISBN 0-521-32591-9, 페이지 561.
  39. ^ Martindale 1980, pp. 509–510.
  40. ^ 1969년 무법.
  41. ^ Conant 2012, pp. 280–281.
  42. ^ a b 탈비 1971, 19-52쪽.

서지학

고대

현대의

더보기

  • Camps, Gabriel (1995). "Djedar". In Gabriel Camps (ed.). Encyclopedie Berbere. Vol. 16. Editions Edisud. pp. 2409–2422. doi:10.4000/encyclopedieberbere.2177.
  • Courtot, P. (1987). "Altava". In Gabriel Camps (ed.). Encyclopedie Berbere. Vol. 4. Editions Edisud. pp. 543–552. ISBN 978-2-85744-282-0.
  • Merrills, Andrew (2018). "The Moorish Kingdoms and the Written Record: Three 'Textual Communities' in Fifth- and Sixth-Century Mauretania". In Elina Screen, Charles West (ed.). Writing the Early Medieval West. Cambridge University. pp. 185–202. ISBN 978-1-107-19839-5.
  • Reynolds, Paul (2010). Trade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AD 400–700, 439–700. University of Michigan: Tempus Reparatum. ISBN 978-0-86054-782-2.
  • Hamdoune, Christine (2018). Ad fines Africae romanae: les mondes tribaux dans les provinces maurétaniennes. Bordeaux Pessac: Ausonius éditions. ISBN 9782356132147.
  • Laporte, J.-P. 2005a. "레제다르, 기념물들은 베르베레스 데 라 지역 드 프렌다 에 드 티아레트" Identités et culture dans l'Algérie Antic, ed. C. Briand-Ponsart, 321–406. 루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