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솔로몬 (마지스터 민병대)

Solomon (magister militum)
솔로몬
태어난480년대/490년대
다라 근처 이드리프톤
죽은544
실륨
얼리전스비잔틴 제국
순위마그스터 민병대
전투/와이어반달 전쟁, 무어 전쟁

솔로몬(그리스어: σοόμμωνν)메소포타미아 북부 출신의 동로마(바이잔틴) 장군으로 반달 전쟁과 533–534년 북아프리카의 재봉사에서 지휘관으로 두각을 나타냈다.그는 다음 10년 중 대부분을 아프리카 총독으로서 보냈는데, 마지노선인 민병대민병대를 결합했다.솔로몬은 원주민 베르베르스(마우리)의 대규모 반란을 성공적으로 맞섰으나 536년 봄, 군대의 폭동이 일어나자 어쩔 수 없이 도망쳤다.그의 아프리카에서의 두 번째 임기는 539년에 시작되었고 그것은 베르베르족에 대한 승리로 점철되어 비잔틴 지위가 통합되었다.몇 년간의 번영이 뒤따랐으나 544년 실리움 전투에서 다시 불붙은 베르베르 반란과 솔로몬의 패배와 죽음으로 인해 단절이 되었다.

전기

솔로몬은 아마도 480/490년 경에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다라 근처 솔라촌 지방의 이드립톤 요새에서 태어났다.그는 고의적인 거세가 아니라 유아기에 일어난 사고로 인한 내시였다.[1][2]솔로몬에게는 제사장이 된 박카스라는 형제가 있었다.박카스는 세 아들 키루스, 세르기우스, 솔로몬을 낳았는데, 그는 후에 그들의 삼촌 밑에서 아프리카에서 군 장교가 되었다. 세르기우스도 솔로몬의 뒤를 이어 아프리카 총독이 되었다.[3]솔로몬의 초기 경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가 메소포타미아에 펠리시미시무스 밑에서 근무한 것은 아마도 505년/506년 후작에서 빠르면 그 직책에 임명되었을 것이다.확실히 527년까지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섬기러 왔을 때 솔로몬은 경험이 많은 장교로 여겨졌다.[1]북아프리카 반달 왕국 반대 운동이 시작되기 전인 533년 역사학자 프로코피우스가 언급한 직책인 벨리사리우스의 가정주부, 즉 참모총장 자리에 오른 것은 아마도 이 때일 것이다.[4]

아프리카 최초 종신 재직

원정이 콘스탄티노플에서 출항하기 전에 솔로몬은 포에데라티 연대장 9명 중 한 명으로 명명되었다.그는 그 후의 선거 운동 중에 프로코피우스의 서사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아마도 533년 9월 13일 결정적인 애드 데크미엄 전투에 참가하여 반달 수도 카르타고의 길을 열었을 것이다.카르타고 점령에 이어 벨리사리우스는 솔로몬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려보내 저스티니아누스 1세(재위 527–565) 황제에게 캠페인의 진행 상황을 알렸다.솔로몬은 534년 봄까지 수도에 남아 있었는데, 이때 저스틴은 그를 다시 아프리카로 보내 벨리사리우스를 회상하게 하고, 아프리카 신프레이토리아 현(마술적인 민병대 아프리카)의 군 사령관을 대신하게 했다.[2][5]벨리사리우스의 출발은 비잔틴인들이 그 지방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시간을 갖기 전에, 내륙의 베르베르 부족의 총체적인 봉기와 일치했다.그 결과 벨리사리우스는 사적으로 키운 부첼라리 대부분을 남겨두고 떠났고, 저스티니아누스 황제는 추가 증원군을 보냈다.곧 (534년 가을 무렵) 저스티니아누스 황제도 솔로몬에게 프레이토리아 현관의 문관도 투자하여 늙은 아켈라우스를 대신하였다.[6]

바이자세나, 제기타나, 누미디아 주와 함께 로마 아프리카.

그 사이 베르베르족은 바이자세나를 침공하여 지역 비잔틴 수비대를 격파하여 지휘관인 아이건과 루피누스를 살해하였다.겨울 동안의 외교적 구원이 실패로 돌아가고, 그의 군대가 증원군의 도착에 따라 약 1만 8천 명(찰스 디엘 추정)의 병력을 증강시키면서, 535년 봄 솔로몬은 군대를 이끌고 바이자세나로 들어갔다.베르베르 족장은 그들의 족장 밑에 있는 커티나스와 에스딜라사스와 이우르푸테스와 메시디니사스 족속들이 마름모스라는 곳에 진을 쳤다.솔로몬은 거기에서 그들을 공격하여 무찔렀다.[7]비잔틴군은 카르타고로 돌아갔지만, 강화한 베르베르족이 다시 바이자세나를 공격하여 점령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솔로몬은 즉시 진군하여 부르가온 산에서 그들을 만났다. 부르가온 산에서는 베르베르인들이 요새화된 진을 세우고 그의 공격을 기다렸다.솔로몬은 병력을 나누어 천 명을 보내어 뒤에서 베버를 공격하게 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게 하였다. 베버가 부서지고 흩어지며 큰 사상자를 냈다.살아남은 사람들은 누미디아로 도망쳤고, 거기서 오라시움지파의 지도자 이오다스의 군대에 합류했다.[8]바이자세나를 확보하고, 자신의 베르베르 동맹인 마소나스오르타이아스의 재촉을 받은 솔로몬은 이제 누미디아로 눈을 돌렸다.그는 조심스럽게 오라시움으로 진격하여 이오다스에 전투에 도전하였으나, 사흘이 지나도록 동맹군의 충성을 불신하고 솔로몬은 군대를 평야로 돌려보냈다.그는 군의 일부를 떠나 베르베르족을 감시하고, 바이자세나와 누미디아를 잇는 길을 따라 일련의 요새화된 초소를 세웠다.그 후 솔로몬은 오라시움과 사르디니아의 베르베르에 대항하여 새로운 원정을 준비하며 겨울을 보냈으나 536년 봄 그의 설계는 주요 군대의 반란으로 중단되었다.[9]

이 반란은 반달의 아내를 솔로몬과 함께 데려간 일부 병사들의 불만에서 비롯되었다. 군인들은 한때 아내가 소유했던 재산을 자신들의 소유로 요구했지만, 이 땅은 제국령으로 몰수되었기 때문에 솔로몬은 거절했다.부활절에 솔로몬을 암살하려는 첫 번째 음모가 실패하고 음모자들은 시골로 도망갔지만 곧 카르타고에서도 군인들 사이에 공개 반란이 일어났다.병사들은 솔로몬의 아군 중 하나인 테오도르를 지도자로 칭송하고 도시를 약탈하기 시작했다.솔로몬은 가까스로 교회에서 피난처를 찾았고, 밤의 엄호 아래 테오도의 도움으로 배를 타고 미수아를 향해 도시를 떠나 역사학자 프로코피우스가 동행했다.거기서 솔로몬과 프로코피우스는 막 벨리사리우스가 정복시칠리아로 항해했고, 솔로몬의 중위 마틴이 파견되어 누미디아에 있는 부대에 도달하려 했고, 테오도르는 카르타고를 붙잡으라고 지시했다.[2][9]이 폭동에 대한 소식을 들은 벨리사리우스는 솔로몬과 100명의 선발된 사람들과 함께 아프리카로 출항했다.카르타고는 어떤 스토자스 밑에 많은 반달족을 포함한 9,000명의 반군들에게 포위되고 있었다.테오도르는 벨리사리우스가 나타났을 때 항복할 것을 생각하고 있었다.그 유명한 장군의 도착 소식은 반란군이 포위망을 버리고 서쪽으로 철수하기에 충분했다.벨리사리우스는 즉시 추격을 하고 따라붙어 멤브레사의 반란군을 격파했다.그러나 반군의 대부분은 도망칠 수 있었고, 누미디아를 향해 계속 진군했는데, 누미디아는 현지군이 합류하기로 결정했다.벨리사리우스 자신은 그곳에서 문제가 생겨 이탈리아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고, 저스티니아누스 황제는 사촌 게르마누스마법의 민병대로 임명하여 위기를 수습했다.솔로몬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2][10]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 종신 재직

베베스트의 비잔틴 성벽의 폐허로, 솔로몬의 통치하에 복원되고 요새화된 많은 유적들 중 하나이다.[11]
541년까지 로마 북아프리카의 부분적인 비잔틴 복원

게르마누스는 537년 스칼라스 베테레스 전투에서 많은 병사들의 신임을 얻어 규율을 재정립하고 돌연변이들을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12]군대에 대한 제국주의적 통제가 회복되면서, 솔로몬은 539년 게르마누스를 대체하기 위해 아프리카로 돌려보내졌고, 다시 그의 몸 속에 마가스터 민병대와 프레이토리아 현(그동안 그는 또한 귀족의 계급으로 올라 명예 집정관으로 임명되었다.[2][13]솔로몬은 믿을 수 없는 병사들을 제거하여 이탈리아와 동부에 있는 벨리사리우스에게 보내고, 그 지방에서 남아 있는 반달족을 모두 추방하고, 그 지역에 걸쳐 대대적인 요새화 프로그램을 시작함으로써 군대의 통제를 더욱 강화하였다.[14]

AD 539년 솔로몬 [...]은 비잔틴 지방의 아프리카를 요새화하는 거대한 건축 프로그램에 국가의 에너지를 바쳤다.과거의 개방된 도시와 별장이 점점이 있는 시골은 중세의 풍경으로 탈바꿈하여 요새화된 마너 하우스[...]로 둘러싸인 작은 성벽이 있는 마을[...]이 동시에 하수도를 정비하고, 수로가 다시 연결되고, 항구가 개간되고, 새로운 도시 중심지를 지배하기 위해 세워진 웅장한 교회들[...]이었다.테베사, 테렙테, 암메다라의 남서부 국경지역에 건설된 r군 요새는 건설에 100만일 이상의 노동력을 필요로 했을 것이다.[15]

540년 솔로몬은 다시 군대를 이끌고 오라시움 산의 베르베르에 대항하였다.당초 베르베르족은 바가이에 있는 그들의 진영에서 군타리스 휘하의 비잔틴 선발대를 공격하여 포위하였으나, 본대와 함께 솔로몬이 구원하러 왔다.베르베르족은 공격을 포기하고 오라시움 기슭에 있는 바보세스로 후퇴하여 진을 쳐야 했다.솔로몬은 거기에서 그들을 공격하여 무찔렀다.살아남은 베르베르인들은 오라시움 남쪽으로 도망치거나 모레타니아 서쪽으로 도망쳤으나, 그들의 지도자 이오다스는 스르불 요새로 피난했다.솔로몬과 그의 군대는 타무갓 주변의 비옥한 평야를 약탈하고, 스스로 풍성한 수확물을 거두어다가 스르불로 나아갔다.그들은 일단 그곳에 가서, 이오다스가 투마르의 외딴 요새로 도망친 것을 발견했다.비잔틴인들은 투마르를 포위하기 위해 올라갔지만, 포위 공격은 불모의 지형, 특히 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솔로몬은 접근하기 어려운 요새를 어떻게 공격할 것인가를 가장 잘 고민하던 중, 양측의 군인들이 점점 더 많이 가담하면서 점차 본격적인 전투와 혼란스러운 전투로 확대되었다.비잔틴은 승리를 거두었고, 베르베르인은 들판에서 도망쳤다.얼마 지나지 않아 비잔틴 사람들도 이오다스가 아내와 보물을 보낸 이른바 '게미니아누스의 바위'에서 요새를 점령했다.[16]이 승리로 솔로몬은 오라시움을 장악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여러 요새를 건설하였다.오라시움이 확보되면서 누미디아 지방과 마우레타니아 시티펜시스 지방에 효과적인 비잔틴 통제가 정착되었다.솔로몬은 이오다스의 보물을 손에 넣은 후, 이 두 지방에서 그의 요새화 프로그램을 확장하였다. 그의 건축 활동을 증언하는 비문들은 이 지역에서 살아남았다.베르베르 반란은 영원히 구타당하는 것 같았고, 현대의 고질적인 사람들은 다음 몇 년을 평화와 번영의 황금시대로 선언하는 데 만장일치로 찬성하고 있다.[17]

프로코피우스의 말을 빌리자면 "로마인의 대상이었던 모든 리비아인들은 안전한 평화를 누리며 솔로몬의 현명하고 매우 온건한 통치권을 찾으려고 오고 더 이상 마음 속에 적개심을 생각하지 않는 모든 리비아인들은 모든 사람 중에서 가장 운이 좋은 것 같았다"[18]고 말했다.그의 복원 프로그램은 티아레 남쪽의 제다르까지 이르렀다. 중세 아랍 소식통들은 파티미드 칼리프 알-만수르 바이-나스르 r.알라(946-953)가 솔로몬이 지역 베르베르인들의 반란을 진압한 것을 기념하는 비문을 우연히 만났다고 기록했는데, 아마도 마스티가스마우로 로마 왕국을 지칭했을 것이다.[19]이 원정은 다시 한번 로마 통치를 마우레타니아 카사리엔시스 지방으로 확장시켰지만, 이것은 분명히 단명했다: 솔로몬이 죽은 후 몇 년 안에, 중부 마그레브 지방의 로마 통치는 해안으로 축소되었다.[20]

이러한 평온은 542/543년까지 지속되었는데, 그 때 아프리카에 큰 페스트가 도착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특히 육군 구성원들 사이에 많은 사상자를 냈다.게다가 543년 초 바이자세나의 베르베르족은 회복적이 되었다.솔로몬은 그 소동에 책임이 있는 안탈라 족의 동생을 처형하고, 안탈라 족에게 주어진 보조금을 중단하여, 권세 있고 충성스러운 족장들을 따돌렸다.동시에 (펜타폴리스에서 동생 키루스와 함께) 저스티니아누스 황제의 감사의 표시로 새로 트리폴리타니아 총독으로 지명된 솔로몬의 조카 세르기우스는 부하들이 연회에서 지도자 80명을 살해하자 레우아태 부족 연합군과 적대감을 일으켰다.비록 렙티스 마그나 근처에서 이어진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544년 초 세르기우스는 어쩔 수 없이 카르타고로 건너가 숙부의 원조를 구하게 되었다.[21]반란은 트리폴리타니아에서 바이자세나로 빠르게 번졌고, 그곳에서 안탈라스는 거기에 가담했다.솔로몬은 세 조카들과 함께, 그들이 모일 때에, 베르베르 인에 대항하여 행군하였다. 솔로몬은 그들을 테베스테 근처에서 만났다.류아태에 대한 마지막 외교적 제안은 실패했고, 누미디아와 바이자세나 국경의 실리움에서 양군이 충돌했다.비잔틴군은 많은 병사들이 싸우기를 거부하거나 마지못해 그렇게 하는 등 분열로 활기를 띠었다.동시대의 시인 플라비우스 크레스코니우스 코리푸스는 군타리스가 자신의 군대와 함께 철군하여 장군적이고 무질서한 비잔틴 퇴각을 초래했다고 주장하면서 군타리스를 반역죄로 고발하기도 했다.솔로몬과 그의 경호원은 그들의 입장을 고수하며 저항했지만 결국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솔로몬의 말은 비틀거리며 갈가마니에 떨어져 기수를 다치게 하였다.솔로몬은 근위병들의 도움으로 탈영하였지만, 그들은 곧 이기고 죽었다.[2][22]

솔로몬은 조카 세르기오스에 의해 계승되었는데, 그는 이 상황에 대처하는 데 완전히 불충분함을 증명했다.베르베르족은 총반란을 일으켜 545년 타키아에서 비잔틴인들에게 심한 패배를 가했다.세르기오스는 상기되었는데, 군대가 다시 반란을 일으킨 가운데 이번에는 카르타고를 점령하고 그곳에 독립 통치자로 자신을 설치한 군타리스 휘하에 있었다.아르타바네스에 의해 암살된 이후 그의 침공은 오래가지 못했으나, 546년 말 존 트로글리타가 도착하고 이후 그의 캠페인이 있은 후에야 비로소 그 지방을 평정하고 비잔틴 제국 통치하에 다시 안전하게 데려오게 되었다.[23]

참조

  1. ^ a b 마틴데일 1992 페이지 1168.
  2. ^ a b c d e f ODB, "솔로몬" 페이지 1925-1926.
  3. ^ 마틴데일 1992, 페이지 162, 374, 1124–1128, 1177.
  4. ^ 마르틴데일 1992페이지 1168–1169; 1958년 베리, 페이지 129.
  5. ^ 마틴데일 1992페이지 1169–1170.
  6. ^ Martindale 1992, 페이지 1170; Burge 1958, 페이지 140–141.
  7. ^ 마르틴데일 1992년 페이지 1170–1171년; 1958년 베리, 페이지 143.
  8. ^ Martindale 1992, 페이지 1171; Burge 1958, 페이지 143.
  9. ^ a b Martindale 1992, 페이지 1172; Burge 1958, 페이지 143.
  10. ^ Martindale 1992, 페이지 1172–1173; Burge 1958, 페이지 143–144.
  11. ^ 그레이엄 2002, 페이지 44.
  12. ^ 1958년, 페이지 144–145.
  13. ^ 마틴데일 1992 페이지 1173.
  14. ^ 마르틴데일 1992페이지 1173–1174; 1958년 베리, 페이지 145.
  15. ^ 로거슨 2001, 페이지 111.
  16. ^ 마르틴데일 1992페이지 1174-1175; 1958페이지, 145페이지.
  17. ^ Martindale 1992, 페이지 1175; Burge 1958, 페이지 145.
  18. ^ 프로코피우스.데 벨로 반달리코, 2.40
  19. ^ Halm 1987, 페이지 251–255.
  20. ^ 할름 1987, 페이지 255.
  21. ^ Martindale 1992, 페이지 1125, 1175; Burge 1958, 페이지 145.
  22. ^ 마르틴데일 1992페이지 1175–1176; 1958년 베리, 페이지 145.
  23. ^ 1958년, 페이지 146–147.

원천

  • Bury, John Bagnell (1958).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Volume 2. Mineola,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SBN 0-486-20399-9.
  • Graham, Alexander (2002) [1902]. Roman Africa. North Stratford, New Hampshire: Ayer Publishing, Incorporated. ISBN 0-8369-8807-8.
  • Halm, Heinz (1987). "Eine Inschrift des "Magister Militum" Solomon in arabischer Überlieferung: Zur Restitution der "Mauretania Caesariensis" unter Justinian".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in German). 36 (2): 250–256. JSTOR 4436011.
  • Kazhdan, Alexander, ed.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4652-8.
  • Martindale, John R., ed. (1992).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III, AD 527–64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0160-8.
  • Rogerson, Barnaby (2001). History of North Africa. New York: Interlink Books. ISBN 1-56656-3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