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수슬로프
Mikhail Suslov미하일 수슬로프 | |
---|---|
Михаил Суслов | |
![]() 1964년 수슬로프 |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제1부부장 | |
재직중 1965년 12월 6일 ~ 1982년 1월 25일 | |
앞에 | 니콜라이 포드고니 |
승계인 | 콘스탄틴 체르넨코 (사실상) |
재직중 1953년 9월 14일 ~ 1957년 12월 17일 [검증 필요] | |
앞에 | 니키타 흐루쇼프 |
승계인 | 알렉세이 키리첸코 |
미국 이념부 수석비서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 |
재직중 1948년 8월 31일 ~ 1982년 1월 25일 | |
앞에 | 안드레이 즈다노프 |
승계인 | 콘스탄틴 체르넨코 (연기) |
스타브로폴 지역위원회 제1서기장 | |
재직중 1939년 ~ 1944년 11월 | |
앞에 | 드미트리 곤차로프 |
승계인 | 알렉산드르 올로프 |
신상명세부 | |
태어난 | 미하일 안드레예비치 수슬로프 1902년 11월 21일 샤홉스코예 |
죽은 | 1982년 1월 25일 모스크바, 러시아 SFSR, 소비에트 연방 | (79세)
휴게소 | 크렘린 벽 네크로폴리스, 모스크바 |
국적. | 소비에트 연방의 |
정당 | CPSU (1921-1982) |
배우자. | 옐리자베타 알렉산드로브나 (1972년 사망) |
아이들. | 2 |
사는곳 | 쿠투조프스키 프로스펙트 |
모교 | 플레하노프 러시아 경제대학교 |
직업 |
|
시상식 | 사회주의 노동의 영웅 (2회) |
군복무 | |
얼리전스 | 소비에트 연방 |
지점/서비스 | 소련의 빨치산 |
근속연수 | 1941–1945 |
전투/전쟁 | |
중앙기관회원권 | |
미하일 안드레예비치 수슬로프(러시아어: м ндре́евич с у́слов ихаи́л а; 11월 21일 [OS. 8일] 1902년 - 1982년 1월 25일)는 냉전 기간 동안 소련의 정치가였습니다.1965년부터 소련 공산당 제2서기를 지냈으며, 1982년 사망할 때까지 당의 비공식 수석 이념가로 활동했습니다.수슬로프는 공산당 내의 정당 민주주의와 권력 분립에 책임이 있었습니다.변화에 저항하는 그의 강경한 태도는 그를 가장 중요한 정통 공산주의 소비에트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만들었습니다.
1902년 러시아 시골에서 태어난 수슬로프는 1921년 전연합공산당(볼셰비키)의 당원이 되었고 1920년대의 대부분 동안 경제학을 공부했습니다.그는 1931년에 교사직을 떠나 전업으로 정치를 계속했고, 조셉 스탈린 정권에 의해 시작된 대중 탄압에 참여한 많은 소련 정치인들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그는 1939년에 스타브로폴 크라이 행정 구역의 제1서기관이 되었습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술로프는 지역 스타브로폴 게릴라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1946년 중앙위원회 조직국(Orgburo)의 일원이 되었습니다.1950년 6월, 그는 최고 소비에트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1952년 10월 16일부터, 그는 제19대 소련 지도부의 정회원이었습니다. 스탈린의 죽음 이후 이어진 소련 지도부의 교체로, 수슬로프는 그가 이전에 얻은 많은 인정과 영향력을 잃었습니다.그러나 1950년대 후반까지 그는 니키타 흐루쇼프 제1장관에 반대하는 당의 지도자가 되었습니다.1964년 흐루쇼프가 축출되었을 때, 수슬로프는 집단 지도부의 설립을 지지했습니다.그는 또한 당내 민주주의를 지지하고 스탈린과 흐루쇼프 시대에서 볼 수 있는 1인 통치의 재정립을 반대했습니다.브레즈네프 시대에 수슬로프는 당의 최고 이념가이자 2인자로 여겨졌습니다.1982년 1월 25일 그의 죽음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뒤를 이어 서기장이 되기 위한 전투의 시작으로 여겨집니다.
초창기와 경력
1902년 11월 21일 러시아 울랴놉스크주 파블롭스키 군 샤홉스코예에서 태어났습니다.1918년 사라토프에 있는 콤소몰 지역 조직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결국 빈곤 구제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습니다.콤소몰에서 거의 3년간 일한 후, 1921년에 전연합공산당(볼셰비키)의 일원이 되었습니다.랍박을 졸업한 후, 그는 1924년에서 1928년 사이에 플레하노프 국민경제연구소에서 경제학을 공부했습니다.1928년 여름, 플레하노프 연구소를 졸업하고 붉은 교수 연구소에서 경제학 대학원생([1]연구원)이 되어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와[2] 산업 아카데미에서 강의를 했습니다.[1]
1931년, 그는 당 기구를 지지하기 위해 교편을 포기했습니다.그는 공산당 당 통제위원회와 노동농부 감찰위원회 인민위원회의 감찰관이 되었습니다.[1]그곳에서 그의 주된 업무는 많은 수의 "개인적인 사건", 규율 위반, 그리고 제명에 대한 항소를 판결하는 것이었습니다.
1933년과 1934년, 수슬로프는 우랄 지방과 체르니고프 지방에서 당을 숙청한 혐의로 기소된 위원회를 지휘했습니다.이 숙청은 당시 소련 통제 위원장이었던 라자르 카가노비치에 의해 조직되었습니다.작가 유리 드루즈니코프는 수슬로프가 여러 쇼 재판을 준비하는 데 [3]관여했으며, 트로츠키주의자, 지노비예프주의자 및 기타 좌파 일탈주의자들을 의미하는 당 노선에서 벗어난 모든 당원들을 제명함으로써 당에 기여했다고 주장합니다.[1]
1936년부터 1937년까지, Suslov는 적색 교수 경제 연구소의 대학원 과정에서 공부했습니다.그는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스탈린의 작품과 연설을 주의 깊게 공부하고 암기하는 비사교적이고 겸손하며 진지한 학생으로 명성을 얻었고, 공동 아파트의 작은 방에서 카드 상자와 파일 캐비닛에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에 대한 그들의 진술을 완벽하게 기록하는 것으로 유명해졌습니다.어찌된 일인지 스탈린은 좁은 경제 문제에 대해 레닌의 의견을 급히 필요로 했고, 그의 비서 레프 메흘리스를 급파하여 답을 찾아냈습니다.그 연구소에서 수슬로프의 반 친구인 메클리스는 그에게 다가갔고 즉시 필요한 인용구를 찾았습니다.놀란 스탈린은 어떻게 그렇게 빨리 인용문을 찾을 수 있었느냐고 물었고, 메클리스는 이에 스탈린을 수슬로프에게 소개했습니다.[4]스탈린은 즉시 수슬로프를 로스토프의 당 비서로 승진시켰고 1938년 도시에 대한 숙청을 단행했습니다.[5]그의 일에 감명을 받은 수슬로프는 1939년에 스타브로폴 지방 공산당의 제1서기가 되었습니다.[2]
전시 활동 (1941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 전선에서 수슬로프는 북캅카스 전선[1] 군사평의회의 일원이었으며 독일군이 이 지역을 점령한 후 빨치산 사단의 스타브로폴 크라이 본부를 이끌었습니다.[2]수슬로프는 독일 침략자들에 맞서 싸우기 위해 노동자들을 동원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그가 이끌었던 게릴라 운동은 지역 당 세포에 의해 운영되었고, 수슬로프는 붉은 군대와 긴밀한 접촉을 유지했습니다.[1]수슬로프는 또한 전쟁 기간 동안 코카서스에서 체첸인들과 다른 무슬림 소수 민족들의 추방을 감독했습니다.[5]
소련의 역사서에 따르면, 게릴라 전사로서 수슬로프의 세월은 매우 성공적이었지만, 참가자들의 증언은 공식적인 기록과 다릅니다.이들 참가자들은 여러 가지 조직적 문제가 발생해 전장에서의 실효성이 떨어졌다고 주장합니다.또한 수슬로프는 젊은 시절에 발병한 결핵으로 고통받았는데, 이 결핵은 울창한 빨치산 숲에서 더욱 악화되었고, 효과적인 전투원으로서 그의 능력을 방해했습니다.더 이상의 재발이 두려워 그는 평생 신발에 갈로제를 바르고 모자와 우비를 입었는데, 더운 여름 날씨에도 이는 브레즈네프 정치국 동료들 사이에서 농담거리가 되었습니다.[6]
이후 수슬로프는 발트해 지역을 대호국전쟁의 여파로 숙청했습니다.[7]1944년부터 1946년까지 리투아니아 중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습니다.1970년대 그의 권력이 절정에 달했을 때의 반소련 사미즈다트 문학은 그가 1944년 베를린으로 차를 몰고 가던 소련이 발트해 국가들로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소련에 정적이 된 민족주의 리투아니아인들을 추방하고 살해한 데 개인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습니다.[8]
스탈린의 피보호자

1946년, 수슬로프는 오르그뷰로의 일원이 되었고 곧바로 중앙위원회의 외교부 부장이 되었습니다.1년 안에, 수슬로프는 선동과 선전을 위한 중앙 위원회의 책임자로 임명되었습니다.그는 또한 전후 몇 년 동안 유대인 반파시스트 위원회의 혹독한 비판자가 되었습니다.[9]1946년 11월 26일, 수슬로프는 안드레이 즈다노프에게 유대인 반파시스트 위원회의 스파이 행위를 고발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소련 지도부 사이에서 호평을 받은 수슬로프의 편지는 반(反)코스모폴리탄 캠페인 기간 동안 위원회를 기소하는 근거가 될 것입니다.[10]아지트프롭의 수장이 된 후, 반 코스모폴리탄 캠페인이 한창일 때, 술로프는 또한 유대인들을 언론과 공공 기관에서 추방했습니다.[11]1947년 모스크바로 옮겨져 중앙위원회 서기국에 선출되었고, 평생 이 자리를 유지했습니다.[2]수슬로프는 스탈린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고 1948년 블라디미르 레닌 사망 24주기를 맞아 엄숙한 회의에 앞서 중앙위원회를 대표해 연설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12]1949년 9월부터 1950년까지 중앙당 일간지 프라브다의 편집장을 지냈습니다.[1]
1949년, 수슬로프는 게오르기 말렌코프, 라브렌티 베리아, 그리고 라자르 카가노비치와 함께 모스크바의 지역 공산당 제1서기 게오르기 포포프에게 부과된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습니다.[13]러시아 역사학자 로이 메드베데프는 그의 저서인 Neizvestnyi Stalin에서 스탈린이 Suslov를 "비밀 후계자"로 삼았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5]수슬로프를 싫어했던 라브렌티 베리아는 분명히 그에게 너무 위협을 느껴 체포된 후 베리아의 금고에서 수슬로프를 그가 "제거"하고 싶은 1등 인물로 표시한 문서들이 발견되었습니다.[14]
1950년 6월, 수슬로프는 최고 소비에트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그는 1952년 제19차 당 대회 이후에 CPSU 의장으로 승진했습니다.그는 스탈린이 사망하고 1953년 대통령직에서 해임되었을 때 일시적인 반전을 겪었습니다.그는 최고 소비에트에서 계속 일했고, 스탈린 사망 직후 몇 년 동안 외교 위원회의 위원장이 되기도 했습니다.[15]
흐루쇼프 시대

1955년에 수슬로프는 자신의 권위를 회복했고 관례적인 후보자 자격을 우회하여 대통령직에 선출되었습니다.[13]1956년 제20차 당 대회에서 흐루쇼프는 스탈린의 인격 숭배에 대한 유명한 비밀 연설을 했습니다.2월 16일 수슬로프의 사상 보고서에서 그는 스탈린과 그의 인격 숭배에 대한 비판을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했습니다.[16]
"(그들은) 조직적이고 이념적인 정당 활동에 상당한 해를 끼쳤습니다.그들은 대중의 역할과 당의 역할을 경시하고, 집단적 리더십을 폄하하고, 당내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당원들의 적극성을 억압하고, 그들의 진취성과 진취성을 억제하고, 통제력의 결여와 무책임을 초래하고, 개인들의 업무에 있어서까지 독단적인 태도를 취하며, 비판의 전개를 막았습니다."lf-criticism, 그리고 일방적이고 때로는 잘못된 결정을 낳았습니다."
— Suslov, 20th Party Congress
1956년 헝가리 혁명 동안, 수슬로프는 아나스타스 미코얀과 함께 부다페스트에서 가까운 곳에서 소련군의 활동을 지휘하고 새로운 헝가리 지도부를 지원하기 위해 작전을 수행했습니다.수슬로프와 미코얀은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정치국 회의에 참석하여 야노스 카다르를 총서기로 선출했습니다.소련 지도부에 보낸 전보에서, 수슬로프와 미코얀은 상황이 더 심각해졌음을 인정했지만, 둘 다 에르 ő 게르 ő를 총서기로 해임하고 카다르를 후임자로 선택한 것에 만족했습니다.
최고 소비에트 회의는 헝가리 인민 공화국의 새 정부에 대한 수슬로프와 미코얀의 양보를 비판했습니다.[18]초기의 유보에도 불구하고, 수슬로프는 결국 헝가리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고 그곳의 정부 지도부를 교체하려는 대통령회의의 결정을 지지했습니다.[19]
1957년 6월, 흐루쇼프는 게오르기 말렌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라자르 카가노비치, 드미트리 셰필로프가 이끄는 반당파와 투쟁하는 동안 지지했습니다.[20]미코얀은 나중에 회고록에서 대통령직에서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하더라도 흐루쇼프가 승자로 떠오를 것이라고 말해 수슬로프에게 흐루쇼프를 지지하도록 설득했다고 썼습니다.[21]
이듬해 10월, 수슬로프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게오르기 주코프 국방장관을 "보나파르트주의"로 비난하여 모든 당과 정부 직책에서 그를 제거했습니다.주코프의 제거는 군대를 당의 지배하에 확고히 종속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20]
1958년 1월 22일 연설에서 흐루쇼프는 콜호지가 사용하는 농업 기계를 소유하고 유지하는 주 조직인 기계 및 트랙터 스테이션(MTS)을 해산할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했습니다.이 개혁은 소련의 이념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마르크스-레닌주의 교리에서, 재산의 협동 소유는 국가 소유보다 공공 소유의 "낮은" 형태로 여겨졌습니다.스탈린은 흐루쇼프의 협력적 소유권 확대 제안을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배치시켰습니다.
스탈린의 경제정책을 지지했던 수슬로프는 이념적인 이유로 흐루쇼프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1958년 3월 소련 최고인민회의 상임의장 선거 연설에서 수슬로프는 흐루쇼프 개혁의 이념적 중요성을 인정하기를 거부하고 대신 개혁의 생산성 향상의 실질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선호했습니다.다른 당 지도자들과 달리, 수슬로프는 MTS 개혁의 시작자로 흐루쇼프를 언급하는 것을 피했습니다.[22]
1959년 1월 제21차 당 대회가 열렸습니다.흐루쇼프는 새로운 7개년 계획의 초안을 고려하기를 원했습니다.수슬로프는 흐루쇼프가 사회주의 발전국에서 공산주의 발전국으로 발전했다는 발언에 대해 조심스럽게 반박했습니다.그는 흐루쇼프의 견해에 결함이 있다고 보았고, 그의 견해가 당에 의해 승인되지 않았다고 반박했습니다.흐루쇼프의 주장을 더욱 신빙성을 떨어뜨리기 위해, 술로프는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을 언급했습니다.[23]
"마르크스와 레닌은 공산주의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공산주의가 생겨나고, 성숙되고, 발전하며, 특정한 단계 또는 단계를 거쳐 발전한다고 가르칩니다.소련 사회의 발전에 있어서 새로운 시기는 사회주의 재산의 두 형태인 국가와 콜호즈의 점진적인 결합으로 특징지어질 것입니다.이러한 사회적 변화의 과정은 길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7년이라는 기간 동안 끝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Suslov, 21st Party Congress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정책,[24] 정치적 비타협, 스탈린주의자 구위대의 잔당을 제거하려는 그의 캠페인에 대해 점점 더 비판적이 되었습니다.[25]또한 수슬로프와 흐루쇼프 간의 외교 및 국내 정책에 있어서도 깊은 의견 차이가 있었습니다.수슬로프는 소련과 미국의 관계를[24] 개선하는 것에 반대했고 유고슬라비아와 화해하려는 흐루쇼프의 시도에 반대했습니다.[26]국내적으로, 술로프는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과 그의 경제적 분권 계획에 반대했습니다.[27]
Suslov는 1959년 최고 소비에트의 국회의원으로서 영국을 방문했습니다.그 방문은 성공적이었고, 노동당의 대표인 휴 게츠켈은 그 해 말에 손님으로 소련을 방문했습니다.[28]
중-소 관계는 오랫동안 경색되어 왔으며, 수슬로프는 자신의 보고서 중 하나에서 중앙위원회에 "문제의 핵심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최근 중국에서 사회주의 관계의 성숙도를 과장하는 경향을 발전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자만심과 거만함의 요소가 있습니다.마오쩌둥 동지의 인격 숭배 분위기는 이러한 단점을 크게 설명해 줍니다.어느 모로 보나 자기 자신은 자기의 무오류를 믿게 된 사람입니다."[29]수슬로프는 마오쩌둥의 성장하는 인격 숭배와 조셉 스탈린 치하에서 볼 수 있는 인격 숭배를 비교했습니다.[30]
수슬로프는 중-소 분쟁을 주도하고 흐루쇼프 정권 하에서 마오주의를 다양한 방식으로 비판했기 때문에 마오주의 중국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는데, 특히 사회주의 진영의 소련 지도부와의 분열, 평화공존론의 거부,그리고 마오쩌둥은 세계적으로 반소련 경쟁자인 공산주의 무장단체들을 지지했습니다.수슬로프는 또한 마오쩌둥의 중국을 티토주의 유고슬라비아와 트로츠키주의에 비유하며 그를 부르주아 민족주의자이자 좌파 일탈주의자라고 비난했습니다.[31][failed verification]
반당파가 실패한 후 수슬로프는 "모스크바파"로 알려진 흐루쇼프의 지도력에 반대하는 중앙위원회의 지도자가 되었습니다.[32]흐루쇼프는 1960년 U-2 사건이나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다양한 야당의 요구에 굴복하여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U-2 사태의 여파로 수슬로프는 정치국에서 몇몇 흐루쇼프의 임명자들을 새로운 반크루쇼프파 의원들로 교체할 수 있었습니다.쿠바 미사일 위기 실패 이후 흐루쇼프의 입지는 크게 약화되었고, 수슬로프의 세력은 크게 증가했습니다.
1964년 흐루쇼프를 공직에서 축출하기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비록 야당의 지도자였지만, 수슬로프는 작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했을 때 심각한 병에 걸렸고, 대신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와 알렉세이 코시긴이 야당을 이끌었습니다.[33]
브레즈네베라
집단리더십

1964년 10월, 흐루쇼프는 축출되었습니다.수슬로프는 이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수슬로프는 알렉세이 코시긴 총리,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제1장관과 함께 흐루쇼프 축출 이후 1960년대 소련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 중 한 명이었습니다.흐루쇼프에 반대하는 야당을 수년간 이끌었던 수슬로프는 브레즈네프가 권력을 잡았을 때 중앙위원회 내에서 큰 권력을 획득하고 행사했습니다.그러나, Suslov는 소련의 지도자가 되는 것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뒤에서 그 남자로 남아있는 것에 만족했습니다.[34]그의 임기 대부분 동안 수슬로프는 서기국과 정치국의 의석을 모두 차지한 4명 중 한 명이었고, 나머지 3명은 브레즈네프, 안드레이 키릴렌코, 표도르 쿨라코프였습니다.[35]
흐루쇼프의 축출 직후 브레즈네프가 제1서기, 코지긴이 정부 수반, 아나스타스 미코얀이 국가 원수로 교체되면서 비공식적인 삼두정치(러시아 이름 트로이카라고도 함)를 형성했습니다.처음부터 수슬로프는 요제프 스탈린과 흐루쇼프 치하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1인 통치에 대해 목소리를 높인 비평가였습니다.
그는 스탈린의 1인 통치를 비난하면서도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의 개인주의적 주장을 비판했습니다.민주적인 중앙집권주의의 강력한 지지자였던 수슬로프는 1970년 브레즈네프가 정부 수반으로서 코시긴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막았습니다.[36]키릴렌코, 브레즈네프, 수슬로프는 공산당 지도부 내 비공식 트로이카 소속이었습니다.[37]수슬로프는 정치국 서열에서 브레즈네프, 포드고리, 코시긴에 이어 키릴렌코에 앞서 4위를 차지했습니다.[38]
브레즈네베 시대를 거치면서 수슬로프는 점점 강경해졌습니다.수슬로프는 동구권 지도자들이 시도한 어떤 종류의 반소련 정책에도 반대했지만 1968년 프라하의 봄에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대한 소련의 군사 개입에 반대표를 던졌습니다.크리스티안 슈미트-헤우어(Christian Schmidt-Häuer)에 따르면, 수슬로프는 동구권에서 "정통 공산주의자"의 "교황"으로 여겨졌습니다.그의 정치 경력 동안에, 수슬로프는 공산주의 운동에서 소련의 주도적인 역할이 손상될 것을 점점 더 우려하게 되었습니다.헤우어, 그의 책 고르바초프에서: 수슬로프는 "러시아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었던 "러시아 민족주의자"였다고 주장합니다.[39]
수슬로프가 비공식적으로 "공산당 최고 이념가"라는 칭호를 받은 것은 브레즈네프 시대였습니다.수슬로프는 블라디미르 레닌,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유산을 추모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그러나, 술로프는 당의 노선을 따랐고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일부 신념으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지지했습니다.[40]이념적 후퇴의 예로는 단일 정당이 승인한 생물학, 화학, 물리학의 자연과학 버전이 있습니다.[41]
그러나 문학에 대한 엄격한 이념적 통제는 여전히 존재했습니다.이것은 소련의 통치에 비판적인 문학뿐만 아니라 레닌의 많은 작품들이 또한 일상적으로 검열되었습니다.[42]
나중의 삶과 죽음

1980년대 초,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은 폴란드 통합 노동자당의 권위를 심각하게 잠식했습니다.이 문제에 대한 수슬로프의 입장은 1980년 8월 25일 폴란드 위기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정치국 위원회의 의장을 맡으면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안드로포프 KGB 위원장,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국방부 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교부 장관, 브레즈네프의 오랜 동료 콘스탄틴 체르넨코 등 소련의 고위 인사들입니다.
8월 28일, 위원회는 지역 안정화를 위해 소련의 군사 개입을 고려했습니다.[43]폴란드 통일 노동자당의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제1서기는 소련의 군사 개입은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라고 위원회를 설득할 수 있었습니다.수슬로프는 야루젤스키의 주장에 동의하면서, "만약 군대가 도입된다면, 그것은 재앙을 의미할 것입니다.이 자리에서 우리 모두는 병력 도입에 대한 논의는 있을 수 없다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고 생각합니다."[44]수슬로프는 야루젤스키와 폴란드 지도부를 설득하여 폴란드에 계엄령을 수립할 수 있었습니다.[45]
1982년 1월 유리 안드로포프는 수슬로프에게 KGB 제1부의장 세yon 츠비군이 브레즈네프의 자녀인 갈리나와 유리를 부패 수사로부터 보호했다고 폭로했습니다.이 사실들이 그에게 밝혀지자, Suslov는 Tsvigun에게 그 문제에 대한 진술을 요구했습니다.수슬로프는 츠비군을 공산당에서 제명시키겠다고 위협하기도 했지만, 츠비군은 1982년 1월 19일에 사망했습니다.
이틀 후, 수슬로프는 관상동맥 혈전증을 앓았고, 1월 25일 16시 5분에 동맥경화와 당뇨병으로 사망했습니다.[46]그의 죽음은 브레즈네프 집권 말기에 수슬로프의 당 제2서기직을 맡게 된 안드로포프가 키릴렌코와 체르넨코를 배제한 브레즈네프의 뒤를 이을 싸움의 시작으로 보고 있습니다.[39]
수슬로프는 1월 29일 레닌 묘와 크렘린 벽 사이에 위치한 12개의 개별 무덤 중 하나인 크렘린 벽 네크로폴리스에 안장되었습니다.브레즈네프는 수슬로프의 죽음에 큰 슬픔을 나타냈습니다.[47]
인지도
수슬로프는 생애 동안 여러 훈장과 메달을 받았습니다. 그 중에는 사회주의 노동 영웅상 2개, 레닌 훈장 5개, 10월 혁명 훈장 1개, 애국 전쟁 훈장 1개가 있었습니다.소련 과학 아카데미는 수슬로프에게 칼 마르크스의 금메달을 수여했습니다.수슬로프는 독일 민주 공화국, 몽골 인민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가장 높은 국가 상을 받았습니다.[1]
- 소비에트 연방
![]() ![]() | 사회주의 노동의 영웅 2회 (1962년 11월 20일, 1972년 11월 20일) |
![]() | 레닌 훈장 5회(1940년 3월 16일, 1952년 11월 20일, 1962년 11월 20일, 1971년 12월 2일, 1972년 11월 20일) |
![]() | 10월 혁명훈장 (1977년 11월 18일) |
![]() | 1945년 3월 24일 호국전쟁훈장 1계급장 |
![]() | 1급 "애국전쟁 빨치산에게" 훈장 (1943) |
![]() | "캅카스 방어를 위하여" (1944) 메달 |
![]() | "1941-1945년 위대한 애국 전쟁에서 용맹한 노동자를 위하여" (1945년) 훈장 |
![]() | "1941-1945년 위대한 애국 전쟁에서 독일에 승리한 공로" (1945년) 메달 |
![]() | CPSU에서의 50년(1981) 배지 |
- 외국의
![]() | 사회주의 노동의 영웅 (불가리아) |
![]()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훈장 4등급 (불가리아) |
![]() | 클레멘 고트발트 훈장 (체코슬로바키아) |
![]() | 카를 마르크스 훈장 (동독) |
![]() | 수흐바타르 훈장 4등급 (몽골) |
![]() | 금성훈장 (베트남) |
개인생활
Suslov는 Moscow Institute for Stomatology의 책임자로 일했던 Yelizaveta Alexandrovna (1903–1972)와 결혼했습니다.그녀의 삶에서, 그녀는 내과 질환, 특히 심한 형태의 당뇨병으로 심하게 고통받았지만, 의사의 권고를 무시했습니다.
리투아니아 태생의 미국 의학박사인 버나드 로운이 크렘린 병원에서 그녀를 만나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유명한 외국인 의사가 크렘린 병원을 방문하도록 초대된 몇 안 되는 사례들 중 하나였습니다.수슬로프는 로운의 업적에 감사를 표했지만, 그가 "제국주의" 국가의 대표였기 때문에 로운을 직접 만나는 것을 피했습니다.[48]
옐리자베타와 수슬로프에게는 러시아 혁명의 이름을 딴 레볼리(1929년생)와 메이데이의 이름을 딴 둘째 마야(1939년생)라는 두 자녀가 있었습니다.[49]
참고문헌
- ^ a b c d e f g h Суслов, Михаил Андреевич [Suslov, Mikhail Andreyevich] (in Russian). warheroes.ru. Retrieved 15 February 2011.
- ^ a b c d Law 1975, 페이지 224.
- ^ Druzhnikov, Yuri (1997). Informer 001: The Myth of Pavlik Morozov. Transaction Publishers. p. 62. ISBN 978-1-56000-283-3.
- ^ Thelman, Joseph (December 2012). "The Man in Galoshes". Jew Observer. Retrieved 28 February 2021.
- ^ a b c 몬테피오레 2005, 페이지 642n.
- ^ Skvortsova, Elena (7 December 2021). "Unknown history. The "Gray Eminence" of the Soviet system Mikhail Suslov". sobesednik. Retrieved 22 February 2022.
- ^ 몬테피오레 2005, p. 560n.
- ^ "Samizdat document on Suslov's role in Lithuania". Lituanus. 24 (1). Spring 1978.
- ^ Redlich, Simon; Anderson, Kirill Mikhaĭlovich; Altman, I. (1995). War, Holocaust and Stalinism: A Documented Study of the Jewish Anti-Fascist Committee in the USSR. Vol. 1. Routledge. pp. 69–70. ISBN 978-3-7186-5739-1.
- ^ Pain, Emil (29 April 2020). "Antisemitism Deferred". MBK News. Retrieved 28 February 2021.
- ^ Mlechin, Leonid (7 July 2019). ""You Give us Little Hawks, Give us Little Hawks!": Why Identifying Jews Became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Post-War USSR". Novaya Gazeta. Retrieved 28 February 2021.
- ^ Petroff 1988, 페이지 62.
- ^ a b 브라운 2009, 페이지 218.
- ^ Skvortsova, Elena (7 December 2021). "Unknown history. The "Gray Eminence" of the Soviet system Mikhail Suslov". sobesednik. Retrieved 22 February 2022.
- ^ Law 1975, pp. 224–225.
- ^ Petroff 1988, 페이지 84.
- ^ 브라운 2009, 페이지 282.
- ^ 브라운 2009, 페이지 283.
- ^ 브라운 2009, 페이지 285.
- ^ a b 브라운 2009, 페이지 246.
- ^ 브라운 2009, 페이지 247.
- ^ Petroff 1988, pp. 111–112.
- ^ Petroff 1988, p. 115.
- ^ a b Law 1975, p. 225.
- ^ Law 1975, p. 209.
- ^ Khrushchev, Nikita (2006). Memoirs of Nikita Khrushchev: Reformer, 1945–1964. Vol. 2. Pennsylvania State Press. p. 511. ISBN 978-0-271-02861-3.
- ^ Petroff 1988, p. 117.
- ^ Oudenaren, John Van (1991). Détente in Europe: The Soviet Union and the West since 1953. Duke University Press. p. 118. ISBN 978-0-8223-1141-6.
- ^ Feldman, Ofer; Valenty, Linda O. (2001). Profiling Political Leaders: Cross-cultural Studies of Personality and Behavior.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126. ISBN 978-0-275-97036-9.
- ^ Leffler, Melvyn P. (2009).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Vo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69. ISBN 978-0-521-83719-4.
- ^ Times, Special to the New York (27 January 1982). "MIKHAIL SUSLOV, CHIEF IDEOLOGIST, IS DEAD IN SOVIET".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 March 2023.
- ^ Law 1975, 페이지 160.
- ^ Law 1975, p. 210.
- ^ 브라운 2009, 페이지 402.
- ^ Law 1975, 페이지 231.
- ^ Schmidt-Häuer 1986, p. 77.
- ^ Mitchell, R. Judson (1990). Getting To the Top in the USSR: Cyclical Patterns in the Leadership Succession Process. Hoover Press. p. 26. ISBN 978-0-8179-8921-7.
- ^ "170. Memorandum From the President's Assistant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Kissinger) to President Nixon". history.state.gov. 10 April 1971. Retrieved 6 March 2018.
- ^ a b Schmidt-Häuer 1986, 페이지 78.
- ^ 서비스 2009, 페이지 418.
- ^ 서비스 2009, 페이지 418-419
- ^ 서비스 2009, 페이지 419.
- ^ 브라운 2009, 페이지 430.
- ^ 브라운 2009, 페이지 435.
- ^ Petroff 1988, p. 197.
- ^ Schmidt-Häuer 1986, 페이지 73.
- ^ Schmidt-Häuer 1986, 페이지 74.
- ^ Zyankovich, Mikalai Alyaksandravich; Zenkovich, Nicholas (2005). Самые секретные родственники [Most Secret Family]. Olma Media Group. p. 416. ISBN 978-5-94850-408-7.
- ^ Petroff 1988, p. 73.
서지학
- Brown, Archie (2009). The Rise & Fall of Communism. London: Bodley Head. ISBN 978-0-224-07879-5.
- Law, David A. (1975). Russian Civilization. New York: Ardent Media. ISBN 978-0-8422-0529-0.
- Petroff, Serge (1988). The Red Eminence: A Biography of Mikhail A. Suslov. Cliffton, NJ: Kingston Press. ISBN 978-0-940670-13-6.
- Schmidt-Häuer, Christian (1986). Gorbachev: The Path to Power. London: I.B.Tauris. ISBN 978-1-85043-015-5.
- Sebag-Montefiore, Simon (2005).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New York: Vintage Books. ISBN 978-1-4000-7678-9.
- Service, Robert (2009). History of Modern Russia: From Tsarism to the Twenty-first Century. London: Penguin Books Ltd. ISBN 978-0-14-1037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