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 알파사

Mirra Alfassa
미라 알파사
Divine-mother (mirra alfassa).jpg
미라 알파사
개인적인
태어난
블랑쉬 레이첼 미라 알파사

1878년 2월 21일
프랑스 파리
죽은1973년 11월 17일 (1973-11-17) (95)
휴게소인도 폰디체리
종교힌두교
국적프랑스어, 인도어
주목할 만한 작품기도와 명상, 오래 전의 말, 생각과 진언, 어머니의 말
필명더 마더
서명Mosign.gif
인스티발트스리 오로빈도 아슈람
오로빌
종교 경력

추종자들에게 '마더'로 알려진 미라 알파사(1878년 2월 21일~1973년 11월 17일)는 프랑스의 영적 구루였으며, 오컬트 연주자였으며, 스리 아우로빈도의 협력자였는데, 그는 그녀를 자신과 동등한 요가 신장으로 여기고 '마더'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그녀는 스리 오로빈도 아슈람을 설립하고 오로빌을 유니버설 타운으로 설립했다. 그녀는 통합요가를 주제로 한 많은 작가들과 영적 인성에 영향을 끼치고 영감을 주었다.

미라 알파사(Mirra Alfassa, 어머니)는 1878년 파리에서 세파르드계 유대인 부르주아 가문에서 태어났다. 젊었을 때, 그녀는 맥스 테온과 함께 신비주의를 연습하기 위해 알제리로 갔다. 돌아온 후, 파리에 사는 동안 그녀는 한 무리의 영적 추구자들을 안내했다. 1914년, 그녀는 인도의 폰디체리로 여행을 가서 스리 오로빈도를 만났고, 그에게서 그녀가 환영을 가지고 있는 "어두운 아시아계 인물"을 발견하고 그를 크리슈나라고 불렀다. 이 첫 방문 동안, 그녀는 스리 오로빈도의 포스트 정치 산문 글 대부분을 연재한 정기 간행물 아리아를 프랑스판으로 출판하는 것을 도왔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그녀는 폰디체리를 떠나야 했다. 그 후, 일본에 4년간 머물면서 1920년에 그녀는 폰디체리로 영원히 돌아왔다. 점차 그녀와 스리 아우로빈도가 합류하면서 그녀는 스리 아우로빈도 아슈람을 조직하고 발전시켰다. 1943년 그녀는 아슈람에서 학교를 시작했고 1968년 인간의 단결과 진화를 위한 실험적인 마을인 오로빌을 설립했다. 그녀는 1973년 11월 17일 폰디체리에서 사망했다.

지난 30년간의 어머니 삶의 경험은 그녀의 추종자 중 한 명인 새트프레임의 13권짜리 작품 '어머니의제'에서 포착되었다.

초년기

유년기

미라 알파사(Mirra Alfassa)는 아이였을 때 1885년
미라 알파사

미라 알파사는 1878년 파리에서 에디른에서 이집트를 거쳐 이주한 터키계 유대인 아버지 모리스 알파사와 이집트계 유대인 어머니 마틸드 이스말룬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들은 부르주아 가문이었고, 태어날 때 미라의 정식 이름은 블랑쉬 레이첼 미라 알파사였다. 그녀에게는 오빠인 마테오 마티외 모리스 알파사가 있었는데, 그는 후에 아프리카에서 수많은 프랑스 정부 직책을 맡았다. 그 가족은 미르라가 태어나기 1년 전에 프랑스로 막 이주해 왔다. 미라는 이웃이자 이집트 밖에서 혼자 여행한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인 할머니 미라 이스말룸(네 핀토)과 가까운 사이였다.[1][2]

Mirra는 7살 때 독서를 배웠고 9살 때 매우 늦게 학교에 들어갔다. 그녀는 예술, 테니스, 음악, 그리고 노래의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었지만, 어떤 특정 분야에 대한 영구적인 관심의 명백한 결여 때문에 그녀의 어머니에게는 걱정거리였다.[3][4] 14세가 되자 그녀는 아버지의 소장품에서 대부분의 책을 읽게 되었는데, 이것은 그녀가 프랑스어를 마스터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5] 그녀의 전기 작가인 브렉헴은 미라가 어린 시절에 다양한 신비로운 경험을 했지만 그 중요성이나 관련성을 전혀 몰랐다고 말한다. 그녀는 이런 경험들을 어머니가 신비로운 경험을 치료해야 할 정신적 문제로 여기었을 것이라고 혼자만 알고 있었다.[6] 미라는 특히 13살이나 14살의 나이에 크리슈나라고 부르곤 했지만 실생활에서는 한번도 보지 못했던 야광적인 인물의 꿈이나 비전을 가지고 있었던 것을 떠올린다.[7][8][9]

예술가로서 그리고 여행자로서

미라 알파사(24세)와 아들 안드레(1902년경)가 있다.

파리에서

1893년 학교를 졸업한 뒤 미라는 아카데미 줄리앙[10][11] 함께 미술을 공부했다. 그녀의 할머니 미라는 그녀를 아카데미의 전 학생인 앙리 모리셋에게 소개했고, 그들은 1897년 10월 13일에 결혼했다.[12] 두 사람 모두 잘 살았고, 인상파 화가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시대에 그 후 10년 동안 예술가로 일했다. 그녀의 아들 안드레는 1898년 8월 23일에 태어났다. 알파사의 그림 중 일부는 살롱 도톰의 배심원단에 의해 받아들여져 1903년, 1904년, 1905년에 전시되었다.[13] 그녀는 자신이 이 시기에 완전한 무신론자였지만, 정신적 형성이 아니라 자발적인 경험이라는 것을 알게 된 다양한 기억들을 경험하고 있었다고 회상한다. 그녀는 그러한 경험들을 혼자 간직하고 그들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싶은 충동을 갖게 되었다. 그녀는 스와미 비베카난다라자 요가라는 책을 우연히 발견했는데, 이 책은 그녀가 찾고 있는 설명의 일부를 제공해 주었다. 미르라는 또한 프랑스어로 바가바드 기타의 사본을 받았는데, 이것은 그녀가 이러한 경험에 대해 더 많이 배우는 데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14]

막스 테온과 알마 테온

미라 알파사 (1906–1907) 알제리 Tlemcen에 있는 테온의 집에서

이 기간 동안 미라는 우주 운동의 우두머리였던 루이 테만리스를 알게 되었는데, 이 모임은 막스 테온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녀는 코스믹 리뷰의 카피를 읽으며 테만리스의 연설에 참석하여 그룹 활동을 하게 되었다. 처음으로 1906년 7월 14일, 그녀는 막스 테온과 그의 아내 알마 테온을 만나기 위해 알제리의 도시인 Tlemcen으로 혼자 여행을 떠났다. 그녀는 결과적으로 1906년과 1907년에 두 번 더 Tlemcen에 있는 그들의 소유지로 여행했고 그곳에서 Max Théon & Alma Théon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실험했다.[15]

1908년 미라는 파리의 49 루 데 레비스로 이주하여 작은 아파트에서 혼자 살면서 불교계와 우주 운동계와의 토론에 참여하였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데이비드 네엘 마담도 알게 되었다.[16] 미라는 1911년 폴 리처드와 결혼했는데, 그는 군대에서 4년간 복무한 후 철학과 신학에 관여했다. 그는 막스 테온과 토론할 때 미라를 알게 되었었다. 미르라의 전기 작가인 브렉헴은 리처드가 첫 결혼에서 네덜란드 여성으로 아이들을 물려받는데 법적인 문제를 겪고 있었고, 그와 결혼함으로써 그녀가 받아들인 도움을 미라에게 요청했다고 언급한다.[17]

스리 오로빈도, 일본과의 첫 만남

도로시 호지슨 (Dutta), 미라 알파사, 폴 리처드 & 도쿄의 일본인 친구

리차드는 또한 정치 지망생이었으며 당시 프랑스 지배하에 있던 폰디체리로부터 프랑스 원로원으로의 당선을 시도했었다. 초기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그는 두 번째 시도를 하고 싶었고, 1914년 3월 7일 리차드와 함께 미라는 인도로 출항하여 3월 29일까지 폰디체리에 도착했다. 훗날 '마더'로 알려지게 된 미라 알파사가 푸두체리에 처음 발을 디딘 것은 1914년, 그랜드 호텔 드 유럽에 머물며 스리 오로빈도를 만난 것이다.[18][19] 폰디체리에 도착한 후, 그들은 당시 폰디체리에 정착한 스리 오로빈도와 약속을 정했고, 영국 통치로부터 인도 독립을 위한 그의 모든 활동을 중단했었다. 스리 오로빈도를 처음 만났을 때, 미라는 꿈에서 보던 사람을 그에게서 알아보았다. 이후 만남에서 그녀는 아무런 생각 없이 완전한 마음의 침묵을 경험했다.[20]

리차드는 이전 선거에서 지지했던 폴 블루슨에게 선거에서 졌다. 리차드는 스리 오로빈도의 요가에 대한 리뷰를 발표하기로 하고, 아리아라고 불리며 영어와 프랑스어로 모두 2개 국어를 구사하기로 했다. 저널은 1914년 8월 15일에 처음 출판되었고 이후 6년 반 동안 운영되었다. 결과적으로 출판된 저널은 나중에 완전한 책으로 만들어졌다.[21] 이때까지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고, 인도 혁명가들은 독일군의 스파이로 영국에 의해 기소되고 있었다. 스리 오로빈도는 영국 통치에 반대하는 활동을 완전히 포기했지만, 그는 안전하지 않다고 여겨졌고 모든 혁명가들은 알제리로 이주하도록 요청 받았다. 스리 오로빈도는 이 제의를 거절했기 때문에, 영국은 파리의 프랑스 정부에 프랑스 폰디체리에 머물고 있는 혁명가들을 넘겨달라고 편지를 썼다. 미라의 동생 마테오 알파사에게 이런 요청이 들어왔는데, 마테오 알파사는 당시 외무장관이었으며, 다른 업무 파일에 이 요청을 제출하여 다시는 열람할 수 없게 되었다.[22][23]

1915년 영국의 주장으로 리차드는 폰디체리에서 이사가라는 명령을 받았다. 머라와 리차드 둘 다 1915년 2월 22일 파리로 떠났다. 몇 년 후, 리차드는 (당시 프랑스와 영국의 동맹국이었던) 일본과 중국에서 프랑스 무역은 당시 프랑스와 영국의 동맹이었다. 미라는 다시는 파리로 돌아가지 않으려고 리차드와 함께 일본으로 떠났다.[24]

미라와 리차드는 일본에 머물며 인도 공동체 사이에서 친분을 쌓았다. 그들의 일본에서의 시간은 비교적 평화로웠고, 이후 4년을 그곳에서 보냈다. 1920년 4월 24일 미라는 도로시 호지슨과 함께 리차드와 함께 폰디체리로[25][26] 돌아왔다. 미라는 루 프랑수아 마틴의 게스트하우스에 있는 스리 오로빈도 근처에 살기 위해 이사했다. 리차드는 인도에서 오래 머물지 않았다; 그는 프랑스로 돌아오는 북인도를 여행하며 1년을 보냈고, 미라와 공식적으로 이혼한 후 영국에서 재혼했다. 미국에서 교수로 몇 년 일한 후 그는 1968년에 죽었다.[27] 1920년 11월 24일 폭풍우와 폭우로 인해 스리 오로빈도는 미르라와 도로시 호지손(더타)에게 스리 오로빈도의 집으로 이사할 것을 요청했고, 그녀는 다른 주민들과 함께 이 집에서 살기 시작했다. [28][29]

애쉬람의 기초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사람들이 아리아 잡지와 스리 오로빈도에 대해 들은 다른 사람들의 영향을 받아 그의 거주지에 영구히 거주하거나 스리 오로빈도의 요가를 연습하기 위해 오기 시작했다. Mirra는 처음에는 다른 가구원들에게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외부인이라고 여겨졌다. 스리 오로빈도는 그녀를 요가 같은 키라고 여기고 '어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했으며, 그때부터 그녀는 온 사회에 그렇게 알려지게 되었다. 1924년경 이후 어머니는 집안의 일상적인 기능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서서히 집안은 많은 추종자들이 매일 유입되는 아슈람으로 변해가고 있었다.[30] 1926년 이후 스리 오로빈도는 정규 활동에서 은퇴하기 시작했고 요가 연습에 완전히 집중했다. 그 무렵 공동체는 85명의 회원으로 성장했고 그 단체는 서서히 영적인 아슈람으로 변해 있었다.

일체형 요가와 싯디 데이

이후 1926년 11월 24일, 시디의 날(승리의 날)로 선포되어 스리 오로빈도 아슈람에 의해 여전히 기념되고,[31] 마더와 스리 오로빈도는 오버마인드 의식이 육체적 의식에서 직접 발현되어 인간의 의식이 직접 인지하고 오버마인드 의식[note 1] 속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선언했다.

스리 오로빈도는 매일 애쉬램을 운행하는 것에 대해 마더에게 몇 가지 불평을 받았었다. 이 문제를 마무리 짓기 위해 스리 오로빈도는 1930년 4월 편지를 통해 '어머니'가 애쉬람의 추가 활동을 단독으로 담당한다고 선언했다.[32] 1930년 8월까지, 애쉬람 회원들은 80명에서 100명의 주민들로 성장했고, 모든 기본적인 편의 시설들이 충족된 자생적인 공동체였다. [33]

스리 오로빈도와 어머니의 요가의 작업과 원리는 이들에 의해 명명되었다: 일체형 요가, 전지형 요가. 이 요가는 팔로워가 수도원에서 살기 위해 외계의 삶을 포기하지 않고 규칙적인 삶에 존재하고 삶의 모든 부분에서 영성을 실천하기 때문에 오래된 요가의 방식과 상충되었다. [34]

1937년까지 아슈람 주민들은 150명 이상으로 늘어났기 때문에, 아슈람에 대한 추가 확장을 위해 아슈람에 보조금을 지급한 히데라바드의 니잠인 디완 하이더 알리(Diwan Hyder Ali)의 도움으로 건물과 시설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다. 안토닌 레이몬드는 마더의 지도 아래 프란티체크 삼머와 조지 나카시마의 도움을 받아 기숙사 건물을 지었다. 이때까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공사를 지연시켰으나 10년 만에 마침내 완공되어 골콘데(Golconde)라는 이름이 붙여졌다.[35] 1938년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딸인 마거릿 우드로 윌슨은 아슈람에 와서 평생 그곳에 남아 있는 것을 선택했다.[36]

1939년 세계대전이 발발했다. 아슈람의 멤버들 중 일부는 영국이 공격당했기 때문에 히틀러를 간접적으로 지지했을지 모르지만, 마더와 스리 아우로빈도 모두 많은 인도인들이 놀랄 만큼, 주로 바이세로의 전쟁 기금에 기부함으로써 연합군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선언했다.[37]

스리 오로빈도의 아슈람과 죽음의 학교

1943년 12월 2일 어머니는 약 20명의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 그녀는 이것이 그 때까지 외부 세계에 대한 완전한 포기를 실천하는 것에 관한 애쉬램에서의 일상 생활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움직임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녀는 학교가 점차 스리 오로빈도의 일체형 요가의 원리에 부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8] 이 학교는 후에 스리 오로빈도 국제 교육 센터로 알려지게 되었다. 1949년 2월 21일부터 그녀는 "The Bulletin"이라는 분기별 잡지를 시작했는데, 스리 오로빈도가 "지구상의 기형적 발현"이라는 제목으로 8개의 기사를 연재하여 처음으로 인간과 슈퍼맨 사이의 과도기에 대해 썼다.[39]

어머니 그림: '눈이 부시지 않는 자에게서 나타나는 분열 의식', 1920–1925

스리 오로빈도는 1950년 12월 5일 자신의 몸을 떠났다. 이것은 어머니에게는 매우 어려운 경험이었다.[39] 애쉬람에서의 모든 활동은 12일간 중단되었고, 그 후 어머니는 애쉬람의 향후 진로를 결정해야 했다. 어머니는 애쉬람의 모든 일을 맡기로 하고 또한 내적 요가를 계속하기로 했다. 1950년부터 1958년까지의 세월은 그녀가 주로 제자들에게 보여진 세월이었다.[40]

인도 폰디체리

1954년 8월 15일 프랑스 폰디체리인도의 연합 영토가 되었다. 어머니는 인도와 프랑스를 위해 이중 국적을 선포했다.[41] 자와할랄 네루는 1955년 1월 16일 아슈람을 방문하여 마더와 만났다. 이 회의를 통해 그가 그 재담에 대해 가졌던 많은 의구심을 해소했다. 1955년 9월 29일 두 번째 애쉬램 방문 때는 딸 인디라 간디가 동행했다. 어머니는 그녀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는데, 그것은 만년에 친밀한 관계로 발전했다.[42] 어머니는 스리 오로빈도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불어를 계속 가르쳤다. 그녀는 단지 간단한 대화와 암송으로 시작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스리 오로빈도의 글에서 한 구절을 읽고 그것에 대해 논평하는 데 필수적인 요가에 대한 더 깊은 논의로 확대되었다. 이 세션들은 질의응답이라는 7권짜리 책으로 성장했다. [43]

1958년 이후 어머니는 서서히 외부 활동에서 손을 떼기 시작했다. 1958년은 또한 요가의 더 큰 진보로 특징지어졌다.[44] 그녀는 요가를 위해 완전히 전념하기 위해 1959년부터 모든 활동을 중단했다. 1963년 2월 21일, 85번째 생일에, 그녀는 그녀를 위해 지어진 테라스에서 첫 번째 다르샨을 주었다. 그때부터 그녀는 다르샨의 날, 아래 방문자들이 모여 그녀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에 그곳에 참석하곤 했다.[45] 어머니는 정기적으로 많은 제자들을 만났고 그 중 한 명은 새트렘이었다. 그는 그들의 대화를 녹음했고, 나중에 그는 어머니 의제라 불리는 13권의 책으로 모았다.

엄마는 테니스를 치고 계신다.

오로빌 설립

폰디체리 인근 오로빌의 마트리만디르

어머니는 '꿈'이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는데, 이 글에서 어떤 나라도 그 나라의 유일한 재산이라고 주장할 수 없는 장소를, 모든 인류에게, 구별없이 제안했던 것이다.[46] 1964년에 마침내 이 도시를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1968년 2월 28일 그들은 새벽의 도시(프랑스어 'aurore'에서 유래)를 의미하는 오로빌이라는 도시를 위한 헌장을 작성했다. 오로빌은 인간의 단결을 이끌어내는 것이 목적의 하나일 것이다. 그 도시는 여전히 존재하고 계속 성장하고 있다(인구조사에서 기록한 바와 같이 영주권자의 관점에서 볼 때는 아니지만). [47] 오늘날 오로빌은 인도 정부가 설립한 재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만년

많은 정치인들이 그녀의 지도를 위해 정기적으로 마더를 방문했다. 그녀는 V.V.에서 왔다. 기리, 난디니 삿패시, 달라이 라마, 특히 인디라 간디와 밀접하게 접촉하며 수시로 그녀를 찾아다니며 지도를 받았다. [48] 1973년 3월 말에 그녀는 위독해졌다. 1973년 5월 20일 이후 모든 회의는 취소되었다. 그녀는 같은 해 8월 15일 마지막 다르샨을 선물하면서 수천 명의 팔로워들이 그녀를 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바깥 테라스를 방문했다. 어머니는 1973년 11월 17일 오후 7시 25분에 그녀의 몸을 떠났다. 11월 20일, 그녀는 메인 아슈람 건물 안뜰에 있는 스리 오로빈도의 시체 옆에 있는 사마디에서 안치되었다.[49]

1978년 인도 우표 위의 어머니

참조

메모들

  1. ^ 오버마인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오로빈도의 철학적 오퍼스 <인생신전> 제1권 제28장과 제2권 제26장에 수록되어 있다.

인용구

  1. ^ 브렉헴 2004, 페이지 4-7.
  2. ^ Mother's Chronicles Bk I; Mother on Self – Chronology p.83.
  3. ^ 브렉헴 2004, 페이지 8.
  4. ^ 아이옌가 1978년 6-7페이지. 7.
  5. ^ 브렉헴 2004, 페이지 10.
  6. ^ 브렉헴 2004, 페이지 11-13.
  7. ^ 브렉헴 2004, 페이지 14.
  8. ^ 스리 오로빈도 교육 센터 회보, 1976 페이지 14, 마더셀프 페이지 17–18.
  9. ^ 게시판 1974 페이지 63.
  10. ^ "The Mother". sriaurobindoashram.org.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November 2014. Retrieved 11 March 2013.
  11. ^ 미라 알파사, 그림과 그림, P. 157-158
  12. ^ 브렉헴 2004, 페이지 15-20.
  13. ^ 브렉헴 2004, 페이지 24.
  14. ^ 브렉헴 2004, 페이지 29.
  15. ^ 브렉헴 2004, 페이지 37–67.
  16. ^ 브렉헴 2004, 페이지 73-75.
  17. ^ 브렉헴 2004, 페이지 84.
  18. ^ 1969년 6월 15일 일요일 기준 Prithwindra Mukherjee와의 인터뷰 The Mother by Prema Nandakumar, National Book Trust, 1977, p9.
  19. ^ 카르마요기는 데이트가 없어, 반 브렉헴 2001.
  20. ^ 브렉헴 2004, 페이지 140–155.
  21. ^ 브렉헴 2004, 페이지 160–172.
  22. ^ 브렉헴 2004, 페이지 175–177.
  23. ^ Purani 1982, 페이지 9-12 대상 [full citation needed]
  24. ^ 브렉헴 2004, 페이지 178–180.
  25. ^ 아이옌가 1978, 페이지 182.
  26. ^ 1978년 작품집 제8권 페이지 106-107.
  27. ^ 브렉헴 2004, 페이지 215–216.
  28. ^ 브렉헴 2004, 225페이지.
  29. ^ 1979년 어머니 의제 2권 371–372.
  30. ^ 브렉헴 2004, 페이지 228–248.
  31. ^ 브렉헴 2004, 페이지 250–251.
  32. ^ 브렉헴 2004, 페이지 258–259.
  33. ^ 브렉헴 2004, 페이지 286–287.
  34. ^ 브렉헴 2004, 페이지 270–271.
  35. ^ 브렉헴 2004, 페이지 303–305.
  36. ^ 니로드바란 1972년 카르마요기[full citation needed]
  37. ^ 브렉헴 2004, 페이지 310–326.
  38. ^ 브렉헴 2004, 페이지 334–335.
  39. ^ Jump up to: a b 브렉헴 2004, 페이지 353–354.
  40. ^ 브렉헴 2004, 페이지 385.
  41. ^ 브렉헴 2004, 페이지 408–409.
  42. ^ 브렉헴 2004, 페이지 412-413.
  43. ^ 브렉헴 2004, 페이지 414.
  44. ^ 브렉헴 2004, 페이지 479–486.
  45. ^ 브렉헴 2004, 541페이지.
  46. ^ 브렉헴 2004, 페이지 547–549.
  47. ^ 브렉헴 2004, 페이지 559-562.
  48. ^ 브렉헴 2004, 페이지 573.
  49. ^ 브렉헴 2004, 페이지 593–598.

참고 문헌 목록

추가 읽기

  • 아논, 더 마더몇몇 데이트
  • Aurobindo, Sri (1972). Collected Works of Sri Aurobindo (Birth Centenary ed.). Sri Aurobindo Ashram, Pondicherry.
  • (1972b) 어머니, 스리 오로빈도 아슈람, 폰디체리
  • Iyengar, K. R. S. (1978). On the Mother: The Chronicle of a Manifestation and Ministry (2nd ed.). Sri Aurobindo International Centre of Education / Pondicherry. (2 볼륨, 연속 페이지 지정)
  • 알파사, 미라 (1977년) 그녀 자신의 어머니, 스리 오로빈도 아슈람, 폰디체리
  • Collected Works of the Mother (Centenary ed.). Sri Aurobindo Ashram, Pondicherry. 1978(17 vol set)CS1 maint: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Mother's Agenda. New York, NY: Institute for Evolutionary Research. 1979(13 vol set)CS1 maint: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날짜?) 꽃과 그들의 메시지, 스리 오로빈도 아슈람
    • (날짜?) 꽃과 영적 의의, 스리 오로빈도 아슈람
  • 다스, 놀리마 에드, (1978) 어머니 생명의 희미한 빛 제1권, 스리 오로빈도 아슈람, 폰디체리
  • 무케르제, 프리트윈드라(2000년), 스리 오로빈도: 파리 데스클레 드 브루워르 전기
  • 나하르, 스자타(1986) 어머니의 연대기 Bk 2. 파리 예술가인 미라: 에볼루티브, 파리 & 미라 아디티, 마이소르 에볼루티브를 재서명한다.
    • (1989) 어머니의 연대기 Bk. 3. 서양인 미라. 파리: Evolutives, Paris & Mira Aditi, Mysore.
  • K.D. 세트나, 어머니, 과거-현재-미래, 1977
  • Satrem (1982) The Mind of the Cells (Francine Mahak & Luc Beneth에 의한 번역) 진화 연구 연구소, 뉴욕, 뉴욕
  • 반 브렉헴, 조르주: The Mother The Story of Her Life, Harper Collins Publishers India, New Delhi 2000, ISBN 81-7223-416-3(Mother meets Sri Aurobindo - 이 책의 발췌문 참조)
  • 반 브렉헴, 조르주: 비욘드 맨(Beyond Man) – The Life and Work of the Mother, HarperCollins Publishers India, New Delhi 1999, ISBN 81-7223-327-2

부분 서지학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