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페르카소카르
Neferkasokar네페르카소카르 | |
---|---|
네페르카세커 | |
![]() 네페르카소카르 왕의 카르투슈 이름을 나타내는 도장 | |
파라오 | |
통치. | 8년(제2왕조, 기원전 2740년경) |
전임자 | 네페르카라 1세 |
후계자 | 후제파 1세 |
네페르카소카르(고대 이집트 네페르카세커, "소카르의 아름다운 영혼" 또는 "소카르의 영혼"을 의미함)는 제2왕조 때 이집트를 통치했을지도 모르는 고대 이집트 왕이다.그에 대한 동시대의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오히려 그의 이름은 후대의 [1]자료에서 발견되었다.
이름 소스
네페르카소카르는 츠준로이 대제사장의 무덤에서 사카라 왕 목록에 등장하며, 9번째 카르투슈에서 [2]후데파 1세보다 앞선 왕으로 기록된다.
그는 또한 토리노의 왕실 캐논에 네페르카라 1세의 후계자이자 후제파 1세의 전임자로 등장한다.그의 카투슈는 3열, 1열에서 찾을 수 있다.토리노 파피루스는 그의 재위 기간을 8년 [3]3개월로 기록하고 있다.
게다가 네페르카소카르의 이름은 출처를 알 수 없는 스테아타이트 원통 봉인에도 나타난다.그 비문에는 왕의 이름이 두 번 새겨져 있다.첫 번째 카르투슈는 위에 소카르 신의 이름을 나타내고, 두 번째 카르투슈는 신의 이름 위에 네페르카를 놓는다.안내문에는 "신의 한 분에게 귀의했다"는 뜻의 메리넷제루라고 쓰여 있다.이 호칭은 중왕조 때부터 흔했기 때문에 실린더 인장은 제2왕조에서 유래한 것이 아닐 것이다.대부분의 이집트학자들은 이 물체의 연대를 13왕조로 추정한다.일부 이집트 학자들은 이 [4]국새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네페르카소카르는 또한 중왕국에서 유래한 파피루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그 텍스트는 기원전 237년경 민중언어로 번역되어 파피루스 p.에 보존되어 있다. Wien D6319파피루스는 어떻게 사원을 지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원의 성직자들이 그들의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파피루스에는 또한 제데포르 왕자의 감독 아래 왕실 서기관들이 네페르카소카르 왕이 봉인한 잊혀진 방에서 오래된 문서를 발견했다는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다.발견된 파피루스에는 7년간 이집트에 영향을 미쳤던 기근에 대한 보고가 담겨 있었고 네페르카소카르 왕은 꿈을 통해 천상의 신탁으로부터 이집트 신전을 모두 복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왕이 성공적으로 임무를 마쳤을 때 나일강은 다시 정상적으로 흐르기 시작했다.그 결과, 네페르카소카르는 제데포르 [5]왕자에 의해 재발견된 법령을 발표한다.
이집트학자이자 언어학자 요아힘 프리드리히 콰크는 나중에 이 논문의 이름을 "사원의 서"[6]라고 지었다.
통치.
네페르카소카르의 치세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이오르워스 아이돈 스티븐 에드워즈와 월터 브라이언 에머리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네페르카소카르가 사카라 왕 목록에 올랐기 때문에 하 이집트에서만 통치했다고 생각하지만, 사카라 왕 목록에는 멤파이트의 전통이 반영되어 있는 반면 아비도스 왕 목록에는 누락되어 있다.네페르카소카르도 페리브센과 세케미브페렌마트와 같은 왕들이 이집트 상부를 통치했던 시기에 이집트 하부를 통치했던 것으로 생각된다.이 가정은 당시 이집트가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는 이집트 학자들의 견해와 일치할 것이다.니네체르 왕의 통치 말기 이후 분할된 왕국에 대한 이론은 페리브센 왕의 이름에 대한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 페리브센의 이름은 그가 옴보스에서 왔고 옴보스를 포함한 지역을 통치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옴비테의 신 세스와 연결되어 있다.페리브센 자신은 Thinite 지역에서 발견된 자료에서 동시에 문서화되어 있지만, Memphite와 관련된 자료에서는 제외되었다.그러므로 그의 경우는 네페르카소카르의 경우와 일치하지만, 하 이집트는 해당된다.네페르카소카르의 전임자는 센에지 왕, 네페르카라 1세 왕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후임자는 후데파 [7][8][9][10]1세 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외부 링크
레퍼런스
- ^ 토마스 슈나이더: 렉시콘 데 파오넨알바트로스, 뒤셀도르프 2002년 ISBN3-491-96053-3, 175페이지.
- ^ 얀 아스만, 엘케 블루멘탈, 조르주 포스너: 문학가, 정치학자, 파라오니스헨, 프톨레마이센Institut francais d'archéologie orientale, 파리/카이로 1999, ISBN 2-7247-0251-4, 277페이지.
- ^ Alan H. Gardiner:토리노의 왕실 캐논.영국 옥스퍼드 그리피스 연구소, 1997년, ISBN 0-900416-48-3; 15페이지와 표 I.
- ^ 위르겐 폰 베케라트: Handbuch der Achyptischen Königsnamen.독일 쿤스트베를라그, 뮌헨-베를린 1984, ISBN 3-422-00832-2; 29페이지.
- ^ 마틴 A.스타들러:Weiser und Wesir : Studien zu Vorkommen, Rolle und Besen des Gottes Thot im agheyptisch.Mohr Siebeck, 2009, ISBN 3-16-149854-2; 84 및 85페이지.
- ^ 요아힘 프리드리히 돌팔이: 이집트 수부크 데 템펠스 und seine griechische übersetzung.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119, 1997, S. 297–300.
- ^ Iorwerth Eiddon Stephen Edwards:케임브리지 고대사 제1권 제2부: 중동의 초기사, 제3권. Ausgabe(재인쇄).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6, ISBN 0-521-07791-5; 35페이지.
- ^ 볼프강 헬크: 운터수춘겐 주르 Thinitenzeit.오토 하라소위츠, 비스바덴 1987, ISBN 3-447-02677-4 페이지 35.
- ^ 발터 브라이언 에머리: 이집트, 게시히테, 쿨투르 데르 프뤼제이트, 3200-2800 대 Chr.푸리에, 뮤닉 1964; 19페이지.
- ^ 헤르만 알렉산더 슐뢰글: 다스 알테 아집텐.Beck, Hamburg 2006, ISBN 3-406-54988-8; 77-7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