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빛쿠
Shebitku시빛쿠 | |
---|---|
![]() 누비안 박물관에 있는 세빛쿠의 동상 | |
파라오 | |
통치. | 기원전 714~705년[1] (제25왕조) |
전임자 | 삐에 |
후계자 | 샤바카 |
컨소시엄 | 아티 |
죽은 | 기원전 705년 |
샤바타카(샤바타카) |
---|
이집트 상형 문자 |
샤바타카(Shabataka) 또는 세소스(Sethos)라고도 알려진 세빛쿠(고대 이집트어: shꜣ-b--tꜣ-k,, 네오아시리아어: 𒉺atapapapapapapap, 고대 그리스어: ῶ seth seth seth seth seth seth seth seth sethnnn)[3]는 이집트 왕조의 25대 파라오이다.그는 이 왕조의 창시자 피예의 아들이었다.샤바카의 아들 아문 하레마케트 대제사장 동상 JE 49157 조각에 따르면 샤바쿠의 왕위는 '영생은 [2]레의 영혼이다'라는 뜻이다.
샤바카 이전의 치세
최근까지 쉐빛쿠는 제25왕조 샤바카와 타하르카 사이에 위치했다.샤바카와 셰빗쿠의 정권교체 가능성은 브루넷에[5] 의해 이미 제시되었고 베이커는 이러한 반전의 [6]9가지 이유를 설명했지만, 2013년 주류[7] 저널에 이러한 이전을 지지하는 많은 주장을 처음 발표한 이는 마이클 바냐이였다.그의 뒤를 이어 프레데릭 파이로도와[1] 제라드 P. F. 브로크만이[8] 독립적으로 가설을 확장했다.현재 2016/2017년의 고고학적 증거는 쉐빛쿠-샤바카 승계를 확실히 선호한다.Gerard Broekman의 GM 251 (2017) 논문은 Shabaka의 NLR #30 Year 2 Karnak 부두의 상단 모서리가 Shabaka의 NLR #33 Year 3 [9]비문의 하단 모서리 왼쪽에 조각되어 있기 때문에 Shabaka 이전에 Sebitku가 통치했음을 보여준다.
비판적으로, 그것은 처음에 베이커에 의해[6] 지적되었고, 그 후 프레데릭 파이로도에 의해 프랑스어로 "신성한 아도라트릭스"라고 썼다.마지막 리비아 아도라트릭스인 아문 셰페누펫 1세의 아내는 셰빗쿠/샤바타코 통치 기간에도 살아있었는데, 이는 그녀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지어진 오시리스-헤카드제 예배당의 일부(벽과 [10][1]문 밖)에 "살고 있다"고 묘사되기 때문이다.나머지 방에는 아도라트릭스 칭호를 달고 대관식 이름을 붙인 아메니르디스 1세(샤바카의 여동생)가 있다.세페누펫 1세 - 아문의 신부인 아메니르디스 1세 또는 아문의 신성 아도라트리스 계승은 세빛쿠 시대에 이루어졌다.이 세세한 부분만으로도 샤바카의 [1]치세가 세빛쿠보다 앞서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빛쿠(구 18)의 묘는 피예(구 17)의 묘를 닮았고, 샤바카(구 15)의 묘는 타하르카(구 1), 탄타마니(구 16)[11][1]의 묘와 유사하다.샤바카가 쉐빛쿠 이후 통치했다는 가장 강력한 증거 중 하나는 엘쿠루 쿠시테 왕실의 피라미드의 건축적 특징에 의해 입증되었다.비예(17구)와 세빛쿠(18구)의 피라미드에서만 지붕이 파여진 널방형 구조물이 볼 수 있고, 샤바카(15구), 타하르카(1호), 탄타마니(16구)의 피라미드에서는 터널형 구조물이 볼 수 있다.터널이 완전히 뚫려 있고 한때 장식된 샤바카의 피라미드 묘실은 타하르카와 그의 [13]후계자들이 뒤따랐기 때문에 분명 건축적으로 개선되었다.
피라미드 설계 증거도 샤바카가 이전이 아닌 세빛쿠를 지배했음을 보여준다.이것은 또한 제25왕조의 세빛쿠-샤바카 왕위 계승에 찬성한다.아문 대제사장 카이로의 42204에서 샤바카의 아들인 하레마케트는 자신을 "자신을 사랑하는 샤바카의 아들, 타하르카 왕의 유일한 측근, 정의로운 이집트 상하의 타누타니 왕의 궁전의 관장"[14]이라고 칭하고 있다.처음 Baker,[6]에 의해 셰비쿠 아래 Haremakhet의 서비스에 대한 어떠한 언급 지적한 이후 동상의 텍스트의 의도하는 Haremakhet의 생활 수년 간 통치했다 왕, 각각 자신의 이름이 적힌 refe와 동행하는의 연대순으로 하지만,;셰비쿠. 고대에 비록 Haremakhet은 단지 젊음, 이 왕의 부재 이상한가 만들어집니다.레언급된 왕과 하레마케트 [15]사이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였다.세빛쿠가 하레마케트상에서 빠진 이유는 하레마케트가 샤바카 밑에서 태어났을 때 세빛쿠가 이미 죽었다는 것이 있을 수 있다.
Payraudeau notes that Shebitku’s shabtis are small (about 10 cm) and have a very brief inscription with only the king's birth name in a cartouche preceded by “the Osiris, king of Upper and Lower Egypt” and followed by mȝʿ-ḫrw.[16][1]따라서 Piye/Piankhy [42 – D]에 매우 가깝습니다.던햄, (각주 39 참조), 번호 44.그러나 샤바카의 샤브티는 타하르코, 타누에타마니,[1] 센카마니스켄에도 있는 '죽음의 서'의 인용문 등 더 발전된 비문으로 더 크다(약 15~20cm).이 모든 증거들은 또한 샤바카 이전에 세빛쿠가 통치했다는 것을 암시한다.마지막으로 [6]베이커에 의해 처음 지적된 바와 같이, 그 후 전통적인 세빛쿠-샤바카 연대기에서 타하르카와 샤바카 사이의 기간은 지나치게 긴 것 같다.이들은 타하르카 2년 또는 6년 파피루스 루브르 E3328c가 샤바카 7년차에 그를 사들인 주인에 의한 노예 매매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 연대기에서는 27년 전이지만 샤바카의 치세가 타하르카보다 바로 앞에 위치한다면 (샤바카의 치세는 10년 전)에 해당한다.훨씬 [17]더 신뢰할 수 있는 해입니다.
존경받는 독일 학자 카를 얀센 윈켈은 또한 Geimagents를 기술한 이집트 역사 10(2017), 페이지 23-42라는 제목의 JE 10(2017) N.1 논문에서 셰비트쿠-샤바카 승계를 지지했다.zt der Meinung, dass die (neue) Reihenfolge Schebitku - der Tat richtig ist의 Schabako..." 또는 "Munster councium에서의 제 설명과 달리, 저는 (새로운) 후계 Shebitku-Shabako가 사실 옳다고 생각합니다…"[18]
샤바카와의 관계 의혹
샤바카와 셰빗쿠가 함께 앉아있는 모습을 그린 토리노 성 1467은 한 때 윌리엄 무르난의 1977년 고대 이집트 [19]고기에 관한 책에서 이 두 누비아 왕 사이의 왕실의 공동 통치 증거로 여겨졌습니다.하지만 토리노 박물관은 그 후에 그 조각상이 위조품이라는 것을 인정했다.2001년 기사에서 스텔라를 분석한 로버트 모르코와 스티븐 퀴르케도 이 물체가 샤바카와 [20]셰빗쿠 사이의 연관성을 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는 위조품임을 확인했다.
둘째, 세빛쿠의 나일레벨 원문 33호 세무 5일째 달 첫 달에는 샤바카와 세빛쿠의 관계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이 나일어 문헌에는 세빛쿠가 카르낙의 아문 신전에서 왕으로 테베에 나타났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아문이 레의 왕좌에 호루스처럼 두 명의 우레이와 함께 왕관을 주어 그의 [21]왕위를 정당화했다"고 기록되어 있다.위르겐 폰 베케라트는 GM136(1993) 기사에서 샤바카가 이집트 [22]전역을 정복한 2년차 나일레벨 경전 30호와 비교한 결과 셰빛쿠의 공식 대관식과 이집트 국왕의 첫 등장이 기록됐다고 주장했다.만약 맞다면, 이것은 쉐빛쿠가 2년 동안 샤바카의 핵심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케네스 키친은 "동사 ḫꜥj(모양이나)은 공식적인 'epiphany'또는 그의 'appearances'이 왕의 공식적인 징후에 적용된다를 관찰하고 있다."[23]주방 또한 Shemu일 올해 첫 달 무렵의 기간은 축제 Amun-Re의 카르나크 신전에서 잘 신 왕조 시대 P. 동안 증명된다의 날짜를 표시했다 강조한다.에리오도스, 제22왕조 그리고 프톨레마이오스 [23]시대까지.따라서 세빛쿠 3년, 이 아문 잔치는 나일강 범람과 세빛쿠가 아문 신전에 직접 방문한 것과 동시에 일어난 것이 분명하지만,[24] 세빛쿠가 즉위 후 2년 동안이나 왕좌를 유지했다고 가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William Murnane은 또한 셰빛쿠의 3년차 나일 텍스트가 "승계나 대관식을 전혀 언급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함으로써 이러한 해석을 지지했다.오히려 아문 3년차에 세빛쿠가 아문 사원에 모습을 드러낸 것을 기록하고 그의 왕으로서의 [25]첫 등장을 굳건히 한 신의 영향력을 인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다시 말해, 셰빛쿠는 이미 이집트의 왕이었고 그의 카르낙 방문 목적은 아문의 공식 통치 정당성을 후세에 전달하고 기록하기 위한 것이었다.따라서 샤바카와 세빛쿠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현재로선 환상적이다.
다넬 칸은 2006년 중요한 [26]기사에서 샤바카의 통치 아래 이집트 및 상 이집트에서 샤바카를 통치하고 누비아에서 샤바카의 후순위 또는 총독 역할을 하는 셰빛쿠와 함께 샤바카의 통치 아래 25왕조의 분할에 반대하는 주장을 신중히 고려했지만 거절했다.칸에는 항상 모든 25왕조의 도메인의 이집트와 누비아를 포함한 단 하나의 누비아 왕 여당과가 통신과 제어의 문제들이``이 광대한 영토의kushite 왕이 될 최고의 통치자 방해하지 못 했던 것을 지적한다."[27]칸임을 강조하고는 그레이트 Triumphal 석 비의 피이는지 여부를 나타냈다만 39일에 받았대, 받았대.Nitocris Adoption Stela는 "Memphis(또는 아마도 Tanis)와 Tabes 사이의 거리를 배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Tanis의 경우 c.700km 이상) [28]16일밖에 되지 않는다"고 나와 있는 동안 Napata에서 Tebes까지 배로 벨로 이동한다.
타임라인
![]() | 이 섹션은 업데이트해야 합니다.(2017년 5월) |
1999년, 이란의 탕이바르의 위대한 비문에 나오는 이집트-아시리아 동기가 재발견되어 재분석되었다.아시리아의 사르곤 2세(기원전 722-705년)가 조각한 이 비문은 기원전 707/706년 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전에 생각했던 [29]샤바카가 아니라 이집트의 왕인 아슈도드의 반란군 왕 이마니를 사르곤의 손에 인도한 사람이 셰빗쿠였음을 보여준다.사르곤 2세의 비문의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다.
(19) I (scil)사르곤)은 아스도드를 약탈했고, 그 왕 이마니는 [30]두려워했고, 내 무기를...그는 멜루하 땅으로 피신하여 은밀히 살았다.(20) 멜루하 땅의 사파타쿠 왕, 아슈르 신, 나부 신, 마르두 신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21) 수갑과 수갑을 채웠다….내 앞에 [31]포로로 데려왔지
탕이바리의 비문은 기원전 707년부터 기원전 [32]706년까지 사르곤 15년 동안 거슬러 올라간다.이것은 셰빗쿠가 가장 늦어도 기원전 706년 4월, 아마도 기원전 707년 11월까지 이집트에서 통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33]시빛쿠가 누비아에서 샤바카의 총독을 지냈다는 설과 샤바카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이마니를 사르곤 2세로 인도했다는 설은 이집트 고대 이집트 [34]연대기(동양학 핸드북)에서 가장 최신으로 갱신된 이집트학자 칼 얀센-윈켈른에 의해 거부되었다.Jansen-Winkeln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 25왕조의 누비아 왕들이 어떤 형태로든 연관성이 있다는 증거는 전혀 없었습니다707/706년에 샤바카가 이집트의 통치자였고, 누비아에서 셰빗쿠가 그의 "총독"이었다면, 사람들은 분명히 아수르와의 외교 관계 개시는 물론 야마니의 체포와 송환이 샤바카의 책임의 일부였을 것이라고 예상했을 것이다.사르곤은 또한 멀리 떨어진 누비아의 총독 셰빗쿠보다는 이집트의 섭정이자 고위 왕을 지명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한편, 707/706년에 이미 샤바카의 후계자였던 세빛쿠라면, 야마니 사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명확해지고, 일리가 있다.지금까지 누비아 왕(샤바카)은 이집트로 도망친 직후에 야마니를 넘겨준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이제 야마니가 아시리아인에게 넘어간 것은 불과 몇 년 후(대신 [34]쉐빛쿠 치하)로 보인다.
헤로도토스의 세소스와의 신분증
그리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는 그의 역사 (2권, 141장)에서 파라오가 되어 신의 개입으로 아시리아인을 물리친 세토스라는 프타의 대제사장에 대해 쓰고 있다.이 이름은 아마도 쉐빛쿠의 [35][36]타락일 것이다.헤로도토스의 설명은 18세기 판타지 소설 '세토스의 삶'의 영감이 됐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F. Payraudeau, Retour sur la succession Shabataqo, Nehet 1, 2014, 페이지 115-127 온라인 여기
- ^ a b 클레이튼, 피터 A. 템스 & 허드슨 2006 페이지 190. ISBN0-500-28628-0
- ^ "Šapatakuʾ [KING OF MELUHHA] (RN)". Oracc: The Open Richly Annotated Cuneiform Corpus.
- ^ Karl Jansen-Winkeln, Inschriften der Spaezeit:Teil III: 다이 25.Dynastie, 2009. 페이지 347-8 [52.5]
- ^ 장 프레데릭 브루네, "제21왕조와 제25왕조 아피스의 매장 난제", 고대 연대기 포럼 10(2005년), 29페이지.
- ^ a b c d Joe Baker(2005), egyptologyforum.org
- ^ 마이클 바냐이, "Ein Vorschlag zur Chronologie der 25"이집트에서의 Dynastie, JEgH 6 (2013) 46-129 및 가까운 "Die Reihenfolge der Kuschitchen Könige", JEgH 8 (2015) 81-147
- ^ Gerard P. F. Broekman, "샤바카와 샤바타카의 후계 순서; 25왕조 연대에 대한 다른 견해", GM 245 (2015) 17-31.
- ^ G.P.F. Broekman, 이집트 제25왕조의 왕들에 대한 계보적 고려, GM 251 (2017), 페이지 13
- ^ [45 – G. 르그랭, "Le temple et les chapelles d'Osiris à Karnak.Le temple d'Osiris-Hiq-Djeto, partie etiopienne", RecTrav 22 (1900) 128, JWIS III, 45]
- ^ [39 – D]던햄, 엘-쿠루, 쿠시 왕실묘지, I, (1950년) 55, 60, 64, 67; 또한 D.Dunham, Nuri, The Royal Courseies of Kush, II, (1955) 6-7; J. Lull, Las tumbas reales egipcias del Tercer Periodo Intermedio (dinastias XXI-XV)Tradicion y cambios, BAR-IS 1045 (2002) 208.
- ^ Dows D. Dunham, El Kurru; Kush의 왕실묘지(매사추세츠 1950년 캠브리지)
- ^ G.P.F. Broekman, 샤바카와 샤바타카의 후계 순서.25왕조의 연대에 대한 다른 견해, GM 245, (2015), 페이지 21-22
- ^ G.P.F. Broekman, 샤바카와 샤바타카의 후계 순서.25왕조의 연대에 대한 다른 견해, GM 245, (2015), 페이지 23
- ^ G.P.F. Broekman, GM 245 (2015), 페이지 24
- ^ [41 – JWIS III, 51, 9번, D.던햄, (각주 39 참조), 69, 플레이트 45A-B.
- ^ Payraudeau, Nehet I, 2014, 페이지 119
- ^ 얀센-윙켈른, 이집트 역사 저널 10 (2017), N1, 페이지 40
- ^ William Murnane, 고대 이집트 Coregenies, (SAOC 40: Chicago 1977), 페이지 190
- ^ R. Morkot과 S.퀴르케, "제25왕조의 발명:토리노 성상 1467과 역사의 건설" 베게그농겐 - 안티케 킬레른 임 닐탈 페스트가베 퓌르 에리카 엔데스펠더, 카를-하인츠 프리세, 발터 프리드리히 레이네케, 스테펜 웨니그(라이프치히 2001), 페이지 349-363.
- ^ L. Török, Kush의 왕실 왕관: 중세 나일 계곡의 레갈리아와 1천 년 B.의 아이콘그래피 연구. C.와 A.D., 아프리카 고고학의 케임브리지 모노그래프 18(Oxford 1987), 페이지 4
- ^ J. von Beckerath, "Die Nilstandsinshrift" 3번 토한다.Jahr Schebitkus am kai von Karnak," GM 136 (1993), 페이지 7-9
- ^ a b 케네스 A.부엌, 이집트 제3중간기(기원전 1100–650년) [TIPE], 제3판, 1986년, 워민스터:Aris & Phillips Ltd, 페이지 170
- ^ 주방, TIPE, 페이지 171
- ^ 무르네, 코레제네시스, 페이지 189
- ^ Kahn, Dan'el, 이집트 및 레반트 왕국의 분할 왕국, 공동 통치 또는 단독 규칙, 이집트 및 레반트 16(2006년), 온라인 PDF 페이지 275-291
- ^ 칸, 이집트 및 레반트 16, 페이지 290
- ^ 칸, 이집트 및 레반트 16페이지, 290 칸은 니토크리스텔라 증거에 대해 RA 카미노스, 니토크리스텔라, JEA 50(1964), 페이지 81-84를 인용한다.
- ^ 부여틀, "탕이바르의 사르곤 2세 비문", 오리엔탈리아 제68권(1999년), 페이지 31-57 및 pls.I-XVII
- ^ 2008:30 호머의 서사시 시대의 여행 영웅인 로빈 레인 폭스는 "이오니아 그리스인"이라는 주장을 펼친다: "이오니아 그리스인은 때때로 쐐기 문자로 쓰여졌다: 이 찬탈하는 이오니아인이 그리스인일 수 있을까?"... 아시리아인의 낙서들은 정확히 반란군에 대한 이름일 수 있을까?
- ^ 프레임, 페이지 40
- ^ A. Fuchs, Die Inschriften Sargons II. aus Korsabad (고팅겐 1994) 페이지 76 및 308
- ^ 칸, 페이지 3
- ^ a b 칼 얀센-윈켈, 에릭 호농의 "제3중간기", 롤프 크라우스와 데이비드 워버튼(편집자), 고대 이집트 연대기(동양학 핸드북), 브릴, 2006년 페이지 258-259.
- ^ 로버트 B.Strassler(에드), 랜드마크 헤로도투스: 이력 (Anchor, 2007), 페이지 182
- ^ Alan B. Lloyd, Herdotus에 대한 A 주석, Books I~IV, Books B. Lloyd, Books II, 237 페이지.
추가 정보

- 로버트 모르코트, 블랙 파라오: 이집트의 누비아 통치자, 루비콘 프레스, 2000.ISBN 0-948695-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