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멘호테프 3세
Amenhotep III아멘호테프 3세 | |
---|---|
니무아레야,[1] 미무레야, 아메노피스 3세 | |
![]() 아멘호텝 3세 동상, 대영박물관 | |
파라오 | |
통치 | 1391–1353 or 1388–1351 BC |
선대 | Thutmose IV |
후계자 | 아케나텐 |
컨소시엄 | 티예 길루체파 타두케파 시타문 설정했습니다. |
아이들. | 뚝모스 아멘호텝 IV/아케나텐 시타문 설정했습니다. Henuttaneb 네베타 더 영 레이디 베케타네(이론화) 스멩카레 (이론화) |
아버지. | Thutmose IV |
어머니. | 무템위야 |
죽은 | 기원전 1353년 또는 기원전 1351년 |
매장 | WV22 |
기념물 | 말카타, 아멘호텝 3세 빈소, 메논의 거상 |
다이너스티 | 제18왕조 |
아멘호텝 3세(고대 이집트어: jmn-ḥtp(.w)아만 əḥūpu, IPA:[ʔ ˌ ː əʔˈħ 넛푸; 아문이 만족스럽다]는 아멘호테프 대제 또는 아멘호테프 대제로도 알려져 있고 아메노피스 3세로 헬레니즘화된 18왕조의 9번째 파라오입니다. 다른 저자들에 따르면, 그는 아버지 투트모세 4세가 사망한 [7]후인 기원전 1386년 6월부터 1349년까지, 또는 기원전 1388년 6월부터 기원전 1351년/기원전 1350년 12월까지 이집트를 통치했습니다. 아멘호텝은 투트모세의 아들로, 무템위야라는 미성년자 아내가 있었습니다.[8]
그의 치세는 이집트가 예술적이고 국제적인 힘의 정점에 이르렀을 때 전례 없는 번영과 찬란한 시기였고, 따라서 고대 이집트의 가장 위대한 파라오 중 한 명으로 여겨집니다.[9][10][11]
재위 38년 또는 39년에 사망했을 때 아들 아멘호테프 4세가 그의 뒤를 이어 아케나텐으로 개명했습니다.
가족과 초기 생활

아멘호테프는 투트모세 4세와 그의 작은 아내 무템위야의 아들이었습니다. 그는 아마도 기원전 1401년쯤에 태어났습니다.[12] 나중에 아멘호텝은 자신의 신성한 출생에 대한 묘사를 룩소르 사원에 전시할 것을 의뢰했습니다. 아멘호텝은 자신의 진정한 아버지가 무템위야를 가진 아이를 아버지로 삼기 위해 투트모세 4세의 모습을 취한 신 아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13][14]
섭정 2년차에 아멘호텝은 유야와 투야의 딸 티예와 결혼했습니다. 티예는 아멘호텝의 통치 기간 동안 위대한 왕실 아내였습니다. 아멘호텝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기념용 스카프가 의뢰되어 배포되었습니다. 아멘호텝은 '결혼 딱지'에서 자신의 신성한 힘과 아내의 합법성을 확인했습니다. 티예와 함께 아멘호테프는 적어도 두 아들인 투트모세 왕세자와 아멘호테프 4세(후에 아케나텐으로 불림)를 낳았습니다. 게다가, 몇몇 딸들은 종종 그 부부의 공으로 여겨집니다. 시타문, 헤누타네브, 이셋, 네베타, 베케타네.[15] 대부분의 딸들은 아멘호텝의 치세에서 나온 조각상과 부조에 자주 등장합니다.[16] 그러나 네베타는 메디넷 하부의 거대한 석회암 조각상 그룹에서 단 한 번,[15][17] 그리고 베케타텐은 아마르나에서만 나타납니다.[18]

아멘호텝은 또한 스멩카레 또는 투탕카멘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으며, 그들의 어머니에 대한 다양한 제안으로 때때로 인정받지만, 이 이론들은 그의 다른 알려진 자녀들만큼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아멘호텝에게는 티예 외에도 여러 명의 아내가 있었습니다. 섭정 10년, 아멘호텝은 미탄니의 슈타르나 2세의 딸 길루케파와 결혼했습니다.[19] 그는 후에 그의 통치 기간인 36년경에 미탄니의 투슈라타의 딸인 타두케파와 결혼했습니다.[20][21]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다른 부인들도 있습니다: 바빌론 왕 쿠리갈즈의 딸, 바빌론 왕 카다시만 엔릴의 딸, 아르자와의 통치자 타르훈다라두의 딸, 암미아(오늘날 시리아)의 통치자의 딸.[21]
마침내 그는 재위 마지막 10년 동안 최소한 두 명의 딸 시타문과 이세트와 결혼했습니다. 섭정 30년의 항아리 라벨 비문은 그 무렵 시타문이 왕부인의 지위로 격상되었음을 나타냅니다.[15] 일반 이집트인들은 피했지만 근친상간은 왕족들 사이에서 드물지 않았습니다.[22] 아멘호텝이 할아버지 아멘호텝 2세를 위해 복원한 조각품은 시타문이 어린 왕자를 옆에 두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22] 이것은 시타문이 스메카레와 투탕카멘의 어머니였다는 이론으로 이어졌습니다.
인생과 통치

아멘호테프는 아마 6살에서 12살 사이에 파라오가 되었을 것입니다. 섭정자가 성년이 될 때까지 통치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존하는 기록에는 증명된 바가 없습니다. 섭정 11년에 아멘호텝은 티예의 고향인 자카루에 인공 호수를 건설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는 16일째 되는 홍수의 셋째 달에 호수를 여는 축제를 축하했고, 호수 위에서 왕실 바지선 아텐첸(Aten-then)을 노를 저었습니다. 이 행사는 적어도 11개의 기념 스카프에 기념되었습니다.[23]
다른 딱지들로부터, 아멘호텝은 그의 통치 첫 10년 동안 102마리 또는 110마리의 사자를 죽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4]
사냥 과정에서 아멘호텝이 보여준 무예에도 불구하고 그는 단 한 건의 군사적 사건에만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5년째 되던 해, 그는 쿠시의 반란에 맞서 승리한 캠페인을 이끌었습니다. 이 승리는 누비아의 아스완과 사 ï 근처에서 발견된 세 개의 암각화에 의해 기념되었습니다. 아멘호텝의 군사적 승리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은 그 시기의 전형적인 하이퍼볼로 그의 무예를 강조합니다.[25]
아멘호테프 3세 법정
주로 테반 네크로폴리스에 있는 그들의 무덤을 발견한 것을 통해 아멘호텝의 통치 기간 동안 일한 궁정 관리들에 대한 중요한 증거가 있습니다. 이 법원 관리들 중에는 라모세, 아멘호텝, 아펠, 프타모세 등이 있었습니다. 다른 관리들은 재무관 프타모세와 메리레, 고위 관리들, 아메넴하트 수레르와 아멘호텝(휴이), 그리고 쿠시의 총독 메리모세를 포함했습니다.
하푸의 아들인 아멘호텝은 파라오 아멘호텝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직책을 맡았지만, 왕의 뒤에 그의 빈소를 지을 수 있는 권리를 받은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26] 하푸의 아들인 아멘호텝은 사후 신격화되었고, 그러한 방식으로 숭배되는 몇 안 되는 비왕실 중 한 명이었습니다.[27][28]
말카타 궁
말카타 궁전은 기원전 14세기에 지어졌으며 고대 이름은 "행복의 집"인 페르-헤이(Per-Hay)였습니다. 원래 이 궁전은 눈부신 아테네의 궁전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주로 진흙 벽돌로 지어진 이곳은 아멘호텝의 통치 후기 대부분 동안 거주했습니다. 공사는 섭정 11년경에 시작되어 섭정 29년경에 왕이 영구적으로 궁전으로 이사할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 일단 완공되면, 이집트에서 가장 큰 왕실 거주지였습니다.
세드페스티발
아멘호텝은 레그날 30년, 34년, 37년에 각각 서부 테베의 말카타 궁전에서 세드 축제를 축하했습니다.[29] 아문 신전과 축제장은 특별히 기념 행사를 위해 지어졌습니다.[30] 세드 축제는 고대 왕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으로,[31] 이집트의 통치자로서 계속하기 위한 파라오의 적합성을 보여주는 일련의 시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티예 여왕의 스튜어드 켄루프가 남긴 표시에 따르면, 축제는 2개월에서 8개월 정도 지속되었을 수도 있습니다.[32]
Amenhotep은 그의 Sed Festival이 과거의 축제들보다 훨씬 더 화려하기를 원했습니다.[33] 그는 하푸의 아들인 아멘호텝을 의식을 계획하도록 임명했는데, 그가 아멘호텝 2세를 위해 열린 마지막 세드 축제에서 일한 몇 안 되는 궁정들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33] 첫 번째 세드 축제를 준비하기 위해 하푸의 아들인 아멘호텝(Amenhotep)은 서기들에게 기록과 비문에서 정보를 수집하도록 요청했으며, 대부분 고대 장례식 사원에서 [33]발견되며 적절한 의식과 의상을 묘사했습니다.
신전들이 지어졌고 나일강 위와 아래로 조각상들이 세워졌습니다. 장인들과 보석상들은 보석, 장식품, 그리고 장식품을 포함한 행사를 설명하는 장식품들을 만들었습니다.[33] 필경사 Nebmerutef는 사건의 모든 단계를 조율했습니다.[34] 그는 아멘호텝에게 자신의 메이스를 이용해 성전 문을 두드리라고 지시했습니다. 그의 곁에 아멘호텝하푸는 왕의 그림자처럼 그의 노력을 비췄습니다.[34] 티예 여왕과 왕실의 딸들이 왕의 뒤를 이었습니다.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자칼 신 웨파웨트의 현수막인 "길의 개방자"가 왕 앞에 놓였습니다. 국왕은 축하 행사의 주요 행사 때마다 의상을 갈아입었습니다.[34]
이 축제의 주요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국왕의 이중 대관식이었습니다. 그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로 나누어 왕위에 올랐습니다. 상부 이집트의 경우 아멘호텝이 흰 왕관을 썼지만 하부 이집트 대관식을 위해 붉은 왕관으로 바꿨습니다.[35]
세드 축제 이후 아멘호텝은 신에 가까운 존재에서 신에 가까운 존재로 초월했습니다.[36] 왕은 나중에 축제에 이어 이집트 전역을 여행하여 잠재적으로 다른 관객을 위한 의식을 재현했을 수 있습니다.[32] 그들 자신의 축하를 위해 충분히 오래 산 이집트 왕은 거의 없었습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경축을 신성으로의 이행을 확인하는 것으로 사용했습니다.
국제관계

아멘호텝 집권기의 외교적 서신은 아마르나 시 근처에서 발견된 문서 모음집인 아마르나 레터스에 일부 보존되어 있습니다. 이 편지들은 아시리아, 미탄니, 바빌론, 하티, 그리고 다른 주들의 통치자들로부터 온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과 아멘호텝으로부터의 다른 선물들에 대한 통치자들의 요청을 포함합니다. 이 편지들은 아멘호텝 30년부터 적어도 아케나텐의 치세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마르나 레터 EA 4에서 아멘호텝은 바빌로니아 왕 카다슈만-엔릴 1세가 파라오의 딸 중 한 명과 결혼하겠다는 간청을 단호히 거절했다고 인용하고 있습니다.
태곳적부터 이집트 왕의 딸은 아무에게도 주어지지 않습니다.[37]
아멘호텝이 그의 딸들 중 한 명이 바빌로니아 군주와 결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은 것은 사실 왕세자비의 혈통을 통해 왕위를 주장할 수 있었던 이집트의 왕실 관습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아멘호테프 자신이 여러 외국 통치자의 딸들을 자신의 딸로 거부하면서 결혼했기 때문에 이집트의 위신을 높이기 위한 외교적 전략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아마르나 레터는 아멘호텝과 미탄니 왕 투슈라타가 아멘호텝의 치세 말에 치유의 여신인 니네베의 이슈타르의 동상을 교환한 것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아멘호테프가 치아에 고통스러운 종기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 조각상의 이집트 체류를 요청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38] 하지만 윌리엄 L. 모란이 테베에 동상을 파견한 것과 관련해 아마나 레터 EA 23을 분석한 것은 이 이론을 깎아내립니다.
이 조각상의 도착은 아멘호텝이 파라오 36년째에 투슈라타의 딸인 타두케파와 결혼하는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편지 EA 23이 이집트에 도착한 날짜는 그의 통치 기간 중 "정년 36년, 겨울의 네 번째 달, 1일"로 되어 있습니다.[39] 게다가, Tushratta는 EA 23에서 동상의 파견이 Amenhotep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결코 언급하지 않습니다. 대신, 투슈라타는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씁니다.
... 그리하여 모든 땅의 정부인 니네베의 샤우슈카는 "내가 사랑하는 나라인 이집트로 갔다가 돌아오고 싶습니다." 이제 저는 그녀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녀는 가는 중입니다. 자, 그때도 아버지가...그녀는 이 나라에 갔고, 그녀가 그곳에 살고 그들이 그녀를 기렸듯이, 내 남동생은 이제 전보다 그녀를 10배 더 기리길 바랍니다. 오빠가 그녀를 명예롭게 하여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늘의 정부인 샤우슈카(즉, 이스타르)가 10만 년 동안 우리와 내 형제와 나를 보호해 주시고, 우리의 정부가 우리 둘 모두에게 큰 기쁨을 주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우리 친구로 지내자구요. 샤우슈카는 나만 나의 신이고, 내 동생은 그의 신이 아닙니다.[40]
가장 유력한 설명은 이 조각상이 "아멘호텝과 길루케파를 위해 이전에 보내졌던 것처럼 아멘호텝과 타두케파의 결혼식에 축복을 내리기 위해" 이집트로 보내졌다는 것입니다.[41] 모란은 이 설명이 더 가능성이 높다는 데 동의합니다.[42] 또한, 모란은 아마르나 레터 EA 21의 내용이 이쉬타르를 포함한 신들에게 결혼의 축복을 요청한다는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합니다.
기원전 14세기에 파라오는 키프로스 섬에 대한 이집트의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해 탐험대를 키프로스로 보냈고, 그 후 몇 세기 동안 그 섬을 유지했습니다. 이 시기에 이집트인들은 섬에 많은 정착촌을 세웠고, 그들은 사치품과 다른 상품들을 대가로 키프로스에서 이집트로 구리와 다른 원자재들을 수출했습니다.[44][verification needed] [45][verification needed] 그러나 키프로스에 대한 이집트군의 주둔은 히타이트족과 미케네아족을 포함한 다른 세력의 침입으로 때때로 중단되었습니다.
승계
아멘호텝 3세의 장남으로 아내 티예와 함께 왕세자가 [46]되었으나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습니다. 아멘호텝은 궁극적으로 아멘호텝 4세로 즉위한 그의 둘째 아들에 의해 계승되었고 나중에 아케나텐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아멘호텝 4세 / 아케나텐과 함께 제안된 협력체
아멘호텝 3세가 아들 아멘호텝 4세와 공동 대리인을 공유했다는 것은 오랫동안 이론화되어 왔습니다. 로렌스 버먼(Lawrence Berman)은 코어젠시 이론의 지지자들이 예술 역사가인 경향이 있는 반면 역사가들은 여전히 확신하지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47]
에릭 클라인(Eric Cline), 니콜라스 리브스(Nicholas Reeves), 피터 도먼(Peter Dorman), 그리고 다른 학자들은 두 통치자 사이의 장기적인 공동체 설립에 반대하고 공동체가 없거나 기껏해야 2년 중 하나에 찬성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합니다.[48] 도널드 B. 레드포드(Redford), 윌리엄 J. 머네인(William J. Murnane), 앨런 가디너(Alan Gardiner), 로렌스 버먼(Lawrence Berman)은 아케나텐(Akhenaten)과 그의 아버지 사이의 어떤 공동체에 대한 견해를 다룹니다.
협력 기관에 대한 증거로는 Amarna Letter EA 27이 있으며, 이는 Amenhotep IV의 Regnal Year 2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편지의 주제는 아멘호테프 4세가 타두케파와 아멘호테프 3세의 결혼 준비의 일환으로 투슈라타 금상을 보내겠다는 아버지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미탄니아 왕 투슈라타의 불만과 관련이 있습니다.[49] 이 서신은 아멘호텝과 아케나텐 사이에 어떤 공동체가 발생하면 1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50]
그러나 2014년 2월, 이집트 유물부는 비지에 아멘호텝-휴이의 무덤에서 발견된 결과 최소 8년 동안 지속된 핵심 기관의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51][52] 무덤에는 두 파라오의 목발이 나란히 새겨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결론은 이후 다른 이집트 학자들에 의해 의문시되어 왔으며, 그에 따르면 이 비문은 아멘호텝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시작되어 아케나텐의 통치 하에서 끝났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따라서 아멘호텝-후이는 단순히 두 통치자 모두에게 경의를 표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들의 이름을 동시에 새기는 것이 아니라 따로 새기는 것입니다.
만년

건강과 죽음
아멘호텝의 가장 큰 검증된 회귀 날짜는 38년으로, 말카타의 와인 병 라벨 도킷에 표시됩니다.[53] 그는 기록되지 않은 39년에 잠시 살다가 그 해 포도주 수확 전에 죽었을지도 모릅니다.[54] 누비아에 있는 솔렙 신전 벽의 부조와 왕의 대부인 티예의 스튜어드인 케루에프의 테반 무덤의 장면들은 아멘호텝을 눈에 띄게 허약하고 병든 인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55] 과학자들은 그가 말년에 관절염과 비만으로 고생했다고 믿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의 미라를 법의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마모되고 충치가 있는 치아가 발견되었는데, 이 치아는 지속적인 고통을 주었을 것입니다. 호주 해부학자 그래프턴 엘리엇 스미스가 미라를 조사한 결과 파라오가 40세에서 50세 사이에 사망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56]
그는 그의 후계자 아멘호테프 4세라는 적어도 한 명의 자녀가 생존했습니다. 그의 아내 티예(Tiye)는 후야의 무덤에서 나오는 장면에서 아케나텐(Akhenaten)의 9년과 12년에 왕실 만찬 테이블에 묘사된 것뿐만 아니라, 그녀의 아들의 통치 기간의 여러 아마르나(Amarna) 편지에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12년 이상 그보다 오래 살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57][47]
외국 지도자들은 파라오의 죽음에 비통함을 전했고, 투슈라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형님 님무레야가 운명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그날 나는 주저앉아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날 저는 음식을 먹지 않았고, 물도 먹지 않았습니다.[58]
매장과 미라

아멘호테프는 테베 외곽 왕가의 계곡 서쪽 계곡에 있는 WV22 무덤에 묻혔습니다. 이 무덤은 왕가의 서쪽 계곡에서 가장 크며, 그의 위대한 왕가 부인 티예와 시타문을 위한 두 개의 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여성 모두 그곳에 묻힌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제3차 중기 스멘데스의 통치 기간 동안, 아멘호텝의 미라는 나중에 18, 19왕조의 다른 파라오들과 함께 KV35의 미라 보관소로 옮겨졌고, 1898년 빅토르 로렛에 의해 발견될 때까지 놓여 있었습니다.[59][60]
18왕조의 경우, 그 미라는 그 미라를 더 실물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피하 충전재를 비정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보여줍니다.[61] 미라에는 박물관 재고 번호 CG 61074가 있습니다.[61]
1980년 제임스 해리스와 에드워드 F. 웬테는 아멘호텝 3세를 포함한 뉴킹덤 파라오의 두개골과 골격 유적에 대한 X선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저자들은 18왕조의 통치자들과 동시대의 누비아인들 사이에 강한 신체적 유사성을 발견했습니다.[62]
2021년 4월, 그의 미라는 파라오의 황금 퍼레이드라고 불리는 행사에서 다른 17명의 왕과 4명의 왕비의 미라와 함께 이집트 유물 박물관에서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습니다.[63]
기념물과 유산

아멘호테프는 250개 이상의 조각상이 확인되어 이집트 파라오 중 가장 많은 조각상을 보유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조각상들은 그의 통치 기간 전체를 아우르는 일련의 초상화들을 제공합니다.
아멘호텝이 죽자, 그는 그 나라의 힘과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한 나라를 버리고 떠났고, 국제 사회에서 엄청난 존경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아문 사제 아래 오래된 정치적, 종교적 확실성에 연연한 나라였습니다.[64]
그의 아들 아케나텐의 개혁열로 인한 격변은 이러한 오래된 확신을 그들의 기초에 흔들었고, 파라오가 아문 숭배에서 대표되는 그의 사회보다 더 강력한지에 대한 중대한 질문을 강요했습니다. 아케나텐은 심지어 수도를 아문 숭배의 중심지인 테베에서 멀리 옮기고, 그의 새로운 신 아텐에게 바치는 도시 아마르나를 건설했습니다.[65]
카르나크 신전에 광범위하게 지어진 아멘호테프는 두 개의 기둥이 있는 룩소르 신전, 새로운 신전 입구 뒤에 있는 콜로네이드, 마아트 여신에게 바치는 새로운 신전 등을 포함합니다. 아멘호테프는 카르낙에 있는 아문 신전의 제4주탑을 해체하여 새로운 제3주탑을 건설했습니다. 그리고 새로 형성된 앞마당의 중앙에 파피루스 수도가 개방된 두 줄의 기둥을 세운 이 구조물의 새로운 입구를 만들었습니다.[citation needed] 때로는 오벨리스크 궁정이라고도 불리는 제3, 제4필론 사이의 앞마당도 아문, 무트, 콘수 신들의 신성한 장례식 바케의 장면으로 꾸며졌습니다.[66] 왕은 또한 아문 신전에서 열 번째 철탑에 대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아멘호텝이 1년과 2년에 처음으로 왕으로 기록된 일은 카이로의 바로 남쪽에 있는 투라와 중이집트의 데이르 알 바르샤에 새로운 석회암 채석장을 열어 그의 위대한 건축 프로젝트를 착수하는 것이었습니다.[67] 그는 사실상 누비아를 새로운 기념물들로 덮었습니다.
...엘리펀트인에 있는 콜로네이드 (투트모세 3세에게 바쳐진)가 있는 작은 사원, 와디스세부암에 있는 아문 "길들의 군주"에게 바쳐진 바위 사원, 아니바에 있는 미암의 호루스 사원 등...가와와 세비에 사원을 추가로 세웠습니다.[68]

나일강 서안에 있는 그의 거대한 빈소 사원은 그 당시 테베에서 가장 큰 종교 단지였지만, 왕은 범람원에 너무 가깝게 지었고, 200년도 되지 않아 폐허로 전락했습니다. 대부분의 석조물은 메르넵타와 후에 파라오가 자신들의 건설 프로젝트를 위해 다듬었습니다.[69] 남은 것은 18m (59피트) 높이의 아멘호텝을 묘사한 두 개의 거대한 석상인 멤논의 거상이 있는 관문뿐이었습니다. 아멘호텝은 또한 카르나크에 제3주탑을 세우고 남쪽의 뮈트 신전에 세크메트 여신의 조각상 600개를 세웠습니다.[70] 뉴킹덤 이집트의 가장 웅장한 조각상들 중 일부는 "누비아의 솔렙에 있는 신전 앞에 세워진 두 마리의 뛰어난 카우치언트 장미 화강암 사자"와 같은 그의 통치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71] 네메스 머리 장식을 쓴 아멘호텝의 검은 화강암 석상 몇 개는 멤논의 거상 뒤와 델타의 타니스에서 발굴된 것입니다.[71] 2014년, 기원전 1200년 지진으로 무너진 아멘호테프의 거대한 조각상 2개가 200개가 넘는 조각상에서 재건되어 왕의 장례식장 북쪽 문에 다시 세워졌습니다.[72]
그의 치세와 관련된 왕실 조각상의 가장 놀라운 발견물 중 하나는 1989년에 룩소르 신전의 아멘호텝 대령의 뜰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조각상들의 보관함에는 거의 손상되지 않은 6피트(1.8m) 높이의 이중 왕관을 쓴 왕의 분홍색 석영 조각상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71] 그것은 썰매에 올라 탔고, 아마도 컬트 조각상이었을 것입니다.[71] 아문 신의 이름만 파라오의 카르투슈에 등장하는 곳마다 해킹당했을 뿐인데, 분명히 아케나텐이 아버지의 신을 상대로 벌인 작전의 일부였습니다.[71]


아멘호텝의 가장 유명한 예문 중 하나는 "눈부신 태양 원반"을 의미하는 아텐첸(Aten-then)이었는데, 룩소르 사원에 있는 그의 칭호에 등장하며, 아멘호텝의 군대를 위한 부대뿐만 아니라 그의 궁전 중 하나와 11년차 왕실 바지선의 이름으로도 자주 사용되었습니다.[73]
2021년에 발굴 조사를 통해 아멘호텝의 빈소 사원 근처에 테베에서 왕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장인과 노동자를 수용하기 위해 왕이[74]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눈부신 아텐이라고 불리는 정착지와 자체 베이커리 및 묘지가 드러났습니다.
아멘호테프 3세의 세드 축제 스텔라는 미술상에 의해 이집트에서 유럽으로 옮겨졌습니다. 한때 에릭 캐시러가 소유했던 이 작품은 현재 미국에서 개인 소장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75] 흰 알라바스터 스텔라는 10 × 9 cm (3.94 × 3.54 인치)이지만 상반신만 살아남았습니다.[76] 정면 보기: 백만이라는 숫자를 대표하는 신 헤는 나이를 나타내는 마디가 있는 야자수 잎과 백만 년 동안 파라오를 상징적으로 키우는 아멘호텝의 카르투슈를 들고 있습니다. 측면 보기: 일련의 축제(ḥ b) 엠블럼과 함께 아멘호텝의 세드 축제 왕실 기념일을 위해 만들어진 스텔라를 식별하는 세드(sd) 엠블럼이 있습니다. 위쪽 및 뒤쪽 보기: 이것들은 카르투치가 찢어진 악의적인 손상을 보여줍니다. 카시러는 이것이 아문에[77] 대한 아케나텐의 파괴 행위의 또 다른 예라고 주장합니다. 성좌에 전시된 다른 신들인 Re와 Ma'at는 아무런 손상도 입지 않았습니다.[77] 그런 다음 변경된 스텔라가 아케나텐에 의해 표시되었을 수 있습니다.
아멘호텝 집권기의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은 시리아(라스 샴라)에서 누비아의 솔렙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 200개가 넘는 대형 기념석 스카프 시리즈입니다.[78] 마찬가지로, 미탄니의 아내 길루케파가 317명의 여성을 이끌고 이집트에 도착했다고 다른 5명의 스카프는 말합니다. 그녀는 파라오의 가문에 입성한 많은 공주들 중 첫 번째 공주였습니다.[24]
조상과 유전학
아멘호텝 3세의 조상 | |||||||||||||||||||||||||||||||||||||||||||||||||||||||||||||||||||||||||||||||||||||||||||||||||||||||||||||||||||||||||||||||||||||||||||||||||||||||||||||||||||||||||||||||||||||||||||||||||||||||||||||||||||||||||||||||||||||||||||||||||||||||||||||||||||||||||||||||||||||||||||||||||||||||||||||||||||||||||||||||||||||||||||||||||||||||||||||||||||||||||||||||||||||||||||||||||||||||||||||||||||||||||||||||||||||||||||||||||||||||||||||||||||||||||||||||||||
---|---|---|---|---|---|---|---|---|---|---|---|---|---|---|---|---|---|---|---|---|---|---|---|---|---|---|---|---|---|---|---|---|---|---|---|---|---|---|---|---|---|---|---|---|---|---|---|---|---|---|---|---|---|---|---|---|---|---|---|---|---|---|---|---|---|---|---|---|---|---|---|---|---|---|---|---|---|---|---|---|---|---|---|---|---|---|---|---|---|---|---|---|---|---|---|---|---|---|---|---|---|---|---|---|---|---|---|---|---|---|---|---|---|---|---|---|---|---|---|---|---|---|---|---|---|---|---|---|---|---|---|---|---|---|---|---|---|---|---|---|---|---|---|---|---|---|---|---|---|---|---|---|---|---|---|---|---|---|---|---|---|---|---|---|---|---|---|---|---|---|---|---|---|---|---|---|---|---|---|---|---|---|---|---|---|---|---|---|---|---|---|---|---|---|---|---|---|---|---|---|---|---|---|---|---|---|---|---|---|---|---|---|---|---|---|---|---|---|---|---|---|---|---|---|---|---|---|---|---|---|---|---|---|---|---|---|---|---|---|---|---|---|---|---|---|---|---|---|---|---|---|---|---|---|---|---|---|---|---|---|---|---|---|---|---|---|---|---|---|---|---|---|---|---|---|---|---|---|---|---|---|---|---|---|---|---|---|---|---|---|---|---|---|---|---|---|---|---|---|---|---|---|---|---|---|---|---|---|---|---|---|---|---|---|---|---|---|---|---|---|---|---|---|---|---|---|---|---|---|---|---|---|---|---|---|---|---|---|---|---|---|---|---|---|---|---|---|---|---|---|---|---|---|---|---|---|---|---|---|---|---|---|---|---|---|---|---|---|---|---|---|---|---|---|---|---|---|---|---|---|---|---|---|---|---|---|---|---|---|---|---|---|---|---|---|---|---|---|---|---|---|---|---|---|---|---|---|---|---|---|---|---|---|---|---|---|---|---|---|---|---|---|---|---|---|---|---|---|---|---|---|---|---|---|---|---|---|---|---|---|---|---|---|---|---|---|---|---|---|---|---|---|---|---|---|---|---|---|---|---|---|---|---|---|---|---|---|
|
유전자 분석 결과 아멘호텝 3세는 이번 연구에서 아케나텐으로 확인된 KV55 미라와 손자 투탕카멘의 형제 부모인 '영부인' 모두의 아버지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79] 2020년에 발표된 보다 최근의 연구는 Y-염색체와 mtDNA를 통해 가족 혈통을 추적했습니다. 일부 프로필만 얻었지만, 그는 이전 연구에서 설명한 가계도를 유지하면서 아들 및 손자와 YDNA 하플로그룹인 R1b를 공유합니다. 그러나 R1b의 구체적인 분기군은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아멘호텝 III의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은 H2b인 것으로 밝혀졌으며,[80] 이는 폰틱-카스피안 스텝에서 남아시아로의 이동과 인도-이란 언어의 확산과 관련이 있습니다.[81][82]
2022년에 S.O.Y.Keita는 8개의 Short Tandem loci(STR)를 분석했습니다. 2010;2012는[83][84] 투탕카멘, 아멘호텝 3세, 라메스 3세를 포함한 뉴킹덤 왕가의 잠재적인 감염병과 같은 가족 관계와 연구 병리학적 특징을 결정하고자 한 Hawass 등의 연구에서 발표된 데이터입니다. 케이타는 유러시아인,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인, 동아시아인을 구별하는 팝 어필리어 알고리즘을 사용했습니다. 그는 "한 번의 친화도 분석에서 대다수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인과 친화도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그러나 그는 인종적 귀속의 복잡성을 강조하면서, 왕족의 미라들이 유형 분류에 의해 가려진 다른 소속들을 가렸을 수도 있고, 다른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다른 결과를 줄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85]
역사학자 윌리엄 스티블링(William Stiebling)과 고고학자 수잔 N(Susan N)에 따르면. 다른 연구팀들에 의한 상충되는 DNA 분석들은 지금까지 고대 이집트인들의 유전적 구성과 그들의 지리적 기원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습니다.[86]
갤러리
- 왼쪽부터 대영박물관의 아멘호텝 석상.
- 대영박물관 아멘호텝의 그래노디올라이트 조각상, 위 조각상 왼쪽.
- Granodiorite Amenhotep (오른쪽 조각상) 북동쪽, British Museum
- 그래노디오라이트 아멘호텝 (왼쪽 조각상) 클로즈업, 대영박물관
- 불스 테일 (왼쪽 조각상), 대영 박물관
- 벨트(좌상), 대영박물관
- 발(왼쪽 조각상), 대영박물관
- 왼쪽 비문(왼쪽 조각상), 대영박물관
- 오른쪽 비문(왼쪽 조각상), 대영박물관
- 적화강암상, 북동쪽, 대영박물관
- 적화강암상, 왼쪽, 대영박물관
- 석회암 아멘호텝, 대영박물관
- 기원전 1400년, 하이집트의 붉은 왕관을 쓴 아멘호테프. 이집트 테베에서. 대영박물관. EA6
- 기원전 1400년, 하이집트의 붉은 왕관을 쓴 아멘호테프. 이집트 테베에서. 대영박물관. EA7
- 아멘호텝 III 루브르 박물관 N 521 A, 기타 재고 번호: LP 2114
참고 항목

- 아멘호텝 3세의 거대한 붉은 화강암 조각상
- 아멘호텝 3세의 거대 석영상
- 고대 이집트의 역사
- 이집트 제18왕조 가계도
- 파라오 목록
- 스핑크스와 함께하는 부두
- 아멘호텝 3세의 통치 첫 10년 동안의 사자 사냥
각주
- ^ Moran 1992, p. 7.
- ^ a b c d e Leprohon 2013, 102-104 페이지.
- ^ 클레이튼 1994, 112쪽.
- ^ 로페리뇨, 안토니오 (1995) 고대 이집트인: 언어학 개론, 케임브리지: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 ^ Loprieno, Antonio (2001) Haspelmath에서 "고대 이집트에서 콥트로", Martin et al. (eds.), 언어 유형학 및 언어 보편
- ^ Ranke, Hermann (1935). Die Ägyptischen Personennamen, Bd. 1: Verzeichnis der Namen (PDF). Glückstadt: J.J. Augustin. p. 30. Retrieved 25 July 2020.
- ^ Beckerath 1997, p. 190.
- ^ Berman 1998, p. 3.
- ^ Silver, C. (2017). 파라오 아멘호텝 3세와 티예 여왕. Thought Co. https://www.thoughtco.com/pharaoh-amenhotep-iii-and-queen-tiye-120268
- ^ E. (2023년)팀. 아멘호텝 3세. 이집트 투어 포털. https://www.egypttoursportal.com/en-us/blog/egyptian-pharaohs/king-amenhotep-iii/
- ^ 아멘호텝 3세는 최근 연구인 아내 티예와 전례 없는 평등을 달성했습니다. (2022년 8월 3일). 이집트오늘은. https://www.egypttoday.com/Article/4/118093/Amenhotep-III-achieved-unprecedented-equality-with-his-wife-Tiye-recent
- ^ 플레처 2000, 페이지 10.
- ^ Berman 1998, p. 4.
- ^ 틸데슬리 2006.
- ^ a b c Berman 1998, p. 7.
- ^ 코즐로프 & 브라이언 1992, 24번, 57번, 103번 & 104번.
- ^ 코즐로프 & 브라이언 1992, 무화과. II, 5.
- ^ N. de G. Davies, El-Amarna의 암릉, Parts III 및 IV, 1905 (2004년 재인쇄), 이집트탐사학회, ISBN 0-85698-160-5. 인터넷 아카이브의 팩시밀리: 파트 III. 후야와 아메스의 무덤, 1905
- ^ Dodson & Hilton 2004, 페이지 154.
- ^ 플레처 2000, 페이지 156.
- ^ a b 그라제츠키 2005.
- ^ a b 코즐로프 2012, 페이지 194.
- ^ 코즐로프 & 브라이언 1992, 2번.
- ^ a b Berman 1998, p. 13.
- ^ Urk. IV 1665–66
- ^ 코즐로프 2012, 197쪽.
- ^ 리치테임 1980, p. 104.
- ^ Albrecht, Felix; Feldmeier, Reinhard, eds. (February 6, 2014). The Divine Fathe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cepts of Divine Parenthood in Antiquity (E-book ed.). Leiden; Boston: Brill. p. 29. ISBN 978-90-04-26477-9. ISSN 1388-3909. Retrieved May 30, 2020.
{{cite book}}
:journal=
무시됨(도움말) - ^ Berman 1998, pp. 16-17.
- ^ Berman 1998, p. 16.
- ^ Berman 1998, p. 15.
- ^ a b 코즐로프 2012, 페이지 192.
- ^ a b c d 코즐로프 2012, 182쪽.
- ^ a b c 코즐로프 2012, 189쪽.
- ^ 코즐로프 2012, p. 190.
- ^ 코즐로프 2012, p. 195.
- ^ Moran 1992, p. 8.
- ^ Hayes 1973, 페이지 346.
- ^ Aldred 1991, p. 13.
- ^ 모란 1992, 61-62쪽.
- ^ Berman 1998, p. 22.
- ^ Moran 1992, p. 62 n. 2.
- ^ Moran 1992, p. 50.
- ^ Cline, Eric (2012). The Oxford Handbook of the Bronze Age.
- ^ Muhly, D. (1998). Egypt and Eastern Mediterranean in the Bronze Age, levant,Aegean, Cyprus and Egypt.
- ^ Aidan Dodson (1990). "Crown Prince Djhutmose and the Royal Sons of the Eighteenth Dynasty". 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 76: 87–88. doi:10.1177/030751339007600107. S2CID 193951672.
- ^ a b Berman 1998, p. 23.
- ^ 도르만 2009.
- ^ 모란 1992, 87-89쪽.
- ^ 리브스 2000, 페이지 75-78.
- ^ 이집트 데일리뉴스 이집트에서 발견된 파라오 권력공유. 2014년2월6일
- ^ Amenhotep III-Akhenaten co-regency 증명 발견 thehistoryblog.com
- ^ 코즐로프 & 브라이언 1992, p. 39, fig. II.4.
- ^ 클레이튼 1994, p. 119.
- ^ 그리말 1992, 페이지 225.
- ^ 스미스 1912, 페이지 50.
- ^ "North Tombs at Amar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09. Retrieved 2009-05-18.
- ^ 플레처 2000, 페이지 161.
- ^ "Amenhetep III Theban Mapping Project". thebanmappingproject.com. Retrieved 2021-12-19.
- ^ 리브스 & 윌킨슨 1996, p. 198.
- ^ a b Habicht, M.E; Bouwman, A.S; Rühli, F.J (25 January 2016). "Identifications of ancient Egyptian royal mummies from the 18th Dynasty reconsidered". Yearbook of Physical Anthropology. 159 (S61): 216–231. doi:10.1002/ajpa.22909. PMID 26808107.
- ^ An X-ray atlas of the royal mumm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pp. 207–208. ISBN 0226317455.
- ^ Parisse, Emmanuel (5 April 2021).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ScienceAlert. Retrieved 5 April 2021.
- ^ Grimal 1992, pp. 223, 225.
- ^ 플레처 2000, 페이지 162.
- ^ 아멘호텝 3세의 오벨리스크 법정
- ^ Urk. IV, 1677–1678
- ^ 그리말 1992, 페이지 223.
- ^ 그리말 1992, 페이지 224.
- ^ Grimal 1992, pp. 224, 295.
- ^ a b c d e 클레이튼 1994, 페이지 118.
- ^ "Amenhotep III Statues Once More Stand Before Pharaoh's Temple". Latin American Herald Tribute. December 15,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5, 2018. Retrieved December 15, 2014.
- ^ Berman 1998, pp. 3, 14.
- ^ 시몬스, 데브라 아담스, 더 뉴 시크릿 오브 룩소르, 내셔널 지오그래픽, 2021년 4월 12일 이미지 포함
- ^ 캐시러 1952, 페이지 128.
- ^ 캐시러 1952, 페이지 129.
- ^ a b 캐시러 1952, 페이지 130.
- ^ Berman 1998, pp. 11-12.
- ^ Hawass et al. 2010.
- ^ Gad et al. 2020.
- ^ Silva, M. (2019). "Untangling Neolithic and Bronze Age mitochondrial lineages in South Asia". Annals of Human Biology. 46 (2): 140–144. doi:10.1080/03014460.2019.1623319. PMID 31267777. S2CID 195787671.
H2b is a minor branch. It contains several ancient samples from Russia, all basal to the rest of the branch, including one individual from the Yamnaya culture and one from the Late Bronze Age Srubnaya culture, both from the Pontic-Caspian Steppe region, and five other Bronze Age samples from east of the Volga river: three from Sintashta and two from Krasnoyarsk. Also in a basal position, there are three modern Russian samples (two from the Altai region) and one Danish sequence. Interestingly, while the vast majority (70%) of H2 modern sequences in our dataset are of European origin, H2b displays a strong South Asian component, with seven samples from Pakistan, India and Sri Lanka. The newly published Sintashta and Middle Bronze Age Krasnoyarsk (Russian) sequences (Narasimhan et al.2018), together with the previously released Yamnaya and Srubnaya, span a period from 5 to 3.5 ka. These, plus the modern South Asian sequences, support our earlier suggestion that H2b was involved in movements east and southwards from the Pontic-Caspian region into South Asia, by documenting its progress eastwards across the Eurasian Steppe. The Sintashta culture in the Ural Mountains, or a "Sintashta-derived" culture (such as the Andronovo), is thought to have expanded eastwards into Central Asia 3.8 ka, reaching South Asia.
- ^ Narasimhan, Vagheesh (2019).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Science. 365 (6457): eaat7487. doi:10.1126/science.aat7487. PMC 6822619. PMID 31488661.
- ^ Hawass, Zahi; Gad, Yehia Z.; Ismail, Somaia; Khairat, Rabab; Fathalla, Dina; Hasan, Naglaa; Ahmed, Amal; Elleithy, Hisham; Ball, Markus; Gaballah, Fawzi; Wasef, Sally; Fateen, Mohamed; Amer, Hany; Gostner, Paul; Selim, Ashraf (2010-02-17). "Ancestry and Pathology in King Tutankhamun's Family". JAMA. 303 (7): 638–647. doi:10.1001/jama.2010.121. ISSN 0098-7484. PMID 20159872.
- ^ Hawass, Zahi; et al. (2012). "Revisiting the harem conspiracy and death of Ramesses III: anthropological, forensic, radiological, and genetic study". BMJ. 345 (e8268): e8268. doi:10.1136/bmj.e8268. hdl:10072/62081. PMID 23247979. S2CID 206896841.
- ^ Keita, S. O. Y. (September 2022). "Ideas about "Race" in Nile Valley Histories: A Consideration of "Racial" Paradigms in Recent Presentations on Nile Valley Africa, from "Black Pharaohs" to Mummy Genomest". Journal of Ancient Egyptian Interconnections.
- ^ Jr, William H. Stiebing; Helft, Susan N. (3 July 2023).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Taylor & Francis. pp. 209–212. ISBN 978-1-000-88066-3.
서지학
- Aldred, Cyril (1991). Akhenaten: King of Egypt. Thames & Hudson.
- Allen, James P. (2009). "The Amarna Succession" (PDF). In Brand, Peter James; Cooper, Louise (eds.). Causing His Name to Live: Studies in Egyptian Epigraphy and History in Memory of William J. Murnane. Leiden; Boston: Brill. pp. 9–20. ISBN 978-90-04-17644-7. Retrieved 6 February 2024.
- Beckerath, Jürgen von (1997). Chronologie des Pharaonischen Ägypten. Mainz: Philipp von Zabern. ISBN 3-8053-2310-7.
- Berman, Lawrence M. (1998). "Overview of Amenhotep III and His Reign". In O'Connor, David; Cline, Eric (eds.). Amenhotep III: Perspectives on His Reign (2001 ed.).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p. 1–25. ISBN 0-472-10742-9.
- Blankenberg-van Delden, C. (1969). The Large Commemorative Scarabs of Amenhotep III. Leiden: E.J. Brill. ISBN 978-90-04-00474-0.
- Cassirer, Manfred (1952). "A hb-sd Stela of Amenophis III". The 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 38: 128–130. doi:10.2307/3855505.
- Clayton, Peter (1994).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ISBN 9780500050743.
- Dodson, Aidan; Hilton, Dylan (2004).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London: Thames & Hudson. ISBN 0-500-05128-3.
- Dorman, Peter (2009). "The Long Coregency Revisited: Architectural and Iconographic Conundra in the Tomb of Kheruef" (PDF). In Brand, Peter James; Cooper, Louise (eds.). Causing His Name to Live: Studies in Egyptian Epigraphy and History in Memory of William J. Murnane. Leiden; Boston: Brill. pp. 65–82. ISBN 978-90-04-17644-7. Retrieved 6 February 2024.
- Fletcher, Joann (2000). Chronicle of a Pharaoh – The Intimate Life of Amenhotep III.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21660-8.
- Gad, Yehia; Ismail, Somaia; Fathalla, Dina; Khairat, Rabab; Fares, Suzan; Gad, Ahmed Zakaria; Saad, Rama; Moustafa, Amal; ElShahat, Eslam; Mandil, Naglaa; Fateen, Mohamed; Elleithy, Hisham; Wasef, Sally; Zink, Albert; Hawass, Zahi; Pusch, Carsten (2020).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in King Tutankhamun's Family". In Kamrin, Janice; Bárta, Miroslav; Ikram, Salima; Lehner, Mark; Megahed, Mohamed (eds.). Guardian of Ancient Egypt: Essays in Honor of Zahi Hawass. Czech Institute of Egyptology. pp. 497–518. ISBN 978-80-7308-979-5. Retrieved 16 February 2022.
- Grajetzki, Wolfram (2005). Ancient Egyptian Queens: A Hieroglyphic Dictionary. London: Golden House Publications. ISBN 978-0-9547218-9-3.
- Grimal, Nicolas (1992).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Books.
- Hawass, Zahi; et al. (17 February 2010). "Ancestry and Pathology in King Tutankhamun's Family" (PDF).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3 (7): 638–647. doi:10.1001/jama.2010.121. PMID 20159872. Retrieved 18 March 2022.
- Hayes, William (1973). "Internal affairs from Thutmosis I to the death of Amenophis III".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C. 1800–1380 BC. Pt 1, Vol 2.
- Kozloff, Arielle; Bryan, Betsy (1992). Royal and Divine Statuary in Egypt's Dazzling Sun: Amenhotep III and his World. Cleveland.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Kozloff, Arielle P. (2012). Amenhotep III: Egypt's Radiant Pharao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1196-0.
- Leprohon, Ronald J. (2013). The Great Name: Ancient Egyptian Royal Titulary. SBL Press. ISBN 978-1-58983-736-2. Retrieved 7 December 2021.
- Lichtheim, Miriam (1980). Ancient Egyptian Literature: A Book of Readings: The Late Perio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Moran, William L. (1992). The Amarna Letter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0-8018-4251-4.
- O'Connor, David; Cline, Eric (1998). Amenhotep III: Perspectives on His Reig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O'Connor, David; Cline, Eric H. (2001). Amenhotep III: Perspectives on His Reig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Reeves, Nicholas (2000). Akhenaten: Egypt's False Prophet. Thames & Hudson.
- Reeves, Nicholas; Wilkinson, Richard H. (1996). The Complete Valley of the Kings: Tombs and Treasures of Egypt's Greatest Pharaohs (2000 ed.). London: Thames and Hudson. ISBN 0-500-05080-5. Retrieved 6 February 2024.
- Smith, Grafton Elliot (1912). The Royal Mummies. Cairo.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Troy, Lana (1986). "Patterns of Queenship in Ancient Egyptian Myth and History". Uppsala Studies in Ancient Mediterranean and Near Eastern Civilizations. 14.
- Tyldesley, Joyce (2006). Chronicle of the Queens of Egypt. Thames & Hud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