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할레니아
Nehalennia네할레니아(다양한 말로 표현)는 출처가 불분명한 여신으로, 아마도 게르만이나 켈트족일 것이다. 그녀는 셸데 강이 북해로 흘러들어간 네덜란드의 Zeeland 지방 주변에서 발견된 수많은 봉헌 제단들에 대해 증언하고 묘사되고 있다. 네할레니아 숭배는 적어도 기원전 2세기 경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서기 2세기와 3세기에 걸쳐 북유럽에서는 여신 숭배가 계속 번성하였다.
이름
Nehalennia라는 이름의 의미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언어학자들은 그것의 기원이 라틴어가 아니라는 것에 동의한다. 대부분의 참고 문헌과 유물이 발견된 곳으로 볼 때 그녀의 이름은 게르만어 또는 켈트어일 가능성이 높다. 구텐브루너(1936년)는 그것을 프로토 게르마니아어 *네화( "花)와 연관시켰으나, 나머지 명칭은 설명할 수 없었다. 기셀링(1960년)은 그 이름이 켈트족도 게르만족도 아니고 오히려 프로토-인도-유럽의 뿌리인 *neiH- "을 이끌어갈"에서 유래했다고 믿었다. 그는 그 이름의 나머지 부분을 추적할 수 없었다. 드 스템펠(2004)은 켈트족의 기원을 제안하면서 그녀의 이름을 웨일스 헤일린 "소금"과 헬리 "바다"와 연결시킨다. 그녀는 그 이름을 켈트족 *할렌- "바다"와 *네-온, at"의 조합으로 짓는다. 마지막으로 *-ja는 여성 명사를 구성하는 접미사다. 그 의미는 "바다에 있는 그녀"[1]일 것이다.
비문
네할레니아는 1645년 Zeeland 해안의 네덜란드 도시인 Domburg에서 발견된 28개의 비문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이전에 매력적이지 않았던 네할레니아 여신을 위해 바친 신전의 유해가 밝혀졌다.[2] 1970년부터 콜린스플라트 마을 인근에서는 기와와 옛 마을인 네할레니아에 바쳐진 신전의 유골 등 수많은 분향소, 여성 조각품, 관련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현재 독일 쾰른의 쾰른-데우츠 지역에서 두 개의 다른 사원 유해가 발견되었다.[3]
네덜란드의 고고학자 J.E. 보고르스와 벨기에 언어학자 모리츠 기셀링은 공동 간행물 Over de naam van de godin Nehalennia ("Nehalennia 여신의 이름으로")에서 비문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이름을 열거했다. Nehalennia가 단연코 가장 흔한 철자법이지만 Nehalenia와 Nehalaennia는 둘 다 몇 번 나타난다. 기셀링은 이 두 형태를 보다 고풍스러운 네할레니아의 라틴어로 특징짓는다. 각각 한 번씩 증명되는 산발적인 철자법은 보고르에 의해 비표준적인 것으로 간주되거나 일부 비문들의 상태가 좋지 않아 잘못 읽은 것으로 거부되었다. 기셀링은 일부 철자는 번역된 것으로, 라틴어 대본에 있는 그녀의 이름의 발음을 어림잡으려는 시도라고 주장하면서, "h"가 어떤 독일어 ch 소리로 발음되었을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4] 1970년에 콜린스플라트 근처의 우스터셀데에서 준설된 수많은 제단들 중 하나는 네찰레니아 철자를 특징으로 한다. 𐌝이 새겨진 철자는 고의적인 것으로 보이며, 훼손된 유물 때문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5][6][7]
네할레니아에 대한 돔부르크의 비문은 마르쿠스 주에리우스 판 박스혼에게 영감을 주어 네할레니아라는 이름과 고대 스키타이안을 연결하는 성급한 어원을 만들어냈다.[8] 그 후 언어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반 박스혼은 이미 알려진 유럽 언어와 현대 페르시아어 사이의 관계를 연결시키려 했다.[9]
묘사
Nehalennia는 거의 항상 해양 상징과 그녀의 발에 크고 온화하게 생긴 개로 묘사된다.[10][11] 그녀는 켈트족이나 게르만족의 신이었음에 틀림없는데, 그는 무역, 해운, 그리고 가능한 원예와 다산의 힘에 대한 것으로 여겨졌다. 조각과 구호물에서 그녀는 일반적으로 앉아있는 젊은 여성으로 묘사된다. 전형적으로 그녀는 어깨와 가슴 위에 짧은 망토를 입는다. 이 의복은 그녀만의 것이기에 이 지역에서 그 시기에는 평상시에 입는 의상에 속했을지도 모른다. 종종 그녀는 개를 동반한다; 그녀는 사과나 빵 덩어리로 된 바구니를 돌보고 부품을 선적한다.[12] 힐다 엘리스 데이비슨은 이 봉헌 대상들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네덜란드에서 북해를 건너던 여행자들이 북해를 건너는 지점에서 숭배하던 게르만 여신 네할레니아는 대모 여신처럼 빵과 사과를 들고 있는 많은 조각된 돌에 나타나는데, 때로는 배를 배회하기도 하지만, 그녀를 올려다보는 수행견과도 자주 등장한다(그림 5). 이 개는 아다 혼디우스크론(1955:103)이 기록한 21개의 제단 중 13개에 달하는데, 그는 이 제단을 일종의 그레이하운드라고 설명한다.[13]
데이빗슨은 더 나아가 네할레니아와 연관된 배의 모티브를 게르만 바니르 한 쌍의 프리르와 프레이자와, 게르만 여신 네르투스와 연결시킨다. 그녀는 Nehalennia가 Matres와 몇 가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14]
네할레니아가 제단 위에 그려진 빵은 '정강이뼈 모양의 길쭉한 제물 빵'인 듀이베카터로 확인되었다. 데이비슨은 이런 종류의 빵이 스웨덴의 Yule에서 구워진 멧돼지 모양의 빵과 같은 동물 희생자나 동물 희생자를 대신할 수 있다고 말한다. 스웨덴 베름랜드에서는 "살아있는 기억 속에서" 수확의 마지막 한 조각에서 나온 곡식을 관습적으로 어린 소녀 모양으로 빵 한 덩이를 굽는 관습이 있었다. 이것은 이후 온 가족이 공유한다. 데이빗슨은 더 많은 예시를 제시하며, 스칸디나비아와 아일랜드에서 유사하게 영국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들판 다산을 위해 교회에 전시된다.[15]
2005년에 콜린스플라트에 신전의 복제품이 지어졌다. 사원의 설계와 조각은 인근 지역에서 발견된 것뿐만 아니라, 로마 지방의 가울과 게르마니아 성소의 유형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 재건축을 위해서는 최대한 정통 재료와 기법이 동원됐다.[16]
사원
Nehalennia를 둘러싼 종교적 관습은 AD 2세기와 3세기에 절정에 달했는데, 당시 지금의 Zeeland 지역에 적어도 두세 개의 신전이 위치해 있었다. 당시 해안의 이 지역은 라인 지역과 영국 간의 무역에 중요한 연결고리였다. 북해 연안에 살던 모리니는 네할레니아를 숭배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프랑스 베산손과 독일 트리에르까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참배하러 온 방문객들.[10] 네할레니아는 두 개의 은신처나 사당이 있었는데, 하나는 월체렌 섬의 돔부르크에, 또 하나는 오스테르셀데 해변의 콜린스플라트에 있는 수많은 제단으로 장식되어 있었다.[10]
2005년 8월, 콜린스플라트에서는 잃어버린 도시 가누엔타 근처에 있는 네할레니아 신전의 복제품이 문을 열었다.[17]
대중문화에서
네덜란드 밴드 트위그스 앤 트윈스가 2019년 앨범 '롱스토리 쇼트'에 수록된 곡 중 하나로 네할레니아를 부른다.[18]
네덜란드 밴드 하이데볼크는 그들의 앨범 Uit ouude grond에 포함된 Nehalennia에 대한 노래를 작곡했다.[19]
일본 만화 세일러 문과 그 애니메이션 각색에서 네헬레니아 여왕은 사문의 여왕이자 혼돈의 화신이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헤트 라델 판 네할레니아 온트라펠트(네덜란드어), 네모 케니슬링크
- ^ 코넬리스 데케(Cornelis Dekke, The Origines of Old Germany Studies in the Low Countrys, :209).
- ^ 시메크(2007:228-229)
- ^ Bogaers, Julianus Egidius Alphonsus Theresia; Gysseling, Maurits (1972). "Over de naam van de godin Nehalennia" [On the name of the goddess Nehalennia]. Naamkunde (in Dutch). Radboud University Nijmegen. 4 (3–4): 221–230. hdl:2066/26329.
- ^ 구니보르투스 구스, 다이 뤼케흐르 데르 괴틴 네할레니아, 페이지 137
- ^ Rijksmuseum van Oudheden, object i 2017/7.2 및 그 설명뿐만 아니라 object i 1970/12.33
- ^ Nehalenia, P. Stuart & J.E. Bogaers, Nehalennia: 뢰미슈 슈테인덴켈러 아우스 데르 오스테르셀데 베이 콜린스플라트, 페이지 104-106
- ^ 박스혼, 베디딘지 밴... Nehalennia, Leiden 1647 및 추가 문헌, The Origines of Old Germanal Studies in the Low Countrys 2007:209.
- ^ Boxhorn, Des mots는 Daniel Droixhe, Specials de Babel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par Quinte Curce et de Leur parenté avec des termetes jermaniques에 대해 enregisteres를 쓰고 있다. La reconstruction de l'histoire des langues de la Renesis aux Lumieres B뤼셀 2007:59
- ^ a b c d 녹색(1998:200-201)
- ^ 녹색(1992:5)
- ^ Pree, Ko de. "Nehalenniatempel - Romeins verleden herleeft in Zeeland". www.nehalennia-tempel.nl.
- ^ 데이비드슨(1998:112 & 플레이트 5).
- ^ 데이비드슨(1998:112, 134).
- ^ 데이비드슨(1998:134)
- ^ Pree, Ko de. "Nehalenniatempel - Ontwerp tempel". www.nehalenniatempel.nl.
- ^ 반데르 벨데(2005:8–9).
- ^ "Nehalennia".
- ^ "Nehalennia".
참조
- 데이비드슨, H. R. 엘리스(1990). 북유럽의 신과 신화. 펭귄 북스. ISBN 0-14-013627-4
- 데이비드슨, 힐다 엘리스(1998년). 북방여신의 역할. 루틀리지. ISBN 0-415-13611-3
- 그린, 미란다(1992) 셀틱 종교 예술의 상징과 이미지 루틀리지.
- 그린, 미란다(1998) 켈트족의 삶과 신화에 나오는 동물들. 루틀리지.
- 안젤라 홀이 번역한 시메크, 루돌프(2007). 북방신화사전 D.S. Brewer. ISBN 0-85991-513-1
- 반 데르 벨데, 코에르 (2005년 8월 13일) "Zeeuwse godin weeer thuis", Trouw (Dutch 신문)
추가 읽기
- 라에싸에 샤를리, 마리 테레즈. "노보 컬트리스 드 네할레니아. 인: L'antiquité classique, Tome 72, 2003. 페이지 291-302. [DOI: https://doi.org/10.3406/antiq.2003.2529]; www.persee.fr/doc/antiq_0770-2817_2003_num_72_1_2529
외부 링크
- 네할레니아 사원 복제품 공식 사이트 (네덜란드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