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베켄햄 역

New Beckenham railway station
뉴베켄햄
New Beckenham Railway Station - geograph.org.uk - 1581959.jpg
New Beckenham is located in Greater London
New Beckenham
뉴베켄햄
런던의 뉴베켄햄의 위치
위치뉴베켄햄
지방 당국브롬리
관리 대상남동부
스테이션 코드NBC
DfT 카테고리E
플랫폼 수2
접근 가능[1]
운임존4
국가철도 연도별 출입구
2016–17Decrease178만8000명[2]
2017–18Decrease774만7000명[2]
2018–19Increase757만[2] 7천
2019–20Decrease77억[2] 4천만
2020–21Decrease102만[2]
철도회사
원회사켄트 철도 중간 구간
그룹화 전동남부 차텀 철도
그룹화 후남부 철도
주요일자
1864년 4월 1일열린
1866북부로 다시 이동
다른 정보
외부 링크
WGS8451°24′59″N 0°02′05″W/51.4164°N 0.0348°W/ 51.4164; -0.0348좌표: 51°24′59″N 0°02′05″W / 51.4164°N 0.0348°W / 51.4164; -0.0348
Underground sign at Westminster.jpg 런던 교통 포털

뉴베켄햄 기차역런던 남동부 트래블카드 제4구역있는 브롬리의 런던 자치구에 있는 베켄햄 역이다.런던 샤링 크로스에서 측정된 9마일 44 체인(15.4km)이다.null

역과 그것을 운행하는 모든 열차는 남동부에서 운행한다.null

역사

초기년(1857–1922)

미드켄트 선은 미드켄트 철도 및 노스켄트 접속 철도(MK&NKJR)에 의해 건설되어 1857년 1월 1일 베켄햄 분기점까지 개통되었다(당시에는 기술적으로 분기점이 아니었지만, 런던의 웨스트엔드크리스탈 팰리스 철도의 선은 1858년 5월 3일까지 개통되지 않았다).null

개통 때부터 이 노선은 남동 철도(SER)에 의해 운영되었다.null

7년 후, MK&NKJR은 뉴베켄햄의 새로운 접속 에서 크로이돈(Addiscombe Road)까지 연장 공사를 하였고, 이 역은 다시 SER에 의해 운영되었다.이 최초의 단명역은 분기점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었으며 1857년과 1864년 노선에 승강장이 있었을지도 모른다.2년 후인 1866년 10월, 분기점 바로 북쪽에 건설된 현재의 역이 개통되었다.[3][4]null

1870년에서 1880년 사이에 새 넓은 별장이 카토르 사유지에 배치되어 철도에 새로운 사업을 유치하였다.null

엘머스엔드-헤이스 구간은 웨스트위컴&헤이스 철도에 의해 건설되었으나, 1882년 5월 29일 개통일에 남동부 철도에 매각되었다.[Note 1]null

Charing Cross 또는 Cannon Street 역에서 거의 모든 역의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그러나 1880년과 1884년 사이에 Addiscombe Road에서 모든 역에서 New Cross까지, 그리고 리버풀 가에서 종료되는 이스트 런던 선과의 연결을 통해 서비스가 작동되었다.[5]null

남동철도와 그 쓰라린 라이벌인 런던, 채텀, 도버철도는 1898년 남동철도와 채텀철도의 이름으로 하나의 철도회사로 일하기로 합의했고, 뉴베켄햄은 SECR역이 되었다.null

그 역은 1904년에 재건되었다.이때 중간 도로가 깔리고, 수평 교차로들이 도로 교량으로 대체되었으며, 타일 지하철과 50리버 신호 박스가 새로 제공되었다.이 시기에 뉴베켄햄에서 런던으로 향하는 다른 열차에 종단되거나 부착된 서비스는 물론 작업을 통해서도 있었다.베켄햄 분기점과의 짧은 연결고리는 뉴베켄햄의 셔틀 서비스로도 제공되었다.[6][7]null

남부 철도 (1923–1947)

1921년 철도법(그룹법이라고도 함)에 따라 뉴베켄햄은 1923년 1월 1일 남부 철도역이 되었다.null

중부 켄트 노선은 750 V DC 제3의 철도 시스템으로 전기화되었고, 1926년 2월 28일부터 전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초기 전기 서비스는 종종 오래된 SECR 객차로부터 건설된 남부 철도 3-카 전기 복수 유닛의 초기 열차에 의해 작동되었다.null

중간 도로는 1929년에 철거되었다.[8]null

영국 철도청 (1948–199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 1월 1일 국유화에 이어, 이 역은 영국 철도 남부 지역의 후원을 받으며 붕괴되었다.null

1971년 4월 4일 레이디웰과 뉴베켄햄 사이에 컬러 라이트 시그널링이 도입되었고, 신호는 뉴베켄햄의 신호 박스에 의해 제어되었다.세마포어 신호 전달은 1975년 9월 28일 런던 브리지 신호 센터로 신호의 제어가 이전되고, 뉴 베켄햄 신호 박스(하강 플랫폼 끝에 위치한 2층 구조물)가 닫힐 때까지 스테이션 남쪽에 남아 있었다.[9][10]null

1982년 부문화에 따라 두 개의 승객 부문이 생성되었다.인터시티, 주요 익스프레스 서비스 운영, 그리고 런던 지역에서 통근 서비스를 운영했던 런던 & 남동부 (1986년 네트워크 남동부로 개명)[11]null

뉴베켄햄과 베켄햄 분기점(원래 1857번 노선) 사이의 스퍼는 1987년에 단일 트랙으로 축소되었고, 스컬 사이딩이 리프트 라인을 대체했다.수년간 정기적인 서비스가 운영되지 않았지만 1990년대에는 캐논 스트리트-르위삼-뉴 베켄햄-브롬리 사우스-오핑턴 서비스가 잠시 운영되었다.[12]null

민영화 시대(1994~현재)

1994년 4월 1일 브리티시 레일즈의 민영화에 이어 뉴베켄햄 역의 기반시설은 레일트랙의 책임이 되었고, 사업부는 열차 서비스를 운영하였다.1996년 10월 13일, 원래 2011년까지 가맹점을 운영하기로 되어 있던 코넥스 사우스 이스턴에 여객 서비스 운영이 통과되었다.null

수많은 사고와 재정 문제에 이어 2002년 10월 3일 철도 PLC가 네트워크 레일에 매각되었고, 이로 인해 기반 구조가 책임지게 되었다.[13][14]null

전략철도공사는 2003년 6월 27일 부실 경영을 이유로 코넥스를 퇴출하고, 가맹점 자체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15][16]코넥스남동부는 2003년 11월 8일까지 가맹점을 계속 운영했으며, 그 다음날 이 서비스가 전략철도청(Strategic Rails)의 사우스이스트레일(South East Trains) 자회사로 이관되었다.null

2005년 11월 30일 교통부고비아에게 통합 켄트 프랜차이즈를 수여했다.사우스이스트 트레인스가 운영하는 이 서비스는 2006년 4월 1일 남동부로 이전했다.null

서비스

뉴 베켄햄(하단 중앙)을 포함한 로어 시덴햄과 엘머스 엔드 사이의 헤이스 선의 일부에 대한 1908년 철도 청소원 지도

기록 서비스

1912년, New Beckenham에 대한 일일 다운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7]

보낸 사람 에게 경로 1일수 메모들
채링 크로스 베켄햄 분기점 또는 애디스컴브 캐논 스트리트 & 런던 브릿지를 경유하여 10 뉴베켄햄에서 열차 분열
채링 크로스 아디스콤비 캐논 가와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2
채링 크로스 아디스콤비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2
채링 크로스 베켄햄 분기점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2
채링 크로스 애디스컴브/베켄햄 분기점 & 오핑턴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1 뉴베켄햄에서 열차 분열
캐넌 스트리트 베켄햄 분기점 & 오핑턴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12
캐넌 스트리트 아디스콤비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4
캐넌 스트리트 베켄햄 분기점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3
캐넌 스트리트 셀스돈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1
캐넌 스트리트 에덴브리지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1
세인트 폴스 (블랙프라이어스) 베켄햄 분기점 런던 대교를 경유하여 1 터미네이션스

현재 서비스

New Beckenham의 모든 서비스는 Class 376, 465, 466707 EMU사용하여 Northwestern에 의해 운영된다.

시간당 열차의 대표적인 오프피크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18]

일요일에는 런던 캐넌 스트리트와 헤이스 사이에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null

선행역 National Rail 내셔널 레일 다음 역
남동부
남동부
브롬리 남방선
리미티드

배치

사이드 플랫폼 1번 플랫폼
캐논 스트리트, 채링 크로스 방향 남동쪽
헤이스 남동쪽 방향
사이드 플랫폼 2번 플랫폼

연결

런던 버스 352번 노선이 그 역을 운행한다.null

메모들

  1. ^ 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재의 헤이스 서비스(2016년)는 뉴베켄햄행 1857회선, 엘머스엔드행 1864회선, 헤이스행 1882회선을 이용한다.

참조

  1. ^ "London and South East" (PDF). National Rail. Sept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6 March 2009.
  2. ^ a b c d e "Estimates of station usage". Rail statistics. Office of Rail Regulation. 참고:어떤 방법론은 매년 다를 수 있다.
  3. ^ Jackson, Alan A (1999). London's Local Railways (2nd ed.). Harrow Weald: Capital Transport Publishing. pp. 37–40.
  4. ^ Butt, R.V.J. (1995). The Directory of Railway Stations. Yeovil: Patrick Stephens Ltd. p. 168. ISBN 1-85260-508-1. R508.
  5. ^ Mitchell, Vic; Smith, Keith (1996). East London Line. Midhurst, UK: Middleton Press. p. 5. ISBN 1-873793-80-4.
  6. ^ Mitchell, Vic; Smith, Keith (September 1993). London Bridge to Addiscombe. Midhurst, UK: Middleton Press. p. 56. ISBN 1-873793-20-0.
  7. ^ Jackson, Alan A (1999). London's Local Railways (2nd ed.). Harrow Weald: Capital Transport Publishing. p. 45.
  8. ^ Mitchell, Vic; Smith, Keith (September 1993). London Bridge to Addiscombe. Midhurst, UK: Middleton Press. p. 55. ISBN 1-873793-20-0.
  9. ^ Jackson, Alan A (1999). London's Local Railways (2nd ed.). Harrow Weald: Capital Transport Publishing. pp. 47, 48.
  10. ^ Mitchell, Vic; Smith, Keith (September 1993). London Bridge to Addiscombe. Midhurst, UK: Middleton Press. pp. 56–58. ISBN 1-873793-20-0.
  11. ^ Thomas, David St John; Whitehouse, Patrick (1990). BR in the Eighties. Newton Abbot: David & Charles. ISBN 0-7153-9854-7.
  12. ^ Mitchell, Vic; Smith, Keith (September 1993). London Bridge to Addiscombe. Midhurst, UK: Middleton Press. p. 58. ISBN 1-873793-20-0.
  13. ^ 2016년 4월 1일, 레일트랙 인수 BBC 뉴스와 가까운 네트워크 레일
  14. ^ "Accounting for Producer Needs: The case of Britain's rail infrastructure" (PDF). Centre for Management and Organisational History. p. 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6. Retrieved 1 April 2016.
  15. ^ "Train firm loses franchise". BBC News. 27 June 2003. Retrieved 1 April 2016.
  16. ^ Basher Bowker는 Connex The Telegraph플러그를 2003년 6월 29일에 뽑았다.
  17. ^ Jackson, Alan A (1999). London's Local Railways (2nd ed.). Harrow Weald: Capital Transport Publishing. p. 46.
  18. ^ 표 203 국철 시간표, 2021년 12월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