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정보통신질서

New Wor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der

뉴월드 정보통신질서(NWICO, New World Information Order, NWIO 또는 더 일반적으로, 정보질서로 단축)는 1970년대 후반 유네스코에서 개발도상국미디어 표현에 대한 논쟁에서 만들어진 용어다. NWICO 운동은 세계 남부에 대한 제국주의의 유산으로 여겨졌던 세계 경제 불평등을 공식적으로 해결하려는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1] 이 용어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세안 맥브라이드가 위원장인 유네스코 위원회(MacBride Commission)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 위원회는 세계 언론의 대표성을 보다 공정하게 만들기 위한 권고안을 만든 혐의를 받았다. 맥브라이드 위원회 '많은 목소리, 하나의 세계'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만들어 신세계정보통신질서의 주요 철학적 요점을 정리했다.

역사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불균형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들은 한동안 논의되어 왔다. 미국의 언론학자 윌버 슈람은 1964년 국가 간 뉴스의 흐름이 희박하고 선진국과 후진국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며 중요한 사건은 무시되고 현실은 왜곡된다고 지적했다.[2] 보다 급진적인 관점에서, 허버트 실러는 1969년 제네바에서 열린 주요 회의에서 개발도상국들이 위성에 대한 무선 주파수 할당에 관한 결정에 거의 의미 있는 입력을 하지 않았다고 관찰했다.[3] 실러는 많은 위성들이 군사용 응용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위성통신의 국제공조를 위해 설치된 인텔사트도 미국이 장악하고 있었다. 1970년대에 이러한 문제들과 다른 문제들은 비동맹운동에 의해 제기되었고 유엔과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내에서 논의되었다.

1970년 제16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NWICO가 처음으로 명확하게 제기되었다. NWICO는 1974년 신국제경제질서로부터 성장했다. '신세계 정보질서'라는 용어는 1974년 튀니지 총리였던 헤디 누이라(Hedi Nouira)가 회의 때 처음 사용했던 용어다.[4]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일반적으로 신세계 정보통신질서라는 문구는 신세계정보질서 또는 신국제정보질서(New World Information Order 또는 New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로 단축되었다.

1976년 처음으로 '신세계 정보통신질서' 수립이라는 슬로건이 명확히 제시됐다. 이 논의의 시작에서, NWICO는 1970년대 초반부터 유네스코와 관계를 맺게 되었다.

매스미디어의 우려는 1973년 알제리에서 비동맹국들의 회의로부터 시작되었고, 1976년 튀니지에서 다시 시작되었으며, 이후 1976년 뉴델리 비동맹국 각료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새로운 질서' 계획은 튀니지 정보부 장관 무스타파 마스무디가 텍스트로 작성했다. 마스무디는 31번 작업용지를 맥브라이드 위원회에 제출했다. 1978년의 이러한 제안들은 '대중 매체 선언'이라는 제목이 붙여졌다. 당시 맥브라이드 위원회는 유네스코가 의사소통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만든 16명의 기구였다.[5][unreliable source?]

NWICO에 대한 유네스코의 작업은 즉시 많은 분야의 비판에 직면했다. 1979년 유네스코가 발표한 중간 보고서는 미국신문출판협회미국신문편집인협회가 표적으로 삼았다. 이들 기관은 회신권과 언론협의회 등 초기 제안의 일부를 문제 삼았지만, 정보 흐름 균형을 가장한 정부 선전물을 이용하기 위한 '신세계 정보통신질서'라는 문구로 보고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6]

1980년에 맥브라이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이 보고서에는 현대 사회에 정보 제공과 정보 제공의 권리는 매우 중요하며, 정보는 핵심 자원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목표를 진척시키기 위한 다섯 가지 주요 실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보다 더 많이 제시하였다.

  1. 의사소통을 기본 권리로 포함시킨다.
  2. 뉴스 구조의 불균형을 줄여라.
  3. 문화적 정체성과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면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강화한다.
  4. 국가 통신 정책의 창설을 촉진하여 발전 과정에서 일관되고 지속되도록 한다.
  5. NWICO를 사용하여 새로운 국제 경제 질서(NEO)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십시오.[7]

보고서 공개에 이어 아마두 마흐타르 엠보우 사무총장이 유네스코 회장에 재선되었으며, NWICO 운동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이 보고서가 그들에게 힘을 실어준다는 것을 알았다. 유네스코는 34%의 기금을 증가시켰고, 미국은 개발도상국에서 "유네스코의 틀 안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 국제기구를 만드는 데 원칙적으로 동의했다. 이 보고서 자체는 많은 사람들이 공산주의와 비동맹파들에게 힘을 빌려주는 것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 M'Bow는 강경파들이 이러한 변화에 저항했음에도 불구하고 보고서의 보다 급진적인 제안들을 없앤 타협안을 지지했다. 마찬가지로, 미국은 유네스코가 정부의 언론 통제를 원하는 것처럼 보인다면 자금이나 기술 지원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8]

1980년 12월, 유엔은 공식적으로 맥브라이드 보고서를 승인했다. 맥브라이드 보고서는 각국이 통신 정책의 틀에서 이 보고서를 "참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의안은 또 회원들을 초청해 보고서의 '유포한 유통과 연구'를 홍보했다. 구속력 있는 결의안은 아니지만 이번 조치는 영국 정부가 이 보고서를 확정적으로 보지 않는다고 즉각 비난에 직면했다.[9]

1983년 유네스코 22판은 1985년부터 1989년까지 NWICO 설립을 위한 중기 계획을 수립하였다. 새로운 세계 정보 질서의 확립을 위한 투쟁은 유엔 내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이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 중에는 초국가적 연구를 위한 라틴 아메리카 연구소가 있었다. 공동창업자 중 한 명인 후안 소마비아는 맥브라이드 위원회의 일원이었다. 또 다른 중요한 목소리는 튀니지 정보부 장관인 무스타파 마스무디였다. 1983년 캐나다의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톰 맥파이일은 1970년대 중반 미국이 이스라엘을 유네스코 지역 단체에서 배제한 것에 대해 처벌하기 위한 기금을 보류했을 때 유네스코 내에서 이 문제가 어떻게 압박되었는지를 묘사하고 있다. 일부 OPEC 국가들과 몇몇 사회주의 국가들은 그 액수를 구성했고 유네스코 내에서 고위직을 얻을 수 있었다. 1976년 코스타리카에서 열린 중요한 회의에서 NWICO 문제가 진전되었다.

위원회의 유일한 여성 위원은 1980년 사망한 마샬 맥루한의 병 때문에 캐나다를 대표하는 베티 짐머맨이었다. 이 운동은 1980년대까지 맥브라이드 통신 라운드 테이블의 모임에 의해 존속되었지만, 당시 유네스코의 지도부는 그 생각에서 멀어졌었다.

2005년 유네스코 문화다양성에 관한 협약은 특히 대중 매체의 불균형한 세계 흐름과 관련하여 NWICO의 목표의 일부를 발효시킨다. 그러나, 이 협약은 미국의 지지를 받지 못했고, 세계 대중 매체와 정보의 무역을 지원하는 세계무역기구 협정만큼 강력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문제들

NWICO 논의의 일환으로 광범위한 이슈가 제기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미디어 영향력의 불균형한 흐름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문제들은 중요한 군사적, 상업적 용도를 가진 신기술과 관련되었다. 개발 도상국은 인공위성컴퓨터 기술에 의해 소외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 문제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

  • 런던, 파리, 뉴욕의 뉴스 에이전시의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뉴스 보도. 근본적인 현실보다는 자연재해와 군사 쿠데타에 대한 보고. 당시 4대 통신사는 전 세계 뉴스 흐름의 80% 이상을 통제했다.[citation needed]
  • 세계인권선언문에는 "모든 사람은 국경과 상관없이 모든 미디어를 통해 정보와 아이디어를 찾고, 받고, 전달할 권리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것은 NWICO의 토론이 그들의 핵심, 인권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하기 위해 지지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10]
  • 선진국(특히 미국)에서 저개발국으로의 대중매체의 불균형한 흐름. 모든 사람들은 미국 영화와 텔레비전 쇼를 본다.
  • 선진국의 광고 대행사들은 개발도상국의 대중매체에 간접적이지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부 관측통들은 또한 이러한 광고의 메시지가 제3세계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 라디오 주파수의 불공평한 분할. 소수의 선진국들은 거의 90%의 무선 주파수를 통제했다. 이것의 대부분은 군사용이었다.
  • 인공위성을 위한 정지궤도(우주 주차 지점)의 할당에 대해서도 비슷한 우려가 있었다. 당시에는 소수의 선진국만이 위성을 가지고 있었고 개발도상국들이 10년 후에 필요할지도 모르는 공간을 할당받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것은 결국 더 어렵고 운영 비용이 더 많이 드는 공간을 얻게 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 사전 허가 없이 제3세계 국가로 텔레비전 신호를 위성방송하는 것은 국민주권에 대한 위협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유엔은 1970년대 초에 그러한 방송들에 반대표를 던졌다.
  •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이 이 데이터를 분석할 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제3세계에서 농작물과 천연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위성을 사용하는 것.
  • 당시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대부분 미국에 위치해 있었고 데이터베이스 위치(항공사 예약 등)와 개발도상국이 컴퓨터 분야에서 미국의 선두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었다.
  • 폭력으로부터 언론인을 보호하는 것이 논의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예를 들어, 기자들은 1970년대 라틴 아메리카의 다양한 군사 독재 정권의 표적이 되었다. NWICO 토론의 일환으로 언론인을 보호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와 심지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윤리적 기준"을 어긴 언론인을 징계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그러나 맥브라이드 위원회는 특히 기자들에게 면허를 주겠다는 생각에 반대하고 나섰다.[11]

미국의 반응

미국 정부는 NWICO에 적대적이었다. 일부 분석가들에[who?] 따르면, 미국은 이러한 문제들을 단순히 의사소통의 자유로운 흐름과 미국 언론사의 이익에 대한 장벽으로 보았다. 그것은 통신에서 민간부문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점에서 맥브라이드 보고서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것은 NWICO를 궁극적으로 정부가 운영하는 기구를 세계 언론 통제의 선두에 올려놓음으로써 언론의 자유에 위험하다고 보고, 잠재적으로 대규모의 검열을 허용했다.[12] 파리에서는 유네스코 최고지도부의 부패 혐의도 제기됐다.[citation needed]

카터 행정부는 유네스코의 목표에 대해 대응해 왔지만 레이건 행정부는 다른 접근법을 택했다. 유네스코의 작업은 이 정부에 의해 개인과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게다가, 반공산주의 냉전 정서는 미국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었다. 미국은 결국 1984년 말 유네스코 가입을 철회했다.[13] 이 문제는 예루살렘 도시에서의 이스라엘의 고고학적 작업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 대한 유네스코 내의 논쟁으로 인해 복잡해졌다.[citation needed] 미국은 2003년에 다시 가입했다.[14]

인디펜던트 미디어 센터는 독립 뉴스 미디어와 웹사이트의 클러스터로 1999년 11월 24일 미국 시애틀에 설립되었다. IMC는 NWICO의 취지를 대체로 지지하는 풀뿌리 단체들이 주최하는 뉴미디어 집합체다. 반 신자유주의자와 운동가들의 풀뿌리 합성에 의해 설립된 IMC는 언론의 자유를 얻기 위한 선구적인 노력이며, 이론적으로는 보다 민주적인 '신세계 정보질서'[citation needed]의 일부라고 여겨졌다.

개발

1970년대에 시작된 NWICO에 대한 논쟁은 정보미디어 제국주의대한 비균등한 접근에 대한 비판을 반영했다. NWICO는 영국미국이 1997년까지 영국을 위해 그리고 2003년 미국을 위해 유네스코에서 탈퇴하는 것을 보았다. 1990-2000년,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더 많은 자본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전환이 세계적으로 일어났다. 이는 멕시코, 한국, 케냐, 나이지리아같은 개발도상국으로의 미디어 파워의 확대, 캐나다, 프랑스와 같은 서구 국가들의 자유 시장에 관한 보호주의 조치의 채택, 그리고 비서구 국가의 초국가적 수단으로 위성방송이 부상하면서 뒷받침되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거는 세계 언론이 세계 북부에 대해 강한 편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연구에 따르면 국제 뉴스의 약 80%가 로이터, 아겐스 프랑스-프레스,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 그리고 AP통신 등을 통해 이동한다고 한다. 이 뉴스의 약 20%만이 개발도상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NWICO 토론이 끝난 후 수십 년 동안, 2000년에 뉴욕 타임즈워싱턴 포스트에 실린 아프리카에 관한 이야기에 대한 연구로 이 점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다. 89개 기사에 대한 이번 연구에서는 모두 서구와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충분한 맥락이 부족했고, 그 중 75개 기사의 내용이 부정적이었다.[16]

윈드후크 선언

이러한 경향은 1991년 윈드휴크 선언에서 절정에 달했다. 자유, 독립, 다원적 언론 발전을 위한 윈드휴크 선언은 아프리카 신문 기자들의 언론 자유 원칙의 성명이다.[17] 파리(UNESCO), 제네바(ECOSOC),[18] 뉴욕(UN총회)의 아프리카 외교관은 윈드호크 과정의 성공에 결정적이었다. 유네스코는 윈드휴크 선언을 지지했고 유엔 총회는 5월 3일을 '세계 언론 자유의 날'로 인정했다.[15] 윈드휴크 선언은 미디어 분야에 다른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유네스코는 언론 발전에 관한 윈드휴크 틀을 채택하여 이를 자유, 다원주의, 독립성으로 특징지었다.[19]

윈드휴크 선언은 2006년 국제통신정부간 협의회(International Programme for Communication International Council)가 개발한 미디어개발지표(MDI) 프레임워크를 통해[20] 이행된다.[21] MDI는 NWICO와 함께 표현의 자유와 미디어 다원주의 촉진, 커뮤니티 미디어와 인적 자원의 개발이라는 미디어 개발의 우선순위 영역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21]

국제 통신 개발 프로그램(IPDC)

1980년 "많은 목소리, 하나의 세계" 보고서의 결과로 유네스코 총회는 같은 해 베오그라드에서 국제 통신 개발 프로그램(IPDC)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39개 회원국에 의해 채택되었고 개발도상국의 대중매체 개발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03년 이후 그것의 의무는 "… 전자 매체와 인쇄 매체 분야에서 전환 중인 개발도상국과 국가의 역량을 강화하여 정보와 지식의 보편적 접근과 보급을 촉진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과 민주주의, 좋은 지배구조에 기여하는 것"[22]이다.

세계 정보사회 정상회의

2003년 12월과 2005년 11월 제네바에서 유엔 정보사회 세계 정상회의의 두 단계가 열렸다. 이러한 모임은 '정보사회의 공통된 비전'을 개발하고, 유엔 밀레니얼 개발목표 내의 정보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비정부기구뿐만 아니라 정부 관계자들도 참여했고 NWICO 토론에서 제안된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비평가들은 정보사회 세계 정상회의가 과정을 너무 좁게 생각하고 오로지 정보기술 접근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다.[23]

기자의 안전

언론인에 대한 위협은 미디어 발전을 가로막는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2008년부터 유네스코 회원국은 기구가 규탄한 언론인 살해사건에 대해 각각 실시한 사법조회 현황 정보를 제출한다. 이 정보는 사무총장에 의해 IPDC 위원회에 2년마다 제출되는 공개 보고서에 포함되며, 이 프로그램의 언론인 살해 후속 조치의 기초가 된다.[24]

테크니컬

기술 발전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사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보에 대한 접근은 개인이 효과적으로 정보를 찾고, 받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다. 가이 버거에 따르면, "플랫폼 소유주들이 설정한 한계 내에서라도 디지털 통신수단에 접근하는 것은 전례 없는 일이다."[15] NWICO 토론 이후, 원하는 많은 발전은 인터넷과 휴대폰에 대한 접근을 통해 이루어졌다. 많은 사람들이 이제 대중에게 정보를 전할 뿐만 아니라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지구북에서 남한으로의 단방향 정보 흐름은 이러한 정보의 흐름 때문에 부분적으로 수정되었다. 가장 큰 장벽은 현재 접근성의 부족이며, 2013년 현재 인구의 3분의 1만이 그러한 접근을 가지고 있다(가장 가난한 지역들 중 일부는 10% 미만의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25] 최근 몇 년 동안 인터넷 접속이 상당히 증가했는데, 2014년에는 30억 명이 조금 넘는 이용자에 이르렀고, 이는 세계 인구의 약 42%에 달했다.[26]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격차, 성별격차, 안보논쟁 등 쟁점은 여전하다. 정보격차는 정보통신기술(ICT)의 접근, 이용 또는 영향에 관한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이다.[27] 문맹과 디지털 권한의 부족과 같은 사회적 장벽은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를 탐색하는 데 있어 남성과 여성 사이에 극명한 불평등을 야기했다. 그것은 바로 성차별이다.[28] 디지털 시대의 진화와 함께, 언론의 자유와 그 귀결(정보의 자유, 정보에 대한 접근)의 적용은 개인정보를 위험에 빠뜨리는 정부 통제나 상업적 방법을 포함한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 및 제약이 발생함에 따라 더욱 논란이 되고 있다.[29][19]

정보를 수신하고 생산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 및 민간 부문 기업들이 개인의 행동, 의견 및 네트워크를 추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주들은 점점 더 의사소통의 감시를 합법화하기 위해 법과 정책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행을 자국 시민과 국익을 보호할 필요성으로 정당화시키고 있다.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새로운 테러 방지법정부의 더 많은 감시를 가능하게 했고, 정보 당국이 시민들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켰다. 적법성이 인권의 합법적 한계에 대한 전제조건이지만, 주어진 법이 필요성, 비례성, 합법적 목적 등 타 정당성 기준에 부합하는지도 쟁점이다.[19]

참고 항목

원천

Definition of Free Cultural Works logo notext.svg글에는 무료 콘텐츠 작업에서 얻은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CC BY SA 3.0 IGO 라이센스 문/허가에 따라 라이센스 부여. 세계 표현의 자유미디어 개발 동향 글로벌 보고서 2017/2018, 202, 유네스코에서 가져온 텍스트. 열려 있는 라이센스 텍스트를 위키백과 문서에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사용 방법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위키백과의 텍스트 재사용에 대한 내용은 사용 약관을 참조하십시오.

참조

  1. ^ Imperialism, Robert W. McChesneyTopics (2001-03-01). "Monthly Review Global Media, Neoliberalism, and Imperialism". Monthly Review. Retrieved 2020-02-17.
  2. ^ Wilbur L. Schramm, 매스 미디어국가 개발: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페이지 65의 개발도상국에서 정보의 역할
  3. ^ Herbert I Schiller, Mass Communications and American Empire, Beacon Press, 1969, 페이지 140.
  4. ^ Oledzki, Jerzy (1981). "Polish Perspectives on the New Information Order".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35 (2): 155–164. ISSN 0022-197X. JSTOR 24356379.
  5. ^ "New Wor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der (NWICO) nwico.html". www.thegrenadarevolutiononline.com. Retrieved 2021-07-08.
  6. ^ Carmody, Deirdre (1979-05-10). "Press Groups Assail Report for Unesco".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0-02-17.
  7. ^ Quirós Fernández, Fernando (January 2005). "The MacBride Report 25 Years Later: the proposal the First World refused to accept".
  8. ^ Chutkow, Paul (1980-10-19). "UNESCO About to Get Role as World Communications Arbiter".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Retrieved 2020-02-17.
  9. ^ Nossiter, Bernard D.; Times, Special To the New York (1981-01-08). "U.n. Report on Press Is Causing Concern".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0-02-17.
  10. ^ Raube-Wilson, Stephen (1986). "The New Wor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Order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Boston College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Review. 9: 107–130.
  11. ^ 많은 목소리들, One World, Paris 1984, 페이지 236.
  12. ^ Thussu, Daya Kishan (2005-01-01). "From Macbride to Murdoch: The Marketisation of Global Communication". Javnost - the Public. 12 (3): 47–60. doi:10.1080/13183222.2005.11008894. ISSN 1318-3222. S2CID 144676968.
  13. ^ Carlsson, Ulla (2017). "The Rise and Fall of NWICO". Nordicom Review. 24 (2): 31–67. doi:10.1515/nor-2017-0306.
  14. ^ Henrikas Yushkiavitshus (2003-01-01). "UNESCO welcomes back U.S.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1-24. Retrieved 2009-08-06.
  15. ^ a b c Berger, Guy (2017). "Expressing the chang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evolutions in the right to free expression."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dia and Human Rights. Howard Tumber and Silvio Waisborg.
  16. ^ Ojo, Tokunba (2012). "Post-NWICO debate: Image of Africa in the Western Media" (PDF).
  17. ^ Berger, Guy (2017). "Why the World Became concerned with Journalistic Safety", The Assault on Journalism (PDF). UNESCO. pp. 33–43.
  18. ^ Berger, Guy (2011). Media in Africa: 20 years after the Windhoek Declaration on Press Freedom (PDF). Windhoek: Media Institute of Southern Africa.
  19. ^ a b c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Global Report 2017/2018. UNESCO. 2018. p. 202.
  20. ^ Media Development Indicators: Framework for Assessing Media Development (PDF). UNESCO. 2008.
  21. ^ a b Andrew, Puddephatt (2007). Defining Indicators of Media Development. Background paper (PDF). UNESCO.
  22. ^ 2003년 10월 15일 제18차 본회의에서 위원회 V 보고서에 채택된 국제 통신 개발 프로그램(IPDC) 결의안 43/32의 법령 개정.
  23. ^ Padovani, Claudia; Nordenstreng, Kaarle (2016-07-24). "From NWICO to WSIS: another wor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der?: Introduction". Global Media and Communication. doi:10.1177/1742766505058123. S2CID 144089151.
  24. ^ IPDC 웹 페이지: https://en.unesco.org/programme/ipdc/initiatives 기자의 안전과 위반 문제에 대한 유엔 행동 계획: http://unesdoc.unesco.org/images/0024/002460/246014E.pdf
  25. ^ Buchanan, Carrie (2015-05-01). "Revisiting the UNESCO debate on a New Wor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der: Has the NWICO been achieved by other means?". Telematics and Informatics. 32 (2): 391–399. doi:10.1016/j.tele.2014.05.007. ISSN 0736-5853.
  26. ^ Keystones to foster inclusive Knowledge Societies (PDF). UNESCO. 2015. p. 107.
  27. ^ 인터넷을 통한 추락: 농어촌과 도시 미국의 "Have Nots"에 대한 조사: https://www.ntia.doc.gov/ntiahome/fallingthru.html National Tele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https://www.ntia.doc.gov/
  28. ^ Anja Kovac(2017), 'Chupke, Chupke': 북인도에서의 휴대폰 금지 뒤로, 이용 가능: https://genderingsurveillance.internetdemocracy.in/phone_ban/ 웹사이트: https://genderingsurveillance.internetdemocracy.in/
  29. ^ Schultz, Wolfgang; van Hoboken, Joris. Human rights and encryption (PDF).

추가 읽기

  • "희망과 어리석음: 미국과 유네스코, 1945–1985" 윌리엄 프레스턴, 에드워드 S. 허먼, 그리고 1989년 미네소타 출판사의 허버트 실러. ISBN 0-8166-1788-0
  • 한스 쾰러(ed.), 새로운 국제 정보통신질서: 문화대화와 국가간 평화공존의 근거. (국제관계학 연구, X.) 빈: 브라뮐러, 1985. ISBN 3-7003-0645-8
  • 맥체스니, 로버트 W, 실러, 댄 국제 통신의 정치 경제: 미디어 소유와 규제에 대한 새로운 글로벌 토론의 기초. (기술, 비즈니스 및 사회 프로그램, 11). 국제 연합 사회 개발 연구소 2003년 10월. http://www.unrisd.org/80256B3C005BCCF9/%28httpAuxPages%29/C9DCBA6C7DB78C2AC1256BDF0049A774/$file/mcchesne.pdf
  • 미디어, 문화, 사회, 12권, 3권 (1990년 7월), "NWICO로 가는 길" 특집호
  • 모울라나, 하미드, & 로치, 콜린. (1992년) 새로운 세계 정보 및 통신 순서: 최근 개발 및 활동 개요 마이클 트래버 & 카알 노든브강(에드스)에서 소수의 목소리, 많은 세계: 미디어 개혁 운동 쪽으로 (pp. 4–17) 런던: 세계기독교소통협회.
  • 노든강화, 카알레 (2010). 맥브라이드는 NWICO의 정점으로 보고한다. International Colorquium 'Communication et Changement Social en Afrique'에서. 스탕달, 그르노블 3 http://www.uta.fi/jour/english/contact/nordenstreng_eng.html
  • 노든강화, 카알레 (2010). 새로운 세계 정보 통신 순서: 배우의 증언. 국제 콜로키움 30년 통신 지정학 라운드 테이블: '배우와 흐름, 구조와 분열' 파리 http://www.uta.fi/cmt/en/contact/staff/kaarlenordenstreng/publications/Pari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