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북서쪽
North by Northwest북북서쪽 | |
---|---|
![]() 극장 개봉 포스터 | |
연출자 | 알프레드 히치콕 |
작성자 | 어니스트 리먼 |
제작자 | 알프레드 히치콕 |
주연 | |
시네마토그래피 | 로버트 버크스 |
편집자 | 조지 토마시니 |
음악: | 베르나르 헤르만 |
색채 처리 | 테크니컬러 |
생산. 회사 | |
배포자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
릴리즈 날짜 |
|
실행 시간 | 136분 |
나라 | 미국 |
언어 | 영어 |
예산. | 430만달러[2] |
매표 | 980만달러[2] |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North by Northwest)는 1959년 개봉한 미국의 스파이 스릴러 영화로 캐리 그랜트, 에바 마리 생트, 제임스 [3]메이슨이 주연을 맡았다.영화 대본은 어니스트 리먼이 썼는데, 그는 "모든 히치콕 그림을 끝낼 히치콕 그림"[4]을 쓰고 싶어했다.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North by Northwest)는 한 무고한 남성이 정부 기밀이 담긴 마이크로필름을 국외로 밀반출하려는 그들의 계획을 막으려는 괴한들의 미국 전역에서 추적되는 오인된 이야기이다.이 영화는 버나드 허먼의 음악 악보와 그래픽 디자이너 사울 배스의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를 특징으로 하는 여러 히치콕 영화 중 하나이며, 오프닝 [5]크레딧에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연장 사용한 최초의 영화였다.
North by Northwest는 1950년대의 표준 히치콕 영화 중 하나이며 종종 역대 [6][7][8]가장 위대한 영화 중 하나로 꼽힙니다.1995년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문화적, 역사적, 미적으로 중요하다"[9]는 이유로 미국 국립영화등기소에 선정되었다.첫 상영 후, 뉴욕 요커와 뉴욕 타임즈의 평론가들은 즉시 이 영화가 코믹하고 세련된 자기 [10][11]패러디의 걸작이라고 환영했다.
줄거리.
1958년 뉴욕시의 한 호텔 바에서 깡패들은 웨이터가 조지 카플란을 호출하는 소리를 듣는다.광고 책임자인 로저 손힐이 같은 웨이터를 소환하면서 그는 카플란으로 오인되고 납치되어 레스터 타운센드의 사유지로 끌려간다.그는 미국의 냉전의 적이었던 스파이 필립 반담의 심문을 받는다.반담은 손힐의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죽음을 주선한다.손힐은 살아남았지만 음주운전으로 체포된다.손힐은 그의 어머니와 경찰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납득시키지 못했다.경찰은 그를 타운센드의 집으로 데려가는데, 한 여성은 그가 술에 취해 저녁 파티에 나타났다고 말한다.그녀는 또한 타운센드가 유엔 외교관이라고 말한다.
손힐과 그의 어머니는 카플란의 호텔 방으로 간다.그가 거기 없어서 그들은 몰래 들어간다.손힐은 룸폰을 받지만, 깡패들이 로비에서 전화를 걸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그는 탈출하여 롱아일랜드에서 만난 사람이 아닌 타운센드를 만나기 위해 유엔 총회 건물로 들어간다.폭력배 중 한 명이 칼을 던져서 타운센드를 죽인다.손힐은 칼을 움켜쥐고 있는 모습이 찍힌다.손힐은 진짜 카플란을 찾기 위해 도망친다.익명의 정부 정보 기관은 손힐이 카플란으로 오인된 것을 깨닫지만, 그들의 작전을 위태롭게 할 것을 우려하여 그를 구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카플란은 반담의 혼란을 주고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그들이 만든 존재하지 않는 요원이다.
손힐은 시카고로 가는 20세기 한정 열차에 몰래 올라탔다.승선 중 그는 경찰로부터 자신을 숨겨주는 이브 켄달과 만나게 된다; 켄달은 그녀가 반담과 비밀리에 일하고 있기 때문에 켄달과 관계를 맺는다.그녀는 손힐에게 외딴 시골 버스 정류장에서 카플란과 만나기로 약속했다고 말한다.Thornhill은 그곳에서 기다리지만, 농작물 살포기의 공격을 받는다.옥수수 밭에 숨으려고 한 후, 그는 과속하는 탱크 트럭 앞으로 걸어가고, 트럭은 브레이크를 밟고, 비행기는 그 트럭에 충돌하여 그가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손힐은 시카고에 있는 카플란의 호텔에 도착해 켄달이 그와 통화했다고 주장했을 때 카플란이 체크아웃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손힐은 그녀의 방으로 가서 그녀와 맞서지만, 그녀는 떠난다.그는 미술품 경매까지 그녀를 추적하고 거기서 반담의 멕시코 푸레페카 조각상을 구입하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반담은 손힐을 상대하기 위해 깡패들을 떠난다; 손힐은 도망치기 위해 경찰이 그를 제거해 달라고 부를 때까지 경매를 방해한다.그는 자신이 탈주한 살인범이라고 말했지만, 그들은 그를 정부 기관의 책임자인 "교수"에게 풀어주었고, "교수"는 카플란이 반담의 진짜 정부 요원으로부터 주의를 돌리기 위해 발명되었다는 것을 폭로했다.이브 켄달.Thornhill은 그녀의 위장 유지를 돕는데 동의한다.
마운트 러시모어 방문객 센터에서 손힐은 현재 기꺼이 카플란 역할을 맡고 있는 반담의 켄달 이직 협상을 통해 체포됩니다.그리고 나서 켄달은 치명적으로 보이는 손힐을 쏘고 달아난다.사실, 그녀의 총에는 빈칸이 장전되어 있었다.그 후 교수는 손힐과 켄달의 만남을 주선한다.손힐은 켄달이 반담과 레너드와 함께 비행기를 타고 출발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그는 그녀가 가지 않도록 설득하려 하지만, 의식을 잃고 병실에 갇히게 된다.손힐은 교수의 양육권을 벗어나 켄달을 구하기 위해 반담의 집으로 간다.
그 집에서 손힐은 조각상에 마이크로필름이 들어 있고, 레너드가 켄달의 총 안에 남아 있는 빈칸을 발견했다는 것을 듣게 된다.반담은 켄달을 비행기에서 던져 죽일 것이라고 말한다.손힐은 은밀한 어조로 그녀에게 경고를 했다.반담, 레너드, 켄달은 비행기로 향한다.반담의 탑승에 따라 켄달은 조각품을 가지고 쫓는 손힐로 달려간다.그들은 러시모어 산의 꼭대기로 도망친다.그들이 산을 내려올 때, 그들은 공원 경비원이 쏜 치명상을 입은 레너드를 포함한 반담의 폭력배들에게 쫓긴다.반담은 교수에 의해 구금되었다.
한편 켄달은 손끝으로 산에 매달려 있다.손힐은 그녀를 끌어올리려고 손을 내민다.그때, 그 장면은 그가 그녀를 끌어당기는 장면으로, 지금은 새로운 부인이 되었다.Thornhill: 터널로 들어가는 열차의 상부 침대.
출연자들
- 로저 손힐 역의 캐리 그랜트
- 이브 켄달 역의 에바 마리 생
- 필립 반담 역의 제임스 메이슨
- 제시 로이스 랜디스 역 클라라 손힐
- 교수로서의 레오 G. 캐롤
- 조세핀 허친슨 부인.타운센드"
- 레스터 타운센드 역의 필립 오버
- 레너드 역의 마틴 란다우
- 발레리안 역의 애덤 윌리엄스
- 빅터 래러비 역의 에드워드 플랫
- 리히트 역의 로버트 엘렌슈타인
- 경매인 레스 트레메인
- 필립 쿨리지가 닥터 크로스
- 패트릭 맥베이 플램 하사 역
- 에드워드 빈스 선장 역
- 찰리 역의 켄 린치
크레딧되지 않은 출연자
히치콕의 카메오 출연은 그의 대부분의 영화에서 두드러지는 사건이다.노스 바이 노스웨스트에서 그는 스크린에 [15]그의 신용이 나타나듯이 버스 문을 쾅 닫는 것을 목격한다.그가 기차에서 [16]터키색 드레스를 입은 여성으로 45분 정도 끌고가며 두 번째 출연을 했는지에 대해 약간의 추측이 있었다.사실, 그 여자는 알프레드 히치콕 프레젠츠의 많은 에피소드에 계속해서 출연한 제슬린 팩스가 연기했다.그녀는 이전에 뒷창에 출연한 적이 있다.
생산.
쓰기
히치콕은 종종 기자들에게 캐리 그랜트가 에이브러햄 링컨의 코 안에 있는 악당들로부터 숨어 있다가 재채기를 할 때 드러나는 것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했다.그는 이 영화가 "링컨의 코에 있는 남자" 또는 "링컨의 코에 [17]재채기를 한 남자"로 불릴 수도 있다고 추측했다.히치콕은 적절한 시나리오 작가가 그것을 발전시키기를 기다리며 그 아이디어를 보류했다.원래 여행 세일즈맨 캐릭터는 James Stewart에게 적합했지만, Lehman은 이전에 [18]직책을 맡았던 Madison Avenue 광고 임원으로 바꿨다.
존 러셀 테일러의 전기 '히치: 알프레드 히치콕의 삶과 시간'(1978)은 이 이야기가 또 다른 영화 프로젝트의 대본 작성 중 작가들의 막힘으로 인해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알프레드 히치콕은 MGM을 위해 영화를 만들기로 합의했고 그들은 해먼드 이네스의 소설 "The Wrake of the Mary Deare"를 각색했다.작곡가 Bernard Herrmann은 Hitchcock에게 그의 친구 Ernest Rehman과 함께 일하라고 추천했다.몇 주 후, 리먼은 그 이야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하면서 그만두겠다고 제안했다.히치콕은 둘이 잘 지내서 다른 걸 쓸 거라고 했어요리먼은 궁극의 히치콕 영화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히치콕은 잠시 생각하더니 그는 항상 러시모어 산을 가로질러 추격하고 싶다고 말했다.리먼과 히치콕은 유엔본부에서의 살인, 디트로이트의 자동차 공장에서의 살인, 알래스카에서의 마지막 결전 등 더 많은 아이디어를 내놓았다.결국 그들은 개막을 위한 유엔 살인사건과 클라이맥스를 위한 러시모어 산을 넘는 추격전을 하기로 결정했다.핵심 아이디어를 위해, 히치콕은 미국인 기자가 그에게 스파이들이 가짜 요원을 미끼로 만든 것에 대해 말한 것을 기억했다.어쩌면 그들의 영웅은 이 가공의 요원으로 오인되어 결국 도망칠 수도 있다.그들은 그 기자로부터 그 아이디어를 1만 달러에 샀다.
리먼은 다큐멘터리 'Destination Hitchcock'에서 이 이야기를 반복했다. 2001년 이 영화의 DVD 발매에 동반된 Making of North by Northwest.시나리오 작가 윌리엄 골드만은 어떤 거짓말을 했는가?(2000)에서 노스바이노스웨스트를 만든 사람은 리먼이며 히치콕의 아이디어 중 많은 부분이 사용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히치콕은 영웅이 외딴 곳에 갇힌다는 생각을 했지만 악당들이 토네이도로 그를 죽이려 한다고 제안했다.리먼은 "하지만 그들은 그를 죽이려 하고 있다.그들은 어떻게 사이클론을 일으킬까요?"그리고 나서, 그는 인터뷰 진행자에게 "누가 누구에게 무슨 말을 했는지 말할 수 없지만, 그날 오후 어디선가, 하늘에 있는 사이클론이 농작물을 뿌리는 [19]비행기가 되었다."고 말했다.
사실, 히치콕은 [citation needed]리먼을 만나기 전까지 거의 9년 동안 이 이야기를 연구해 왔다.오티스 건시는 히치콕에 영향을 준 아이디어를 가진 미국 언론인으로, 영국 정보부가 2차 세계대전 중 실화를 바탕으로 시체를 입수하고 비밀 서류를 휴대하는 가공의 장교를 발명했으며, 가짜 서류들을 독일군에 의해 발견되도록 주선했다.민스미트 작전이라고 불렸지곤지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중동으로 여행하다가 가공의 대리인으로 오인되어 "낭만적이고 위험한 정체성에 시달리게 된" 한 미국인 세일즈맨에 대한 이야기로 바꿨다.건시는 그의 처우가 "옥수수"와 "논리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했고, 그는 히치콕에게 그가 좋아하는 이야기를 하도록 촉구했습니다.히치콕은 60쪽짜리 책을 10,000달러에 [citation needed]샀다.1995년, Screenwriters on Screenwriting이라는 책에서, 리먼은 클라이맥스의 중요한 요소들을 생각해내기 전에 이미 시나리오의 많은 부분을 썼다고 말했다.
이것은 메트로-골드윈-메이어에 의해 개봉된 유일한 히치콕 영화였다.1986년부터는 MGM의 임시 소유권을 통해 인수한 MGM 이전 필름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터너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소유되어 왔다.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의 제작비는 촬영 지연으로 캐리 그랜트가 벌칙을 받게 되면서 심각하게 증가했고, 촬영 시작도 하기 전에 하루에 [20]5천 달러의 제작비가 더 들었다.
캐스팅
에바 마리 생트의 대리인은 그녀가 알프레드 히치콕과 그의 가족과의 저녁식사 초대를 받았다고 그녀에게 말했다.세인트와 히치콕이 처음 만난 날이었다.저녁 식사 후 며칠 후, 성인의 어머니는 그녀에게 전화를 걸어 히치콕이 베이지색 옷과 흰 장갑을 낀 여자 캐스팅을 좋아한다고 상기시켰다.어머니의 조언에 따라 그녀는 하얀 장갑과 베이지색 옷을 입고 히치콕을 다시 만났다.그녀는 이것이 그녀가 [21]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차지하는데 도움을 준 공로를 돌렸다.MGM은 Cyd Charise를 이브 켄달의 역할로 원했다.히치콕은 그가 선택한 [20]성인을 지지했다.
히치콕은 에드워드 G. 로빈슨의 공연을 보기 위해 미드 오브 더 나이트 연극에 참석했다.마틴 란다우의 연기에 감동한 히치콕은 MGM에서 만나자고 했고 란다우가 도착했고 히치콕은 스토리보드를 포함한 프로젝트 전체를 보여줬다.그는 히치콕이 돌아서서 그에게 "넌 이제 레너드야"[21]라고 말했다고 보고했다.
촬영중
Hitchcock의 주장으로 이 영화는 파라마운트의 VistaVision 와이드스크린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MGM에서는 두 편의 VistaVision 영화만 제작되었고, 다른 하나는 High [22]Society였다.
공중 추격 장면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는 N3N 카나리아 해군으로, "황색 위기"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2차 대전 해군 초급 훈련기로 가끔 [23]작물 살포용으로 개조되었다.트럭에 부딪혀 폭발하는 항공기는 보잉-스티어맨 모델 75 훈련기로 1970년대까지 농업용으로도 많이 사용됐다.그 비행기는 캘리포니아 [24]와스코 출신의 농작물 분진업자 밥 코에 의해 조종되었다.히치콕은 네모난 인디애나 고속도로 표지판을 현장에 배치했다.2000년, 가디언지는 이 작물을 뿌리는 장면을 "영화 100대 순간"[25] 목록에서 29위로 선정했습니다.영국 영화잡지 엠파이어는 2009년 8월호에서 [26]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영화 순간으로 선정했다.
이 영화에 사용된 장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파크 애비뉴 430번지40°45°38°N 73°58′18″w/40.760694°N 73.971680°W
- 커머셜 인베스트먼트 트러스트 빌딩(뉴욕주 매디슨 애비뉴 650) 40°45°50°N 73°58°17°W / 40.763965°N 73.971302°W /
- 이곳은 로저 손힐의 사무실과 그가 영화에 처음 출연했을 때 걸어 나오는 건물이다.CIT 빌딩은 해리슨과 아브라모비츠라는 회사에 의해 설계되어 [28]1957년에 건설되었습니다.
- 플라자 호텔 (뉴욕 5번가 768번지) 40°45°53°N 73°58 27 27 w 40 / 40 . 764733 ° N 73 . 974241 °W / . - . 974241
- 올드웨스트베리가든스(올드웨스트베리71) 40°46″26nN 73°35″42wN 73.773822°N 73.594921°W /
- 손힐의 납치범들은 그를 롱아일랜드에 있는 반담의 사유지로 데려간다.손힐을 심문한 후, 반담은 레너드와 그의 심복들에게 손힐을 강제로 취하도록 지시한다.
- 국제 연합 본부 40°44°57°N 73°58-06°W/40.749127°N 73.968327°W
-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89 East 42st Street, 뉴욕) 40°45º10ºN 73°58 ″ 38 w 40 / 40.752724 n 873.977221 w 、
- 유엔에서 타운센드가 살해된 후, 손힐은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로 달려가 시카고로 가는 길에 20세기 리미티드에 몰래 도착한다.
- LaSalle Street Station (시카고 남부 라살 거리 414) 41°52º31ºN 87°37º56ºW / 41.875304°N 87.632152°W /
- 손힐과 이브 켄달은 시카고 라살 스트리트 역에 도착한다.역에서 켄달은 손힐에게 카플란과의 만남을 위한 지시를 내린다.
- 대초원 35°45 3939 nN 119°33⁄42 † W / 35.760814 °N 119.561721 °W/
- 앰배서더 이스트 호텔 41°54°21°N 87°37°42°W 41.905856°N 87.628303°W
- Thornhill은 훔친 트럭을 타고 시카고로 돌아간다. 그는 앰배서더 이스트 호텔 밖에 주차했다.그 호텔은 1926년에 문을 열었고 로버트 S에 의해 설계되었다.드골리에오늘날에는 호텔로서 [34]앰배서더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시카고 미드웨이 공항 41°47°18°N 87°44′39″w/41.788372°N 87.744211°W
- 손힐이 경매에서 체포된 후, 그와 교수는 미드웨이 공항으로 가서 사우스 다코타주 래피드 시티행 비행기에 탑승한다.영화에서 보이는 터미널은 1945-46년에 지어졌으며 건축가 폴 게르하르트 시니어가 설계했다.이 터미널 건물은 [35]2002년에 철거되었습니다.
- Rushmore산 메모리얼 뷰 빌딩 43°52 37 37 n N 103 n 27 22 22 wW/ 43.877014 2 103 . .
- 필립 반담 하우스
코스프레밍
2006년 GQ에 의해 소집된 패션 전문가 패널은 캐리 그랜트가 거의 영화 내내 입었던 회색 정장이 영화 역사상 가장 잘 어울렸고 남성 스타일에 가장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으며, 그 이후로 톰 크루즈의 '카탈'과 벤 애플렉의 '페이'[41] 캐릭터를 모방했다고 말했다.이 같은 감정은 작가 토드 맥유엔이 이를 "거대하다"고 부르며 수트의 관점에서 영화의 줄거리를 설명하는 단편 소설 "캐리 그랜트의 수트"[42]를 쓴 것에 의해 반영되었다.베니티 페어 잡지에 따르면, 비록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그것은 베벌리 [44]힐스의 퀸티노였지만, 그것은 런던의 [43]노턴 & 선즈였다.다른 기사에 따르면 그랜트는 그의 새빌 로우 재단사인 킬구르 프렌치와 스탠버리를 슈트에 사용했다.영화 속 슈트 중 하나에 "킨티노"라고 쓰인 라벨이 있지만, 이는 퀸티노가 더 활동적인 장면이나 [45][46]스턴트가 있는 장면을 위해 복제 슈트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영화를 위한 에바 마리 생의 의상은 원래 MGM에 의해 완전히 선택되었다.히치콕은 MGM의 선택을 싫어했고 여배우이자 감독은 그녀가 입을 [47]옷을 고르기 위해 뉴욕의 버그도프 굿맨으로 갔다.
편집 및 포스트 프로덕션
히치콕은 프랑수아 트뤼포의 저서 인터뷰인 히치콕/트뤼포(1967년)에서 MGM이 노스바이노스웨스트의 15분을 줄여 영화 상영 시간이 2시간 미만으로 끝나길 바란다고 말했다.히치콕은 그의 에이전트에게 그의 계약을 확인하라고 시켰고, 그가 최종 컷에 대한 절대적인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48] 거절했습니다.
식당차 유혹 장면에서 에바 마리 생의 대사 중 하나가 축소되었다.그녀는 원래 "나는 절대 빈속에 사랑을 나누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검열관들이 원작의 내용이 너무 [49]촌스러웠다는 이유로 "나는 절대 빈속에 사랑을 논하지 않는다"로 바뀌었다.
풀어주다
이 영화는 1959년 [1]7월 1일 시카고의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극장에서 개봉되었다.1959년 8월과 9월에 라디오 시티 뮤직 홀에서 7주간 공연되었다.노스 바이 노스웨스트의 한 예고편에는 히치콕이 자신을 알프레드 히치콕 여행사의 소유주로 소개하고 시청자들에게 이 멋진 [50]휴가지를 광고하기 위해 영화를 만들었다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홈 미디어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North by Northwest)는 2009년 11월 3일 미국에서 1080p VC-1 [51][52]인코딩으로 블루레이 디스크 형식으로 출시되었습니다.이 릴리스는 오리지널 VistaVision 요소를 복원하여 리마스터한 5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입니다.DVD판도 발매되었습니다.
접수처
매표
시카고에서 개봉했을 때 첫 주에 46,000달러, 두 [53]번째 주에 35,000달러의 수익을 올렸다.이 영화는 라디오 시티 뮤직 홀에서 개봉 첫 주에 20만9천 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개봉 첫 주뿐만 아니라 개봉 주에도 최고 기록을 세웠으며, 2주 [54][55]만에 40만 4,056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뮤직홀에서 개봉하면서 이 영화는 미국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고, [56]뮤직홀에서 7주간 머물렀다.8월 말까지 139건의 [57]계약으로 2,568,000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MGM의 기록에 따르면 이 영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5,740,000 달러의 극장 임대료를 벌었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410만 달러의 수익을 얻었다고 한다.[2]
크리티컬 리셉션
North by Northwest는 리뷰 애그리게이터 Rotten Tomatoes에서 평균 9.3/10으로 97%의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이 사이트는 비판적인 의견 일치를 "이 후기 히치콕 고전은 수많은 액션 스릴러들이 [58]따라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라고 말하고 있다.메타크리틱에서는 16개 평론가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98점을 받아 "보편적인 칭찬"[59]을 받았다.1998년 타임아웃은 여론조사를 실시했고 노스바이노스웨스트는 [60]역대 12번째로 위대한 영화로 뽑혔다.빌리지 보이스는 1999년 [61]비평가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지가 선정한 "세기의 최고 영화 250개"에서 49위를 차지했습니다.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1999년에 [62]이 영화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화 44위로 뽑았다.이 영화는 [63]엠파이어지가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화 500편 중 98위에 올랐다.미국작가조합은 이 영화를 101개의 [64]가장 위대한 시나리오 목록에서 21위로 선정했습니다.이 영화는 미국 영화 [65]협회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미국 영화 40위에 올랐다.이 영화는 2008년 [66]프랑스의 저명한 잡지 Cahiers du sinéma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영화 100선"에서 28위로 뽑혔다.영국영화연구소가 2012년 실시한 역대 최고의 영화 '사이트&사운드(Sight & Sound)' 여론조사에서 노스바이노스웨스트([67]North by Northwest)가 53위에 올랐다.2010년, 가디언지는 이 영화를 [68]역대 최고의 액션과 전쟁 영화 2위로 선정했습니다.노스 바이 노스웨스트는 BBC가 선정한 2015년 100대 미국 [69]영화 목록에서 13위에 올랐다.2022년, 타임아웃 잡지는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를 역사상 [70]가장 위대한 스릴러 영화로 선정했다.
타임지는 이 영화를 "원만하게 다듬어져 있고 완전히 재미있다"[71]고 평했다.뉴욕 타임즈의 A. H. 와일러는 이 영화를 "크리티컬스 픽"으로 선정하며 "올해 가장 경치 있고 흥미롭고 즐거운 영화"라고 평했다. 와일러는 두 주연에 찬사를 보냈다.
Hitchcock 연기 대학의 베테랑 멤버인 캐리 그랜트는 광고맨의 이 역할만큼 집에 있지 않았다.그는 얼굴 찌푸림, 놀란 표정, 빠른 미소, 그리고 모든 꾸물거림을 프로페셔널한 침착함과 우아함으로 다룬다. 히치콕 씨는 에바 마리 생을 로맨틱한 상대역으로 캐스팅하면서 지금까지 여배우가 보여주지 않았던 재능을 발휘했다.그녀는 겉보기에는 딱딱하고 디자인적인 타입이지만, 달콤한 여주인공이자 매력적인 [72]매력도 겸비하고 있다.
영화평론가 찰스 챔플린은 이 영화를 "히치콕의 전형적인 상황의 인간학"[73]으로 보고 특히 그랜트의 캐릭터가 옥수수밭에서 농작물을 살포하는 비행기의 공격을 받았을 때 죽음을 피하는 장면과 서스펜스에 매료되었다.Sight & Sound 비평가 Penelope Houston은 이 영화를 "엔터테인먼트 영화 제작 [74]중 가장 순수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개봉 후 거의 반세기 만에 이 영화를 리뷰한 타임아웃 잡지의 런던 판은 다음과 같이 평했다.
50년 전 히치콕의 매끈하고 비뚤어진 편집증적인 스릴러는 시대정신을 완벽하게 포착했다고 할 수 있다.냉전의 음침함, 권력의 비밀 요원, 도시적 모더니즘, 도시 생활의 개미 같은 분주함, 그리고 날카로운 풍요의 양복 뒤에 숨겨진 공포의 기미.캐리 그랜트의 로저 손힐은 영화 속 화려한 옷차림의 광고 책임자로 잘못된 정체성의 소용돌이에 빨려들어가며 매드맨과 어울리지 않을 것이다.그러나 히치콕과 그랜트에서 작가 어니스트 리먼, 공동 주연 제임스 메이슨과 에바 마리 생, 작곡가 버나드 허먼, 그리고 심지어 디자이너 사울 배스에 이르기까지 완벽한 재능의 폭풍에 대한 [75]연대는 아직 남아있지 않다.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닉 클루니는 리먼의 원작 이야기와 세련된 대화를 높이 평가하면서, 이 영화를 "알프레드 히치콕의 [76]최고는 아니더라도 확실히 가장 스타일리시한 스릴러"라고 말했다.
어워드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는 아카데미 최우수 영화 편집상(조지 토마시니), 최우수 예술 감독상(세트 데코레이션, 컬러) 3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호닝, 로버트 F. 보일, 메릴 파이, 헨리 그레이스, 프랭크 R. 제32회 아카데미 [77]시상식에서 최우수 각본상(에네스트 리먼)을 수상했다.세 개의 상 중 두 개는 대신 벤허에게 돌아갔고, 다른 하나는 베개 토크에 돌아갔습니다.이 영화는 또한 1960년 에드거상 최우수 영화 각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히치콕은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에서 두 번째 감독상인 은각상을 받았다.[78][79]
1995년 노스바이노스웨스트는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또는 미적으로 중요하다"는 이유로 국립영화등기부(National Film Registry)에 등재되었다.2008년 6월, 미국 영화 협회는 크리에이티브 커뮤니티에서 1,500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10 Top 10" (10 클래식" 미국 영화 장르 중 10대 영화)을 발표했습니다.노스 바이 노스웨스트는 미스터리 [80]장르에서 7번째로 뛰어난 영화로 인정받았다.AFI 100년에도 40위로 이름을 올렸다.영화 100편,[81] AFI 100년 4위...[82] 스릴 100편, AFI 100년 55위...영화 100편(10주년 기념판).[83]
주제와 모티브
히치콕은 1년 전 그의 어두운 로맨틱 스릴러인 Vertigo 이후 변화의 일환으로 이 영화를 기획했다.히치콕은 프랑수아 트뤼포와의 저서 인터뷰(1967년)에서 "재미있고, 마음이 가벼우며, 일반적으로 그의 다른 [84]영화들에 스며드는 상징성으로부터 자유로운 무언가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작가 어니스트 리먼 또한 영화에서 [85]상징성을 찾는 사람들을 조롱했다.대중적인 호소력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냉전 시대의 속임수, 잘못된 정체성, 그리고 도덕적 상대주의라는 주제를 다룬 걸작으로 여겨진다.
North by Northwest라는 제목은 논란의 대상이다.많은 이들이 햄릿의 한 줄에서 따온 것으로 보아왔다[citation needed]('나는 미친 북북서풍이다: 남쪽 바람이 불 때 나는 매와 손잡이를 안다'). 이 작품 역시 현실의 [86]교활한 본질과 관련이 있다.히치콕은 1963년 피터 보그다노비치와의 인터뷰에서 "이건 환상이다.영화 전체가 제목에 요약되어 있다. 나침반 [87]위에는 북북서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그러나 북북서쪽은 나침반의 32개 지점 중 하나이다."리먼은 이 영화의 액션이 뉴욕에서 시작되었고 알래스카에서 클라이맥스를 이루게 되었기 때문에 "In a Northwesterly Direction"이라는 영화에 작업 제목을 사용했다고 말했다.그리고 MGM의 스토리 부서장이 "북북서쪽"을 제안했지만, 이것은 여전히 작업 제목이었다."링컨의 코 위의 남자"를 포함한 다른 제목들도 고려되었지만, "북서쪽"은 리먼에 따르면 "우리는 더 나은 제목을 [17]찾지 못했다"고 한다.영화 속 노스웨스트 항공의 언급이 제목으로 재생된다.
이 영화의 줄거리는 히치콕에 의해 대중화된 용어인 "맥거핀"을 포함한다. 이 용어는 영화 속 모든 사람들이 쫓고 있지만 줄거리와는 깊은 관계가 없다.노스 바이 노스웨스트에서 첩보원들은 정부 기밀이 담긴 마이크로필름을 해외로 밀반출하려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그들은 손힐을 죽이려 하고 있는데, 손힐을 추적 중인 요원인 "조지 카플란"으로 믿고 있다.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는 화려한 배경, 비밀 요원, 그리고 불길하지만 이상할 정도로 매력적인 악당 상대편의 우아하고 대담하며 현명한 주인공과의 유사성 때문에 "제임스 본드 최초의 영화"[88]로 일컬어진다.농작물을 뿌리는 장면은 헬기가 From Russia with [89]Love에서 추격하는 데 영감을 주었습니다.
로맨틱한 포옹 중 터널로 돌진하는 열차의 마지막 장면은 히치콕의 짓궂은 유머 감각을 반영하는 자기 의식적인 프로이트의 상징성 중 유명한 부분이다.Hitchcock/Truffaut라는 책에서, Hitchcock은 이것을 "남성적인 상징... 아마도 내가 만든 것 중 가장 뻔뻔한 샷들 중 하나"라고 말했다.
영향
이 영화는 제임스 본드 영화와 후속 액션 스릴러 [90][91][92]영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이 영화의 제목은 1987년 텍사스 오스틴에서 시작된 인기 있는 연례 라이브 음악 페스티벌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의 명칭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도되고 있는데, 이 이름은 지역 대체 주간지 오스틴 크로니클의 편집자이자 공동 설립자인 루이스 블랙이 히치콕 영화 [93]제목에 대한 연극으로 착안한 것이다.
닥터 후 시리즈 '치명적 암살자'의 세 번째 에피소드(1976)는 히치콕의 영웅처럼 정치적 동기로 누명을 쓴 닥터가 적의 심복 [94]중 한 명이 조종하는 복엽기의 총격을 받을 때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에 대한 오마주를 담고 있다.
2010년 개봉한 스페인의 다크 코미디 영화 라스트 서커스는 논란이 되고 있는 프랑수아주의 [95][96]기념물 꼭대기에서의 러시모어 산의 절정 장면에 시각적 경의를 표합니다.
적응
노스 바이 노스웨스트는 캐롤린 번즈에 의해 무대극으로 각색되었다.이 각색은 2015년 멜버른 극단에서 초연되었다.[97]
「 」를 참조해 주세요.
- 최고 영화 목록
- 2000년 다큐멘터리 영화 링컨의 코 위의 남자
- 히치콕 영화를 패러디한 미국 애니메이션 시트콤 패밀리가이 에피소드 노스 바이 노스 쿼호그
- 1976년 액션/코미디 영화로 비슷한 톤과 플롯 요소를 가진 실버 스트릭
레퍼런스
- 인용문
- ^ a b "Chicago [Picture Grosses]". Variety. July 1, 1959. p. 10. Retrieved May 20, 2019 – via Internet Archive.
- ^ a b c 를 클릭합니다The Eddie Mannix Ledger, Los Angeles: Margaret Herrick Library, Center for Motion Picture Study.
- ^ "North by Northwest". Turner Classic Movies. Retrieved April 24, 2016.
- ^ Jaynes, Barbara Grant; Trachtenberg, Robert (2004). "Cary Grant: A Class Apart". Burbank, California: Turner Classic Movies.
- ^ "The Kinetic Typography Engine" (PDF).
- ^ "AFI's 100 Years ... 100 Movies". www.afi.com.
- ^ "100 Greatest Films". www.filmsite.org.
- ^ "Top 100 Movies by Rank". www.films101.com.
- ^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May 6, 2020.
- ^ Weiler, A. H. (August 7, 1959). "Hitchcock Takes Suspenseful Cook's Tour; ' North by Northwest' Opens at Music Hall". The New York Times.
- ^ "Alfred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Reviewed". The New Yorker. August 8, 1959.
- ^ a b c d e f g h i j "North by Northwest (1959)". British Film Institute. Retrieved February 19, 2019.
- ^ Turner Classic Movies 웹사이트 http://www.tcm.com/tcmdb/person/6746%7C104140/Malcolm-Atterbury/에서 "Malcom Atterbury" 엔트리를 참조하십시오.
- ^ Turner Classic Movies 웹사이트 http://www.tcm.com/tcmdb/person/730781%7C85154/John-Berardino/filmography-with-synopsis.html에서 "John Berardino" 엔트리를 참조하십시오.
- ^ "Alfred Hitchcock's Movie Cameos: North by Northwest (1959)". Empire magazine. June 25,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2, 2014. Retrieved February 17, 2013.
- ^ Moore, Matthew (August 15, 2008). "Did Alfred Hitchcock make a secret cameo appearance in drag?". The Daily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2, 2022.
- ^ a b Brady 1981, 페이지 201
- ^ Engel, Joel (1995). Screenwriters on Screen-Writing: The Best in the Business Discuss Their Craft. New York: Hyperion. ISBN 978-0786880577.
- ^ Brady 1981, 페이지 202
- ^ a b Spoto, Donald (1999). The Dark Side of Genius: The Life of Alfred Hitchcock. Da Capo. p. 405. ISBN 978-0-306-80932-3.
- ^ a b Eva Marie Saint and Martin Landau Discuss Alfred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retrieved February 10, 2022
- ^ Hart, Martin. "The Development of VistaVision: Paramount Marches to a Different Drummer". The American WideScreen Museum. Retrieved December 4, 2012.
- ^ 황색 위기: N3N, Laverne Hoestenbach, "The Dispatch", 1992년 겨울
- ^ 베이커스필드 캘리포니아 와스코 남자는 2007년 10월 11일 웨이백 머신에서 Hitchcock 영화 역할을 했습니다. 2009년 1월 13일 아카이브
- ^ "The top 100 film moments". The Guardian. February 6, 2000.
- ^ "1001 Greatest Movie Moments". Empire. London, England: 89–113.
- ^ Holusha, John (July 22, 2001). "Commercial Property/430 Park Avenue; Redesigning and Upgrading a Faded Office Building".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May 8, 2019.
- ^ Scout (October 1, 2012). "The Complete NY Filming Locations of North By Northwest". Scouting NY. Retrieved May 8, 2019.
- ^ "Filming Locations for Alfred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1959), in New York, Chicago, and Mount Rushmore in South Dakota". The Worldwide Guide to Movie Locations. Retrieved May 8, 2019.
- ^ James Gaddy (January 2010). "The Plaza Hotel Renovated". TLC Magazine. Retrieved January 22, 2015.
- ^ "United Nations, New York City, New York - The Alfred Hitchcock Wiki". the.hitchcock.zone. Retrieved May 8, 2019.
- ^ Coleman, Herbert (2007). The Man Who Knew Hitchcock: A Hollywood Memoir. Scarecrow Press. pp. 282-284.
- ^ Heron, Ambrose (February 15, 2010). "Location of the Crop Dusting Sequence in North By Northwest". FILMdetail. Retrieved May 8, 2019.
- ^ "Filming Locations for Alfred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1959), in New York, Chicago, and Mount Rushmore in South Dakota". The Worldwide Guide to Movie Locations. Retrieved May 8, 2019.
- ^ "Part 8 - Midway Airport". chicagology.com. Retrieved May 8, 2019.
- ^ 제임스 채프먼, 히치콕과 스파이 필름 (2017), 페이지 222.
- ^ "Keeping Up With the Times". Mount Rushmore National Memorial. U.S. National Park Service.
- ^ "People & Events: Mount Rushmore and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The American Experience. PBS. Retrieved December 4, 2012.
- ^ "ALFRED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1959; 136 mins.)". Looking at Movies: An Introduction to Film. W.W, Nort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7, 2010. Retrieved December 4, 2012.
- ^ "Connecting The Dots - THE VANDAMM HOUSE in 'North By Northwest'". Production Designers Collective. June 12, 2016. Retrieved May 8, 2019.
- ^ "Cary Grant's gray suit tops movie clothing list. GQ rates the most chic men's clothing on film". Today.com. Reuters. October 16, 2006.
- ^ 맥유엔, 토드'캐리 그랜트 슈트', 그랜타(2006년 여름).
- ^ The Hitchcock, Jim Windolf, Vanity Fair, 2008년 3월
- ^ 패션: 정장은 a-changin, Glenn Waldron, The Independent, 2008년 1월 28일
- ^ 패션: 슈트: a-changin Cary Grant의 "North By Northwest" 슈트는 영화 역사상 가장 위대하다, Brenden Gallagher, grailed.com, 2019년 1월 28일
- ^ 북북서북, BAMF 스타일, 2012년 9월 26일
- ^ McGee, Scott; Stafford, Jeff; Thompson, Lang. "Why North by Northwest Is Essential". Turner Classic Movies. Retrieved October 3, 2017.
- ^ Truffaut, François (1985). Hitchcock (Revised ed.). New York: Simon & Schuster. p. 251. ISBN 978-0-671-52601-6.
- ^ Roman, James (2009). Bigger than Blockbusters: Movies That Defined America.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 93. ISBN 978-0-313-33995-0.
- ^ DVD 엑스트라 – 오리지널 트레일러
- ^ "Release date from IGN.com". October 26, 2009. Retrieved July 30, 2010.
- ^ Thill, Scott (December 6, 2009). "Blu-ray Disc and DVD details from Wired.com". Wired.
- ^ "Chicago [Picture Grosses]". Variety. July 15, 1959. p. 10. Retrieved May 20, 2019 – via Internet Archive.
- ^ "Box Office: For the Books". Time. August 31, 19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30, 2012. Retrieved August 25, 2010.
Manhattan's Radio City Music Hall, riding the crest of the boom, reported its own record, a two-week non-holiday gross of $404,056, for Alfred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well over the total of runner-up High Society.
- ^ Wear, Mike (September 2, 1959). "July Spillover, Hot Newies Hypo Aug.; Top 2 Alone Rake in Tall $2,375,000; 'North,' 'Murder,' 'Hole,' 'Porgy' Aces". Variety. p. 5.
- ^ "National Boxoffice Survey". Variety. August 12, 1959. p. 4. Retrieved January 2, 2021 – via Archive.org.
- ^ "'Northwest' $2,568,000 In First 139 Stands". Variety. September 2, 1959. p. 5.
- ^ "North by Northwest". Rotten Tomatoes.
- ^ "North by Northwest". Metacritic.
- ^ "Top 100 Films (Readers)". AMC Filmsite.org. American Movie Classics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8, 2014. Retrieved August 17, 2010.
- ^ "Take One: The First Annual Village Voice Film Critics' Poll". The Village Voice.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6, 2007. Retrieved July 27, 2006.
- ^ "Entertainment Weekly's 100 Greatest Movies of All Time". Filmsit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14. Retrieved 19 January 2009.
- ^ "The 500 Greatest Movies of All Time". Emp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4, 2011. Retrieved August 17, 2011.
- ^ Writers Guild of America West (April 9, 2020). "101 Greatest Screenplays". Retrieved April 9, 2020.
- ^ "America's Greatest movies" (PDF). afi.com. American Film Institute.
- ^ "Cahiers du cinéma's 100 Greatest Films". November 23, 2008.
- ^ "Critics' Top 100". Sight & Sound. British Film Institute. 2012.
- ^ Thomson, David (October 19, 2010). "North By Northwest: No 2 best action and war film of all time". The Guardian. Retrieved July 12, 2021.
- ^ "The 100 Greatest American Films". bbc. July 20, 2015.
- ^ "The 100 best thriller films of all time". Time Out. March 23, 2022.
- ^ "Cinema: The New Pictures". Time. August 17, 19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30, 2012. Retrieved April 1, 2022.
- ^ A. H. Weiler (August 7, 1959). "Hitchcock Takes Suspenseful Cook's Tour: North by Northwest Opens at Music Hall".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August 25, 2010.
- ^ Deschner, Donald (1973). The Complete Films of Cary Grant. Citadel Press. pp. 22–23. ISBN 978-0-8065-0376-9.
- ^ "North by North-west archive review: pure entertainment that never puts a foot wrong". bfi.org. July 1959.
- ^ Dave Calhoun (June 18–24, 2008). "North by Northwest (1959)". Time O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3, 2009. Retrieved August 25, 2010.
- ^ Clooney, Nick (November 2002). The Movies That Changed Us: Reflections on the Screen. New York: Atria Books, a trademark of Simon & Schuster. p. 85. ISBN 978-0-7434-1043-4.
- ^ "NY Times: North by Northwest". Movies & TV Dept. The New York Times.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 2008. Retrieved December 23, 2008.
- ^ "6 edition. 1958 Awards". San Sebastián Film Festiv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0, 2016.
- ^ "7 edition. 1959 Awards". San Sebastián Film Festiv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 2016.
- ^ "AFI's 10 Top 10". American Film Institute. June 17, 2008. Retrieved June 18, 2008.
- ^ AFI 100년...영화 100편
- ^ 미국 영화 협회의 100년, 100 스릴 (수상자)
- ^ AFI 100년...영화 100편
- ^ 히치콕은 프로이트식 농담을 마지막 장면으로 삽입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고, 이는 특히 현대의 검열관들을 피해갔다.
- ^ Brady 1981, 199~200페이지
- ^ 2막 2장그래서 햄릿은 그의 친구인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에게 그의 광기는 아버지의 살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안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일 뿐이라고 암시한다.
- ^ Bogdanovich, Peter (1963), Peter Bogdanovich Interviews Alfred Hitchco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0, 2013, retrieved August 26, 2013
- ^ Patterson, John (June 13, 2009). "Hitching a ride with the Master of Suspense". The Guardian. Retrieved February 18, 2013.
- ^ Rubin, Steven Jay (1990). The James Bond Movie Encyclopedia. Contemporary Books, Inc. p. 309. ISBN 978-0-8092-3966-5.
- ^ Patterson, John (June 12, 2009). "Hitching a ride with the Master of Suspense". The Guardian.
- ^ Powell, Peter (July 4, 2019). "How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showed the way for James Bond-and summer moviegoing". The Star.
- ^ Milman, Derek (August 6, 2019). "How North by Northwest changed cinema forever". Crime Reads.
- ^ SXSW는 계속 진행되어 성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Alex Geiser, Daily Texan, 2010년 3월 18일, 아카이브, 2011년 4월 13일, Wayback Machine에서
- ^ "Doctor Who Classic Episode Guide – The Deadly Assassin – Details". BBC. Retrieved April 19, 2013.
- ^ AP. "The Last Circus -- Film Review," 할리우드 리포터 (2010년 10월 14일).
- ^ '발라다 트리스테 데 트롬페타', 트리스테 에스 포코'(2010년 12월).2021년 4월 15일 취득.
- ^ Woodhead, Cameron (June 5, 2015). "North by Northwest review: Slick and entertaining adaptation of Hitchcock's iconic film". The Age. Retrieved May 7, 2017.
- 참고 문헌
- Brady, John (1981). The Craft of the Screenwriter. New York: Touchstone Books. ISBN 978-0-671-25230-4.
외부 링크
- National Film Registry 웹사이트의 Thomas Reich의 North by Northwest 에세이
- 미국 영화 협회 카탈로그의 북북서쪽
- IMDb에서 북북서쪽
- AllMovie에서 노스웨스트/노스웨스트
- TCM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의 North-by-Northwest
- 로튼 토마토의 북북서쪽
- 북북서쪽 메타크리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