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엽
Occipital lobe후두엽 | |
---|---|
세부 사항 | |
의 일부 | 대뇌의 |
동맥 | 후뇌동맥 |
식별자 | |
라틴어 | 후두엽 |
메슈 | D009778 |
NeuroNames | 140 |
NeuroEx ID | 버넥스_1136 |
TA98 | A14.1.09.132 |
TA2 | 5480 |
FMA | 67325 |
신경조영술의 해부학적 용어 |
후두엽은 포유류의 뇌에서 대뇌피질의 4대 뇌엽 중 하나이다.이 이름은 뒤통수에 있는 위치, 라틴어 ob, '뒤통수', '머리'에서 유래되었다.
후두엽은 시각피질의 해부학적 영역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포유류 뇌의 시각처리 중심이다.[1]일차 시각 피질은 브로드만 영역 17으로, 흔히 V1(시각적 1)이라고 부른다.인간 V1은 후두엽의 안쪽 면에 캘커린 설커스 안에 위치한다; V1의 전체 범위는 후두극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V1은 흔히 선조체 피질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겐나리의 스트라이아인 미엘린의 큰 줄무늬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V1 외부의 시각적으로 움직이는 영역을 근외 피질이라고 한다.외주지역이 많고, 시각공간 처리, 색분화, 움직임 인식 등 다양한 시각 작업에 특화돼 있다.후두엽의 양쪽 병변은 피질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안톤증후군 참조).
구조
두 개의 후두엽은 인간의 뇌에서 짝을 이룬 네 개의 로브 중 가장 작다.두개골의 최후방에 위치한 후두엽은 후두뇌의 일부분이다.뇌엽은 위쪽의 뼈에서 이름이 지어지고 후두골은 후두엽 위에 있다.
로브는 대뇌와 소뇌를 분리하는 두라모터의 과정인 텐토륨 소뇌에 안착한다.그들은 각각의 대뇌반구에서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후두엽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여러 개의 후두부 교리가 있는데, 이는 측면 후두부술구균에 의해 분리된다.
각 반구의 내면을 따라 후두각은 캘커린 설커스에 의해 구분된다.정중부 위에는 Y자 모양의 설구리가 있고, 설구스 아래는 설구슬이 있다.
후두엽의 1차 시력 부위가 손상되면 부분적 또는 완전한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2]
함수
후두엽은 몇 가지 기능적인 시각 영역으로 나뉜다.각각의 시각 영역에는 시각 세계의 전체 지도가 포함되어 있다.비록 이러한 영역을 구분하는 해부학적 표지는 없지만(스트립트 피질의 두드러진 줄무늬를 제외하고는), 생리학자들은 전극 기록을 사용하여 피질을 다른 기능 영역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기능 영역은 1차 시각 피질이다.작은 수용 분야 내의 국소 방향, 공간 빈도 및 색 특성에 대한 낮은 수준의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일차 시각 피질은 복측 스트림의 후두 영역(시각 영역 V2 및 시각 영역 V4)과 등측 스트림의 후두 영역(시각 영역 V3, 시각 영역 MT(V5) 및 등심 영역(DM)으로 투영된다.
복측천은 "무엇"을 시각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등측천은 "어디/어떻게"를 처리한다.복측 스트림은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자극의 식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이 정보를 기억하면 등줄기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운동 작용에 집중할 수 있다.
비록 많은 연구들이 두 시스템이 독립적이고 다른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조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두 시스템 모두 성공적인 인식에 필수적이라는 증거도 있다. 특히 자극이 더 복잡한 형태를 띠면서 말이다.예를 들어, fMRI를 이용한 사례 연구는 형태와 위치에 따라 수행되었다.첫 번째 절차는 위치 작업으로 구성되었다.두 번째 절차는 참가자들에게 600ms 동안 스크린에서 자극을 보여주는 조명실에서 진행되었다.그들은 위치 처리가 등줄기 내에 계속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경로가 형태 인식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
등심방(dorsmedial, dorsmedial, dorsmedial:그러나 이 흐름이 다른 시각 영역과 상호작용을 한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원숭이에 대한 사례 연구는 V1과 V2 영역의 정보가 DM 입력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것을 밝혔다.나머지 입력은 모든 종류의 시각적 처리와 관련된 여러 출처로부터 온다.
후두엽의 중요한 기능적 측면은 1차 시각피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망막 센서는 시신경을 통해 자극물을 측면 유전체 체로 전달하며, 여기서 시신경은 시각 피질로 계속 전달된다.각 시각 피질은 같은 쪽의 망막 바깥쪽과 반대편의 망막 안쪽에서 원시 감각 정보를 수신한다.쿠네우스(Brodmann's 영역 17)는 열등한 시야를 나타내는 대측상상위망막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한다.이 용어는 우월한 시야를 나타내는 대측 하대망막으로부터 정보를 받는다.망막 입력은 피질에 투영하기 전에 시상하부의 측위 유전핵에 있는 "웨이 스테이션"을 통과한다.후두엽의 회백질 후면에 있는 세포들은 망막장의 공간 지도로 배열되어 있다.기능적 신경영상촬영은 망막장이 강한 패턴에 노출되었을 때 로브의 피질 조직에서 유사한 반응 패턴을 보여준다.
임상적 유의성
후두엽 하나가 손상된 경우, 그 결과는 각 눈에 유사하게 배치된 "장면 절단"에서 발생하는 동음이의 혈색소 시력 손실이 될 수 있다.후두부 병변은 시각적 환각을 일으킬 수 있다.두정-임시-구두-구두 연결 영역의 병변은 색각, 운동각, 그리고 아그라피아와 연관되어 있다.후두엽 표면에 위치한 1차 시각피질 손상은 병변으로 인한 시각피질 표면의 시각지도에 구멍이 생겨 실명을 일으킬 수 있다.[5]
뇌전증
최근의 연구는 특정한 신경학적 발견이 특발성 후두엽 간질병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후두엽 발작은 섬광, 즉 여러 가지 색을 가진 시각적 이미지에 의해 촉발된다.이를 플리커 자극(보통 TV를 통해)이라고 하며, 이러한 발작을 광감성 발작이라고 한다.후두 발작을 경험한 환자들은 그들의 발작이 밝은 색상을 특징으로 하고, 시력을 심하게 흐리게 한다고 묘사했다(일부 환자들 사이에서도 발작이 뚜렷했다).후두 발작은 주로 낮에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또는 깜박임 자극 시스템을 통해 유발된다.[7]후두 발작은 후두엽 내에 국한된 간질적 초점에서 비롯된다.그것들은 자발적이거나 외부 시각 자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후두엽 간질증은 유전학적으로 특발성, 증상성, 또는 암호화성이 있다.[8]증상 후두 발작은 어떤 연령에서나 기저 원인 장애의 과정 중이나 이후의 어떤 단계에서도 시작될 수 있다.특발성 후두성 간질은 보통 어린 시절에 시작된다.[8]후두간질병은 전체 간질병의 약 5~10%를 차지한다.[8]
추가 이미지
참고 항목
참조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후두엽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 "SparkNotes: Brain Anatomy: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07. Retrieved 27 February 2008.
- ^ Schacter, D. L., Gilbert, D. L. & Wegner, D. M. (2009)심리학(2차 개정).새로운 작업(NY): 가치 있는 출판사.
- ^ (Valyear, Culham, Sharif, Westwood, & Goodale, 2006).
- ^ (Val year 등, 2006).
- ^ Carlson, Neil R. (2007). Psychology : the science of behaviour. New Jersey, USA: Pearson Education. pp. 115. ISBN 978-0-205-64524-4.
- ^ Chilosi, Anna Maria; Brovedani (November 2006). "Neuropsychological Findings in Idiopathic Occipital Lobe Epilepsies". Epilepsia. 47 (s2): 76–78. doi:10.1111/j.1528-1167.2006.00696.x. PMID 17105468. S2CID 23702191.
- ^ Destina Yalçin, A.; Kaymaz, A.; Forta, H. (2000). "Reflex occipital lobe epilepsy". Seizure. 9 (6): 436–441. doi:10.1053/seiz.2000.0424. PMID 10986003.
- ^ a b c Adcock, Jane E; Panayiotopoulos, Chrysostomos P (31 October 2012).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Occipital Lobe Seizures and Epilepsies. 29 (5): 397–407. doi:10.1097/wnp.0b013e31826c98fe. PMID 23027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