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호흡증

Orthopnea
정형호흡증
기타 이름오르토프노에아
발음
전문심장학

정형호흡증 또는 정형외과[1] 납작하게 누웠을 때 발생하는 호흡곤란(호흡곤란)으로,[2] 침대에서 받쳐주거나 의자에 앉아 잠을 자야 하는 원인이 된다. 흔히 심장부전이 늦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중앙 순환으로 유체가 재분배되어 폐모세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복부비만이나 폐질환의 경우에도 나타난다.[3] 정형호흡증은 앉거나 일어설 때 심해지는 호흡곤란과 정반대다.

원인들

직교호흡증은 종종 좌심실 심부전이나 폐부종의 증상이다.[4][5] 천식과 만성 기관지염을 앓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수면무호흡증이나 공황장애가 있는 사람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다낭성 간질환과도 관련이 있다.[6] 신경근육학적 관점에서 직교호흡증은 심각한 횡격막 약화의 징후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자들은 구부러질 때(예: 신발 끈을 묶을 때) 숨의 부족을 설명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메커니즘

직교호흡증은 사람이 평평하게 눕거나 수평 자세에 가까워졌을 때 폐순환으로 혈액의 분배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평평하게 눕는 것은 중력이 보통 몸의 하단에서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에 미치는 억제 효과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우측 정맥 복귀를 증가시킨다. 정상인에서는 좌심실이 뇌졸중 볼륨을 갑자기 증가시킬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프랭크-스타링 메커니즘의 결과) 이러한 혈액 재분배는 호흡 기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심부전이 있는 사람에게 좌심실은 폐순환에서 혈액이 증가하는 것에 반응하기에 불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폐순환에서 혈액을 끌어모으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실질 내 폐혈관 내 압력이 증가하면 정압과 관련된 유체가 폐포로 전이되어 폐부종이 발생하고 호흡곤란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좌심실 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 평평한 곳에 누워 있는 시간이 상당히 짧은 후에 호흡곤란이 흔히 발생한다.[5] 이는 누울 때 폐 실질 병리학(제한성 및 폐쇄성 모두)이 있는 사람이 겪는 호흡곤란과는 다른데, 이는 갑자기 발생하며 오히려 몸을 좀 더 수평적인 위치로 움직일 때 상실되는 횡격막/액세서리 호흡 근육의 기계적 이점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이 있다.[citation needed]

진단

진단은 대부분 임상적 특징에 기초한다.

치료

어원

직교 호흡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직교에서 온 직교 + 호흡결합 형태를 사용한다. 호흡곤란 시 발음 정보를 참조하십시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Orthopnoea Definition of Orthopnoea by Lexico". Lexico Dictionaries English. Retrieved 31 October 2019.
  2. ^ 도랜드 의학 사전의 "정호흡"
  3. ^ 앤서니 파우치, 유진 브라운월드, 데니스 카스퍼, 스티븐 하우저, 댄 롱고, J. 제임슨, 조셉 로스칼조, (2008) 해리슨의 내과 원리, 17번지. 맥그로힐 ISBN 9780071466332. 페이지 1446
  4. ^ Torchio R, Gulotta C, Greco-Lucchina P, et al. (August 2006). "Orthopnea and tidal expiratory flow limitation in chronic heart failure". Chest. 130 (2): 472–9. doi:10.1378/chest.130.2.472. PMID 1689984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4-14.
  5. ^ a b Mukerji, bVaskar (1990). "Dyspnea, Orthopnea, and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In Walker, H. Kenneth; Hall, W. Dallas; Hurst, J. Willis (eds.).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3rd ed.). Butterworths. ISBN 0-407-02853-6. Retrieved 2009-03-14.
  6. ^ Kerns, Marcia A. "Causes for Orthopnea". Findatopdoc. H. Dix. Retrieved 27 January 200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