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티프네아

Platypnea

플라티프노아(Platypniaea) 또는 플라티프노아(Platypnoea)는 누울 때 완화되고, 앉거나있을 때 악화되는 호흡의 부족(Dyspna)이다. 그것은 정형호흡의 반대다.[1] 이 질환은 1949년에 처음 설명되어 1969년에 명명되었다.[2]

이와 관련된 조건인 직교증은 누울 때 개선되는 직립 자세에서 낮은 산소 포화도의 임상적 발견을 설명한다.[3]

고지식증과 직교증이 공존할 수 있으며, 이 조합은 고지식증후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4][5] 그 증후군은 극히 드물게 여겨진다.[4]

원인들

평지호흡증은 간 심폐증후군이나 해부학적 심혈관 결함으로 인해 아멘오발레 특허와 같은 위치상 좌우 션팅(순환계통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혈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함은 간에서 나온 정맥혈이 폐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포탈순환에서 나온 정맥혈이 간을 통과하지 않고 하대 정맥(Abernethy formation, type 1)에 도달하는 희귀한 신드롬을 포함한다.[citation needed]

어원과 발음

플라티푸스라는 단어는 그리스 플라투스(= 플랫)와 피노아(=호흡)에서 나온 플라티- + - 호흡형태를 결합한 것을 사용한다. 호흡곤란 시 발음 정보를 참조하십시오.

참고 항목

참조

  1. ^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2 ed.). Elsevier Saunders. 2012. p. 1459. ISBN 978-0-8089-2418-0.
  2. ^ Robin ED, McCauley RF (1997). "An analysis of platypnea-orthodeoxia syndrome including a 'new' therapeutic approach". Chest. 112 (6): 1449–51. doi:10.1378/chest.112.6.1449. PMID 9404736.
  3. ^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2 ed.). Elsevier Saunders. 2012. p. 1337. ISBN 978-0-8089-2418-0.
  4. ^ a b Cheng TO (2002). "Mechanisms of platypnea-orthodeoxia: what causes water to flow uphill?". Circulation. 105 (6): e47. doi:10.1161/circ.105.6.e47. PMID 11839642.
  5. ^ Kubler P, Gibbs H, Garrahy P (2000). "Platypnoea-orthodeoxia syndrome". Heart. 83 (2): 221–3. doi:10.1136/heart.83.2.221. PMC 1729301. PMID 10648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