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드로 세르반테스
Pedro Cervantes페드로 미겔 데 세르반테스 살바도레스(Pedro Miguel de Servantes Salvadores, 1933년 10월 2일 ~ 2020년 10월 26일)는 멕시코와 해외에서 전시회를 열고 멕시코 내 다양한 장소에서 거대한 기념비적인 작품을 만들었다.그의 작품 중 일부는 폐차장의 자동차 부품과 같은 중고 재료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세르반테스는 2011년 Premio Nacional de Ciencias y Artes뿐만 아니라 Academy de Artes와 Salon de la Plastica Mexicana 회원 자격을 포함하여 다양한 인정을 받았습니다.
인생
세르반테스는 멕시코 시티에서 태어났고 콜로니아 로마 인근 지역에서 [1][2]11명의 자매와 함께 자랐다.어린 시절부터 그는 말에 매료되었다.그의 할아버지는 그가 7살 때 말발굽을 주었고 말을 가질 수 없었기 때문에 진흙으로 말발굽을 만들기 시작했다.이러한 모델링은 그림과 미술에 [1][3]대한 관심을 이끌어냈다.
그는 입학하지 않은 [2][3]학생으로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에스쿠엘라 드 아르테스 플라스틱에 다녔다.학교를 졸업한 직후, 그는 [3]선인장의 구조에 매료되어 소노라에 있는 발레 델 야키에 살기 위해 갔다.
그는 쿠아히말파에 살았고 그곳에서 두 마리의 말을 [2]키웠다.그는 2020년 [4]10월 26일 오후 9시에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직업
세르반테스는 [5]1958년 멕시코시티에 있는 갈레리아 엑셀시오르에서 Ceramica y Teracotas policomada라고 불리는 그의 첫 번째 개인쇼를 가졌다.그 후,[1] 그는 해외 뿐만이 아니라, 멕시코내의 다양한 장소에서 작품을 전시했습니다.중요한 전시회로는 1965년 아르테 모데노 박물관의 살론 데 아르테 요베네스 행사,[3] 1967년 팔라시오 데 벨라스 아르테스에서 열린 67회 엑스포,[5] 1974년 팔라시오 데 벨라스 아르테스, 1986년 멕시코시티의 살라 올린 율리틀리, 그리고 [6]1986년 갈라마가 있다.그는 또한 과달라하라, 몬테레이, 도쿄 현대미술관, 카라카스의 벨라스 미술관, 에스타도 시장 클럽에서도 전시회를 열었다.[1][3]
그의 첫 번째 공공 조각품은 프로메테우스라고 [3]불리며 1964년 베라크루즈 알바라도시를 위해 만들어졌다.그의 가장 중요하고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솔 데 피에드라(센트로 세레모니얼 오토미, 테모야, 1980), 시누오시다드(톨루카, 1980), 트렉토리아 델 아세로(멕시코시티, 1978), 로스 쿠아트로 푸노스 카디날레스(멕시코시티, 1976), 엘 아킬라 이피엔트(1974),[5][6] 엘 아일라 이피엔트 등이 있다.
그의 경력을 통해 세르반테스의 작품은 다양한 인정을 받았다.1968년, 그는 196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한 국립 벨라스 예술원의 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카루스라는 이름의 조각상을 수상했습니다.이 작품은 아르테 모더니오 [3]미술관의 소장품 중 일부입니다.같은 해,[5] 그는 도쿄에서 열린 오귀스트 로댕 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다.1969년, 그는 Taxco에 [3]있는 Feria de la Plata에서 은으로 만든 몸통으로 명예상을 받았습니다.1974년 미술평론가 라켈 티볼은 그의 삶과 [2][3]작품에 대한 첫 번째 책을 썼다.그는 살론 데 라 플라스티카 멕시카나의 회원이었으며 2003년에 Artes [8]아카데미에 입회했다.2010년에 그에 관한 두 번째 책이 엘 쿠에르포 엔 엘 에스파시오 라스 비다스 데 페드로 [1]세르반테스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그는 2011년 영화감독 호르헤 [2]폰스와 함께 프리미오 나시오날 데 시엔시아스 이 아트상을 수상했다.다른 상으로는 일본의[6] 노부타카 시카나이 상과 플라스티카 [3]멕시카나의 에피클로이드라는 조각상이 있다.
예술성
세르반테스는 그의 조각에 다양한 재료들을 가지고 실험을 했다.그는 주로 청동, 철판, 단철로 [5]일했지만, 조립식 재료, 고물 부품, 도자기와 금속의 혼합물, 거울이 있는 금속, 심지어 금속 [6]조각이 첨가된 그림으로도 일했습니다.
그는 구호 벽화, 기념비적인 조각, 소규모 작품을 만들었다.그는 또한 "lamamovil"이라고 불리는 구경꾼들이 움직일 수 있는 조각품을 만들었습니다.[2][8]그의 멘토로는 조각가 루이스 오르티스 수도원리오, 제르만 쿠토, 로드리고 아레나스가 [5]있다.그는 자기 세대의 예술가들의 관심사와 동일시했지만, 살론 인디펜디엔테와 [6]같은 특정 그룹에 속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는 학문적 예술 형식을 [6]탈피하기로 결심했을 때 국립 예술원을 떠났다.그는 처음에 도자기 디자인으로 일했고, 1960년에 납땜된 [5][8]금속으로 일하기 시작했다.1966년, 이 조각가는 산업 부품, 철,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한 작품 "우주 기계"를 만들었습니다.높이 2미터(6.6피트)의 이 조각품은 그가 [5]사용한 새로운 재료들 때문에 그의 작품에 결정적인 힘이 되었다.이것은 1968년에 이어 자동차 범퍼와 다른 자동차 부품들을 사용하여 폐차장을 [6]뒤졌다.이 시기 이후 그는 점토나 회반죽으로 주형을 만드는 청동으로 일하기 시작했다.이것들 중 일부는, 그는 여전히 오래된 자동차 부품들을 사용했지만, 이것들은 종종 [2]청동과 함께 녹여졌다.
라켈 [6]티볼에 따르면, 그는 성적 감각, 즐거움, 그리고 무한한 불안정성을 표현하기 위해 일했다.그의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요소는 [7][8]추상화와 함께 여성과 말이며, 그의 작품은 비유적이지만 지나치게 [2]현실적이지는 않다.그 여자들의 모습은 종종 건장하고 [9]얼굴이 없다."개념적으로 저는 마음, 몸, 감정의 세 가지 요소에서 출발합니다.상상력, 영속성, 움직임.머리, 비틀림, 날개."[5]그의 작품들은 미래주의, 초현실주의, 신표현주의,[6] 신다이다이즘과 관련된 미학에서 벗어나 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Patricia Garcia (December 12, 2010). "El artista Pedro Cervantes presenta libro sobre su vida" [Artist Pedro Cervantes presents book about his life] (in Spanish). Mexico City: El Universal. Retrieved July 14, 2013.
- ^ a b c d e f g h Merry Mac Masters (December 12, 2011). "Un triángulo amoroso entre autor, obra y espectador, sugiere Cervantes" [A love triangle among the author, work and spectator, suggests Cervantes] (in Spanish). Mexico City: La Jorana. p. 8. Retrieved July 14, 2013.
- ^ a b c d e f g h i j Martha Valdespino (June 2, 1999). "Comparte su pasion por las formas" [Shares his passion for forms] (in Spanish). Mexico City: Reforma. p. 20.
- ^ MacMasters, Merry (October 27, 2020). "Muere Pedro Cervantes, ganador del Premio de Artes y Ciencias 2011 - Cultura - La Jornada". La Jornada (in Spanish). Retrieved October 28, 2020.
- ^ a b c d e f g h i Reperatory of Artists in Mexico:Plastic and Decorative Artes. Vol. I. Mexico City: Fundación Cultural Bancomer. 1995. p. 250. ISBN 968 6258 54 X.
- ^ a b c d e f g h i Raquel Tibol (November 28, 2011). "Las voces nuevas de Pedro Cervantes" [The new voices of Pedro Cervantes] (in Spanish). Mexico City: Proceso. Retrieved October 28, 2020.
- ^ a b "Pedro Cervantes expone sus creaciones" [Pedro Cervantes exhibits his creations] (in Spanish). Mexico City: Reforma. September 21, 2007. p. 9.
- ^ a b c d "Academia de Artes" [Academy of Artes] (in Spanish). Mexico: CONACULTA. Retrieved July 14, 2013.
- ^ Vicente Quirarte (April 2012). "El Cuerpo en el espacio de las vidas de Pedro Cervantes". Archipiélago. Revista Cultural de Nuestra América. 20 (76): 6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