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지켄트 벽화
Penjikent murals펜지켄트 벽화 | |
---|---|
창조했다 | 5세기 - 722 CE |
발견된 | 타지키스탄 판자켄트 39°29′12″N 67°37′14″E / 39.486792°N 67.620477°E좌표: 39°29′12″N 67°37′14″E / 39.486792°N 67.620477°E/ . |
현재위치 | 타지키스탄 국립고미술관 에르미타주 박물관 |
문화 | 소그디안 |
펜지켄트의 벽화는 타지키스탄의 고대 소그디아나 판자켄트에서 이슬람 이전 시대의 가장 유명한 벽화 중 하나이다. 수많은 벽화들이 그 자리에서 복원되었고, 그 중 많은 벽화들이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박물관과 두샨베의 타지키스탄 국립 유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벽화들은 주로 소그디아와 투르크계 엘리트들과 이질적인 다른 외국 상인 집단으로 구성된 펜지켄트 사회의 국제성을 드러낸다.[1] 올드 투르크 의복, 무기 품목, 헤어스타일, 의식용 컵과 상당한 유사성이 비교 연구에 의해 지적되고 있다.[2]
펜지켄트의 벽화는 CE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까지 가장 일찍 알려진 소그디아 벽화로, 발랄리크 테페에서 볼 수 있는 투카리스탄의 헵탈라이트 벽화가 선행되어, 이 벽화로부터 우상적, 양식적 영향을 받았다.[3] 또한 지역 조로아스터교, 기독교, 불교, 인디케이터교도와 함께 그리스 장식 양식의 헬레니즘적인 영향도 매우 다양하다.
그림의 제작은 5세기 말 CE에서 시작되어 722년 CE에서 무슬림인 트란소시아나를 정복한 압바시드 칼리파테의 침공으로 중단되었으며, 당시 많은 예술 작품들이 훼손되거나 파괴되었다.[4][5][6]
통치자
펜지켄트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알려진 통치자가 있다.
- 차무옌/가마우키안 (7세기 말)
- 체킨 처르 빌게(8세기 초)
- 도와슈티치(A.D. 722년까지)
모든 통치자들은 보고된 왕조가 없었고, 첫 번째 통치자는 치오나이트-헤프탈라이트를 가지고 있었고, 두 번째 통치자는 투르크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7][8][9][10][11] 펜지켄트 동전의 채굴에 '나나 여왕'이 관여했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4] 7세기 초와 서기 658년경에 펜지켄트를 통치한 피흐트라고 알려진 체킨 처르 빌게의 아버지에 대한 상반된 정보가 있다.[4]
축제
벽화에는 축제 풍경이 가득하다.[4][5][6] 동양적인 태도로 앉아 있는 남자들은 알타이에서 발견된 의복과 비슷한 라펠이 달린 "터키" 긴 코트를 입고 있다.[2] 라펠은 파르티아인, 쿠샨, 사사니아인 카프탄에서는 흔하지 않았지만, 헵탈라이트, 소그디아인, 불교 유적지에 많이 등장한다. 사마르칸트, 펜디켄트, 신장 등 대형 사이트에는 단발과 복선의 복장을 한 남녀의 모습이 등장한다. 나워는 서투르크인들의 정치적 승세는 유목민 투르크 부족의 확산을 통해 라펠을 채택하고 이후 동화되었다고 제안한다.[12]
로스탐 사이클
이란 샤나메의 설화와 로스탐의 서사시 사이클이 8세기 전반의 펜지켄트(Penjikent)의 '블루 홀'("루스테미다")의 일련의 벽화에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주로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49홀에서 개최되며,[4][5][6][13] 소그디아, 투르크어 또는 쿠샨-헤프탈라이트의 기원으로 추정된다.[11]
자불리스탄의 신화적인 왕인 주인공 로스탐은 인간과 신화적인 적에 대항하는 수많은 활동과 전투에서 보여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긴 두개골, 좁은 두개골, V자형 눈썹, 갈고리코와 무거운 턱(헤프탈라이트 원형)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동전 위에 있는 몇몇의 카힐라의 초상화를 떠올리게 하는 (아마도 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브이).그와 가까운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11] 이러한 선택은 7세기까지 같은 지역에서 통치했던 알촌 훈족의 상징적인 모습에서 따온 것이다.[9][14][15]
세부 사항
로스탐으로 추정되며, 헤프탈라이트 원형의 긴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판지켄트 벽화(6-7세기 CE) 에르미타주 박물관
판자켄트(판자칸트) 벽화, 6~8세기 에르미타주 박물관
판자켄트(판자칸트) 벽화, 6~8세기 타지키스탄 국립고미술관
종교
펜지켄트 인구의 종교적 소속은 불확실하다. 이 지역의 종교는 기독교, 불교, 조로아스터교, 이란 신과 인도의 신들이 혼합된 것으로 생각된다.[4][5][6]
펜지켄트, 할로가 있는 인물들, 8세기 전반. 섹터 XXIV. 1번 방. 에르미타주 박물관
갑옷을 입은 다무장한 신: "악마의 왕" 19호실/ XXVI 구역 8세기 CE.[16]
신. 에르미타주 박물관
전투 장면
판지켄트 벽화(6-7세기 CE) 타지키스탄 국립고미술관
여성 피겨
민족
부유한 아랍인, 데바시치 궁전
참고 항목
참조
- ^ 소그디아인: 실크로드, 판지켄트, 소그디안 도시-알렉산더 브레이의 계획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들. 스미스소니언 협회.
- ^ Jump up to: a b 에르모렌코 L.N., 솔로비예프 A.I., 쿠르만쿨로프 Z.K. 카자흐스탄 중앙의 율리타우 힐즈 보릴리에 있는 오래된 투르크상: 문화 리얼리아. 고고학, 민족학, 유라시아 인류학. 2016;44(4):102-113. https://doi.org/10.17746/1563-0110.2016.44.4.102-113
- ^ Azarpay, Guitty; Belenickij, Aleksandr M.; Maršak, Boris Il'ič; Dresden, Mark J. (January 1981).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93. ISBN 978-0-520-03765-6.
- ^ Jump up to: a b c d e f "PANJIKANT – Encyclopaedia Iranica". iranicaonline.org.
- ^ Jump up to: a b c d Compareti, Matteo (2012). "Classical elements in Sogdian art: Aesop's fables represented in the mural paintings at Penjikent". Iranica Antiqua. XLVII: 303–316.
- ^ Jump up to: a b c d Guides, Insight (April 2017). Insight Guides Silk Road (Travel Guide eBook). Apa Publications (UK) Limited. p. 521. ISBN 978-1-78671-699-6.
- ^ 소그디아나* 수그드 및 인접 지역 B. I. 마샤크와 N. N. N. Negmatov. 페이지 242. ISBN 978-92-3-103211-0
- ^ 중앙아시아의 목소리: 판지켄트, 중앙아시아 폼페이의 목소리. Pavel Lurje와의 인터뷰, 2020년 5월.
- ^ Jump up to: a b Rezakhani, Khodadad (15 March 2017). ReOrienting the Sasanians: East Iran in Late Antiqu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p. 124, 181. ISBN 978-1-4744-0030-5.
- ^ 이란 세계에서 동전을 통한 아라믹 트레이스 2018년 82, 페이지 125–16 ISSN 2415-8712 (온라인)의 I. 샤피ʿ, 페이지 146; ISSN 1682-671X(인쇄)
- ^ Jump up to: a b c (그림 38). 펜지켄트 벽화. 러스탐.) 헤프탈라이트: 2010년 아이도그디 쿠르바노프의 고고학적 역사적 분석 http://dx.doi.org/10.17169/refubium-12565
- ^ "8세기 10세기 북캅카스 출신의 남성 카프탄과 레깅스: 족보학 연구":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저널, v. 36 (2001) Knauer, Elfride R. (2001)
- ^ 벽화 그림: 루스테미아다. 에르미타주 박물관 블루홀
- ^ "Hermitage Museum". Hermitage Museum.
- ^ "그 당시의 소그디아 귀족 문화는 인도의 첫 헤프탈라이트 정복자였던 키길라의 영광스러운 시절을 어느 정도 기억했을 가능성이 있다. 펜지켄트의 다른 그림에서 보여지는 러스탐의 프로필은 소그디아 미술의 다른 묘사들과 매우 구별되며 헤프탈라이트 원형과 닮았다. 초상화는 좁은 두개골, V자형 눈썹, 갈고리코, 무거운 턱이 특징이며, 따라서 동전에 그려진 일부 킨길라 초상화(Grenet 2002, 218-219)와 매우 흡사하다.
- ^ Mode, Markus; Tubach, Jürgen; Vashalomidze, G. Sophia (2006). Arms and Armour as Indicators of Cultural Transfer: The Steppes and the Ancient World from Hellenistic Times to the Early Middle Ages (in German). Reichert. p. 86. ISBN 978-3-89500-529-9.
- ^ Kageyama (Kobe City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be, Japan), Etsuko (2007). "The Winged Crown and the Triple-crescent Crown in the Sogdian Funerary Monuments from China: Their Relation to the Hephthalite Occupation of Central Asia" (PDF). Journal of Inner Asian Art and Archaeology. 2: 20, drawing e. doi:10.1484/J.JIAAA.2.302540. S2CID 13064063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0-11-11.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또한 에 설명되어 있다.